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272Y1 - 전동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동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272Y1
KR850002272Y1 KR2019820000704U KR820000704U KR850002272Y1 KR 850002272 Y1 KR850002272 Y1 KR 850002272Y1 KR 2019820000704 U KR2019820000704 U KR 2019820000704U KR 820000704 U KR820000704 U KR 820000704U KR 850002272 Y1 KR850002272 Y1 KR 850002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ransistor
electric motor
rot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0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397U (ko
Inventor
토시오 다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2019820000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272Y1/ko
Publication of KR830003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02P1/2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기 구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동기 3 : 제1의 스위치
4 : 제2의 스위치 5 : 회전 제어 회로
6, 7 : 제1 및 제2의 플립플롭 Q1-Q4: 제1 제4트랜지스터
C1-C5: 콘덴서 R1-R8: 저항
본 고안은 전동기의 회전방향 및 운전 정지 제어가 가능한 전동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전동기구동 회로는 종래부터 여러가지 구성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릴레이 또는 전자개폐기를 전도기의 회전방향이나 운전정지용의 제어스위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우는 전자개폐기 등의 설치 공간이 필요해지고, 또한 기계식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전자개폐기 등이 작동하는 데에 따라 잡음을 발생하는 동시에 불꽃 등에 의한 전기적 잡음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또, 전자개폐기등은 일반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전원으로 부터의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1의 스위치와 역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는 제2의 스위치를 전동기의 회전 방향이나 운전, 정지의 제어가 가능한 회전제어 회로에 접속하고, 이 회전제어회로가 전동기의 회전등을 상기 제1의 스위치의 제어로 정방향회전 및 정지시키고, 상기 제2의 스위치의 제어트 역회전 시키도록 전자회로로 구성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설치공간을 감소하고, 또 제품가격의 경감을 꾀한 전동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 구동회로의 회로도가 도시된다. 이 도면에서 부호(1)는 전원, (2)는 정방향 회전 또는 역회전을 전기적으로 할 수 있는 전동기(예를 들면 직류전동기), (3)은 전원(1)으로 부터의 전력을 공급, 차단하는 제어를 하는 제1의 스위치, (4)는 전동기(2)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는 제2의 스위치, (5)는 상기 각 제어에 의하여 전동기 (2)를 정방향회전 및 역방향회전등 회전제어가 가능한 회전제어회로로서의 제어회로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접속된다. 제어회로(5)에는 그 단자 PV, PE에전원(1)이 접속되고, 또 단자 P1a, P1b에 제1의 스위치 (3)의 양단이 접속되는 동시에 단자 P2a, P2b에 제2의 스위치(4)의 양단이 접속되고, 또 단자 P0a, P0b에 전동기(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5)는 제1 및 제2의 플립플롭(6) 및 (7)로 구성되고, 이 제어회로(5)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의 플립플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Q1, Q2가각 에미터를 공통으로 단자 P1b에 접속되고, 또 이 제1트랜 지스터 Q1의 베이스가 저항 R1을 개재하여 상기 에미터에 접속되고, 제2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가 저항 R2를 개재하여 상기 에미터에 접속된다. 또 제1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가 저항 R3를 개재하여 제2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에 제2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가 저항 R4를 개재하여 제1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그리하여 제2의 플립플롭(7)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 Q1및 Q2는 역극성 NPN 형의 제3 및 제4의 트랜지스터의 각 에미터가 공통으로 접지된다. 그리고, 제3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저항 R5및 콘덴서 C1으로 구성되는 병렬회로를 개재하여 접지되는 동시에 제4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가 콘덴서 C2및 저항 R9의 병렬회로를 개재하여 접지된다. 또 제3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저항 R7을 개재하여 제4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에, 제4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가 저항 R6를 개재하여 제3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상기 제1의 플립플롭(6)과 상기 제2의 플립플롭(7)과의 접속은 제1 및 제3트랜지스터 Q1및 Q3의 콜렉터 끼리를 접속하고, 제2 및 제4 트랜지스터 Q2및 Q4의 콜렉터 끼리를 접속해서 달성한다. 이들의 양 접속점중에 제2의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는 저항 R8을 개재하여 단자 P0b에 접속되고, 다른 접속점은 단자 P0b에 접속된다.
또, 이 단자는 P0a, P0b는 콘덴서 C3, C4를 개재하여 접지된다. 이밖에 콘덴서 C5는 단자 P1b와 어어드(earth) 사이에 접속되어서 제1의 스위치(3)의 채터링등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또 제2의 스위치(4)로 부터의 제어를 취입하는 단자 P2a는 제4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단자 P2b는 접지된다. 단자 P1a는 이 실시예에서는 단자 PV에 접속되고 단자PE는 접지 된다. 제1의 스위치(3)는 전원(1)으로 부터의 전력의 공급, 차단을 직접 실시하도록 한 것이나. 물론 이 스위치(3)의 제어를 받어서 단속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들면 릴레이와 같은 것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전력의 공급·차단을 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전동기 구동회로의 작용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아트(time chart)이고, 각 횡축을 시간 t를 도시하고, 각 종축은 이들에게 붙여진 부호의 동일부호를 붙인 제1도의 각부의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즉 부호 S은 제1의 스위치(3)의 온·오프(on.off)를, 부호 S2는 제2의 스위치(4)의 온·오프를, 부호 S3는 제4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위를, 부호 S4는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위를, 부호 R는 전동기(2)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또, 상기 각 부호의 신호의 상태는 각 종축에 기재된 글자와 같이 된다.
여기에서 제1의 스위치(3)를 온 했을 때에 제2의 플립플롭 (7)의 제4트랜지스터 Q4가 온이 되도록 각 회로 정수를 정해 놓기로 한다.
우선 시간 t1에서 제1의 스위치(3)가 온되면, 제4 트랜지스터 Q4가 온하고, 제1트랜지스터 Q1도 온되기 때문에 전동기(2)는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도 기간 t-t2참조) 다음에 시간 t2에서 제2의 스위치(4)가 온되면 제4 트랜지스터 Q4가 오프하고, 제1트랜지스터 Q1도 오프되기 때문에 제3 트랜지스터 Q3가 온하게되어 제2 트랜지스터 Q2도 온되어 전동기(2)가 역회전한다.
(제2도 기간 t2-t3). 제2의 스위치(4)가 오프되어도 제2의 플립플롭(7)의 제3트랜지스터 Q3가 온을 계속한다. 제1의 스위치(3)가 시간t3에서 오프하면 회로전원이 절단되어 제1 및 제2의 플립플롭(6), (7) 및 전동기 (2)는 정지한다.
이제 제1도의 회로 동작을 제2도와 관련하여 좀더 설명하면, 먼저 시간 t1전에, 즉 시동 단계 전에 스위치(3)(4)가 OFF되고, 콘덴서 C1및 C3가 완전히 방전되었다고 가정하자. 또한 Q1=Q2, Q3=Q4, R3=R4, R1=R2, R7=R6, R5=R7및 C1>C2라 가정하자.
스위치 S1이 시간 t1에서 변온된다(제2도). 그 다음,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저항 R1, R3및 R7을 통해 전원(1)에 의해 바이아스 된다.
동시에,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가 저항 R2, R4및 R5을 통해 전압 Vcc에 의해 바이아스된다. 이경우, C1>C2, 또는 TC1>TC2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4는 트랜지스터 Q3가 도통성이 되기전에 턴온된다. 따라서, 시간 t1후 즉시, 트랜지스터 Q4및 Q3는 각각 도통성이 되고 비도통성이 된다. Q4가 주어진 전위 S4로 바이아스 된다(제2도 S4참조).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전위 S3가 시간 t1이후 즉각 순간적으로 상승하지만, 전위 S4는 서서히 하강할 것이다. (제2도 S4참조). ON 트랜지스터Q4가 저항 R3을 통해 트랜지스터 Q1를 바이아스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 Q1이 턴온 된다.
트랜지스터 Q1이 도통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2가 차단된다. 따라서 순방향 구동전류가 트랜지스터 Q1, Q4및 전동기 (2)를 흐르고 전동기 (2)는 시계방향으로 즉 순방향으로 회전한다(제2도 R 참조).
전동기(2)가 주어진 동작을 마친후, 스위치(4)가 시간t2에서 순간적으로 턴온된다(제2도 S2참조). 스위치(4)가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를 회로접지하여 단락회로로 만든다. 그러므로, 베이스 전위 S3가 접지전위로 하강하고 (제2도 S3참조).
트랜지스터 Q4가 차단된다. 그 다음, 구동 전류는 O로 되고(제2도 R 참조), 콘덴서 C1가 저항 R7을 통해 충전된다. 시간 t2후에,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위 S4가 콘덴서 C1이 충전됨에 따라 상승한다(제2도 S4참조). 전위 S3가 주어진 임계 전위까지 도달하면, 트랜지스터 Q3가 턴온 된다. 그리고나서, 트랜지스터 Q2가 도통된 트랜지스터 Q3에 의해 저항 R4을 통해 바이아스되어, 도통성이 된다. 따라서, 역전 구동 전류가 트랜지스터 Q2, Q3및 전동기(2)를 통해흘러서 전동기 (2)는 반시계 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전한다(제2도 R 참조).
전동기(2)의 역회전 동작이 끝난후, 스위치(3)가 시간 t3에서 턴 오프된다(제2도 S1). 그 다음, 역방향 구동전류가 O로 되고(제2도 R), 전동기 구동회로(5)용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상이 일련의 동작설명이나 본 고안은 콘델서 C1에 의하여 제1의 스위치(3)가 온했을 때에 반드시 제4 트랜지스터 Q4가 온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방향으로의 회전에서 출발하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의 스위치에 의한 지령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서 전동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의 스위치에 의한 지령으로 역회전하고, 제1의 스위치에 의한 지령으로 전력이 차단되어 전동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전자회로로 구성한 회전 제어회로를 형성하여 구성되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원가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적어도 정방향회전 또는 역방향회전이 전기적으로 행해지는 전동기(2)와, 플립플름으로 구성되는 상기 전동기 (2)의 회전 제어수단 (5)을 구비한 전동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5)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한 제1의 플립플롭과, 상기 양 트랜지스터(Q1, Q2)와는 역극성인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3, Q4)로 구성한 제2의 플립플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각각 접속되는 전동기(2)에 상기 각 접속점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상기 회전 제어수단(5)이 상기 전동기(2)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동시에, 전력이 공급되었을 경우에 상기 전동기를 정방향으로 회전제어하는 제1의 스위치(3)에 접속하고, 또 상기 전동기(2)를 역회전으로 제어하도록 제2의 스위치(4)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전동기 구동회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스위치(3)가 전력공급이 개시된 때에 제2의 플립플롭에 의해서 상기 전동기(2)를 정방향으로 전회시키는 상태로 되고, 상기 제2의 스위치(4)에 의하여 상기 제2의 플립플롭의 상태를 반전하도록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전동기 구동회로.
KR2019820000704U 1982-01-30 1982-01-30 전동기 구동회로 KR850002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704U KR850002272Y1 (ko) 1982-01-30 1982-01-30 전동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704U KR850002272Y1 (ko) 1982-01-30 1982-01-30 전동기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97U KR830003397U (ko) 1983-12-12
KR850002272Y1 true KR850002272Y1 (ko) 1985-10-10

Family

ID=1922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0704U KR850002272Y1 (ko) 1982-01-30 1982-01-30 전동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2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97U (ko) 198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84924T1 (de) Kommutierungsschaltung fuer einen kollektorlosen gleichstrommotor.
JPH03500960A (ja) 駆動機構、特に車の風防用のワイパーシステム
US4870332A (en) Voltage-boosting motor controller
KR100753736B1 (ko) 차량용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차량용 시동기
KR20060043580A (ko) 전기모터용 정류자
KR850002272Y1 (ko) 전동기 구동회로
US3624482A (en) Field disconnect and indicator circuit for a vehicle charging system
US4459518A (en) Window wiper
US3989954A (en) Electrical circuit for swingable headlights of a motor vehicle
US4438378A (en) Motor drive apparatus
US4594535A (e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with an energy dissipating circuit
KR100573994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제어장치
JP2001169589A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S6330234Y2 (ko)
KR890002787B1 (ko) 브러시레스 모터
EP0060143B1 (en) Electrical motor
JP2707616B2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US3761823A (en) Automotive radio rundown noise eliminator
US20060091841A1 (en) Relay for a direct current electrical apparatus
US4039915A (en) D-c commutator-type dynamo electric machine with electronic control
US4424471A (en) Electrical motor
JP2656122B2 (ja) モータの駆動装置
US3040216A (en)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adapter for rotary solenoid
US4232256A (en) Unitary electric motor and bi-directional controller arrangement
RU2302069C2 (ru) Щеточно-коллекторный узел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двигателя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