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20Y1 -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切上裝置) - Google Patents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切上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20Y1
KR860000920Y1 KR2019820002866U KR820002866U KR860000920Y1 KR 860000920 Y1 KR860000920 Y1 KR 860000920Y1 KR 2019820002866 U KR2019820002866 U KR 2019820002866U KR 820002866 U KR820002866 U KR 820002866U KR 860000920 Y1 KR860000920 Y1 KR 860000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head
shaft
screw
main body
intermedi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771U (ko
Inventor
다쓰히로 반
Original Assignee
아사다 가부시기가이샤
아사다 가즈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다 가부시기가이샤, 아사다 가즈요시 filed Critical 아사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7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8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 means for adjustment
    • B23G5/10Die-heads
    • B23G5/12Die-heads self-rele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切上裝置)
첨부 도면은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도는 다이헤드의 일부 절결 배면도.
제2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다이헤드본체 4 : 캠판
5 : 소용돌이형 캠 7 : 체이서
11 : 고정축 12 : 연결링크
13 : 지지축 14 : 요동링크
17 : 중간축 18 : 이동간
19 : 소링크 20 : 계합홈
21 : 접동공 23 : 나사절상촉지레버
27 : 계합축 28 : 절도보울
본 원 고안은 피가공 관재(管材)의 소정 스트로우크의 나사절상(切上)과 동시에 체이서(chaser)를 퇴피해서 관재를 개방하도록 한 다이헤드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구성은 다이헤드본체에 설치한 고정축과, 캠판에 고정시킨 지지축을 다이헤드의 외주에서 원방향으로 배열해서 설치하고, 일단을 고정축에 연결시킨 연결링크와 일단을 지지축에 연결한 요동링크의 각 타단을 중간축에 연결하고, 그 중간축에는 다이헤드본체의 접동공에 삽통한 종동간의 외단을 연결하는 동시에, 다이헤드본체의 후면에 축지해서 촉지단(觸知端)을 다이헤드의 중심공에 돌출한 나사절상촉지레버를 나사절단중에는 상기 이동간에 계합하여 그 계합상태에서 중간축을 고정축과 지지축의 축심을 잇는 직선외측에 위치시켜서 배치하며, 또한 상기 촉지레버의 나사절상촉지요동에 의해 계합이 해제되어서 중간축과 함께 바깥쪽으로 이동 진출하는 상기 이동간에 계합하여 진출위치를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요동공내에 설치해서 이루어지며, 이동간과 나사절상촉지레버를 계합해서 중간축을 이동 불능하게 유지하고, 소정 스트로우크의 나사절단 달성과 동시에 피가공관재의 단면의 충접(衝接)에 의해서 촉지레버를 경동하여 상기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관재의 나사절단회전에 수반하는 체이서의 후방부세(後方附勢)를 해방해서 후퇴시키며, 이 체이서의 후퇴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진출한 이동간의 그 진출위치를 지지부재로 유지해서 체이서의 상기 후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종류의 다이헤드는 일본국 실개소 53-116095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안은 다이헤드본체에 설치한 고정축과, 중간축과 캠판에 설치한 지지축을 링크에 의해서 각기 연결하여 직선상에 배열하고, 관재의 회전에 수반하는 지지핀의 개방 방향부세에 대해서 상기 링크로 지지하여 체이서를 후퇴불능하게 지지하고, 관재가 전진해서 소정 스트로우크의 나사절단이 달성되는 동시에 관재의 단면에서 플런저의 진출을 계지하는 레버를 경동하고, 이 플런저 후부에 부세한 스프링에 의해서 플런저를 전진시켜, 그 외단(外端)에서 중간핀을 바깥쪽으로 밀어 내서 캠판을 회동시키며, 그 안내작용에 의해서 체이서를 후퇴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서는 나사절단시에 고정축, 중간축 및 지지축이 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배열을 엄밀히 하는 것은 어려우며, 그 부정배열(不整配列)에 의해서 중간축이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을 경우에는 나사절단에 수반하는 요동축의 개방 방향부세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나사절단 도중에서 체이서의 후퇴가 발생하는 일이 있으며, 또 중간축이 안쪽으로 벗겨져 있을 경우에는 플런저에 의해 중간축을 바깥쪽으로 압착해도 조정핀은 폐성방향에 부세되므로, 관재 외주와 체이서의 교합(皎合)에 의해서 중간축의 바깥쪽 이동이 불능으로 되고 모두 작동미쓰가 생기게 된다. 또, 중간축을 파이프의 회전에 의한 부세에 항거해서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탄발력이 큰 스프링이 필요해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원 고안은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그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은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이며, 반경 방향의 수개의 체이서삽입공(3)을 설치한 다이헤드본체(2)와, 이 본체의 앞면을 덮는 캠판(4)으로 이루어지며, 캠판(4)은 다이헤드본체(2)의 앞면에 중심공(1a) 둘레에서 고정시킨 링(6)의 외주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면에 각 체이서삽입공(3)을 가로지르는 소용돌이형 캠(5)을 형성한다. 체이서(7)는 상기 삽입공(3)에 감삽하고, 그 요부(凹部)에 소용돌이형 캠(5)을 감재하여 캠판(4)의 제1도 의제도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이 캠(5)을 스치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캠핀(4)에는 부채형 돌출판(8)을 윗쪽으로 설치하고, 이 돌출판에 중심을 다이헤드(1)의 중심과 일치하는 원호형(圓弧形) 안내장공(9)을 천설한다. 다이헤드본체(2)의 바깥쪽으로부터는 상기 돌출판(8) 근방에서 지지돌편(10)을 돌출시킨다.
상기 지지돌편(10)에는 고정축(11)을 삽통하고, 이 고정축(11)에 연결링크(12)의 일단을 추지한다. 또 상기 돌출판(8)의 원호형 안내장공(9)에는 지지축(13)을 고정하며, 이 축(13)에 개폐조작레버(15)를 설치한 요동링크(14)의 일단을 추지한다. 상기 지지축(13)은 체착(締着)레버(16)의 체착조작에 의해서 안내장공(9)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 레버(16)의 체착해제에 의해서 장공(9) 내를 접동 가능케되며, 이러한 위치조정에 의해서 체이서(7)의 돌출도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연락링크(12)와 요동링크(14)의 타단에는 중간축(17)을 삽통하여 각각을 연결한다.
(18)은 전단에 소링크(19)를 추지하며, 또한 후면에 내연에 경사면(20a)을 갖는 계합홈(20)을 설치한 이동간이며, 다이헤드본체(7)에 설치하여 그 외단을 지지돌편(10)과 지지축(13) 사이에 개구한 접동공(21)에 삽통하고, 상기 소링크(19)의 타단을 중간축(17)에 추치함으로써 중간축(17)의 반경방향이동에 수반해서 상기 이동간(18)을 접동공(21) 내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다이헤드본체(2)의 후면에는 상기 접동공(21)을 가로질러, 그 교차부에서 접동공과(21) 연통하는 감장홈(22)을 반경향에 설치하고, 이 홈(22) 내에서 나사절상촉지레버(23)를 그 후단에 통하게 한 축(25)에 의해 경동 가능하게 추지하고, 그 촉지단(24)을 다이헤드(1)의 중심공(1a)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감장홈(22)에 매장한 밀어 올리기 스프링(29)으로 감지레버(23)의 후단을 탄발(彈發)함으로써 축(25)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부세한다. 이 때문에 상기 촉지레버(23)에 전후방향으로 나합(螺)한 나사축(26)의 선단을 홈(22)의 저면에 당접해서 이 촉지레버(23)는 대충 수직으로 지지된다(제2도 참조). 또 촉지레버(23)에는 상기 접동홈(21)으로 선단을 돌출하는 계합축(27)을 나착하고, 이 선단을 이동간(18)의 계합홈(20)에 감합해서 상기 이동간(18)을 진출 불능케 한다. 상기 나사축(26) 및 계합축(27)의 돌출도 조정에 의해 상기 촉지레버(23)를 적정히 기울여, 그 촉지단(2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나사절단 길이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이동간(18)이 촉지레버(23)에 의해서 계지되어 유지되는 중간축(17)의 위치는 고정축(11)과 지지축(13)을 잇는 직선 ℓ보다도 조금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28)은 다이헤드본체(2)의 앞면에 전, 후방향으로 감착해서 접동공(21) 내에 임하게 한 계지부재의 일례인 스프링에 의해서 탄출하는 절도보올이며, 상기 이동간(18)이 후기하는 것처럼 촉지레버(23)의 계합에서 해제되어서 바깥쪽으로 진출하면, 그 계합홈(20)에 감합해서 그 진출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계지부재의 다른 예로서는 이동간(18)의 후단(18a)과, 접동공(21)의 깊숙한 면과의 사이에 스프링을 부착하고, 그 탄발력에 의해서 이동간(18)의 바깥쪽으로의 진출위치의 유지를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동간(18)의 진출작동을 스프링탄력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작용을 상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피가공관재 a가 회전하면서 전진하며, 그 소정 스트로우크의 나사절단을 달성하는 동시에 관재 a의 전단이 촉지단(24)에 당접해서 촉지레버(23)에 경동시키면, 계합축(27)이 계합홈(20)에서 퇴피하여 중간축(17)의 이동구속이 해제된다. 이 때, 계합홈(20)의 경사면(20a)에 의해서 상기 구속 해제는 완만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체이서(7)는 관재 a의 외주에 파고 들어, 그 관재 a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힘이 항상 가해진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중간축(17)의 구속 해제에 의해서 캠판(4)의 회동이 가능해지면, 체이서(7)는 상기 부세에 의해서 후퇴하며, 캠판을 제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이때 상기 체이서(7)의 후퇴속도는 경사면(20a)에 의해서 완화된다). 이 때문에 지지축(13)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해서 중간축(17)은 후방 이동한다. 이때, 만약 중간축(17)이 고정축(11)과 지지축(13)을 잇는 직선 ℓ상에 있으며, 지지축(13)에 원주방향의 부세가 걸려도 로크상태로 되지만, 중간축(17)은 직선 ℓ보다도 조금 바깥쪽으로 위치시켰으므로 상기 작동은 원활하게 진행한다. 상기 중간축(17)의 이동에 수반해서 이동간(18)이 바깥쪽으로 진출하면 절도보올(28)이 계합홈(20)에 감합해서 그 윗쪽 진출위치를 유지한다.
본원 고안은 상기 설명에서 밝힌 것처럼, 다이헤드 외주부에 다이헤드본체(2)에 설치한 고정축(11)과, 다이헤드본체(2)에 삽통한 이동간(18)과 연결하는 중간축(17)과, 캠판(4)에 고정시킨 지지축(13)을 링크(12), (14)로 연결해서 배열하고, 촉지단(24)을 다이헤드(1)의 중심공에 돌출시킨 나사절상촉지레버(23)와 상기 이동간(18)을 계합함으로써 체이서(7)를 이동 불능하게 지지하고, 소정 스트로우크의 나사절상과 함께 촉지레버(23)를 경동해서 체이서(7)를 구속 해제하며, 그 관재 a의 회전에 의한 원심방향부세에 의해서 후퇴시켜 관재 a를 해방시키도록 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 달리 중간축(17)을 고정축(11)과 지지축(13)을 잇는 직선 ℓ상에 위치결정할 필요가 없으며 이 직선 ℓ보다도 바깥쪽이면 되므로, 그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더구나 그 위치를 이동간(18)과의 고정에 의해서 유지했으므로, 중간축(17)이 나사절단작업중에 이동해서 생기는 절삭미스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체이서(7)의 후퇴 이동을 관재 a의 회전에 의해서 실시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이동간(18)을 진출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개의 체이서(chaser)(7)를 반경방향으로의 진퇴자재로 배설한 다이헤드본체(2)와, 이 본체의 앞면을 덮고 회전에 수반해서 소용돌이형 캠(5)에 의해 상기 체이서를 진퇴시키는 캠판(4)으로 이루어진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한 고정축(11)과, 캠판(4)에 고정시킨 지지축(13)을 다이헤드의 외주에서 원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고, 일단을 고정축(11)에 연결한 연결링크(12)와 일단을 지지축(13)에 연결한 요동링크(14)의 각 타단을 중간축(17)에 연결하고, 그 중간축(17)에는 다이헤드본체(2)의 접동공(21)에 삽통한 이동간(18)의 외단을 연결하는 동시에 다이헤드본체(2)의 후면에 축지해서 촉지단을 다이헤드의 중심공(1a)에 돌출한 나사절상 촉지레버(23)를 나사절단중에는 상기 이동간(18)에 계합해서 그 계합상태로 중간축(17)을 고정축(11)과 지지축(13)의 축심을 잇는 직선 ℓ의 바깥쪽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또한 상기 촉지레버(23)의 나사절상촉지요동에 의해 계합이 해제되어서 중간축(17)과 함께 바깥쪽으로 이동진출하는 상기 이동간(18)에 계합하여 진출위치를 유지하는 지지부재(28)를 접동공(21)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
KR2019820002866U 1981-11-17 1982-04-13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切上裝置) KR8600009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1,163 1981-11-17
JP1981171163U JPS5875634U (ja) 1981-11-17 1981-11-17 ねじ切機用ダイヘツドのねじ切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771U KR830003771U (ko) 1983-12-27
KR860000920Y1 true KR860000920Y1 (ko) 1986-05-21

Family

ID=2996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866U KR860000920Y1 (ko) 1981-11-17 1982-04-13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切上裝置)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75634U (ko)
KR (1) KR860000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8832A1 (en) * 2020-12-01 2022-06-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hread-cutting die head for powered pipe threa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8832A1 (en) * 2020-12-01 2022-06-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hread-cutting die head for powered pipe threader
US11931816B2 (en) * 2020-12-01 2024-03-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hread-cutting die head for powered pipe thr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771U (ko) 1983-12-27
JPS5875634U (ja) 198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852B1 (ko) 천공공구및끌질공구용공구홀더
GB2034210A (en) Chucks
JPH0227082B2 (ko)
JP3285823B2 (ja) ドライバービットのねじ保持具
KR860000920Y1 (ko) 나사절단기용 다이헤드의 나사절상장치(切上裝置)
DK154674C (da) Traad-slaamaskine med motordrevet skaerehoved
US5653296A (en) Switch-locking mechanism for screw tightener
US4288181A (en) Die-head of cutting machines
US6000306A (en) Side activated tool unit clamping apparatus using mechanical advantage
US20190240742A1 (en) Chuck with automatic positioning collet
US6343903B1 (en) Tool holder of hollow taper shank in tool machine
JP2005180537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4773657A (en) Drill apparatus
US4252032A (en) Rotatable operating lever locking device
JPH0160362B2 (ko)
JP2000000731A (ja) 回転工具アダプタの回り止め機構
US3977032A (en) Screw-threaded cutting dieheads
JPH06182672A (ja) 電動ねじ締め機
US4979810A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200201587Y1 (ko) 천막지주의 높이조절구조
PL112480B1 (en) Tool holder assembly
KR860000919Y1 (ko) 절삭 가공기의 다이헤드
KR200249724Y1 (ko) 코어드릴에 장착되는 중심고정체
JPH04226819A (ja) ドリルチャック
KR850002973Y1 (ko) 절삭가공기의 다이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