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62B1 -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262B1
KR860001262B1 KR8205355A KR820005355A KR860001262B1 KR 860001262 B1 KR860001262 B1 KR 860001262B1 KR 8205355 A KR8205355 A KR 8205355A KR 820005355 A KR820005355 A KR 820005355A KR 860001262 B1 KR860001262 B1 KR 86000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verter
converters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801A (ko
Inventor
타이니 토오마스
Original Assignee
칼-엑셀 루우넬, 벵트 겜스토오프
테레포오낙티이에보라겟트 엘 엠 엘리크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엑셀 루우넬, 벵트 겜스토오프, 테레포오낙티이에보라겟트 엘 엠 엘리크썬 filed Critical 칼-엑셀 루우넬, 벵트 겜스토오프
Publication of KR84000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0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satellites or concentrators which connect one or more exchange lines with a group of local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08Configuration, initialisation
    • H04Q3/54516Initialization, software or data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통신 교환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운용중의 교환기에 공급되는 정보 흐름도의 예.
본 발명은 선로변환기(LIM)를 포함되는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이다. 이 장치는 터미널(Terminal)과 외부정치들의 통신을 위한 통신경로로 구성되고, 터미널과 터미널 또는 터미널과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 컴퓨터(LPU)로 구성된다.
서로 다른 변환기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의 통신은 디지털 집단 선별장치(GV)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체로 선택된 변환기(LIM1)를 통하여 데이타 원(BS, TS)으로 부터 모든 변환기의 제어 컴퓨터에 단일 과정으로 기록을 하기위하여 기록된 데이타가 상태화 정보(INP1, INPP2등)에 의하여 선행되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위치(UPK)는 기록된 초기정보에 따라 번지된 변환기(LIM1-LIM32)를 변환기에 있는 불변 기억장치(MIN)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모든 변환기가 상태화되고 공통의 통신경로를 통하여 데이타 원에 연결될때까지 변환기에 지정된 수에 일치하도록 복호기(AVK)를 조정한다.
각각의 변환기는 각 복호기가 조정되도록 필요한 데이터만을 받아들인다. 데이타에 있는 종료신호는 공통의 통신경로에 연결된 모든 변환기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선로변환기를 포함하는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을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선로변환기는 터미널(전화가입자, 데이타 터미널 등등) 및 외부 장치(가입자 교환기, 프린터, 통신망 등등)가 연결되었고, 상기한 선로변환기는 터미널과 터미널 또는 터미널 외부 장치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제어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집단 선별장치(GV)로서 다른 선로 변환기에 연결된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형태의 전기통신 교환기는 1979년 파리에서 열렸던 국제 스위치 심포지움(International Swit-ching Symposium)에서 보고된 "분산제어의 새로운 방법과 펄스부호 변조스위치 방법을 결합한 사설 구내 자동교환방법"에 나타나 있다. 전통적인 전기통신에서 보다 이 방법은 상호통신, 텔렉스(TELEX), 비데오(video)통신, 데이터 통신등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기준 선로변환기에 상호 간섭현상 없이 변환작용을 확장시킬수 있다.
변환기의 수와 동일한 수의 교환기를 사용하면 테이프 레코터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기억장치 각각에 대한 프로그램(program)이 기록되어야 하는 방법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나 본 발명은 차례로 선로변환기에 각각 연결시키고 또한 선로변환기가 같은 건물내에 있지 않아도 상호간에 10km이내의 거리만 유지하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원(源)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중앙에서 단일과정을 통해 데이타 정보의 기록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선로장치(ELC)를 통하여 각각의 전화 가입자에 연결되고 선로장치(BTC)를 통하여 다른 교환기와 통신되는 선에 연결되는 선로변환기(LIM1, LIM32)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선로변환기는 제어 컴퓨터(LPU) 및 하나의 지시 기억장치(PS)와 하나의 데이타 기억장치(DS)로 구성된 기억소자(MEU)로 이루어졌다. 데이타는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BS) 또는 라이트 터미널(Write terminal)(ST)로 부터 I/O장치를 경유하여 제어 컴퓨터에 공급된다. 디지탈 선별기(LV)에 의하여 동일한 변환기에 연결된 전화 가입자와 전화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집단 선별장치(GV)를 통하여 다른 변환기(LIM)에 연결된 가입자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새로운 데이타를 프로그램하거나 데이타 기억할때 하나 또는 2이상의 제어 컴퓨터(LPU)에 도입되는 문제가 발생되면 새로운 정보를 포함한 테이프 레코더(BS)가 각 선로변환기에 연결되어야 하며 이 선로 변환기는 상호간에 1km 이내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 방법은 시간을 매우 많이 소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레코더(BS)는 단지 하나의 선로변환기에 연결하면 되고, 이것으로 부터 데이타는 데이타 원의 이동없이 각 선로변환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 선로변환기에 있는 기억소자는 불변 기억장치(MIN)로 구성되어 있고 이 장치에 초기정보는 변환기의 후기상태에 관계없이 입력되고 후기정보는 교환기에서 변환기의 위치에 따라 불변기억장치에 입력된다. 초기정보는 계통이 운용될때 각 선로변환기(LIM)가 일정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준다.
초기정보는 I/O장치를 경유하는 데이타 원(BS, TS)에 연결된 선로변환기(LIM1)로 하여금 상황을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I/O장치로 보내어 데이타의 처음부분이 이 선로변환기에 있는 제어컴퓨터(LPU)의 기억소자(MEU)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 데이타의 처음부분은 해당 선로변환기를(이경우에는 LIM1) 본체로 하여 데이타의 나머지 부분을 데이타원(BS)으로 부터 다른 선로변활기들에 계속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제1도의 비교기(KOM)와 스위치(OMK)를 포함하는 복호기(AVK)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모든 선로변환기에 있어서 동일한 초기정보는 복체를 경유하여 얻어진 상태화(conditioning)정보에 의하여 변환기들을 상태화시키는 역할도 하게된다. 각각의 선로변환기들이 상태화된 후에 변환기들은 데이타 원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드려 각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본체로 부터 얻어진 상태화 정보는 집단 선별장치(GV)에 있는 스위치(UPK)를 동작시켜 대응되는 변환기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모든 변환기에 정보가 입력될때까지 선별된 시간동안 통신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태와 정보의 처음부분이 입력됨으로서, 즉 변환기(LIM1)에 변환기(LIM2)의 상태가 입력됨으로서, 대응되는 변환기에 있는 불변 기억장치(MIN)는 제어 컴퓨터로 하여금 복호기에 있는 비교기(KOM)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LIM2"로 정의되는 신호만이 입력되고 스위치(OMK)의 1단자에 연결되어 불변 기억장치(MIN)에 공급됨으로써 변환기에 지정된 상태에 따른 정보로서 비교기(KOM)가 상태화될 수 있도록 하며, 이것은 제2도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복호기(AVK)는 계속하여 이 변환기에 지정된 데이타(INP2)만을 받아드리게 되고 다른 변환기에 지정된 정보는 무시한다. 다음번 변환기에 지정된 계속되는 상태화 신호(INP3)는 테이프 레코더로 부터 이미 상태화 된 변환기에 연결된 시간동안 변환기에 따른 경로를 통
모든 변환기가 상태화된 후에 스위치(OMK)는 2단자의 위치에 오게되고, 테이프 레코더는 동일한 시간 동안 경로를 통하여 모든 변환기에 연결된다.
상기한 경로를 통하여 데이타(INF1, INP2, 등등)가 공급되면 이 정보자료들은 기록되어 모든 변환기로 입력되고 각각의 변환기는 고유하게 지정된 데이타만을 받아드리게 된다. 이것은 스위치(OMK)의 2입력를 경유하여 지시 및 데이타가 기억장치(DS, PS)에 공급된다. 다른 변환기에 따른 복호기(AVK)에 의하여 결정된 모든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도록 스위치(OMK)는 3단자의 위치에 오게 된다.
모든 데이타가 공급되면 종료신호에 의하여 접점(KON)은 0단자의 위치에서 1단자의 위치로 오게되어 기억소자(MEU)의 입력은 지시 및 데이타기억장치(PS, DS)에 연결되고 복호기(AVK)의 작용은 중단되며 또한 공통 연결은 분리장치(NED)에 의하여 개방되고 따라서 교환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제2도에는 이입용(Introducing)데이타와 상태화 데이타가 대응되는 선로변환기의 제어 컴퓨터(LPU)에 공급되는 정보 흐름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태화 정보(INP2, INP3)등은 변환기가 얻어야 하는 상태(즉, LIM2)에 따라 집단 선별장치(GV)를 연결 또는 개방시키도록 스위치(UPK)동작시키는 번지를 포함하는 이 번지는 연결된 집단 선별장치(GV)를 경유하여 이 선로변환기에 보내진다. 그 이상의 부분은 어떠한 정보기가 이 변환기(LIM)에 의하여 받아드려질 것인가를 나타내고, 복호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제2도에는 이러한 정보 흐름도의 3부분을 A, B, C로 표시하고 있다.
INP32까지의 모든 상태화 정보가 기회로에 공급되면 정보기(INF1-INF72)로 분리된 데이타가 뒤따르게 되고 이것들은 모든 변환기에 병행으로 공급된 후에 각각 공급된다. 변환기는 물론 각각의 변환기에 지정된 신호들만 받아드린다. 최후의 정보(INF 72)후에 분리신호가 흐르게 되어 접점(KON)의 위치를 1로 이동시켜 모든 연결을 개방하게 된다.
정보 흐름도를 이용하여 변환기의 상태화를 설명하는 스위치와 비교기로서 구성도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 대신에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회로인 경우에도 타당하다.

Claims (2)

  1. 전기통신 교환기에서 기억을 위한 장치로서 선로변환기(LIM)를 포함하며, 각각의 선로변환기에는 전화가입자, 데이타 터미날 등의 터미날과 전화교환기, 프린터, 통신망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상기한 선로변환기에는 제어 컴퓨터(LPU)가 설치되어 있어 터미널과 터미널 또는 터미널과 외부 장치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다른 선로변환기에 연결된 터미널 사이에는 디지탈 집단 선별장치(GV)를 이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하나의 변환기(LIM1)를 본체로 선택하여 단일과정으로 데이타 원(BS,ST)로 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번지된 변환기(LIM1-LIM32)에연결하는 스위치(UPK)를 동작시키도록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타가 상태화된 정보(INP1,INP2, 등등)에 의하여 선행되도록하였고, 모든 변환기에 동일한 초기정보에 따라 불변 기억장치(MIN)로 기록되도록 복호기(AVK)를 조절하며, 이 조정은변환기에 지정된 수와 일치하도록 하였고, 모든 변환기가상태화 되어지며 공통통신경로를 통하여 데이타 원으로 부터 변환기에 데이타가 전송될때까지 각각의 변환기는 각각의 복호기가 조절되도록 필요한 데이타만 받아드리도록 하였으며, 다른 변환기에 필요한 데이타는 무시하도록 하였고 종료신호에 의하여 공통통신경로에 연결된 모든 변환기를 개방시키는 분리장치(NED)가 설치된 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따른 장치에서 초기정보는 제어 컴퓨터(LPU)에 따라 모든 변환기에서 정보를 갖는 데이타 원(BS, ST)에 대응되는 변환기가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경우에 본체로 선택되는 변환기에서 기억된 데이타의 처음부분을 지시 및 데이타 기억장치(PS, DS)에 공급하여 데이타 원의 나머지 부분을 나머지 변환기(LIM2-LIM32)에 공급하도록 하고, 나머지 변환기에 상기한 정보를 받아드리도록 조절하는 특성을 갖는 장치.
KR8205355A 1981-12-15 1982-11-29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 KR860001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107510A SE428859B (sv) 1981-12-15 1981-12-15 Anordning for laddning av minnen i en telekommunikationsvexel
SE07510-3 1981-12-15
SE8107510-3 1981-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801A KR840002801A (ko) 1984-07-16
KR860001262B1 true KR860001262B1 (ko) 1986-09-01

Family

ID=2034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355A KR860001262B1 (ko) 1981-12-15 1982-11-29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556971A (ko)
KR (1) KR860001262B1 (ko)
AU (1) AU548501B2 (ko)
BR (1) BR8208010A (ko)
CA (1) CA1205890A (ko)
ES (1) ES518152A0 (ko)
FI (1) FI832563A0 (ko)
GB (1) GB2122847B (ko)
IT (1) IT1155217B (ko)
MX (1) MX151764A (ko)
NO (1) NO832797L (ko)
SE (1) SE428859B (ko)
WO (1) WO1983002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2970B1 (en) * 1984-06-01 1989-01-25 BELL TELEPHONE MANUFACTURING COMPANY Naamloze Vennootschap Multiple memory loading system
JPS61269491A (ja) * 1985-05-23 1986-11-28 Nec Corp 電子回路パツケ−ジ機能設定方式
US4730304A (en) * 1985-10-02 1988-03-0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Data base creation in stored program controlled switch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988A (en) * 1977-10-21 1979-05-15 Wescom Switching, Inc. Method and means for accessing program memory of a common control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DE2853138C2 (de) * 1978-12-08 1980-12-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Übermittlung von Signalen in speicherprogrammierten Vermittlungsanlagen
US4466062A (en) * 1982-08-30 1984-08-14 Gte Automatic Electric Inc. Apparatus for CCIS data transfer between a CPU and a plurality of data terminal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05890A (en) 1986-06-10
AU1017783A (en) 1983-06-30
NO832797L (no) 1983-08-02
SE8107510L (sv) 1983-06-16
US4556971A (en) 1985-12-03
WO1983002209A1 (en) 1983-06-23
FI832563A (fi) 1983-07-13
IT8224710A1 (it) 1984-06-13
GB2122847B (en) 1985-06-26
ES8402135A1 (es) 1984-01-01
BR8208010A (pt) 1983-11-08
IT1155217B (it) 1987-01-21
GB2122847A (en) 1984-01-18
IT8224710A0 (it) 1982-12-13
ES518152A0 (es) 1984-01-01
AU548501B2 (en) 1985-12-12
GB8318829D0 (en) 1983-08-10
KR840002801A (ko) 1984-07-16
SE428859B (sv) 1983-07-25
FI832563A0 (fi) 1983-07-13
MX151764A (es) 198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941B2 (ja) 分散交換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同報通信システム
US4257119A (en) PCM switching system for wide and narrow band signals
EP0335848B1 (en) Packet data switch for transferring data packets from one or a plurality of incoming data links to one or a plurality of outgoing data links
BE903857R (nl) Telecommuncatie schakelsysteem en daarin toegepaste prioriteitsinrichting.
CA1237188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2761872B2 (ja) 多元情報交換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SE8303284D0 (sv) Sett och anordning for uppkoppling av en sluten ring genom en telefonvexel
US5128929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apable of broad band communications service
CA1242264A (en) Switching system having capability for telecommunication conferences
US4293946A (en) Trilateral duplex path conferencing system with broadcast capability
EP0289733B1 (en) Switching method for integrated voice/data communications
KR860001262B1 (ko) 전기통신 교환기의 기억장치
US5568478A (en) System for processing data structures in a node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4129750A (en) Digital time division multiplex telecommunication network
GB2168572A (en) Communication system
US5654965A (en) ATM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with common system information storage
EP1016313B1 (en) Cross-connect switch f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systems
JPS5927554B2 (ja) 信号阻止装置
AU609352B2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with attendant console
KR100266444B1 (ko) Toll교환기의 타임스위치 및 링크정합장치
JPS62299136A (ja) タイミング抽出方式
US6198740B1 (en) Technique for distributing highways in exchange
EP0305586B1 (de)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 Fernmeldeanlage, insbesondere Fernsprechnebenstellenanlage, mit Teilnehmer- und Leitungs-Übertragungsgruppen und Schnittstellenbaugruppen
JPH0918493A (ja) マルチキャスト送信方式
JPS59117897A (ja) 時分割交換機の情報分配走査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