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354B1 -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 - Google Patents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354B1
KR860000354B1 KR8201588A KR820001588A KR860000354B1 KR 860000354 B1 KR860000354 B1 KR 860000354B1 KR 8201588 A KR8201588 A KR 8201588A KR 820001588 A KR820001588 A KR 820001588A KR 860000354 B1 KR860000354 B1 KR 86000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s
staple
bent portion
correction
stapl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906A (ko
Inventor
모나체리 움베르토
Original Assignee
모나체리 움베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나체리 움베르토 filed Critical 모나체리 움베르토
Publication of KR83000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015Sta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
제1도는 통상의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의 사시도.
제2도는 횡단부재에 절곡부를 형성키셔 벽두께를 얇게한 스테이플의 사시도.
제3도는 종·횡단부재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길이를 축소한 스페이플을 점선으로 표시한 제1도의 스테이플과 비교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양쪽의 종단부재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벽두께를 얇게한 스테이플의 사시도.
제5도는 스테이 플이내장되어서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매거진(Magazine)의 개요도.
제6도는 통상의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이 내외가이더를 갖는 매거진에 넣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제7도는 제6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얇은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 개요도.
제8도는 통상의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이 외부 가이더만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제8도에서와 같이 얇은 두께의 부재에 절곡부를 형성시킨 스테이플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하우징 32, 34 : 변형단면
본 발명은 호치키스용 U형 조임부재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를 나무와 같은 모판재에다 철처리를 하거나 두꺼운 종이상자를 접어 봉함할때 사용하는 호치키스의 스테이플(stapl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테이플은 보통 벽체가 0.9mm의 두께로 되어있는데, 이에 대하여 스테이플의 재질을 바꾸거나 형태를 변화시켜 벽두께가 얇은 것을 만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는바, 이는 스테이플의 여러가지 제작공정중에 상당량의 원료재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두께를 0.7mm로 줄이면 20%정도의 원재료를 절감할 수가 있다. 그러나, 벽두께를 줄이는 데에는 일반적인 통상의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을 사용하도록된 호치키스의 매거진에서도 벽두께를 얇게한 스테이플이 기능적으로 확실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플의 벽두께와는 관계없고 기능상에도 하등의 문제점이 없이 통상적인 호치키스의 매거진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한 스테이플을 제공하기 위한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은 한개의 가늘고 긴 횡단부재와 상기 횡단부재의 양끝에서 동일 평면상의 종 단축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가늘고 긴 종단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재들중의 최소한 한곳에종단축방향의 평면에 평행하도록 절곡부를 형성시켜 스테이플 자체의 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였으며, 이때 되도록 이면 측면의 종단부재는 대선상(帶線狀)을 이루게 하였다.
또 각부재는 되도록이면 상기 종단축방향의 평면에 직각을 이루는 주표면을 갖도록 한다.
스테이플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의 절곡부를 상기 주표면의 종방향으로 형성시키므로서 돌출되어 나온 절곡부의 폭이 스테이플의 실제벽두께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이렇게하므로서 스테이플의 재료로 비록 두께가 다른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스테이플의 칫수를 언제나 일정한 칫수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절곡부는 U형재의 횡단부재나 종단부재의 어느곳에도 형성시킬 수가 있으며, 또 사용할 매거진의 형태에 따라 절곡부의 위치와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예를들면, 만일 내부 가이더가 있는 매거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곡부를 횡단부재의 내측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 만일 내부 가이더로서 U형의 활주지지가이더가 사용되고 이 활주 지지가이더의 양쪽끝에 스테이플이 지지되어 이동되는 것일 때에는 횡단부재의 내측방향으로 2개의 절곡부를 형성시키되 그 단면들이 간격은 활주지지가이더의 지지면의 거리와 반드시 맞추어지도록 해야 한다.
한편 이른바 외부 가이더를 갖춘 매거진을 사용할때에는 절곡부를 스테이플의 양측종단부재에다 형성시키는 한편, 횡단부재의 바깥쪽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경우에는 각부재에 한개씩의 절곡부를 형성시키는 것반으로 충분한다. 이때 절곡부의 형태는 되도록이면 U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나타낸 스테이플(14)은 U형의 횡단면을 갖고 가늘고 긴 2개의 측면종단부재(10)와 1개의 가늘고 긴 횡단부재(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10, 12)는 서로 직각되게 위치하여 동일평면상에 놓여져 있다. 이들 스테이플(14)은 일정한 칫수의 벽두께 D를 가지나 만일 재료의 강도가 높다거나, 카톤팩(Carton Pack)을 봉함하거나 원재질에다 대상물을 철할때 쓰여질 경우에는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벽두께가 d로 되게 얇게 만들 수가 있다. 그러나 만일 그러한 스테이플이 시판하고 있는 기존 호치키스의 매거진에 넣어 사용할때에는 제5도 및 제6도와 제8도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게 된다.
제5도에 있어서 상기한 매거진은 단순히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는 스프링(20)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설치된 슬라이드(18)와 하우징(16)으로 구성되어 있어, 슬라이드(18)와 스프링(20)의 작용으로 말미암아 일렬로 늘어선 스테이플(14)이 제5도에서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밀려져서 계속 옮겨지게 된다.
제6도 및 제8도는 2가지 형태의 매거진을 도시하고 있는 바, 제6도의 매거진은 내부 가이더를 갖춘 형태의 것이고 제8도의 매거진은 외부 가이더를 갖는 형태의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서와 같이 내부 가이더를 갖춘 매거진에서는 스테이플(14)이 2개의 지지대(26)와 횡단재(28)로 이루어진 U형 활주지지가이더(24)위에 이의 횡단부재가 얹혀져 있고, 가이더(24)의 횡단재(28)는 매거진 하우징(16)의 바닥(30)에 옆으로 놓여져서 지지대(26)가 스테이플(14)쪽으로 향하게 되며, 따라서 스테이플은 지지대(26)의 끝에 올려 놓아져서 그 위를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16)에는 하우징바닥(30)의 양쪽 측벽위에 플랜지가 갖추어져 있고, 지지대(26)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플랜지까지의 거리는 통상적인 스테이플의 벽두께 D보다 e만큼의 간격을 더 갖도록 되어 있다.
만일 이때 스테이플(14)의 벽두께가 d로 줄어지게 되면, 지지대(26)와 플랜지(31) 사이의 간격이 더 커지게 되어 매거진에 놓여진 스테이플이 철할때 하나씩 떨어져 나와 가이더 사이에 끼이게 되는 데, 이는 벽두께만을 그렇게 얇게한 스테이플은 내부 가이더를 가진 통상의 매거진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제2도와 같은 스테이플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도에서는 스테이플의 횡단부재(12)에다 U형 다면형태의 내부폭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갖는 2대의 절곡부(3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때 되도록이면 이들 절곡부가 각각 U형의 단면형태를 갖게한다. 상기 절곡부(32)의 깊이는 횡단부재(12)가 돌출되어 나온 부분이 제1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통상적인 스테이플의 벽두께 D와 같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절곡부(32)는 부재(10, 12)의 종단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시켜야 한다.
제7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절곡부(32)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갖고 있는 지지대(26)의 간격에 맞추어 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므로서, 이들 절곡부(32)가 지지대(24)의 윗끝 위에 놓여지게 되고,따라서 제2도 및 제7도에서 도시된 스테이플의 횡단부재(12)와 플랜지(31) 사이의 간격이 제6도에서 표시된 간격 e를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얇은 벽두께를 갖는 스테이플이 두꺼운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에 맞게 설계된 매거진안에 끼이지 않게 된다.
제8도에서는 소위 외부 가이더를 갖춘 매거진이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외부 가이더는 매거진 하우징(16)에 의해 형성되고, 통상의 벽두께를 가진 스테이플과 하우징벽 사이에는 제8도에서 표시된 간격 e'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만일 스테이플의 벽두께가 얇아지면 정상적인 간격 e'가 넓어지게 되며 그로 말미암아 매거진안에서 스테이플이 끼이게 되는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4도 및 제9도에서와 같이 스테이플의 종단부재(10)에는 스테이플의 U형 횡단면의 바깥쪽을 향해 절곡되어진 절곡부(34)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절곡 처리 결과로 스테이플(14)의 양측 종단부재의 돌출부분이 이루는 전체 두께가 통상의 스테이플의 벽두께 D와 같은 두께가 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은 두께가 얇은 스테이플을 두꺼운 벽두께를 갖는 스테이플에 맞게 만들어진 외부 가이더를 갖는 매거진 안에다 사용하면 끼이게 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절곡부(34)는 부재(10, 12)의 종단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시킨다.
제3도에서는 얇은 벽두께를 갖는 스테이플의 횡단부재(12)와. 양측종단부재(10)의 각각에 절곡부(32)를 형성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러한 돌출부의 칫수는 외부면의 한계가 점선으로 분명하게 표시되어 있고 또 이들 점선은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스테이플의 크기가 같음을 나타낸다. 이는 벽두께를 얇게한 스테이플에 절곡부를 형성시키므로서 두꺼운 스테이플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매거진에 아무런 무리없이 완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5)

  1. (정정) 1개의 가늘고 긴 횡단부재와 상기 횡단부재의 양쪽에서 횡단부재를 포함하는 공통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종단축 방향으로 연결된 2개의 가늘고 긴 종단부재로 된 U형 스테이플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적어도 하나이상에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절곡부를 형성시켜 상기 각 부재들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러.
  2. (삭제)
  3. (삭제)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종단부재의 각각에 적어도 한 개의 절곡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횡단부재에 2개의 절곡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6. (삭제)
  7.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플의 바깥쪽 방향으로 한개 이상의 절곡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8.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플의 안쪽으로 한개이상의 절곡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9.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양측 종단부재의 각 절곡부가 스테이플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10. (정정) 제5항에 있어서, 횡단부재의 각절곡부가 스테이플 안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11. (삭제)
  12. (정정) 제10항에 있어서, 횡단부재의 안쪽으로 형성시킨 절곡부가 호치키스의 매거진 내에서 스테이플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다리의 간격과 같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1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절곡부가 반드시 U형 형상을 갖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스테이플러.
  14. (삭제)
  15. (삭제)
KR8201588A 1981-04-16 1982-04-10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 KR860000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1102956A EP0063165B1 (de) 1981-04-16 1981-04-16 Befestigungsklammer
EP81102956.0 1981-04-16
IT81102956C 1981-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06A KR830009906A (ko) 1983-12-24
KR860000354B1 true KR860000354B1 (ko) 1986-04-12

Family

ID=818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588A KR860000354B1 (ko) 1981-04-16 1982-04-10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063165B1 (ko)
JP (1) JPS57184718A (ko)
KR (1) KR860000354B1 (ko)
AR (1) AR230862A1 (ko)
AT (1) ATE21149T1 (ko)
AU (1) AU551506B2 (ko)
BR (1) BR8202227A (ko)
DE (1) DE3175023D1 (ko)
DK (1) DK171482A (ko)
ES (1) ES273549Y (ko)
GR (1) GR78367B (ko)
IN (1) IN157328B (ko)
MX (1) MX154543A (ko)
PT (1) PT74765B (ko)
ZA (1) ZA822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701630A (nl) * 1986-07-14 1988-02-01 Larrett Tungsten Dart Co Ltd Dartborden.
SE520516C2 (sv) * 2001-10-31 2003-07-22 Isaberg Rapid Ab Häftklammer
CN101776114A (zh) * 2009-12-31 2010-07-14 上海量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射频识别标签订书针的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2697A (en) * 1924-04-07 1927-03-29 Robert W Baily Floor clip
GB796552A (en) * 1954-10-15 1958-06-11 Pio Reggiani Improvements relating to methods of fastening elastic tapes to rigid frames across which the tapes are stretched when in the fastened condition
GB843061A (en) * 1957-06-06 1960-08-04 James Bellamy Mackanes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ples
GB921388A (en) * 1960-01-21 1963-03-20 Carr Fastener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astener devices
FR1334087A (fr) * 1962-09-12 1963-08-02 Signode Steel Strapping Co Chapes de jonction susceptibles de s'empiler avec accrochage mutuel
NL136924C (ko) * 1963-08-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75023D1 (en) 1986-09-04
GR78367B (ko) 1984-09-26
AU8250082A (en) 1983-04-21
DK171482A (da) 1982-10-17
ES273549Y (es) 1984-08-01
BR8202227A (pt) 1983-03-29
PT74765A (de) 1982-05-01
ES273549U (es) 1984-01-16
PT74765B (de) 1983-10-28
ATE21149T1 (de) 1986-08-15
IN157328B (ko) 1986-03-01
KR830009906A (ko) 1983-12-24
JPS57184718A (en) 1982-11-13
AU551506B2 (en) 1986-05-01
ZA822404B (en) 1983-03-30
EP0063165B1 (de) 1986-07-30
EP0063165A1 (de) 1982-10-27
MX154543A (es) 1987-09-28
AR230862A1 (es) 198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8738A (en) Staple gun for accommodating a range of staple sizes
US2256995A (en) Box
KR860000354B1 (ko) 호치키스용 u형 스테이플
KR20040026612A (ko) 컴파운드 니들용 툴 홀더 및 적재 장치
US2547463A (en) Cabinet composed of interlocking sections
KR20010050051A (ko) 시트 고정장치
KR900006645B1 (ko) 포장기에 있어서 밴드안내 아치
US4641684A (en) Rail for an air turning vane assembly
JPH045186B2 (ko)
IS4043A (is) Heftari
US2626050A (en) Folding shipping frame for glass
US3830364A (en) Carrier for nails for nail driving device
US3019867A (en) Knockdown door
JPS61136844A (ja) 真空コルゲーシヨン紙葉類給送装置における空気圧力制御方法
US869833A (en) Folding box.
US4520956A (en) Stapling machine
US3905538A (en) Folder
ATE35040T1 (de) Flanschverbindung.
US1704444A (en) Work-locating device for stapling machines
US2339411A (en) Fastener
GB2149338A (en) Stapler
US777418A (en) Ticket-case.
US3172535A (en) Retainer clip for belleville spring assembly
SE9500075D0 (sv) Mapp med tillhållare för förvaring av papper och dokument
JPH07309456A (ja) 給紙トレ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