KR860001432Y1 - 철판윤전기(凸板輪轉機)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Google Patents
철판윤전기(凸板輪轉機)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1432Y1 KR860001432Y1 KR2019810006015U KR810006015U KR860001432Y1 KR 860001432 Y1 KR860001432 Y1 KR 860001432Y1 KR 2019810006015 U KR2019810006015 U KR 2019810006015U KR 810006015 U KR810006015 U KR 810006015U KR 860001432 Y1 KR860001432 Y1 KR 8600014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 plate
- blank kit
- blank
- ki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41F13/12—Registering devices
- B41F13/14—Registering devices with means for displacing the cylin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41F7/1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using two cylinders one of which serves two functions, e.g. as a transfer and impression cylinder in perfec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r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신문용 윤전기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2도는 오프세트 윤전기의 요부구성 설명도.
제3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B-B형 오프세트 윤전기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3a도는 제3도 I-I선에 의한 시시평면도.
제4도는 트립기구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판동 (2a),(2b) : 압동, 브랭키트동
(4) : 주축 (5),(6) : 베벨기어
(7) : 수직축 (8),(9) : 베벨기어
(10a),(10b) : 잉킹장치 (11) : 단색쇄동
(12) : 사이드프레임 (13a),(13b) : 습수장치
(14),(15) : 편심슬리이브 (16) : 공압실린더
(18a),(18b) : 잉크레일 (20a),(20b) : 잉크실린더
(23a),(23b),(24a),(24b) : 잉크로울러 (24) : 팬텐로울러
(25) : 잉크실린더 (27),(28) : 잉크로울러.
본원 고안은 기설의 철판윤전기(凸版輪轉機)를 개조한 블랭키트-블랭키트방식, 이른바 B-B 방식의 오프세트 윤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쇄업계, 특히 신문인쇄업계에 있어서는 인쇄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철판인쇄기에서 종이의 양면을 동시에 인쇄할 수 있는 B-B형의 오프세트 인쇄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현저해졌다. 그러나, 신문윤전기는 일반적으로 대형의 기계이기 때문에 다대한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며, 또한 내용(耐用)연수도 긴 것이므로, 신문사로서는 기설의 철판윤전기를 폐각(廢却)하고, 신규의 오프세트 윤전기를 설비하는 것은 커다란 부담이 수반되므로 간단히 이행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현재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신문용철판윤전기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2조의 판동, 압동(1a), (2a) 및 (1b),(2b)가 좌·우 대칭을 간격(S)을 두고 배치되며, 주축(4)에서 베벨기어(5),(6)를 통해 수직축(7)이 구동되어 수직축(7) 상단에 설치한 베벨기어(8)와 압동(2b) 축단의 베벨기어(9)와 맞물려서 압동(2b)이 구동되며, 다른 압동과 판동은 도시 생략의 평기어에 의해 압동(2b)에서 순차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압동(2b)의 윗쪽에는 단색쇄장치(10)가 설치되어 압동과 접촉하는 단색쇄동(11)에 의해 종이에 먹 이외의 색쇄(色刷)를 1색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제2도에 나타낸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에 있어서는 2조의 판동, 블랭키트동(1a),(2a)및 (1b),(2b)는 좌·우 대칭으로 또한 양블랭키트동 (2a) ,(2b)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종이(3)는 양 블랭키트동 사이에서 양면 동시에 인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상의 상이점을 갖는 철판윤전기를 B-B형 오프세트 윤전기로 전용하는 것은 상기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설의 구동계 및 단색쇄장치를 되도록 그대로 이용하여 오프세트 윤전기를 제작할 경우, 압동(2b)을 트립시에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서로 격리되어 있는 압동의 위치를 변경하여 서로 접촉시키도록 해서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기 위한 구동계를 개조하고, 다시 오프세트 인쇄의 특유의 습수장치의 추가를 함으로써 일단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기설의 철판윤전기의 부품을 가능한 한 활용하며, 더구나 오프세트 인쇄에 필요한 기능을 구비한 오프세트 윤전시에 전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소 51-25163 공보, 특개소 55-28888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듯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철판윤전기에 있어서는 한쪽 압동에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 압동을 트립시키는데는 구동장치 전체를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것은 오프세트 윤전기의 구조를 현저하게 복잡한 것으로 하는 동시에, 대폭적인 개조를 요하며, 개조비용은 현저하게 고가의 것으로 된다.
또, 본원 출원인의 한 사람이 앞서 제출한 일본국 특원서 55-41703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주기틀의 내면에 보조기틀을 부착하고, 동 보조틀에 1조의 판동과 압동 및 제2조의 압동을 부착함으로서, 철판윤전기의 개조시에 있어서의 구설비의 이용율은 상당히 개선되었고, 개조비용도 저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조방법은 보조기틀이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립후의 윤전작업에 진동이 생길 염려가 있다는 것 및 동체부착시에 심맞춤이 매우 곤란하다는 것 및 별도 기어전동기구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기설철판윤전기를 B-B형 오프세트 윤전기로 개조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기설철판윤전기의 부품이용율이 높고, 더구나 염가로 얻을 수 있는 B-B형 오프세트 윤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고안은 한쪽의 판동(1b) 및 다른쪽의 블랭키트동(2a)을 동시에 트립하는 기구를 갖는 기설철판윤전기를 개조한 B-B형 오프세트 윤전기로서, 기설철판윤전기의 부품을 대폭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설의 철판윤전기의 개조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나타낸 한쪽의 압동(2b)을 고정하여, 제3도 및 제3a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쪽의 블랭키트동(2b)이 고정된 오프세트용 블랭키트동(2a),(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낸 판동(1a)을 고정시켜 제3도 및 제3a도에 나타낸 것처럼 타측이 고정된 판동(1a),(1b)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한쪽의 판동(1b) 및 다른쪽의 블랭키트동(2a)을 동시에 트립하는 기구를 설치하여 블랭키트동(2a)의 외주면에 고정판동(1a)을, 또 고정블랭키트동(2b)의 외주면에 판동(1b)을 각기 압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대상에 입설되어 있는 각 사이드프레임(12)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3a도에 나타낸 것처럼 오프세트 윤전기의 동체배치에 맞는 형상의 것을 신제하여, 이것에 기설의 각 동체(1a)∼(2b), 구동계(4)∼(9), 잉킹장치(10a),(10b)등을 조입하고, 오프세트 인쇄특유의 습수장치(13a),(13b)를 부가함으로써 새로운 오프세트 윤전기를 구성한다. 단, 이때 동체의 회전방향이 철판인쇄시와는 반대로 되므로, 주축상의 베벨기어(5)는 종래와 반대의 위치로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트립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쪽의 블랭키트동(2a) 및 한쪽의 판동(1b)의 베어링부에는 각기 편심슬리이브(14),(15)를 사용하여, 이 양 편심슬리이브를 공압실린더(16)에 의해 링크기구를 통해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조로 한다.
이 구조의 상세를 제4도에 나타낸다.
블랭키트동(2a)은 사이드프레임(29) 구멍에 회전자재로 끼워넣어진 편심슬리이브(31) 구멍에 베어링(도시생략)을 통해서 지지되며, 또 판동(1a)은 편심슬리이브(30), 판동(1b)은 편심슬리이브(33)를 각기 통해서 마찬가지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압동(2b)은 프레임에 슬리이브(32)에 의해 중심고정으로 지지된다.
(34)는 프레임에 고정된 판(35)에 의해서 일단이 지지되며, 전자밸브(도시생략)에 의해서 작동하는 크레비스형 공압실린더이며, 그 로드선단과 트립작동축(36)에 키이로 고정된 바아(37)의 선단이 핀(3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축(36)은 프레임 구멍에 대해 회전자재이며, 또한 다른쪽의 프레임에까지 뻗어 있고, 다음에 설명하는 링크기구는 다른쪽 프레임에도 설치되어 있지만, 그 구조기능은 전적으로 같으므로 여기서는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한다.
축(36)에는 다른 레버(39)가 역시 키이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반원호상의 링크(40)가 일단이 핀(41)에 의해서 접속되며, 링크(40)의 타단에는 나사로드(42)가 고정되어 있다. 편심슬리이브(31)의 측면에는 Y자형의 브래키트부(43)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굄목(44)이 들어가 있고, 핀(4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굄목과 핀에는 로드(42)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로드 (42)에는 너트(46),(47)가 굄목(44)의 양단면에 대해서 조정가능하게 조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70)은 프레임에 고정된 브래키트(71)에 끼워지는 보울트이며, 그 두부(頭部)에 링크(40)의 좌측면이 맞닿은 실선위치에 있어서, 핀(41), 축(36) 및 핀(45)을 잇는 선이 일직선으로 되어 토글링크를 형성하도록 너트(72)로 로크된다.
편심슬리이브(31)의 측면에는 또 하나의 Y자형 브래키트부(43)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나사로드(49)의 일단이 핀(50), 굄목(51), 너트(52),(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로드(49)의 타단은 프레임에 고정된 축(54)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가능한 벨크랭크(55)의 일단에 핀(56)에 의해 접속되며, 벨크랭크의 타단과, 판동(1b)의 편심슬리이브(33)에 일체로 형성된 브래키트부(57)와의 사이에는 링 (58)이 핀(59) 및 핀(6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4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인쇄위치에 있어서, 블랭키트동(2a)의 편심슬리이브(31)가 들어가는 프레임구멍의 중심 C은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랭키트동(2a)의 축심 D과 블랭키트동(2b)의 축심 E을 잇는 연장선에서 약간 밑에 있고, 판동(1b)의 편심슬리이브(33)가 들어가는 프레임구멍의 중심 F은 블랭키트동(2b)의 축심 E과 판동(1b)의 축심 G을 잇는 연장선보다 약간 밑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편심슬리이브(31)에 일체로 설치된 돌출부(66)에 끼워진 보울트(67)를 프레임에 고정된 스토퍼(68)에 대해서 풀고나서, 로드(42)상의 너트(46)를 풀고, 너트(47)를 조이면 편심슬리이브(31)는 반시계방향으로 돌아 블랭키트동(2a)의 축심 D은 C를 중심으로 해서 내려가므로 블랭키트동(2b)과 (2a)와는 접근해서 양 블랭키트동 사이의 인압(印壓)은 증가하며, 너트를 반대방향으로 조정하면 인압은 감소한다. 인압이 바르게 조정되면 보울트(67)의 두부를 스토퍼 (68)에 맞닿게 하여 너트(69)로 로크함으로써 블랭키트동(2a)의 인쇄위치는 항상 바르게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로드(49)의 너트(52),(53)를 조정하면 상술한 링크기구 즉, 로드(49), 벨크랭크(55), 링크(58) 등을 통해서 판동(1b)의 편심슬리이브 (33)가 회전하여 블랭키트동(2b)과 판동(1b)과의 사이의 인압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판동(1a)의 편심슬리이브(30)가 들어가는 프레임구멍의 중심 A는 블랭키트동(2a)의 축심 D과 판동(1a)의 축심 B을 잇는 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편심슬리이브(30)에는 돌출부(61)가 설치되며, 프레임에 고정된 브래키트 (62) 및 (63)에 각기 나사식으로 끼워져있는 조종보울트(64) 및 (65)의 두부가 돌출부의 양측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한쪽의 보울트를 풀고 다른쪽을 조입으로써, 축심 B은 A를 중심으로 하여 움직이므로 블랭키트동(2a)에 대한 판동(1a)의 인압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4개의 동체는 모두 바른 인압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운전하고 있는 윤전기가 인쇄를 종료했을때, 또는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인쇄를 종단할때는 도시하지 않는 푸쉬버튼 또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전자밸브가 작동하며, 공압실린더(34)에의 공기유로가 절환되어서 실린더 로드는 들어가며(도면의 윗쪽으로 움직여), 이것에 의해 각 링크 및 편심슬리이브는 쇄선의 위치로 바뀐다. 즉, 편심슬리이브(31)는 시계방향, 편심슬리이브(3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랭키트동(2a)의 축심 D은 D'에, 판동(1b)의 축심은 G에서 G'로 이동하므로 그 결과 각 동체끼리의 축심간거리는 모두 증가해서 각 동체의 외주면은 서로 비접촉상태로 되며, 트립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블랭키트동 (2b)의 축심을 고정한채 트립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기설의 구동계 및 단색쇄장치를 변경함이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착육로울러(30a),(30a' )(30b),(30b')의 트립도 공압실린더(17a),(17b)에 의해 기구를 통해서 트립시키지만, 이들 링크기구 자체는 공지의 기구이며, 본원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판동(1a) 및 블랭키트동(2a)에 대한 잉크는 잉킹장치 하단에 있는 잉크펌프(도시생략)에서 잉크레일(18a)(18b) 내면에 토출되며, 로울러군(群)을 거쳐 균일하게 반죽되어 판면에 공급되지만, 연육(練肉)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잉크레일에 접촉하는 잉크실린더(19a),(19b)는 동체의 회전방향과는 관계없이 종래대로의 회전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상부의 잉크실린더(20a),(20b)(모두 판동에서 기어에 의해 구동된다)와 하부잉크실린더(19a),(19b)와의 사이에 중간기어를 2조(21a),(21b),(22a),(22b) 설치하여 하부잉크실린더만 종래와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또한 잉크실린더 사이에 잉크로울러를 2개(23a),(23b),(24a),(24b) 설치하여, 각 로울러가 접촉선에 있어서 동일방향으로 돌도록 한다.
한편 단색쇄장치에 있어서도 똑같은 목적에서 팬텐로울러(24), 잉크실린더 (25)는 종래대로의 회전방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종래 2조 설치하고 있던 중간기어를 1조(26)로 하고, 잉크실린더와 단색쇄동(11)과의 사이의 잉크로울러를 2개 (27),(28)로 한다. 단색쇄용쇄판(刷版)은 종래대로 철판(凸版)을 사용하여 압동에 잉크를 전사(轉寫)해에 종이에 인쇄한다. 따라서, 단색판동과 블랭키트동 사이에는 트립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원 고안은 각기 한쪽의 블랭키트동과 다른쪽의 판동을 트립시키도록 했으므로, 다른쪽의 블랭키트동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개조시에 있어서, 다른쪽의 블랭키트동에 구동장치를 이동함이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프레임만을 새로 제작하면, 기설의 철판윤전기의 나머지 부품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B-B형 오프세트 윤전기로 염가로 개조할 수 있다.
Claims (1)
- 철판윤전기의 세로구동축(7)에서 구동이 도입되고 있는 한쪽의 압동의 위치에 배설된 한쪽의 블랭키트동(2b)과, 상기 블랭키트동(2b) 및 다른 쪽의 판동(1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설된 다른 쪽의 블랭키트동(2a)과, 한쪽의 판동(1b) 및 다른쪽의 상기 블랭키트동(2a)을 트립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윤전기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10006015U KR860001432Y1 (ko) | 1980-12-27 | 1981-08-27 | 철판윤전기(凸板輪轉機)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KR2019850008585U KR850002906Y1 (ko) | 1981-03-23 | 1985-07-09 |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915580U JPS6024589Y2 (ja) | 1980-12-27 | 1980-12-27 | 凸板輪転機を改造したb−b型のオフセット輪転機 |
JP??80-189155 | 1980-12-27 | ||
KR2019810006015U KR860001432Y1 (ko) | 1980-12-27 | 1981-08-27 | 철판윤전기(凸板輪轉機)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50008585U Division KR850002906Y1 (ko) | 1981-03-23 | 1985-07-09 |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921U KR830000921U (ko) | 1983-09-22 |
KR860001432Y1 true KR860001432Y1 (ko) | 1986-07-12 |
Family
ID=7251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10006015U KR860001432Y1 (ko) | 1980-12-27 | 1981-08-27 | 철판윤전기(凸板輪轉機)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60001432Y1 (ko) |
-
1981
- 1981-08-27 KR KR2019810006015U patent/KR860001432Y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921U (ko) | 1983-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82182A (en) | Printing group for a color-printing web-fed rotary press | |
US3664261A (en) | Straight feed press | |
US3828672A (en) | Apparatus for fitting flexible printing plates and rigging to printing press cylinders | |
DE2014070A1 (de) | Antrieb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 |
EP0771267B1 (de) | Druckwerk mit kurzfarbwerk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für direktdruck mittels einer "wasserlosen" flachdruckplatte | |
US4620480A (en) | Conversion of letterpress to offset printing | |
JPH05138854A (ja) | 多色印刷機 | |
US3680481A (en) | Frictional gear backlash eliminating means in sheet fed rotary printer | |
US4321869A (en) | Device for driving or synchronizing cylinders in offset printing presses | |
KR860001432Y1 (ko) | 철판윤전기(凸板輪轉機)를 개조한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 |
US4122772A (en) | Hydrostatic bearer for printing press | |
US4444106A (en) | Arrangement for selectively connecting coaxial gear wheels of a gear train of a dual mode printing machine | |
EP0180807A3 (en) | Inking unit of a rotary printing machine, in particular an offset-printing machine | |
US2079001A (en) | Printing press | |
JPH0376833B2 (ko) | ||
US2132086A (en) | Printing apparatus | |
US3583316A (en) | Mounting of the impression cylinder of an intaglio press | |
EP0017720B1 (en) | Offset printing press unit and method for converting a letter press unit into same | |
GB191507755A (en) | Improvements in Rotary Machines for Intaglio Printing. | |
USRE33522E (en) | Conversion of letterpress to offset printing | |
US4798137A (en) | Conversion of letterpress to offset printing | |
GB928737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inting | |
DE10111363B4 (de) | Druckwerk | |
US1123455A (en) | Relief and intaglio printing machine. | |
KR850002906Y1 (ko) | B-b형의 오프세트 윤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