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755Y1 -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755Y1
KR850002755Y1 KR2019840000623U KR840000623U KR850002755Y1 KR 850002755 Y1 KR850002755 Y1 KR 850002755Y1 KR 2019840000623 U KR2019840000623 U KR 2019840000623U KR 840000623 U KR840000623 U KR 840000623U KR 850002755 Y1 KR850002755 Y1 KR 850002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ontrol
transistor
control circuit
terminal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981U (ko
Inventor
오하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0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755Y1/ko
Publication of KR850005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55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회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P.C부 실시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점 파형도.
제4도는 제2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블럭 P.C : 위상제어회로 1 : 블로워(Blower)모우터
2 : 히타 3 : 타이머
본 고안은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100V 또는 220V 전압에 대하여 히타가 동일한 열량을 낼 수 있도록 한 100/200V 겸용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100/200V 겸용 기기의 경우, 트랜스를 사용하여 왔으나, 의류 건조기등과 같이 대용량 기기의 경우에는 트랜스의 규격이나 중량에 문제가 될 뿐더러, 변압기 자체에서의 열 손실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트랜스 사용으로 인한 결점을 보완코자 근래에제 안되었던 바는 트랜스가 없이 히타나 모우터의 권선을 직병렬 화시키는 회로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직병렬회로에 의해 100/200V 겸용이 되는 것으로서 가정용 전압 100V일때는 110V회로에 110V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열효율면에서 자하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소시키고자, 트랜스를 사용치 않고서도 100V 또는 220V전압에 대하여 항상 동일한 열량을 낼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상제어로서의 100/200V 겸용 회로를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이 100/200V 전원 절환 스위치(S/W1)의 단자(S1)에는 직접 히타(2)에 연결하고, 단자(S1')에는 위상제어회로(P.C)를 통하여 히타(2)에 연결한다. 그리고, 단자(S2, S3) 또는 (S2', S3')에는 블로원 모우터(1)를 연결하되, 권선(L1, L2)이 직렬 또는 병렬로 되도록 결선하여, 통상의 타이머(3)등과 함께 구성되는 것으로서(상기 단자(S1, S2, S3)는 100V 절환단자이고, 단자(S1', S2',S3')는 220V 절환 단자이다), 상기 본 고안의 요부인 위상제어회로(P.C)의 실질적인 일실시예의 구성은 제2도에서와 같이 전원단 전압(Vin)과 기준 설정전압(Vcc)을 비교하는 비교부(4)에 J-K플립플롭(F/G)의 클럭단자(CLK)를 연결하고, 이의 출력단(Q)은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이의 콜렉터측은 콘덴서(C1)를 거체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연결시키고,상기 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에는 실리콘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드라이브용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SW2는 히타 강약 조절 스위치이고, R1~R4는 분압용 저항이며, R5~R11은 바이어스 저항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100V 입력시에는 전원전압 절환 스위치(SW1)가 접점(S1, S1, S3)으로 절환되어, 블로워 모우터(1)의 권선(L1, L2)은 병렬로 결선이 되며, 히타(2)에는 위상제어회로(P.C)를 통하지 않고 직접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전원 전압이 220V인 경우에는 스위치(SW1)가 접점(S1', S2',S3')으로 절환되어 블로워 모우터(1)의 권선(L1, L2)은 직렬로 결선되며, 히타(2)에는 220V 전압이 위상제어회로(P.C)를 통하여 가회진다.
그러면, 전원 전압이 220V인 경우에 있어서, 100V시와 동일한 출력을 얻게되는 위상제어 동작을 제3도의 파형도와 견주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220V가 인가될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상제어회로(P.C)를 통하여 히타(2)에 공급되는 것인데, 이러한 220V의 전원 전압(Vin)은 비교부(4)에 가해진다. 이를 R2/(R1+R2)의 비로 강하시켜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하면, R4/(R3+R4)의 비로 강하된 기준전압(Vcc)과 비교되므로 비교기(OP)의 출력(C)점은 Vin×R2/(R1+R2)가 Vcc×R4/(R3+R4)보다 큰 구간(위상각이 α라면 2nπ+α~(2n+1)π-α), 여기서 n은 0 또는 자연수)에서 비교기(OP)의 출력(C점 파형)이 High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플립플롭(F/F)은 펄스 상승부(rising edge)에서 동작하여 d점 파형을 만든후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가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T1)를 통하여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 입력시키는 신호등작을 보면, 플립플롭(F/F)의 출력이 Low일대 트랜지스터(T1)는 OFF되고, 콘덴서(C1)는 비충전 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T2)는 ON되며, 트랜지스터(T3)가 OFF되므로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다가 플립플롭(F/F)의 출력(d점 파형)이 High로 되는 순간(α) 트랜지스터(T1)가 ON되며, 트랜지스터(T2)는 OFF가 되어 트랜지스터(T3)가 ON되므로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정에 전류가 흘러 220V의 전원 전압이 α시점에서 히타(2)에 인가된다.
한편, 시각β에서 콘덴서(C1)가 충전을 완료하면 트랜지스터(T2)가 ON으로 되고, 트랜지스터(T3)가 OFF되므로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 트리거펄스(e점 파형)로서 가해지게 된다. 이후, 플립플롭(F/F)의 출력이 시점(2π+α)에서 Low로 되어 트랜지스터(T1)가 OFF되면 콘덴서는 저항(R5, R6)을 통하여 방전을 하나 트랜지스터(T2)는 ON상태를 유지하여 실리콘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키고 있다가 플립플롭(F/F)의 출력(d점)이 다시 High로 되는 시점(4π+α)에서 트랜지스터(T2)가 OFF되고, 트랜지스터(T3)과 ON되어 다시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 트리거펄스를 인가하게 되므로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를 통하여 회타(2)에 인가되는 전원은 B점(빗금친부분) 파형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위상제어로서 회타(2)에 가해지는 전압의 실효치는
와 같이 주어지므로 220V 전원에 대하여 100V 경우와 동일한 열량을 낼수 있도록하려면, 상기 식(A)의 값이 100으로 되는 위상 제어각 α를 설정하면 되는 것인데, 식(A)이 100이 되는 α의 값은 1[rad]이 되므로 최대값이 220V인 전압에서는 261.8V(=220sin-11)로 된다.
따라서, 저항(R1), (R2)을 설정하여 a점의 최대값 전위가 261.8V가 되도록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또 다른 실시예인 제4도를 보면, 제2도와 비교할 때 비교부(4')의 상태가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 구성인데, 이는 플립플롭(F/F)의 출력단(혹은 클롭입력단)에 RC지연회로(5)를 결합하여 그시정수는 220V 전원인가시 0에서 261.8V까지 상승하는 시간, 다시말하면, 위상 0에서 1[rad]에 해당하는 전압까지 상승하는 시간 즉, 1/60×2π(=2,653)[ms]로 하면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의 게이트에 흐르는 전류는 제3도에서와 동일한 시각(α, 4π+α, 8πα, …)에서 트리거펄스가 가해진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공안에 있어서는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트랜스 자체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없으며, 의류 건조기등 대용량 기기에 있어서도 경량화를 꾀할 수 있고, 트랜스를 사용치 않고 직병렬에 의한 100/200V 겸용회로에 비하여도, 220V 전원에서도 110V가 아닌 100V를 인가하므로 열효율면에서 크게 향상되는 등 유익한 특징을 지닌 것이라 하겠다.

Claims (3)

  1. 전원 단에 연결된 전원 절환스위치(SW1)를 통하여 타이머(3), 히타(2) 및 블로워 모우터(1)등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히타(2)는 전환 스위치(SW1)의 100V단자(S1)에 직접 연결하는 한편 위상제어 회로(P.C)를 거쳐 220V 단자(S1')에 연결하며, 상기 블로워 모우터(1)는 권선(L1, L2)이 직렬 또는 병렬로 결산되도록 절환 스위치(SW2)의 220V 단자 (S2', S3') 또는 110V 단자 (S2, S3)에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00/200V 겸용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제어 회로(P.C)는 저항(R1~R4) 및 비교기(OP)로 되는 비교부(4), 2분주 소자로서의 플립플롭(F/F), 트랜지스터(T1, T2, T3) 및 콘덴서(C1)등으로 구성되는 트리거 펄스 발생부, 그리고 원쇼트 트리거 소자로 제어되는 SCR을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
  3. 제1항에 있어서, 위상제어 회로(P.C)는 저항(R1, R2) 및 비교기(OP)로 되는 제로 크로싱 동작의 비교부(4'), 2분주소자로서의 플립플롭(F/F), 지연부(5), 트랜지스터(T1, T2, T3) 및 콘덴서(C1)등으로 된 트리거 펄스 발생부, 그리고 원쇼트 트리거 소자를 제어되는 SCR을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
KR2019840000623U 1984-01-26 1984-01-26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KR850002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623U KR850002755Y1 (ko) 1984-01-26 1984-01-26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623U KR850002755Y1 (ko) 1984-01-26 1984-01-26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81U KR850005981U (ko) 1985-08-31
KR850002755Y1 true KR850002755Y1 (ko) 1985-11-21

Family

ID=1923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623U KR850002755Y1 (ko) 1984-01-26 1984-01-26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633B1 (ko) * 2001-03-29 2006-06-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633B1 (ko) * 2001-03-29 2006-06-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81U (ko) 198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89060A (en) Phase controlled regulator
JPH0732592B2 (ja) 直流電圧形成回路
US4144751A (en) Square wave signal generator
KR850002755Y1 (ko) 100/220v겸용 의류 건조기
RU2198483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хема для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JP2823962B2 (ja) 直流モータの速度制御回路
US4574230A (en) Phase-regulated switching circuit
JPH0240955Y2 (ko)
US5041960A (en) Frequency doubler and/or self-oscillating inverter
JPS5625389A (en) Starting control circuit for single-phase induction motor
NO834550L (no) Energisparekobling
JPS6349875B2 (ko)
KR890004859Y1 (ko) 전원 제어 회로
JP2583908B2 (ja) 直流モーター駆動回路
JPH0722872Y2 (ja) アレスタエ−ジング回路
SU1697135A1 (ru) Ре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323804Y2 (ko)
JP3413547B2 (ja) 電磁機器の電源供給装置
JPS60215220A (ja) 電気機器用回路装置
JPH0248886Y2 (ko)
JPS5541552A (e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adjusting unit
SU762146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яжепия 1
JPS60148505A (ja) ヘア−ドライヤ
SU1527625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
KR870001301Y1 (ko) 전원전압절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