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11B1 - 단일 연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연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211B1
KR860001211B1 KR1019840002972A KR840002972A KR860001211B1 KR 860001211 B1 KR860001211 B1 KR 860001211B1 KR 1019840002972 A KR1019840002972 A KR 1019840002972A KR 840002972 A KR840002972 A KR 840002972A KR 860001211 B1 KR860001211 B1 KR 86000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ay
diatomaceous earth
insulation
adiab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150A (ko
Inventor
손만수
Original Assignee
손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만수 filed Critical 손만수
Priority to KR101984000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211B1/ko
Publication of KR85000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8Diatomaceous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일 연화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곡물의 껍질, 벼왕겨를 소성하여 얻어진 재를 가공처리하여 제조한 특수 규산인 인규석(tridymite)을 주원료로 하고, 점토, 규조토(고온에서 소성한 단열도와 내화도가 무수한)와 결합제를 첨가하여 소성제조한 고열처리로 이면 및 도자기 가마내장용 단열연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외국수입품은 단열을 목적으로 처리되지 않았고 단열도가 높고 중량이 커서 내화 연와로서는 우수하였으나,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단열 연와로서는 많은 단점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방법의 단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단열연와는 국제적 규격의 최우수한 연와이며 그 내화 및 단열효과가 획기적임은 물론, 제품가격면에서도 수입품에 비해 저렴하고 생산원가가 대폭적으로 절감되었으며, 국산품 대체로 막대한 외화절약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지닌 본 발명은 곡물의 껍질, 벼왕겨를 1차, 2차 소성과정을 거쳐 완전소성하여 가공처리한 인규석 56-65중량%, 점토 5-10중량, 단열도 및 내화도가 우수한(고온 1,200℃에서 소성) 규조토 10-20중량%를 함유하는 단열원료를 유산반토와 당밀을 혼합한 상온결합제와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110kg의 압력으로 가압성형하고 20시간동안 300℃까지 승온건조한 후, 마지막으로 1,300℃에서 소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와 같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단열연화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소성장치에서 곡물의 껍질, 벼왕겨를 10kg 소성하면 2kg의 재를 얻을 수 있는데, 그 성분은 다음과 같다.
섬유질 54.4% 목질소리크린 13.7%
탄소화합물 13.4% 유기물 9.1%
수분 9.4%
상기 성분의 재를 2차 소성장치인 회전로에서 완전연소를 촉진하는 물질과 혼합하여 1,250℃에서 고온 소성하면 탄소와 수분이 완전제거된 결정질의 인규석이 생성된다.
상기 인규석은 88-96% 규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성분은 크리스트바라이트이다.
또한, 인규석은 60% 이상의 미세한 기공율로 조직되어 있으므로, 온도 800℃ 이상에서도 일반규산의 결점인 알파베타(Alpha Beta) 작용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고온에서도 용적 변화가 없고 단열성 및 단열성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규산의 변태에 의한 급격한 용적변화도 생기지 않는다.
그 원인은 곡물의 전신인 벼가 그 성장기에 있어 토양에 있는 규산을 섭취함에 있어 규산의 변태에 의한 급격한 용적변화도 생기지 않는다.
그 원인은 곡물의 전신인 벼가 그 성장기에 있어 토양에 있는 규산을 섭취함에 있어 천연의 화학작용에서 염화규산으로 액화작용을 하여 생성한 규산으로써, 그 분자구성과 배열이 일반 규산과는 다른 천태적(天胎的)으로 이미 인규석과 크리스토바라이트로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가열해도 전이가 없고 체적변화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상기 인규석을 하기 온도에서 소성하여 본 기공율은 다음과 같다.
1,150℃ : 41-45% 1,200℃ : 45-56% 1,250℃ : 56-65%
고온에서 소성할수록 기공이 많았다. 이것을 각각 소성제조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300℃에서의 고온소성
Figure kpo00001
이와 같이 기공율이 많을수록 열전도율이 우수해졌으며, 연화가 가벼워져서 사용하기가 편리하였다.
한편, 일반내화연화와 본 발명 단열연화는 그 성질상, 상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바, 내화연화는 고온 직열에 내구성은 있으나 단열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단열연화는 고온안전 사용온도 1,350℃까지의 직열에도 사용되며, 단열도 우수하였다.
이에 따른 일반내화연와와 본 발명의 단열연와의 조업시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을 완성하기 전에 실시한 단열연와 제조에 대한 실시예 및 종래 내화연와(일본제품)와의 특성대비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바, 이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예증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극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인규석 70중량% 점토 10중량% 규조토 20중량%
상기 성분을 정밀하게 혼합하고, 유산반토와 당밀을 첨가하여, 성형하기에 필요한 소정량의 물을 첨가 혼합하고 100kg의 압력으로 가압성형하여 20시간, 300℃까지 승온, 건조시킨 후, 소성로에서 1,300℃로 소성 제조한다.
여기에 첨가된 규조토는 내화경량 점토로써 첨가하며, 반드시 1,200℃에서 소성해야 한다(이것을 보통 "샤못트"라고도 한다.) 점토(SK 34번)는 결합점토로 첨가되는데 수축이 있으므로 많이 첨가하면 균열이 생기고 압력강하시 기공이 막힌다.
일본 최상품과 본 발명 제품 시험결과 대비표
Figure kpo00003
(1) 일본 isolite제 LBK28 시험표에 의함.
(2) 국제 요업제품 국립공업시험연구원 시험에 의함.
상기 대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연와가 대단히 우수함을 증명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원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단열연와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내화단열성
다공질로써 용적의 65%가 기공이며, 무수한 작은 기공에 의해 우수한 단열보온력이 보유되고 노외로의 열유출이 최대한 방지되고 조업단축과 연료절감에 큰 역활을 한다.
(2) 용량
일반 내화연와에 비해 중량이
Figure kpo00004
밖에 안되는 경량의 단열연와로써 축적이 용이하고 노벽을 얕게할 수 있고, 노의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강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생산성 향상
측열용량이 작으며, 소량의 연료로 단시간내에 소정온도까지 승온 할 수 있고, 화입부터 조업까지 시간이 단축되어 노의 회전이 빨라 생산량을 증가할 수 있고, 고온에 있어 열적 안전성이 극히 높고, Fe2O3의 함유량이 0.3%이므로 환원성 분위기에 대해 저항성이 크다.
(4) 작업환경의 개선
열전도율이 극히 적으므로 노벽에서 열방산이 적어 노주위에서 행동하는 작업이 편리하다.
(5) 용 도
각종 요로의 내벽과 이벽에 널리 사용된다. 예컨대, 각종 소둔로, 침탄로, 아연도금로, 열처리로, 열풍로, 도자기소성로 등.

Claims (1)

  1. 곡물의 껍질, 벼왕겨를 1차, 2차소성과정을 거쳐 완전소성하여 가공 처리한 인규석 56-65중량%, 점토 5-10중량%, 단열 및 내화도가 우수한(고온 1,200℃에서 소성)규조토 10-20중량%를 함유하는 단열원료를 유산반토와 당밀을 혼합한 상온결합제와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110kg 압력으로 가압성형하고 약 20시간 동안 300℃까지 승온 건조하여 마지막으로 1,300℃에서 소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곡물의 왕겨재로 부터 고열처리로 이면 및 도자기가마, 내장용 단열연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40002972A 1984-05-30 1984-05-30 단일 연화 제조방법 KR86000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972A KR860001211B1 (ko) 1984-05-30 1984-05-30 단일 연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972A KR860001211B1 (ko) 1984-05-30 1984-05-30 단일 연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50A KR850008150A (ko) 1985-12-13
KR860001211B1 true KR860001211B1 (ko) 1986-08-27

Family

ID=1923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972A KR860001211B1 (ko) 1984-05-30 1984-05-30 단일 연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4A (ko) * 2002-04-23 2002-05-15 홍창송 왕겨 또는 볏짚을 이용한 보온 단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50A (ko) 1985-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211B1 (ko) 단일 연화 제조방법
KR101642277B1 (ko) 중화도용 백자소지 및 제조 방법
US270274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products
CN111635238A (zh) 一种低气孔高抗热震粘土砖及其制备方法
KR20110076107A (ko) 점토 벽돌 제조 방법
US3196193A (en) Firing of lime and dolomite shapes
US4801414A (en) Production of silicon nitride sintered body
JPH0372030B2 (ko)
GB2131411A (en) Silicon carbide refractories
CN86105686A (zh) 一种高强轻质硅砖及其制造方法
JPH1087365A (ja) 耐熱衝撃性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SU945139A1 (ru) Шихт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US3698922A (en) Dolomitic refractory
CN109053198A (zh) 一种石油焦罐式煅烧炉用罐壁砖及其制备方法和应用
SU628136A1 (ru) Шихт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высокоглиноземистых огнеупоров
US2895840A (en) Kiln refractory
US3736161A (en) Production methods for dolomite magnesite refractory material
SU1742262A1 (ru) Огнеупорный мертель
RU2284307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ерамического строительного кирпича (варианты)
RU2379264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ерамовермикулитовых изделий
US2043640A (en) Manufacture of refractory articles
SU1286575A1 (ru) Огнеупорна масса
US1723174A (en) Use of dumortierite
SU1733428A1 (ru) Сырьева смес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строительного кирпича
SU1604794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6001646; OPPOSITION DATE: 19861024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