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59Y1 - 발향제 용기 - Google Patents
발향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1259Y1 KR860001259Y1 KR2019840004897U KR840004897U KR860001259Y1 KR 860001259 Y1 KR860001259 Y1 KR 860001259Y1 KR 2019840004897 U KR2019840004897 U KR 2019840004897U KR 840004897 U KR840004897 U KR 840004897U KR 860001259 Y1 KR860001259 Y1 KR 8600012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ntainer body
- cylindrical
- wall
- wi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완성된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제2a도는 발향제 수납용기의 본체를 예시한 사시도.
제2b도는 발향제 수납용기 본체의 측면도.
제3도는 용기본체를 끼워 지지하는 외부테를 나타내며, 상부를 도면쪽으로 기울인 상태로 위에서 바라본 그림.
제4도는 심지가 심지대롱에 부착되어 있는 그림.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중간뚜껑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에 따른 상부덮개의 단면도.
제7a도는 상부덮개에 삽입되어 심지대롱의 막을 관통시키는데 쓰이는 연결핀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7b도는 연결핀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발향제 용기를 사용하기 전에 1단계로 상부덮개 및 연결핀 조립체를 중간뚜껑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상태에서 2단계로 눌러 연결용 심지와 용기심지가 결합하게 하여 사용하는 용기 상부구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11도는 용기본체 원통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중간연결부재 5 : 덮개조립체
10 : 원통부 17 : 심지대롱
20 : 연결핀 23 : 공동
60 : 상부덮개 62 : 심지조각
63 : 연결돌기 29, 30 : 융기부
21 : 격막 24 : 격실
본 고안은 발향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덮개 및 연결핀 조립체를 중간뚜껑에 삽입하여 사용시부터만 향기가 새어나오도록 구성한 발향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향제나 방취제 등을 유리 또는 합성수지제 용기에 넣어 향기가 세어나오게 하여 시설물내의 악취를 제거하고 기분을 전환시키며, 아울러 장식적 효과까지 거둘 수 있는 용기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부피가 크거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고, 용기에 충격이 가해지면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우며, 용기가 원래위치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을 받으면 내부액체가 흘러 나오거나 엎질러질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완전 밀폐되지 않은 덮개를 사용할 경우 제조시부터 용기로부터 향기가 배어나와 값싼 향료인 경우는 별 낭비가 아니나 순도높은 고급향료일 경우에는 사용하기 전부터 배어나오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역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장식적 효과를 아울러 획득할 수 있는 발향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전에 1단계로 조립되고 사용시에 손으로 덮개 조립체를 압압하여 향기가 배어나오게 하는 발향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피가 작고 사용중에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 발향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발향제 용기는, 상부덮개와 연결핀을 포함한 덮개 조립체와, 향수를 수용하는 수납용기 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 및 하부부분을 보유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외부테, 그리고 용기본체와 덮개 조립체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재, 상부가 얇은막으로 폐쇄되고 하부의 중간정도에 심지가 달린 심지 대롱으로 구성된다. 상부덮개의 오목한 면의 중앙에는 수직하방으로 연결돌기가 신장하여, 연결핀의 중앙에 형성된 긴 공동에 삽입되고, 연결핀은 상부가 둥근도움식으로 되어 있어 상부덮개의 오목한 면의 형상에 대응하고, 공동의 둘레와 원통벽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이상의 격막이 설치되어 있어 용기본체의 심지와 이어질 연결핀심지가 격막사이의 격실에 내장되고, 연결핀의 하부는 상부에 형성된 격막이 원통벽 내부로 수직연장하여 뾰족한 모서리를 이루고 그 격막 사이는 개방된 공동으로 되어 있어 심지가 외부에 노출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결합시킨 발향제용기(1)를 시설물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향제용기(1)은 외부테(2)와 수납용기 본체(3), 중간연결부재(4) 덮개조립체(5)로 대략 구성된다.
제2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본체(3)은 바람직하게 원반형태로 되어 있고, 상부에는 향수주입구에 해당하는 원통부(10)이 설치되고, 하부말단부에는 꼭지(8)이 형성되어 있어, 제3도에 도시된 외부테(2)의 상부링(12)에 용기본체(3)의 원통부(10)이 삽입되고, 하부링(11)에 꼭지(8)이 삽입된다. 삽입시에 외부테(2)의 양측부를 눌러 각각 휘어지게 한 다음 원통부(10)과 꼭지(8)을 삽입한다. 이는 외부테 (2)와 용기본체(3)이 각각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외부테(2)의 재질을 용기본체(3)의 재질보다 약간 더 경성으로하여, 외부테(2)와 용기본체를 조립하여 사용할때에 외부테(2)가 용기본체(2)를 보호지지하게 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에 수납된 향수를 덮개조립체(10)으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빨아올리는 심지(16)은, 상·하로 관통되고 상부에 플랜지 (19)가 달린 심지대롱(17)의 하부중간에서 그 내측벽에 접합되어 있다. 심지대롱(17)에 매달린 심지(16)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10)의 상부개구를 통해 밀어넣어 용기본체(3)내의 향수에 담그고, 대롱(17)의 상부플랜지(19)는 원통부(10)의 상부테두리에 걸려 지지된다. 이때 플랜지(19)의 외경은 원통부(1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크기가 정해지므로 심지대롱(17)이 용기본체(3) 안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심지대롱(17)은 바람직하게 연성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대롱(17)의 외벽과 원통부 (10)의 내벽이 밀접하게 되며, 플랜지(19)가 이루는 평면에는 얇은 연질의 플라스틱막 (18)이 덮여 있어서, 일단 심지(16)가 달린 심지대롱(17)이 원통부(10)에 삽입되면, 막(18)을 터뜨리기 전에는 향수가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의 원통부(10)을 안으로 압입하고 그 위에 덮개조립체(5)를 지지하는 플라스틱제의 중간연결부재(4)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4)는, 내경이 원통부(10)의 외경과 거의 유사하고 내측벽면에 원통부(10)의 원형융기부(15)와 계합할 홈(53)을 형성하고 그 최하단 테두리가 상부링(12)위에 걸치게 되어 있는 중공원통형의 대직경부(52)와, 그 대직경부(52)와 이어지게 신장하고, 그보다 직경이 작으며 후술할 연결핀(20)을 2단계에 걸쳐 수용할 원통형의 소직경부(51)과, 대직경부(52)와 소직경부(51)을 계단식으로 연결하여 원통부(10)의 상부테두리 위에 얹혀 지지되는 계단부(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양끝이 개방되어 있는 연결부재(4)의 대직경부(52)를 용기본체(3) 원통부(10)에 씌우고 홈(53)과 융기부(15)가 딸깍하고 계합할때까지 아래로 누른다. 그러면 연결부재(4)의 최하단부가 상부링(12)에 지지된채 용기본체(3) 원통부(10)과 계합 지지된다. 따라서 대직경부(52)의 높이는, 원통부 (10)의 상단 테두리가 계단부(54)에 걸리고 대직경부(52)의 최하단이 상부링(12)에 지지될 정도로 정해진다.
제6도 및 제7도에 본 고안의 발향성 용기의 덮개조립체(5)가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제6도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60)은 대략 우산꼴로 되어 있어 상부가 밋밋하게 곡선을 이루며, 그 하부 테두리에 보기 좋은 웨이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한 중앙부분에는 후술할 연결핀(20)의 공동(23)에 삽입된 돌기(63)이 정중앙으로 돌출 신장하여 있다. 그리고 상부덮개(60)의 지붕(61) 내면에는 돌기(63)을 중심으로 심지(16)과 같은 재질의 심지조각(62)가 접착되어 있다. 지붕(61)의 하부테두리는 연결부재(4)의 대직경부(52)의 외경과 대략 근사하게 크기가 정해진다.
제7도에서 상부덮개(60)의 돌기(63)과 결합하여 덮개조립체(5)를 형성하게 되는 연결핀(20)이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확대 도시되어 있다. 연결핀(20)의 상부부분의 곡면은 상부덮개(60) 지붕(61)의 내면과 대응하게 밋밋한 곡면의 형상을 지니며, 상부부분의 정상부에는 원통형의 기둥(22)가 수직하방으로 신장하며, 그 중앙에 돌기(63)을 수용하는 공동(23)이 형성되어 있다. 공동(23)의 내벽에는 돌기(63)의 외주면에 형성된 융기부(64)와 계합할 수 있는 환상홈(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어 돌기(63)을 공동(23)에 삽입할때 그 양자를 결합지지하며, 그리하여 상부덮개(60)과 연결핀(20)이 결합하게 된다, 기둥(22)의 주위에는 등 간격으로 격막들(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벽(25)와 연결되어 있어 기둥(22)와 격막(21) 및 원통벽(25) 사이에 4개의 격실(24)를 형성한다. 격막(21)은 수직하방으로 신장하여, 원통벽(25)가 끝나는 원통벽(25)의 하부주연부에서 격막(26)에 이어진다. 격막들(26)은 방사상 내측으로 하향신장하여 말단에서 꼭지점을 이루며 각 격막들(26)은 거꾸로 된 사면체의 모서리가 된다. 격막들 (26) 사이에는 3각형으로 개방된 공동(27)을 형성한다. 격실(24) 및 공동(27)은 연결용 심지(28)로 채워진다. 그리고 원통벽(25)의 외주면에 상 · 하 두 줄의 환상융기부 (29, 30)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재(4) 소직경부(51)의 내면벽에 대응형성된 융기부 (54, 55)(제8도에 단면표시됨)와 스냅 결합하게 되어 있다. 이 융기부의 크기는 부재들을 삽입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소기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한 작게 정해준다. 여기서 기둥(22)의 수직길이는 돌기(63)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하고 그 안에 형성된 공동(23)의 깊이는 돌기(63)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아래가 막히게 되어 있고 바닥이 원통벽의 하부끝과 동일한 수준에 있다. 이상 연결핀의 구조는 제8, 9도에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어 그 구조를 명확히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발향제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우선 상부덮개(60)과 연결핀 (20)의 덮개조립체(5)를 연결부재(4)의 소직경부(51)에 삽입시키면 우선연결핀(20)의 하부융기부(30)이 제8도에 도시된 대로 소직경부(51)의 내벽에 형성된 대응융기부 (54)에 걸리게 되어 연결핀(20)의 최하단이 막(18)의 바로 위에 1-2㎜ 정도 이격하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를 1단계 결합이라고 한다. 이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이 되며, 사용시에 손가락으로 상부덮개(60)의 지붕(61)을 누르면 융기부(29)가 소직경부 (51) 내벽의 상부 융기부(54)에 끼이고 융기부(30)이 밀려내려와 하부융기부 (55)에 끼이며 이때 격막(26)이 막(18)을 뚫고 들어가 심지(16)안으로 묻힌다. 이 상태가 2단계 결합으로서 공동(27)안에 수납된 연결용 심지(27)이 심지(16)과 접하게 되며 향수가 심지(16)에서 연결용 심지(27)로 스며올라가게 되고, 다시 지붕(61) 내벽에 접착되어 있는 심지조각(62)에 스며들어간다. 이 향료는 제9도에 도시된 대로 심지조각(62)로부터 지붕(61)의 테두리와 소직경부(51) 외벽사이의 공간을 지나 화살표 방향으로 대기중에 기화된다. 사용시에 지붕(61)의 테두리가 계단부(54)의 끝과 일치하고 웨이브가 형성되어 있어 미관상 좋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제10도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의 지붕(61) 내면에 환상의 돌기(65)가 돌출하여 지붕(61)의 테두리가 돌기(65) 사이에 환상의 요홈(66)이 형성되게 하고, 연결부재(4)의 계단부(54)의 테두리에 환상의 돌출부(56)을 형성한 다음, 본 발명의 발향제 용기의 사용을 중단하고 싶을 경우에 덮개 (60)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연결핀(20)의 상부융기부(29)가 연결부재(4) 소직경부 (51)의 하부융기부(55)와 계합하는, 소위 3단계 계합과 동시에 돌기(56)이 요홈(66)에 끼워져서 향수가 용기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완전히 밀폐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사용여부에 따라 일단 막(18)이 파열되고 나서도 3단계 계합에 의하여 비사용시에 향수의 기화를 막을 수 있다. 연결핀(20)이 3단계로 삽입가능한 것은 연결부재가 신축성있는 플라스틱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와 용기본체(3)의 원통부(10)을 결합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원통부(10)의 외주벽에 나선상의 돌기(15a)(15b)를 반원주에 걸쳐 신장하게 형성하여 주고, 이 나선상의 돌기(15a)(15b)와 대응하게 연결부재(4) 대직경부(52)의 내측벽에 홈(도시안됨)을 하여줌으로써, 연결부재를 원통부에 끼우고 180° 회전시키면 돌기(15a)(15b)와 대직경부의 홈이 나사결합하게 되어 연결부재(4)와 원통부(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용기가 소형화될 경우이런 나사결합이 결합시에 원통부의 형상유지에 더 안정하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용기본체 (3)의 형상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변형할 수 있으며, 기타 청구범위에 의하여서만 본원이 한정됨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원에 사용된 부재들은 주로 플라스틱을 재료로 주형에 의해 형성되며, 크기는 필요에 따라 대형과 소형으로 각각 만들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3)의 양면에 무늬나 도안 및 글씨를 새겨넣어 선전이나 광고용으로 병용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대로 시설물에 부착할 경우에, 외부테(2)의 상부에 고리모양의 돌출부(6)을 형성하여, 거기에 수실이나 기타 장식적인 줄(14)를 걸어준다. 또한 꼭지(8)에도 역시 수실이 달린 장식구(9)를 달아주어 모양을 한층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벽에 부착할 경우에는, 흡착식의 고무부착구(7)홈에 줄(14)를 매달아 고무부착구 (7)을 벽에 눌러주면 된다.
Claims (10)
- 외부테(2)와, 외부테안에 상 ·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된 용기본체(3)와 용기본체(3) 위에 얹혀 조립된 덮개조립체(5)로 구성된 발향제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조립체(5)는 상부덮개(60)과 연결핀(20)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조립체(5)와 용기본체(3)은 중간연결부재(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4)가 대직경부(52)와 소직경부 (5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20)이 소직경부(51)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 (3)의 원통부(10)이 대직경부(52)에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부덮개(60)은 우산꼴로 밋밋하게 둥근 경사를 이룬 지붕(61 )과 지붕(61)의 정중앙 수직하방으로 신장하며 하부에 융기부(64)가 형성된 연결돌기 (63)을 포함하고, 연결돌기(63)을 중심으로 지붕(61)의 내면에 한층의 심지조각(62)가 접착되어 있는 발향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20)은 상·하로 두 줄의 융기부(29)(30)이 형성된 원통벽(25)와, 그 원통벽(25)의 중앙에 원통벽과 간격을 두고 바닥이 원통벽이 최하단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고 하단이 원통벽의 최상단 테두리보다 높게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연결돌기(63)이 상입될 공동(23)을 형성한 원기둥(22)와, 상기 원통벽(25)와 원기둥(22) 사이의 공간을 나누어 격실들(24)가 형성되게 원통벽(25)의 내측과 원기둥(22)의 외측을 연결하며 원통벽의 최상단 테두리와 원기둥(22)의 상단에서 덮개(60)의 지붕(61)형상과 대응하게 둥근선을 이루고 등간격 배치된 격막들(21)과, 원통벽(25)의 최하단테두리에서 격막(21)에 이어져 방사상 내측하방으로 신장하고 각기 역사면체의 모서리를 이루어 그 사이에 3형각으로 개방된 공간(27)을 형성하는 격막들(26)을 포함하고, 상기 격실들(21)과 공간(27)에 연결용심지 (28)이 수용되는 발향제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덮개(60)의 연결돌기(63)가 공동(23)안의 원기둥(22) 내벽에 형성된 홈과 결합하는 발향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재(4)는 연결핀(20)의 융기부(29, 30)과 각각 스냅 결합하도록 내측벽에 융기부(54, 55)를 형성한 소직경부(51)과, 용기본체( 3)의 원통부(10)의 하부외주부에 형성된 융기부(15)와 결합할 환상홈(53)을 내측벽에 형성한 대직경부(52)와,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연결하고 용기본체(3) 원통부 (10) 위에 얹혀지는 계단부(54)를 포함하며, 용기본체(3)와 연결핀(20)을 결합시키는 중간연결부재(14)를 더 포함하는 발향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테두리에 원형플랜지(19)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플랜지가 이루는 평면에 연질 플라스틱제의 막(18)이 접합되어 있어 상부가 폐쇄되어 있으며, 하부중간에 심지(16)을 접착시켜 형성된 원통형의 심지대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19)의 외경이 용기본체(3)의 원통부(10) 외경과 거의 유사하여 심지대롱(17)을 원통부(10)에 삽입할때 플랜지(19)가 원통부(10)의 상부 테두리에 걸려 있게 되는 발향제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연결핀(20)의 하부융기부(30)가 연결부재(4)의 융기부(54)와 계합하는 제1단계 조립에서 연결핀(20)의 하부말단이 막(18)의 바로 위에 이격하여 있고, 상부융기부(29)가 융기부(54)와 그리고 하부융기부(30)이 융기부(55)와 계합하는 제2단계 조립에서 연결핀(20)의 하부말단이 막(18)을 뚫고 들어가 연결핀 (20)의 공동(27)에 수용된 연결용 심지(28)과 심지(16)이 접하게 되어 향수가 심지 16) 및 심지(28)과 심지조각(62)를 거쳐 대기로 기화하여 사용되는 발향제 용기.
- 제2항 혹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0)의 지붕(61)의 테두리 근처의 내벽에서 환상의 돌기(65)가 수직하방으로 신장하여 돌기(65)와 지붕(61)에 내벽 사이에 환상의 요홈(66)을 형성하고, 연결부재(4)의 계단부(54) 테두리에 환상의 돌출부(56)이 요홈(66)에 대응하게 신장하고, 상기 제2단계 결합에 이어 덮개 조립체 (5)를 소직경부(51)내로 밀어넣어 상부융기부(29)가 소직경부의 하부융기부 (55)와 계합하는 제3단계 결합을 하면 상기 돌출부(56)이 상기 요홈(66)에 삽입밀착되어 향수가 용기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용기를 밀폐하는 발향제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용기본체(3)의 원통부(10)은 그 외주벽에 나선상의 반원주돌기(15a,15b)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4)의 대직경부(52)의 내벽에는 이 돌기 (15a,15b)와 대응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본체(3)의 원통부(10)와 연결부재(4)의 대직경부(52)가 회전 결합하는 발향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테(2)는, 용기본체의 원통부(10)이 삽입되고 그 원통부(10) 위에 씌워진 연결부재(4)의 대직경부(52) 바닥이 지지되는 환상의 상부링(12)와, 용기본체의 꼭지(8)이 삽입 지탱되는 환상의 하부링(11)을 포함하는 발향제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40004897U KR860001259Y1 (ko) | 1984-05-26 | 1984-05-26 | 발향제 용기 |
JP1985077590U JPS612236U (ja) | 1984-05-26 | 1985-05-24 | 発香剤の容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40004897U KR860001259Y1 (ko) | 1984-05-26 | 1984-05-26 | 발향제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9302U KR850009302U (ko) | 1985-12-02 |
KR860001259Y1 true KR860001259Y1 (ko) | 1986-06-27 |
Family
ID=3076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40004897U KR860001259Y1 (ko) | 1984-05-26 | 1984-05-26 | 발향제 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12236U (ko) |
KR (1) | KR860001259Y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81166A (en) * | 1967-12-12 | 1969-12-02 | Mosler Safe Co | Lock timer |
JPS4813392U (ko) * | 1971-06-26 | 1973-02-14 | ||
JPS56127748U (ko) * | 1980-02-28 | 1981-09-29 | ||
JPS6124262Y2 (ko) * | 1981-01-21 | 1986-07-21 |
-
1984
- 1984-05-26 KR KR2019840004897U patent/KR8600012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
- 1985-05-24 JP JP1985077590U patent/JPS612236U/ja active Gra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12236U (ja) | 1986-01-08 |
KR850009302U (ko) | 1985-12-02 |
JPH0310777Y2 (ko) | 1991-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45696A (en) | Cosmetic container | |
US5040317A (en) | Personalized drinking mug | |
US4771902A (en) | Sealer-type container and display means | |
US20020121104A1 (en) | Beverage container holder | |
US5499174A (en) | Decorative lamp assembly | |
JP2004522660A (ja) | ボトルプラグ | |
JP2625143B2 (ja) | ガス抜き蓋体 | |
US4221078A (en) | Sealed globular display device | |
US3418055A (en) | Pressure operated applicator and cap construction | |
US5517394A (en) | Decorative lamp assembly | |
KR860001259Y1 (ko) | 발향제 용기 | |
JPH087862Y2 (ja) | 芳香具 | |
US6923339B2 (en) | Sealing plug for a water globe | |
US6540099B2 (en) | Sealing plug for a water globe | |
JPH1086955A (ja) | キャップ構造 | |
US6386941B1 (en) | Soft-shelled crystal ball | |
JPS5942354Y2 (ja) | 壜口の密封装置 | |
KR200308233Y1 (ko) | 아로마 방향제 용기 | |
JPS61104956A (ja) | 容器アセンブリ | |
JPH08119305A (ja) | 液体収納容器における液漏れ防止構造 | |
JPS5823287Y2 (ja) | 液体用芳香剤容器 | |
KR0133602Y1 (ko) | 장식용 트로피 병 | |
JPS6224174Y2 (ko) | ||
JPH0426366Y2 (ko) | ||
JPH05285205A (ja) | 液体芳香剤用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1062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