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31Y1 - 조립식 막사 - Google Patents
조립식 막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0031Y1 KR860000031Y1 KR2019820008508U KR820008508U KR860000031Y1 KR 860000031 Y1 KR860000031 Y1 KR 860000031Y1 KR 2019820008508 U KR2019820008508 U KR 2019820008508U KR 820008508 U KR820008508 U KR 820008508U KR 860000031 Y1 KR860000031 Y1 KR 8600000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ridge
- roof
- barracks
- prefabrica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원 조립식 막사의 사시도.
제2도는 본원 막사의 골조 구성 상태도.
제3도 1은 본원 막사 4각구조체 기둥의 단면도.
제3도 2는 제2도의 "B"부분과 기초부분의 연결상태를 부분 단면도로 도시한 것임.
제3도 3은 상기 제2도의 C형강 기둥 및 C형강 크로스빔의 접합상태도(제2도의 C부분 상세도).
제3도 4는 본원 막사의 크로스 빔 상호간의 접합상태도 및 릿지빔 받침대의 고정상태도(제2도의 "D"부분상세도).
제4도 1은 종래의 H빔을 릿지빔으로 사용한 경우 그 단면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제4도 2는 상기 릿지빔 설치를 위한 개선된 박공캡 형태 제1안(제2도의 E부분 참조).
제4도 3은 상기 제4도 1의 H빔에서 개선된 릿지빔이 삽설될 개전된 박공캡 형태 제2안.
제5도 1은 본원 막사의 지붕용 마루 부분의 릿지캡 및 릿지빔의 종단면도.
제5도 2는 상기 제5도 1의 릿지빔과 지붕판넬의 연결 접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6도는 지붕판넬과 지붕판넬의 연결 조인트 상태도(제5도 2의 F-F 단면도).
제7도는 본원 막사의 지붕판넬과 벽판넬과의 연결부분의 종단면도.
제7도 1은 지붕판넬의 치마끝에 설치한 물끊기 부재의 부분사시도.
제8도는 본원 막사의 벽체판넬과 바닥조인트 단면상태도.
제9도는 창호 접합상태도.
제10도는 본원 막사의 벽체판넬과 벽체판넬의 접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그림.
제11도는 본원 막사의 벽체판넬과 벽체판넬의 모서리부분을 접합하였을 때의 단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판(판넬의 각) 3 : 루프조이너
5 : 판넬 6 : 요홈
6a : 쐐기(하드보드) 6b : H형 조이너모울드
7 : 기둥(C형강으로된 4각구조체) 9 : 공간
11 : 물끊기부재 14 : 릿지캡
15 : 연결플레이트 16 : 릿지빔
17 : 박공캡 18 : 릿지빔받침대
16', 27' : 볼트공 21 : 리벳트
22 : 벽체판넬 19, 23 : 보강판
24 : 창호프레임 25 : 창틀
26 : 크로스빔 28 : 셋트앙카공
29 : 앙카볼트 30 : 바닥콩크리트
33' : 걸림턱판 34 : 앵글형모울드
33 : 연결관
본 실용신안은 단열·방습용 조립식 막사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의 군용막사로서 조립식막사가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종래의 조립식막사는 각종 접점, 연결부분에 습기 또는 물이 고이거나낙 하되기 쉬운 부분에 결함이 있어 시간이 경과되면 습기에 의한 부식은 물론 내구도 또한 열등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으므로 이들 결함을 보완하고 특히 우기에 누수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며 또한 조립식 이면서도 반 영구적인 내구도를 가질 수 있고 형강류 동의 철제만을 사용함에 따른 과다한 하중과 불필요한 허용공간을 줄이고져 본 고안을 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본 실용신안의 구성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원 조립식막사의 사시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조립식막사의 골조의 구성 상태도이다.
본원 막사는 대별하여 벽체, 지붕, 보 등으로 구성되고 지붕은 첨부도면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판넬(22) 상에 박공캡(17)에 의해 방습·단열용 판넬을 폭 방향으로 연결한 것으로 구성되며 이 판넬을 얹기 위한 지붕의 골격으로서의 용마루(16)와 용마루 지주 및 상술한 제구성체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본원 조립 막사의 구성을 보다 알기쉽게 설명하기 위해 시공 순서를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에 고정된 벽체판넬을 조립시공한 다음 기둥 및 빔을 조립시공하며, 다음 박공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박공캡 및 릿지빔을 설치한다. 그 다음에는 지붕판넬을 얹어 벽체판넬과 지붕판넬, 지붕판넬과 릿지빔에 각각 볼트로 조여 고정시킨다.
본원 막사의 기둥을 경량화하고 간편히 설치하기 위하여 강판을 C형 찬넬로 구부리고 가공하여 제3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 양단을 서로 맞대어 용접하면 상기 기둥의 단면에 있어 공간(9)이 내부에 형성된 4각 구조체(7)가 만들어지고 단면이 4각 구조체로 된 이 수직의 지주 및 이에 연접된 벽체판넬을 제2도의 "B"부분과 기초부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인 제3도 2 및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2)와 보강판(19)을 이용하여 볼트체결에 의하여 건물 기초인 바닥콘크리트에 고정되고 한편으로는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콘크리트 몰탈(31) 및 콘크리트기초(30)속에 깊히 침하 고정시키도록 한 앙카볼트(29)를 사용하여 고정·지지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지주(7)의 하부는 제3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구조체(7)는 그 상·하부가 지붕판넬에 고정되도록 상기 구조체(7)에 연접되어 있는(제3도 1참조) 벽체판넬(22)에 앵글덧판(4)을 상호연결하여 고정되도록 제7도에서와 같이 역시 고정볼트(27)를 체결한다.
제3도 3은 제2도의 부분상세도로서 상술한 4각구조체 지주(7) 및 크로스빔(26)의 접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술한 4각 구조체와 양면을 절단하고 용접한후 볼트구멍(27')을 천공한 철판으로 된 걸림턱판(33')과 크로스빔(26)과를 볼트 체결하여 상기 연결판(33)을 가운데로하여 상기 기둥(7)과 크로스빔(26)을 일체로 만드는 것이다.
제3도 4는 상기 크로스빔(26)상호간의 접합 및 릿지빔받침대의 고정상태도로서 제2도의 D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제3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빔(26) 상호간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크로스빔(26) 양단부에 철판으로 만든 걸림턱판(33')을 덧대어 용접시공한 후 이 걸림턱판(33')에 철판절곡물로된 벌어진 ㄷ자형의 릿지받침대(18)의 양단면을 걸림턱판(33')의 면과 용접 고정시키고 그 위에 릿지빔(16)을 엊어 겹치도록하고 볼트로 고정시킨 구조로 된 것을 얹도록 되어 있다.
제4도, 1은 제2도의 "E"부분이 사용되는 각각 종래의 H-빔이고, 제4도2, 제4도3은 본원 박공캡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빔은 H-빔으로 가장 간단하고 흔히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였으나 상기 H-빔과 접속된 부분의 불완전 성등으로 습기침투(투수등)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원의 경우에는 제4도 2에서와 같이 제2도의 "E"부분에 사용되는 릿지빔(16)의 조립공정을 위하여 상기 릿지빔(16)을 받아 수용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부중앙부에 흠과 턱이 형성된 박공캡(17)을 벽체(22)에 삽설하고, 상기 릿지빔의 양단 플렌지(16')는 제4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을 천공하고 이 볼트(27)로서 제 5도 1에서와 같이 지붕판넬(1)의 직하면에 고착시키고 하부 홈부분에도 받침대(18)과 같이 볼트구멍을 뚫어 이 볼트(27)에 의하여 릿지빔(16) 및 받침대(18)가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제5도 1 및 제5도 2는 상술한 본원 막사의 지붕 용마루부분의 릿지캡 및 릿지빔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릿지캡(14) 및 릿지빔(16)이 설치된 부분은 경사진 지붕이 상호 대칭되어 만나서 접속되는 부분이므로 그 위에 제5도 1 및 제5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릿지캡(14)의 양단 플렌지 부분을 리벳팅(21)에 의해 견고히 하여 지붕판넬금속판(1)에 고착시킨다.
제6도는 지붕판넬과 지붕판넬의 연결조인트 상태도로서 지붕판넬하단에는 외관이 미려함과 강성유지를 위해 판넬 상호간에 H형 조이너모울드(6b)를 삽입하고 지붕판넬의 중간부에는 더욱더 강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쐐기(하드보드)(6a)를 삽입고정 시킨다. 또한 지붕판넬의 상부에는 누수방지를 목적으로 역시 지붕판넬 상호간의 판넬의 각의 철판을 약 30㎜정도로 접어올리고형의 루프조이너(3)를 상기 판넬의 이음부위에 덮어 씌우고 그 양단 플렌지부분은 상술한 안으로 구부러 접혀진 판넬의 각의 철편과 연접시키고 볼트 구멍을 리벳팅 하였다.
제7도는 지붕판넬과 벽체판넬의 접합상태도를 부분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부분은 예로서 제2도의 C부분 및 바깥 연장부의 위치에 해당되는 곳으로서 벽체판넬(22)을 세워 시공후 인코너 및 아웃코너 덧댐용앵글(4)을 이 벽체판넬(22)에 부착하고 볼트(27)로 체결하므로써 벽체판넬(22)과 지붕판넬(1)을 조립고정 시킨다. 또한 제7도 1은 지붕판넬의 처마끝에 부착하여 빗물등의 낙수를 처리하는 물끊기부재(11)이다. 이 물끊기부재(11)는 하부에 턱을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제10도는 벽체판넬과 벽체판넬의 접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용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방이 있을 때 또는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을때 두께가 각기 다른 판넬로 시공할때의 판넬의 조립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벽체판넬과 벽체판넬의 모서리부분의 접합상태도이다. 각 모서리에는 공히 약 45°의 단부경사를 가진 판넬로 절단하여 서로 붙여 잇고 그 안 밖의 모서리 부분에는 앵글(34)을 덧대어 협착시키므로써 외부로부터의 응력이 가해질때 힘의 질중을 분산시키도록 하였다.
제9도는 벽체판넬에 창문을 삽입한 것을 나타낸 부분단면도로서 본원 창호 프레임은 ㄷ자 형식으로 이루어져 판넬에 끼워 설치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즉, 우선 하단벽체판넬을 설치하고 옆벽체판넬 및 한단벽체판넬이 창호프레임(24)을 끼워넣고, 상부 판넬을 끼우며 마지막으로 하부면을 제외한 프레임 3면에 방수제인 실리콘을 코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원 조립막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 조립식막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량이면서 견고하고 작업이 신속,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방습·방수·방열을 아울러 기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벽체판넬, 지붕판넬등의 구조체를 지지고정키 위해 강판을 그 단부가 안으로 접어들게 하고 C형찬넬로 구부리도록하여 "" 형으로 성형하고 이 형태를 열린 부분으로 마주보도록 접하게 하므로써 내부가 빈 공간(9)으로 되는 외연이 사각형으로 되는 수직의 사각 구조체로 된 강성을 가진 금속판구조물 등으로 되는 지주(7)를 형성케하여 경량화를 기하고 또한 이 지주는 제3도 1 및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주위를 베이스플레이트(2)에 용접시키고 이 베이스플레이트 및 덧댐용 보강판(23)은 기초 바닥 콘크리트에 깊이 침하되어 있는 앙카볼트(29)에 의하여 지지고정 되므로써 상기 중량을 가진 지주(7)가 흔들리거나 넘어짐을 방지한다.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9)의 하부 플렌지는 앙카볼트(29)에 의하여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측면 플렌지는 벽체판넬(22)의 단면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4각구조체의 지주(7)에 연접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벽체판넬(22)의 상부도 역시 앵글덧판(4) 및 지주관통볼트에 의해 지붕판넬과 연락되어 조립 고정된다. 따라서 본원 조립막사의 외부 측벽은 모두 벽체판넬(22)로 둘러싸여 있으나 이 벽체판넬(22)이 접한 실내쪽으로는 제2도 및 제3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지주(7)가 수직으로 골조를 이루고 있어 강풍등이나 외부충격에 의한 벽체판넬 전체의 도괴 또는 전면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다음,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7)와 연결되는 크로스빔(26)은 지붕골조를 이루기 위하여 지붕의 경사와 같은 각도를 이루고 상기 크로스빔(26)과 수직으로 세운 지주(7)는 제3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의 관계로 되어 볼트고정되는 연결판(33)으로 연결고정되고 상기 크로스빔(26)은 제2도의 D위치에서 제3도 4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릿지빔(16)을 크로스빔과 직각 방향으로 교차 조립시키기 위하여 부호 32위치에서 금속판(33')을 양 크로스빔에 면하여 용접시키고(용접선 : 32)이 금속판제 걸림턱판(33')에 역시 릿지빔받침대(18)의 안쪽면(32')을 면 용접시켜서 릿지받침대(18)를 상기 금속판제 걸림턱판(33')에 용접부착토록 하므로써 "" 형으로 된 상기 릿지받침대(18)의 내면에 맞도록한 릿지빔(16)을 여기에 삽설하고 이 릿지빔(16)의 양단 플렌지(16')에는 볼트구멍(27')을 뚫어 제5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지붕의 판넬(1)(5)에 볼트(27)에 의하여고정되어 걸려지도록 하므로써 릿지빔(16)의 중량이 지붕판넬(1)(5)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5도 1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상술한 릿지빔(16)의 구조에 의하여 만일의 경우 누수가 되는 일이있다. 하더라도 릿지빔(16) 내부 홈에 낙하되고 그대로 증기로 증발되므로써 실내로 누수되거나 습기화 되지 않게되고 또한 실내에서 천정을 쳐다보더라도 종전과 같은 H형강을 누인 것처럼 미관상 보기흉한 것을 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제3도 4에서와 같이 크로스빔(26)과 릿지빔(16)의 교차조립을 걸림턱판(33') 및 릿지빔받침대(18)에 의하여 행하는 것과 같은 요령으로 제2도의 "E" 위치에서 상기 릿지빔(16)을 제4도 3에서 도시된 바의 박공캡(17) 및 릿지빔받침대(18)를 이용하여 벽체판넬(22)에 걸어 연결한다. 상기 박공캡(17)은 제4도3의 본원 박공캡의 형태 외에도 제4도 2와 같은 형태로도 가능하며 역시 릿지빔 받침대(18)의 내면 홈에 맞는 릿지빔(16)을 삽입하여 얹고 이 릿지빔받침대(18)는 제5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 플렌지(16')가 지붕의 판넬체와 볼트로 고정되도록 되어있어 지붕판넬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술한 크로스빔(26)위에 얹어진 지붕판넬은 제5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막사의 정점부분인 릿지부에서 쐐기형의 틈(13)이 벌어지게 되고(이 틈에는 폴리스티렌 품등의 재료를 충전한다) 따라서 습기가 차거나 누수가 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 틈(13)의 상·하로 전술한 바의 릿지캡(14) 및 릿지빔(16)을 설치하므로써 2중으로 누수, 습기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우기 본원 막사의 경우 릿지캡(14)의 양단 플렌지에는 접착제에 의한 시멘팅을 한 후 그 플렌지는 경사진 지붕의 각도를 가지고 리벳팅되어 있으므로 누수, 기타 습기침투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막사에 의하여 지붕을 통해 낙하된 빗물이나 기타 물방울등은 제7도 및 제7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붕에서 그대로 흘러내리고 또한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지붕판넬의 처마끝에 부착되어 있는 물끊기부재(11)의 물받이홈(12)를 통해 고여서 지붕판넬등에 흡수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한 지붕판넬의 중간부분 즉, 제5도 2의 F-F선으로 자른 단면도인 제6도의 판넬과 판넬의 이음부도 역시 루프조이너(3)에 의해 덮고 그 측면부 안쪽은 지붕판넬의 금속판(1)의 단부를 꼬부려 넣어 상기 루프조이너와의 중첩부분을 만들고 리벳팅(21)하여 역시 방수·방습의 효과를 거두게 하였다.
본원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조립식 막사의 부품을 경량의 구조물을 사용하고 바닥기초와 지주 또는 벽체의 고정, 벽체 및 용마루 또는 크로스빔등의 연결을 용이하고도 저렴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한 구조로 하고 특히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판넬이음부(2)를 덮고 양단을 꼬부리면서 판넬에 밀착시켜 수분침투를 방지토록 한 루프조이너(3), 보를 지지한 ㄷ자형으로된 찬넬을 합쳐 용접 하여서 만든 사각형의 구조체(7), 지붕 이음부(13)위에 시멘팅한 외에도 양 플렌지(15)를 판넬(5)에 밀착, 볼트 체결하여 덧은 릿지캡(14) 및 지붕 이음부(13) 및에 플렌지를 밀착, 볼트체결하여 설치한 릿지빔(16) 및 물끊기부재(11)등의 방습구조에 의하여 방습의 철저를 기하고 또한 시공완료된 창문에 빗물이 침투되더라도 프레임 각면에 빗물 유출구멍이 뚫어져 있으므로 다시 외부로 누수되도록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폴리스티렌층을 내장한 경량의 판넬재(1)를 사용하여 지붕, 보, 벽체 등을 구성케 하므로써 방습·단열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지붕의 릿지캡(14) 및 릿지빔(16)이 설치된 부분은 경사진 지붕이 상호 대칭되어 만나서 접속되는 부분이므로 접속부분으로서의 그 지붕이음부(13)부분에는 습기나 빗물이 침투하기 쉽고 따라서 산화 부식되기 쉬운 곳이므로 종전의 막사의 경우 단순히 접착제로 시멘팅하여 사용하여 오던것을 본원 막사의 경우 접착제에 의한 시멘팅외에도 릿지캡(14)을 시멘팅된 부분위에 씌우고 상기 릿지캡(14)의 리벳팅(21)에 의해 견고히 하여 지붕의 판넬(5)에 고착시키므로써 비가 오거나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지붕의 접속부 틈서리에 침투되는 것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릿지빔(16)을 판넬(5)의 하단 지붕이음부(13) 주위에 밀착시키고 볼트체결하여 견고히 고착시키므로써 역시 막사 내부로부터의 습기 침투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누수 수분침투 방지를 위한 구성으로 된 본원 조립식 막사는 또한 방풍 효과도 아울러 기할 수 있고 의기로 부터의 냉·온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으며 누수·수분침투의 방지와 온도변화의 극수화로 부식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도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 판넬지붕 및 지주, 용마루, 벽체등으로 구성조립되며 지붕 구조체가 내부 공간이 형성된 4각구조체의 지주(7)로 지지되고 판넬이음부는 조이너루우프(3)가 설치된 조립식 막사에 있어서, 지주(7)에 의해 크로스빔(26)과 릿지밈(16)이 지지되며 크로스빔(26)의 양단 걸림턱판(33')에 용접 고정시키도록한 릿지빔받침대(18) 및 벽체(22)에 삽입설치되게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부중앙에 홈과 턱이 형성된 박공캡(17)에 의해 릿지빔(16)이 연결조립되고 지붕 판넬의 추녀끝에는 하부에 턱을 형성한 물끊기부재(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막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8508U KR860000031Y1 (ko) | 1982-10-28 | 1982-10-28 | 조립식 막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8508U KR860000031Y1 (ko) | 1982-10-28 | 1982-10-28 | 조립식 막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2092U KR840002092U (ko) | 1984-05-28 |
KR860000031Y1 true KR860000031Y1 (ko) | 1986-01-30 |
Family
ID=7214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20008508U KR860000031Y1 (ko) | 1982-10-28 | 1982-10-28 | 조립식 막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60000031Y1 (ko) |
-
1982
- 1982-10-28 KR KR2019820008508U patent/KR860000031Y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2092U (ko) | 198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11109A (en) | Beam-braced awning | |
US4809480A (en) | Building meta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
US4596100A (en) | Building construction | |
US7559175B2 (en) | Constructive disposition used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KR860000031Y1 (ko) | 조립식 막사 | |
JP3570594B2 (ja) | 矢切パネルの取付構造 | |
JPH06185121A (ja) | 組立式ユニットハウス及びその施工方法 | |
JP2003049484A (ja) | 木造住宅の建築方法 | |
KR0125099Y1 (ko) | 천막용 조립식 파이프 골조 | |
JPH10325180A (ja) | 建物の屋根構造 | |
JPH0623622Y2 (ja) | ド−マの取付構造 | |
JP3027711B2 (ja) | 妻壁パネル | |
JPH10102664A (ja) | 独立小屋束 | |
JP2688306B2 (ja) | 屋根の軒天井 | |
JPH032563Y2 (ko) | ||
JPH0426570Y2 (ko) | ||
JPS647135Y2 (ko) | ||
JPH0318563Y2 (ko) | ||
JP2552776B2 (ja) | ユニット住宅の屋根 | |
JPS5854495Y2 (ja) | 組立家屋における梁と母屋の接続構造 | |
JP2593062Y2 (ja) | 樋付きバルコニー | |
JPH11293838A (ja) | ユニット式建物のルーフバルコニ | |
JPS631682Y2 (ko) | ||
JPH0133684Y2 (ko) | ||
JPH0335785Y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