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268B1 -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268B1
KR860000268B1 KR1019800003628A KR800003629A KR860000268B1 KR 860000268 B1 KR860000268 B1 KR 860000268B1 KR 1019800003628 A KR1019800003628 A KR 1019800003628A KR 800003629 A KR800003629 A KR 800003629A KR 860000268 B1 KR860000268 B1 KR 8600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thyl
chloro
iii
fil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531A (ko
Inventor
샤무엘 아르윈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에이. 엔 리에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에이. 엔 리에디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8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5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the hydroxy and carboxylic groups being boun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섬유형성 용융방사 가능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고강력과 고탄성율을 갖는 이의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용융방사 가능한 배향필라멘트로부터 광학적으로 이방성(異方性)인 용융물을 형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가 쉬프겐(schaefgen)들의 미합중국 특허 제4,118,372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에 기술된 대부분의 폴리에스테르로 주로 파라-배향의 2가(二價)페놀과 파라-배향의 디카복실산에서 유도된다. 상기의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용융방사한 필라멘트는 열처리되어 고강도와 고탄성율을 지닌다. p-하이드록시벤조산, 2가페놀 및 디카복실산에서 유도한 공중합체인 기타의 코폴리에스테르가 상기에서 언급한 쉬프겐등의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최근의 미합중국 특허 제4,067,852호, 제4,083,829호 및 제4,130,545호에는 주로 p-옥시벤조일성분, 2,6-디카보닐나프탈렌성분 및 기타의 각종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폴리에스테르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130,545호는 주로 p-옥시벤조일성분, 2,6-디옥시나프탈렌성분 및 테레프탈로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특허청구의 범위로 한 미합중국 특허원 제832,147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신규의 폴리에스테르가 열처리하였을 때 고강도와 고탄성율을 나타내는 필라멘트로 용융방사될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은 용융물 중에서 광학적으로 이방성을 나타내고 다음 일반식의 단위(Ⅰ) 약 54 내지 70몰%, 단위(Ⅱ) 약 10 내지 16몰%, 단위(Ⅲ) 0 내지 약 8몰%와 단위(Ⅱ) 및 (Ⅲ)의 몰기준으로 동량의 단위(Ⅳ)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형성 코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의 일반식에서,
X와 R은 X가 메틸, R이 수소 또는 메틸일때와 X가 클로로, R이 수소 또는 클로로일때라는 전제조건으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클로로이다. 또한,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의 용융방사 및 열강화필라멘트를 계획한다.
본 발명의 코톨리에스테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단위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단위(Ⅰ)(p-옥시벤조일)은 p-하이드록시벤조산에서 유도하거나, 또는 이의 3-메틸 또는 3-클로로 유도체에서 유도한다. 단위(Ⅳ)(테레프탈로일)는 테레프탈산에서 유도한다. 단위(Ⅲ)(1,4-디옥시페닐렌)은 하이드로퀴논에서 유도한다. 단위(Ⅳ)(4,4'-디옥시벤조페논)는 4,4'-하이드록시벤조페논 또는 이의 3-메틸 또는 3-클로로-유도체에서 유도한다. 이와 같은 화합물 대신에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물로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이의 화합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p-하이드록시벤조산 반응물은 에스테르형태로 사용해야만 한다.
반응물은 일반적으로 코폴리에스테르 생성물에서 소망하는 단위의 몰비율에 상응하는 비율로 혼합한다. 단위(Ⅰ)에 필요한 p-하이드록시벤조산 반응물 또는 이의 메틸- 또는 클로로-유도체는 이와 같은 단위의 약 54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60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반응해야만 한다. 이 범위의 최대 또는 최소를 초과할시는 중합체가 균일하지 않게되는 경향이 있다. 단위(Ⅱ)를 제공하는 반응물은 이와 같은 단위의 약 10 내지 16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반응해야만 한다. 하이드로퀴논 반응물은 단위(Ⅲ)의 0 내지 약 8몰%를 제공하는 양으로 사용해야만 한다. 테레프탈산 반응물의 양은 단위(Ⅱ)와 (Ⅲ)의 양과 동일한 양의 단위(Ⅳ)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해야만 한다. 이것은 폴리에스테르 생성물중에 각각 디페놀 및 디카복실산 반응물로부터 유도된 단위의 동몰량이 존재하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4,118,372호에 기술된 통상적인 중합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서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량체 혼합물(바람직하게는 5% 초과의 디아세테이트 형태로 디페노로가의 단량체 혼합물)을 250℃에서 330 내지 380℃의 우드(Wood)의 금속욕중에 들어 있는 250ml짜리 3구 플라스크속에서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섬유형성 분자량에 도달하지만 용융점도가 지나칠 정도로 되기 전에 0.5 내지 1시간동안 계속 중합시킨다. 통상적으로 진공을 사용하여 최종 점도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는 미합중국 특허 제4,118,372호에 기술한 열광학시험(TOT)으로 정한 바와같은 광학 이방성을 나타낸다.
필라멘트 제조
(코)폴리에스테르는 통상의 용융방사 기술에 의해 필라멘트로 방사할 수 있다. 필라멘트는 공기 또는 질소의 급냉대기압으로 용융방사하여 제조하고 실시예에 명시된 권취속도록 집속한다. 실시예에 사용된 방사구금의 형태는 직경이 0.23mm이고 길이가 0.46mm인 환상 실린더형 모세관 1개 또는 10개를 갖는다. "용융온도"란 용융물이 유지되는 지점에서의 온도를 말한다(괄호안의 값은 방사구금의 온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미연신 섬유"란 압출 및 정상적으로 권취한 후 연신 또는 열처리하지 않은 섬유를 말한다.
열처리 및 유용성
집속후, 미연신 필라멘트(또는 사)의 시료를 오븐속에서 열처리하면서 이완시킨다. 질소 대기압상태에서 가열한다. 전형적으로, 온도는 2시간이내에 200℃까지 상승한다음, 다시 7시간이내에 304℃로 상승하며,최종적으로 7시간동안 304℃에서 유지한다. 이와 같은 연속가열은 실온(RT) 내지 200℃/2시간+200 내지 304℃/7시간+304℃/7시간으로 짧게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열처리된 섬유는 플라스틱 및 고무 보강재등의 각종 산업용도에 매우 유용하다.
고유점도(ηinh)는ηinh=ln(ηrel)/C로부터 계산한다. 여기에서, ηrel는 상대점도이고 C는 0.5(즉, 100ml용매중의 중합체 0.5gm)의 중합체농도이다. 상대점도는 25℃의 모세관점도계중에서 중합체 용액과 용매의 유출시간비이다. 사용하는 용매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5%/메틸렌 클로라이드 17.5%/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아세톤 하이드레이트 12.5%/퍼클로로에틸렌 12.5%/4-클로로페놀 50%(모두 중량%)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는 미합중국 특허 제4,118,372호에 기술된 열광학시험(TOT)을 사용하여 결정한 바와같이 용융물 속에서 이방성이다. 이 시험을 사용하여 상기 특허에 기술된 "유동온도"를 수득한다. 임의적으로 (종종 부가적으로) 중합체는 중합체가 먼저 점착되기 시작한 지점에서 열-기울기의 뜨거운 바아의 온도를 의미하는 "점착온도"에 의하여 특징이 있다.
필라멘트의 인장특성은 레코딩 응력변형 분석기(recording stress-strain analyzer)를 사용하여 70℉(21.1℃)와 65%의 상대습도에서 측정한다. 시료의 길이는 1.0in(2.54cm)이고 신장속도는 60%min이다. 생성물은 D/T/E/M 또는 T/E/M으로 기록하는데, 여기서 D는 텍스(tex) 단위의 선상 밀도이고, T는 dN/tex의 절단강도이고, E는 초기 길이의 증가에 의해 %로서 나타낸 절단점 신도(elogation-at-break)이며, M는dN/tex의 초기 인장탄성율이다. 선상 밀도는 열처리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거의 변환하지 않기 때문에 단지 한번만 기록한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는 열처리된 고강력(예를들면, 약 10dN/tex 또는 그 이상) 및 초기 고탄성율(예를들면, 약 200dN/tex 또는 그 이상)필라멘트이다. 실시예에 기록된 인장특성은 3 내지 7회 측정한 거의 평균치이다(거의 5 또는 6회). 이것은 개개의 측정에 따라 종종 현저한 산포(散布)를 나타내는데 이는 플라스틱에 가까운 상태에서 필라멘트간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며, 섬유에 있어서 인장특성을 반영한느 광융합과 산발적인 결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최대 단일강력치는 최고의 잠재성 도수를 추정하여 개개로 작성한 것이다.
치환 및 비치환된 4,4'-디아세톡시벤조페논의 제법
페놀 45.5g(0.52몰), 4-하이드록시벤조산 69.0g(0.50몰), 및 불화수소 500ml를 오토클레이브 속에서 자기가열압력(autogeneous pressure)하에 6시간동안 모두 가열한다. 이를 과잉의 물과 혼합시켜서 핑크색고체를 침전시킨다. 수량(收量)은 99g(92.5%)이다. 조생성물(粗生成物)을 정제하지 않고 조생성물의 3배의 무수 아세트산과 황산 약 8방울로 2시간동안 환류시켜 직접 아세틸화한다. 과량의 물에 침전시켜 재결정화가 필요치 않은 매우 순수한 4,4'-디아세톡시벤조페논 113g을 수득한다(융점 150 내지 152℃). 상기의 제조에 있어서 페놀 0.52몰 보다도 오히려 0-크레졸 0.52몰을 사용할 경우, 재결정화 후 고수율의 이세틸화 생성물은 3-메틸-4,4'-디아세톡시벤조페논이며, 융점은 120 내지 121.5℃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기타의 치환된 4,4'-디아세톡시벤조페논은 0-크레졸 대신에 상응하는 치환된 페놀을 사용하여서 제조한다.
[실시예]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고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단량체 성분은 과잉(통상적으로 4 또는 5%)의 디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최종 중합체에서 소망하는 바와 실제로 동일한 몰비로 3구플라스크에 가한다. 생성된 중합체는 예를들면 다음과 같으며, 4-아세톡시벤조산 60몰%, 3-메틸-4,4'-디아세톡시벤조페논 15몰%,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 5몰% 및 테레프탈산 20몰%로 제조한다(과잉의 디아세테이트는 이들 %에 포함하지 않는다).HBA/MDHB/HQ/TPA(60/15/5/20.
3구 플라스크는 다음을 갖춘다 : (1) 내압수지 부싱을 관통하여 뻗은 글래스 교반기, (2) 질소도입구 및 (3) 아세트산 부산물을 수집하는 플라스크가 부착된 수냉각 콘덴서로 유도한 짧은 비그룩스 컬럼(vigreux column). 진공을 사용하기 위한 부속품은 콘덴서의 끝에 제공된다. 수직조절용으로 장가되어 있으며 전기로 가열되는 우드의 금속욕은 가열하기 위해 시용한다. 반응혼합물은 주로 에트산이 모두증발할 때까지 지질소하의 대기압력에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 가열한다. 그 후, 통상적으로 약 0.027kpa의 진공하에 점도가 용융방사에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증가할 때까지 계속 가열한다.
냉각 및 고체화된 중합체를 분쇄하고, 그 일부분은 압력 방사하기 위해 원통형 플러그(plug)로 형성한다.
[실시예 Ⅰ]
4-아세톡시벤조산(HBA), 3-메틸-4, 4'-디아세톡시벤조페논(MDHB),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HQ), 및 테레프탈산(TPA)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중합성분
Figure kpo00003
* ( )는 과잉%를 나타낸다.
중합온도
Figure kpo00004
중합체특성
Figure kpo00005
필라멘트압출
Figure kpo00006
열처리
실험 A, B, C, D는 다음과 같이 모두 열처리한다 :
실온 내지 200℃/2시간+200 내지 304℃/7시간+304℃/7시간
인장특성
Figure kpo00007
* 실제로 10-필라멘트사를 시험
실험 A와 D는 동일한 조성물(60/15/5/20)이다. 중합에서 온도주기는 어느정도 변하며, 이 결과로 고유점도도 변한다(A가 크다). 양호한 방사를 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고점도가 수득될 때까지 중합을 계속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A에서 단일 필라멘트를 방사하는 반면, 실험 D에서는 10-필라멘트사를 방사한다. 실험 A의 열처리된 필라멘트는 미연신 필라멘트에 비하여 강력이 평균 3.5배 증가하여, 최대강력은 21.6dN/tex로서 매우 높다. 실험 D의 중합체도 양호하게 방사되나 점도는 낮다. 그러나 상기와 같음에도 불구하고 14.2dN/tex의 매우 우수한 최대 강력을 수득한다.
실험 B는 변경된 중합체 조성물의 효과를 설명한다. 실험 B는 MHBA수준이 감소되었으며, 이와 상응하여 HQ수준은 증가한 것이다. 열처리된 필라멘트에 대한 인장특성이 우수하다. 다른 실험중에서 몇몇은 필라멘트내에 거품이 있고 용융물이 균일하지 않다. 예를들면, 50% HBA에서 용융물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방사를 행할 수 없다.
개개의 실험(상기에 기록치 않음)에서 하이드로퀴논 대신에 레솔시놀을 사용하여 실험 C와 매우 유사하게 방사를 행한다. 중합과 방사는 우수하게 진행되지만 열처리된 필라멘트는 강력(평균 7.7, 최대 8.9)이 만족스럽지 않으며 탄성율도 극히 낮다(평균 45, 최대 52).
[실시예 Ⅱ]
4-아세톡시벤조산(HBA), 4,4'-디아세톡시벤조페논(DHB) 테레프탈산(TPA) 및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HQ)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HBA 10.87g, DHB 4.68g(5% 과량), TPA 3.32g 및 HQ 1.01g(5% 과량)을 혼합하여 대기압하에 276 내지 354℃에서 25분동안 및 진공하에 354 내지 350℃에서 5분 동안 계속 중합시킨다. HBA/DHB/HQ/TPA의 몰비는 60/15/5/20이다.
생성된 중합체는 고유점도가 1.32이고 점착 온도가 290℃이다. 필라멘트는 330℃의 온도에서 중합체로부터 용융방사한다. 필라멘트는 실온 내지 200℃/2시간+200 내지 304℃/7시간+304℃/7시간에서 열처리한다.
인장특성
Figure kpo00008
상기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강력과 탁월한 탄성율을 수득한다. HQ 대신에 레솔시놀 디아세테이트를 사용하면 방사구금에 떨어지며 방사의 수행이 나빠진다.
[실시예 Ⅲ]
3-메틸-4-아세톡시벤조산(MHBA) 또는 3-클로로-4-아세톡시벤조산(CHBA), 4,4'-디아세톡시벤조페논(DHB),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HQ), 및 테레프탈산(TPA)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중합성분
Figure kpo00009
*는 두번째 컬럼을 참조
중합온도
Figure kpo00010
중합특성
Figure kpo00011
필라멘트압출
Figure kpo00012
열처리
Figure kpo00013
인장특성
Figure kpo00014
실험 A의 두가지 열처리는 적당한 열처리 조건의 임계점을 기술한 것이다. 처리 A-1은 최대온도보다 너무 높기 때문에 부가적으로 심한 수축을 야기한다. 실험 A와 B는 4-하이드록시벤조산 성분의 3위치에서 메틸 또는 클로로로 치환된 것을 나타내며, 또한 우수한 성질을 나타냈다.
성분의 몰비가 변한 것 이외에 실험 A와 유사한 실험중에서 65/12.5/5/17.5 필라멘트는 데니어가 약간 균일하지 않은며 최대 강력은 10.7이고 이의 평균은 8.6이며, 초기 탄성율의 평균은 233이다. 70/10/5/15중합은 매우 불균일한 용융물을 생성하며, 이는 분해된다.
3-메틸-4-아세톡시벤조산 대신에 3,5-디메틸-4-아세톡시벤조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실험 A와 더욱 유사한 실험중에서 분해되면 매우 불균일한 용융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Ⅳ]
HBA, 3-클로로-4,4'-디아세톡시벤조페논(CDHB), HQ 및 TPA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HBA 10.8g, CDHB 5.2g(5% 과량), HQ 1.01g(5% 과량) 및 TPA 3.32g을 혼합하여 대기압력하에 270 내지 344℃에서 40분동안 및 진공하에 344 내지 360℃에서 7분동안 중합한다. HBA/CDHB/HQ/TPA의 몰비는 60/15/5/20이다.
생성된 중합체는 고유점도가 1.62이고 점착 온도가 260℃이다. 필라멘트는 330℃에서 중합체로부터 용융방사한다. 미열신사의 인장특성은 D/T/E/M-0.65/3.1/1.4/235이다. 필라멘트는 실온 내지 200℃/2시간+200 내지 304℃/7시간+304℃/7시간에서 열처리하며, 생성된 인장특성은 T/E/M13.3/3.83/01이고 최대장력 T는 17.6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우수한 인장특성을 수득한다. 실제로 유사한 실험중에서 3-메틸-4,4'-디아세톡시벤조페논은 3,5-디메틸-, 3,5-디클로로-, 3-에틸-, 3-프로필-, 3-페닐, 및 2,3,5,6-테트라메틸-4,4'-디아세녹시벤조페논과 동몰로 대치된다. 방사 가능한 중합체를 수득하며, 생성된 인장특성은 매우 낮다. 페닐치환된 디아세톡시벤조페논은 적합하지 않으며, 테트라메틸 치환된 디아세톡시벤조페논으로부터 수득한 종합체는 단지 400℃이상에서만 용융된다.
[실시예 Ⅴ]
MHBA/MDHB/HQ및 TPA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MHBA/MDHB/HQ/TPA(60/15/5/20)은 MHBA 11.6g, MDHB 4.90(5%)g, HQ 1.01(5%)g, TPA 3.32g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최대 중합온도는 344℃이다. 고유점도는 0.97이고, 점착 온도는 240℃이다. 단일 필라멘트는 315℃의 용융온도에서 방사되며(550m/min), 또한 연속적으로 230℃/2시간+250℃/2시간+270℃/2시간+290℃/10시간으로 열처리한다. 미연신사의 인장특성은 D/T/E/M=0.26/3.2/1.9/198이다. 열처리된 인장특성은 T/E/M=12.9/6.2/210이고 최대 단일장력 T는 16.2이다. 열처리하는 동안 수축이 약간 발생한다.
이 실험은 몰비(65/12.5/5/17.5)를 변화시키는 것 이외에 반복한다. 생성된 중합체는 분해되는 불균일한 용융물을 형성하며, 또한 방사를 행할 수가 없다. 이것은 몇몇 시스템이 타당한 p-하이드록시벤조산반응물 함량의 허용 가능한 최대범위에서 특히 민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MHBA 대신에 3-클로로-4-아세톡시벤조산을 사용한 이외에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또 다른 실험은 분해되며 불균일한 용융물을 생성한다. 방사를 행할 수 없다. 또한, MDHB를 CDHB로 대치한 이외에 상기와 같은 또다른 실험은 거품이 많은 용융물로 되며, 실험하지 않는다.
[실시예 Ⅵ]
CHBA, CDHB, HQ 및 TPA(60/15/5/20)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CHBA 1.287g HQ 1.03(5%)g
CDHB 5.25(5%)g TPA 3.3g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대기 압력하에 268 내지 381℃에서 31분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을 사용하여 381℃에서 45초동안 가열하여 중합한다. 생서된 중합체는 고유점도를 결정하기 위한 용매중에서 용해되지 않는다. 점착 온도는 220℃이다. 단일 필라멘트는 549m/min의 권취속도로 300 내지 310℃에서 용융물로부터 방사한다.
열처리 주기는
(1) 실온 내지 200℃/2시간+200 내지 304℃/7시간+304℃/7시간
(2) 실온 내지 230℃/2시간+250℃/2시간+270℃/2시간+290℃/10시간이다.
측정된 인장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5
[실시예 Ⅶ]
4-아세톡시벤조산(HBA), 3-메틸-4,4'-디아세톡시벤조페논(MDHB)과 테레프탈산(TPA)의 중합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
중합성분
Figure kpo00016
중합온도
Figure kpo00017
중합체특성
Figure kpo00018
필라멘트 압출
Figure kpo00019
열처리한 필라멘트의 인장특성
Figure kpo00020
MDBH 20몰%를 사용하면 실험 A는 탄성율이 낮은 필라멘트를 생성한다. MDH 16몰%를 사용하면 실험 B는 강력은 약하지만 탄성율은 우수한 필라멘트를 생성한다. MDHB와 DHB로 행한 이 실험과 다른 실험은 약 16몰%의 벤조페논 성분이 만족할만한 인장특성을 산출하는 최대치임을 나타낸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의 단위(Ⅰ),(Ⅱ),(Ⅲ)및 (Ⅳ)로 주로 구성된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위(Ⅰ)이 약 54 내지 70몰%, 단위(Ⅱ)가 약 10 내지 16몰%, 단위(Ⅲ)이 0 내지 약 8몰% 및 단위(Ⅳ)가 단위(Ⅱ) 및 (Ⅲ)의 몰기준으로 동등한 량으로 구성되도록 단위(Ⅰ)성분으로 p-하이드록시벤조산 또는 그의 3-메틸 또는 3-클로로 유도체, 단위(Ⅱ)성분으로 4,4-하이드록시벤조페논 또는 그의 3-메틸 또는 3-클로로 유도체, 단위(Ⅲ)성분으로 하이드로퀴논 및 단위(Ⅳ)성분으로 테레프탈산을 상기한 코폴리에스테르의 단위별 몰비에 상응한 비율로, 바람직하는 5% 과잉의 디아세테이트 형태의 디페놀과 함께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여기에서 상기한 반응은 약 250 내지 380℃ 온도에서 질소대기압 또는 그와 동등한 조건하에서 아세트산이 실질적으로 전량 방출할 때까지 반응시키며, 그리고 이어서 섬유형성 분자량에 이를때까지 0.5 내지 1시간동안 진공하에서 중합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1
    상기식에서, X 및 R은 X가 메틸-일때는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가 클로로-일때는 R은 수소, 또는 클로로-인 것을 조건으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클로로- 이다.
KR1019800003628A 1979-09-17 1980-09-16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860000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800 1979-09-17
US06/076,797 US4232144A (en) 1979-09-17 1979-09-17 Polyester which exhibits anisotropy in the melt containing p-oxybenzoyl units and 4-oxy-3'-carbonylbenzophenone units or methyl and chloro derivatives of said units
US076,797 1979-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531A KR830003531A (ko) 1983-06-21
KR860000268B1 true KR860000268B1 (ko) 1986-03-22

Family

ID=2213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628A KR860000268B1 (ko) 1979-09-17 1980-09-16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232144A (ko)
EP (1) EP0026609B1 (ko)
JP (2) JPS5650922A (ko)
KR (1) KR860000268B1 (ko)
AR (1) AR223241A1 (ko)
AU (1) AU537142B2 (ko)
BR (1) BR8005836A (ko)
CA (1) CA1142686A (ko)
DE (1) DE3067160D1 (ko)
ES (1) ES495136A0 (ko)
IE (1) IE50385B1 (ko)
MX (1) MX1562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232A (en) * 1981-07-07 1982-06-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ptically anisotropic melt forming polyesters
US4410683A (en) * 1981-12-09 1983-10-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omatic, melt-processible (co)polyesters
US4381389A (en) * 1982-07-15 1983-04-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ptically anisotropic melt forming copolyesters
US4399270A (en) * 1982-07-29 1983-08-16 E. I. Du Pont De Nemours & Co. Fiber-forming polyesters of ketodiols
US4398015A (en) * 1982-08-03 1983-08-09 E. 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Fiber-forming polyesters of aromatic ketohydroxy acids
US4500699A (en) * 1984-06-26 1985-02-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ptically anisotropic melt forming copolyesters
US4696995A (en) * 1985-03-06 1987-09-2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carbonates) and blends based on 3-methyl-4-hydroxy-benzoic acid
JPS62260826A (ja) * 1986-05-08 1987-11-13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含塩素芳香族ポリエステル
JPH0385842U (ko) * 1989-12-21 1991-08-30
JP2001500242A (ja) 1996-09-11 2001-01-09 デュポン カナダ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リア層を含有するポリマー多層熱交換器
DE69721016T2 (de) 1996-09-11 2004-01-29 Du Pont Canada Wärmetauscher enthaltend schichten aus flüssigkristallinem polymer
US6379795B1 (en) 1999-01-19 2002-04-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jection moldable conductive aromatic thermoplastic liquid crystalline polymeric compositions
US6364008B1 (en) 1999-01-22 2002-04-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exchanger with tube plates
WO2002029347A2 (en) 2000-10-06 2002-04-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exchanger made from bendable plastic tubing
EP1474838A1 (en) * 2002-02-13 2004-11-10 Dupont Canada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cell separator plates under low shear strain
US20040113129A1 (en) * 2002-07-25 2004-06-17 Waggoner Marion G. Static dissipative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20050082720A1 (en) * 2003-01-23 2005-04-21 Bloom Joy S. Moldings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 powders
CA2538761A1 (en) * 2005-03-08 2006-09-08 Anthony Joseph Cesaroni Method for sealing heat exchanger tubes
US7547849B2 (en) * 2005-06-15 2009-06-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useful in electronic circuitry type applications, patternable using amplified light,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hereto
US8475924B2 (en) 2007-07-09 2013-07-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reating electronic circuitry
US20090017309A1 (en) * 2007-07-09 2009-01-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reating electronic circuitry
US20100193950A1 (en) * 2009-01-30 2010-08-05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fer level, chip scale semiconductor device packaging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435A (en) * 1965-09-01 1970-09-29 Minnesota Mining & Mfg Film-forming aromatic polyketoester polymers and percursors
PH15509A (en) * 1974-05-10 1983-02-03 Du Pont Improvements in an relating to synthetic polyesters
US4083829A (en) * 1976-05-13 1978-04-11 Celanese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thermotropic wholly aromatic polyester
US4067852A (en) * 1976-05-13 1978-01-10 Celanese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thermotropic wholly aromatic polyester containing polybenzoyl units
US4130545A (en) * 1977-09-12 1978-12-19 Celanese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thermotropic wholly aromatic polyester comprising both para-oxybenzoyl and meta-oxybenzoyl moieties
US4313870B1 (en) * 1977-09-21 1996-06-18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polycondensates
US4161470A (en) * 1977-10-20 1979-07-17 Celanese Corporation Polyester of 6-hydroxy-2-naphthoic acid and para-hydroxy benzoic acid capable of readily undergoing melt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92410A (ja) 1989-04-11
EP0026609B1 (en) 1984-03-21
BR8005836A (pt) 1981-03-24
AR223241A1 (es) 1981-07-31
JPH0240683B2 (ko) 1990-09-12
MX156216A (es) 1988-07-26
AU537142B2 (en) 1984-06-07
AU6237380A (en) 1981-03-26
ES8200129A1 (es) 1981-10-16
CA1142686A (en) 1983-03-08
US4232144A (en) 1980-11-04
IE50385B1 (en) 1986-04-16
IE801933L (en) 1981-03-17
JPS5650922A (en) 1981-05-08
EP0026609A1 (en) 1981-04-08
DE3067160D1 (en) 1984-04-26
ES495136A0 (es) 1981-10-16
KR830003531A (ko) 198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268B1 (ko)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US4232143A (en) Polyester which exhibits anisotropy in the melt containing p-oxybenzoyl units and 4,4'-dioxybenzophenone units or methyl and chloro derivatives thereof
US4370466A (en) Optically anisotropic melt forming polyesters
US4383105A (en) Polyimide-esters and filaments
US4269965A (en) Aromatic polyester which forms optically anisotropic melts and filaments thereof
US4664972A (en) Optically anisotropic melt forming aromatic copolyesters based on t-butylhydroquinone
CA1137693A (en) Aromatic polyester and filaments of improved heat strengthening response
US4412058A (en) Aromatic polyesters and high strength filaments thereof
JPH0413444B2 (ko)
CA1178743A (en) Aromatic polyester and filaments
IE52941B1 (en) Aromatic polyester and fila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