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486Y1 -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486Y1
KR860000486Y1 KR2019840002973U KR840002973U KR860000486Y1 KR 860000486 Y1 KR860000486 Y1 KR 860000486Y1 KR 2019840002973 U KR2019840002973 U KR 2019840002973U KR 840002973 U KR840002973 U KR 840002973U KR 860000486 Y1 KR860000486 Y1 KR 860000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insertion hole
casing
handset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437U (ko
Inventor
변봉초
Original Assignee
변봉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봉초 filed Critical 변봉초
Priority to KR2019840002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486Y1/ko
Publication of KR850009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4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7Telephone sets adapted to be mounted on a desk or o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인터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인터폰이 벽괘용으로 사영되는 상태의 파상 절결 일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인터폰이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파상 절결 일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수화기 1a : 송화기부
1b : 수화기부 2 : 케이싱
2a,2b : 요입부 3 : 유삽공
4 : 지지편 5 : 걸림편
5a : 사면부 5b : 단턱부
6,6 : 안내편 7 : 작동편
7' : 몸체 7a : 괘삽편
7b : 계지편 7b' : 사면부
b" : 계지턱 7c : 정지편
7d : 삽지간 8 : 코일스프링
9 : 판스프링 9a : 탄지간
본 고안은 탁상 및 벽괘 겸용으로 사용되는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화기가 괘지 고정되는 괘지편을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케이싱의 내부 및 외부로 용이하게 압삽 또는 인출시킬수 있게 하여 인터폰의 설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터폰은 그 인터폰의 설치상태에 따라 벽괘용 및 탁상용 인터폰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치 여건에 의한 선택적인 요인에 따라 하나의 인터폰으로 벽괘용과 탁상용으로 공히 사용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벽괘용 인터폰에는 통상 송수화기를 안정하게 괘지고정 할수 있게 하기 위한 괘지편을 송수화기의 수화기부가 재치되는 요입부 내에 일체로 돌설하게 되므로, 이와같이 된 종래의 벽괘용 전화기를 탁상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괘지돌기에 의하여 장애를 받게되는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게 되며, 또한 이와 반대로 탁상용으로 사용중인 인터폰을 필요에 따라 벽괘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므로, 기히 사용중인 인터폰을 폐기하고 별도의 인터폰을 구비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비경제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 58-99953호의 전화기는 벽괘용 또는 탁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전화기를 벽괘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송수화기 받침편을 장착시켜야 하고, 탁상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송수화기 받침편을 완전히 제거시켜야 하므로, 벽괘 및 탁상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터폰 케이싱의 내측벽에 판 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으로 지지 탄설되는 소정 형상의 작동편을 장착하여 송수화기가 재치되는 작동편 선단의 괘지돌기가 간단한 조작으로 입출 자재되게 함으로써 인터폰의 설치상태에 따라 벽괘용 또는 탁상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화기(1)의 송화기부(la) 및 수화기부(lb)가 각기 재치되는 요입부(2a)(2b)가 케이싱(2)의 일측부에 형성된 공지의 인터폰에 있어서, 수화기부(1b)가 재치되는 일측 요입부(2b)의 일측벽(2b') 중간부에는 일정 크기의 장방형 유삽공(3)을 천설하고, 그 유삽공(3)의 내측부 즉, 다시 말하자면 케이싱(2)의 상면에 재치되는 송수화기의 손잡이부(1c)가 위치하는 케이싱(2)의 내측벽 중간부에는 일정높이와 길이로 된 ''凹"형 단면의 지지편(4)을 상기 유삽공(3)과 일정간격을 두고 내향 돌설하여 지지편(4) 일측의 개구부가 유삽공(3)을 향하여 개구되게 하였으며, 또한 그 지지편(4)과 유삽공(3)의 중간부에는 소정 각도의 사면부(5a) 및 단턱부(5b)가 형성된 걸림편(5)을 횡방향으로 돌설하고, 일정길이를 가지는 걸림편(5)의 양측단부에는 일정높이와 길이로 된 안내편(6)(6')을 송수화기(l)의 재치방향 즉, 케이싱(2)의 길이방향으로 돌설하여 양 안내편(6)(6')간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이와 같이된 케이싱(2)의 내부에는 상기 유삽공(3)에 유삽되는 괘삽편(7a)이 몸체(7')의 선단부에 돌설되고, 그 몸체(7')의 일측면 중간부 및 후단부에는 케이싱(2)의 걸림편(5)에 대응 계지되는 계지편(7b) 및 절곡 정지편(7c)이 각각 횡방향으로 돌설되었으며, 그 정지편(7c)의 후단 중간부에는 일정 길이의 삽지봉(7d)이 몸체(7')의 길이 반대방향으로 돌설되고 일정폭과 두께를 가지는 작동편 몸체(7')를 상기한 케이싱(2)의 양측 안내편(6)(6') 사이의 간격 내에 유설하여 삽입된 작동편(7) 선단의 괘삽편(7a)이 케이싱(2) 요입부(2b)의 유삽공(3)을 통하여 요입부(2b)로 돌출되게 하되, 유삽공(3)의 외부로 노출되는 괘삽편(7a)의 일측에는 요입부(2b) 일측벽(2b')의 일측 개구 주연턱에 괘지되는 괘지턱(7a')을 형성하고, 케이싱(2)의 중간 걸림편(5)에 계지되는 계지편(7b)에는 걸림편(5)의 사면부(5a) 및 단턱부(5b)에 대응하는 사면부(7b')및 계지턱(7')을 갖게 하여 작동편(7)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계지면(7b)의 계지턱(7b'') 및 절곡 정지편(7c)의 내측 절곡단부(7c')가 걸림편(5)의 단턱부(5b)에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게 하는 동시에, 절곡 정지편(7c) 후단의 삽지봉(7d)에는 탄성을 가진 코일스프링(8)을 유삽하여 그 스프링(8)의 후단부가 상기 케이싱(2) 지지편(4)에 삽입지지되게 하였으며, 이와 같이된 작동편(7) 계지편(7b) 및 정지편(7c)이 돌설된 몸체(7')의 반대측에는 판스프링(9)을 복개하여 그 외측부에 각각 형성시킨 고정보스(10)(10')에 나착 고정되게 하여 판스프링(9) 선단의 절곡 탄지간(9a)이 작동편(7)의 몸체(7')를 외향 탄지케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괘삽편(7a)에 괘삽지지되는 송수화기(1)의 괘삽공이며, 12는 하부 케이싱(2')의 저면판에 형성한 괘지공이고 13은 벽체에 고정된 괘지면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 장치가 구비된 인터폰을 벽괘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편(7)선단의 괘삽편(7a)을 요입부(2b)의 유삽공(3)을 통하여 케이싱(2)의 외부로 관출시킨 상태에서 하부케이싱(2') 저면의 괘지공(12)을 통하여 벽체의 괘지편(13)이 괘지 고정시킨 후, 요입부(2b) 내에 수화기부(1b)를 내삽 재치하여 수화기부(1b)의 괘삽공(11)이 괘삽편(7a)이 괘지되게 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게 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송수화기(1)가 괘지되는 괘삽편(7a)의 괘지턱(7a')은 유삽공(3) 개구부의 일측 주연턱에 괘지되는 동시에, 작동편(7) 후단 정지편(c)의 내측 절곡단부(7c')가 케이싱(2) 내측벽 걸림편(5)의 단턱부(5b)에 밀착 지지되어 코일스프링(8) 및 판스프링(9)에 의하여 탄지되게 되므로 괘삽편(7a)에 송수화기(1)의 안정된 걸림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벽괘용으로 설치되어 기히 사용중인 인터폰을 탁상용으로 전환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외부로 노출된 괘삽편(7a) 선단을 약간 눌러 괘삽편(7a)의 괘지턱(7a')이 유삽공(3)의 일측 주연턱으로 부터 벗어나게 한 후, 케이싱(2)의 내부로 압입하면, 코일 스프링(8)으로 탄설된 작동편(7)이 후진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7)의 중간부에 형성된 계지편(7b)의 사면부(7b')가 케이싱(2) 걸림편(5)의 사면부(5a)를 따라 접촉 후진되어 계지턱(7b'')이 단턱부(5b)에 괘지 고정되는 동시에 괘삽편(7a) 첨단의 일부분만이 유삽공(3)을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작동편(7)의 배면부는 일정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9)의 절곡 틴지간(9a)에 의하여 탄지되므로 작동편(7)이 임의로 이탈됨이 없이 그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탁상용으로 사용함에 불편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되는 탁상용 인터폰을 전기한 바와 같이 벽괘용으로 전환 사용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압입된 작동편(7) 선단의 괘삽편(7a)을 케이싱(2)의 외부로 관출시키기 위하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삽공(3)을 통하여 일부분이 노출된 괘삽편(7a)의 첨단부를 상기 압입시와 같은 방법으로 약간 눌러주면 작동편(7)의 배면을 탄설하는 판스프링(9)의 탄지간이 하측으로 벌려지며 걸림편(5)의 단턱부(5b)에 계지된 계지편(7b)의 계지턱(7b'')이 단턱부(5b)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동시에 후방에 탄설된 코일스프링(8)의 탄성으로 작동편(7)이 전진되어 선단의 괘삽편(7a)이 케이싱(2)의 요입부(2b) 내에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고안 고정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간편한 조작으로 송수화기(1)가 괘지 고정되는 괘삽편(7a)을 케이싱 내·외로 용이하게 입출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 벽괘용 또는 탁상용으로 전환사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터폰의 설치 여건에 의하여 별도의 인터폰을 각기 구비해야 하는 종래의 번거로움 및 경제적 부담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송수화기(1)의 수화기부(1b)가 재지되는 케이싱(2)의 요입부(2b) 일측벽(2b')에 그 수화기부(1b)의 괘삽공(11)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유삽공(3)을 천공한 인터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의 내측벽 일측 중간부에는 "凹"형 단면의 지지편(4)을 상기 유삽공(3)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돌설하고, 이들 유삽공(3)과 지지편(4) 사이의 중간부에는 사면부(5a) 및 단턱부(5b)를 가진 걸림편(5)을 횡방향으로 돌설하며, 그 걸림편(5)의 양측단부에는 일정 높이와 길이로 된 양 안내편(6)(6')을 걸림편(5)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설하여, 양측 안내편(6)(6')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이들 양 안내편(6)(6') 사이에는 유삽공(3)에 유삽되는 괘삽편(7a)이 전단부에 형성되고, 몸체(7')의 중간부 및 후단부에는 걸림편(5)의 사면부(5a) 및 단턱부(5b)에 대응하는 사면부(7b') 및 계지턱(7b')이 형성된 계지편(7b)과 절곡단부(7c')를 가진 정지편(7c)이 일체로 형성된 작동편(7)을 유삽하여, 작동편(7) 후단의 삽지봉(7d)과 지지편(4)간에 개재된 코일스프링(8)으로 탄설되게 하고, 양 안내편(6)(6') 외측부의 고정보스(10)(10')에 착설된 판스프링(9)의 판지간(9a)이 작동편(7)의 배면부를 탄지케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
KR2019840002973U 1984-04-03 1984-04-03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KR860000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973U KR860000486Y1 (ko) 1984-04-03 1984-04-03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973U KR860000486Y1 (ko) 1984-04-03 1984-04-03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437U KR850009437U (ko) 1985-12-02
KR860000486Y1 true KR860000486Y1 (ko) 1986-03-31

Family

ID=1923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973U KR860000486Y1 (ko) 1984-04-03 1984-04-03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4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437U (ko) 198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531A (en) Attachable pencil holder for paper retaining clamp
KR860000486Y1 (ko) 탁상 및 벽괘 겸용 인터폰의 송수화기 고정 장치
KR870009866A (ko) 서류철용구(Binding device)
JP2661565B2 (ja) つまみねじ保持構造
JPS5861072U (ja) 額縁における裏板等の掛止装置
KR840002714Y1 (ko) 장신구용 조임쇠
KR810001122Y1 (ko) 차량용 윈도우 와이퍼(window wiper)의 아암 연결구
KR900003418Y1 (ko) 전화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
JPS5915587Y2 (ja) 扉開閉装置
JPH0639236Y2 (ja) 熱電対取付装置
KR920001668Y1 (ko) 차량 전화기용 받침대
JPH08173301A (ja) 吊掛用具
JPS588553Y2 (ja) カ−ドホルダ−
JPS6012507Y2 (ja) カツタ−ナイフ
KR840001789Y1 (ko) 창문의 망 부착장치
JPS5816667U (ja) 摺動吊下装置
JPH0338905Y2 (ko)
JPH0141337Y2 (ko)
KR940005945Y1 (ko) 걸이구
KR870002720Y1 (ko) 벽에 부착시키는 메모대
KR900004642Y1 (ko) 전화번호 표시판 탄지장치
KR880004230Y1 (ko) 카셋트테이프 보관 케이스의 수납장치
KR200160240Y1 (ko) 호치키스
KR840002415Y1 (ko) 벽걸이용 전화기
JPS6445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