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013Y1 - Am뮤팅회로 - Google Patents

Am뮤팅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013Y1
KR850002013Y1 KR2019830006224U KR830006224U KR850002013Y1 KR 850002013 Y1 KR850002013 Y1 KR 850002013Y1 KR 2019830006224 U KR2019830006224 U KR 2019830006224U KR 830006224 U KR830006224 U KR 830006224U KR 850002013 Y1 KR850002013 Y1 KR 850002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ing
level
transistor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230U (ko
Inventor
박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6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013Y1/ko
Publication of KR850002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38Special circuits to enhance selectivity of receiv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AM뮤팅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a)도는 본 고안에서의 (a)점에 나타나는 레벨 상태도.
제2(b)도는 본 고안에서의 (b)점에 나타나는 레벨 상태도.
제2(c)도는 본 고안에서의 뮤팅회로 온, 오프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발광다이오드(LED) 6 : 공지의 AM검파단
7 : 레벨지시기구등(Level Indicator Drive)회로
8 : 공지의 저주파 증폭단 9 : 저주파 증폭단 입력단자
10 : AM검파단 출력단자 11 : 레벨지시기(Level Indicator)
SW1: 뮤팅 레벨 선택스위치 SW2: 뮤팅 온, 오프 제어스위치
TR1-TR2: 트랜지스터 D1-D2: 다이오드
I1: 인버어터 Q1-Q5: 레벨지시기 구동회로의 출력단자
R1-R8: 저항 VR1: 가변저항기
본 고안은 일반 AM수신기에 있어서, 잡음 성분이 많이 포함된 일정레벨 이하의 전계강도를 가진 전파가 수신기에 입력될때에는 방송 신호를 뮤트시켜 보다 명료한 AM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한 AM뮤팅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FM방송국간 잡음을 제거시키기 위한 뮤팅회로를 내장한 수신기가 있었으나, 이는 AM수신밴드와는 무관하여 AM방송 청취시에 강전계에서는 그다지 영향이 없으나, 특히 약 전계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 주위의 모터 잡음, 자동차의 이그니션(Ignition)잡음등 외부 간섭에 의해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잡음이 방송선국시 마다 수신되어 맑고 깨끗한 AM방송을 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AM검파 출력단과 저주파 증폭 입력단 간에 레벨 지시기구동(Level Indicator Drive)회로, 트랜지스터 및 인버터등을 이용한 AM뮤팅회로를 구성하여, 잡음성분이 거의 없는 일정 레벨 이상의 전계강도를 가진 전파가 수신될 경우에는 뮤팅회로가 동작되지 않으므로 해서 원하는 AM방송을 그대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간섭에 의한 잡음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일정 레벨 이하의 전계 강도를 가진 전파가 수신될 경우에만 뮤팅회로가 동작되도록 하여 잡음 성분에 가까운 방송 신호를 뮤트(Mute)시키므로서, 보다 명료한 AM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AM레벨지시기 및 레벨 지시기 구동회로를 가지는 AM수신기에 있어서, 공지의 AM검파단(6)의 출력단자(10)에 저항(R1), (R2), (R3)을 통하여 뮤팅 레벨 선택스위치(SW1)를 점속시키고, 이를 저항(R4)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AM레벨지시기(11)를 구동하는 레벨지시기 구동회로(7)의 입력단자(a)에 점속시키고, 구동회로(7)의 뮤팅 설정 레벨출력단자(Q2)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을 점속시키고, 에미터측은 뮤팅 설정 레벨LED(2)의 캐소우드 측에 연결 시킨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을 저항(R5)(R6) 및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인버어터(I1)의 입력측에 접속시키고, 다이오드(D2)와 인버어터(I1)사이에 뮤팅 스위치(SW2)를 점속시키며, 인버어터(I1)의 출력측을 저항(R8)및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공지의 저주파 증폭단(8)의 입력단자(9)에 접속시킨다.
미설명부호 B+는 직류전원이고, VR1는 레벨 지시기 구동회로(7)의 입력단자(a)의 입력 레벨조정용 가변저항기이고, R7은 저항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뮤팅 레벨 선택 스위치(SW1)는 수신기 외부에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임의로 뮤팅 레벨(Muting Levl)을 선택할 수 있도록한 뮤팅레벨 선택 스위치이고, 스위치(SW2)역시 수신기 외부에 부착되어 있어 임의로 뮤팅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한 뮤팅 온, 오프 스위치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개방(OPen)상태에서는 뮤팅회로가 동작되고, 접속(Short)상태에서는 뮤팅회로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AM방송 청취를 위해 사용자가 뮤팅스위치(SW2)를 개방(뮤트 동작상태)한 상태에서 공지의 AM검파단(6)의 출력단자(10)에 나타나는 검파 출력 신호가 제2(a)도에 도시한 E2이하(약 전계범위)인 로우레벨상태로 출력되면 스위치(SW1)에 의하여 임의의 적정 레벨로 선택한 후 저항(R4),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레벨 지기시 구동회로(7)의 입력단자(a)에 나타나는 전위는 설정레벨 전위(V2)이하인 로우 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회로(7)의 뮤팅동작 설정레벨 출력단자(Q2)에 신호가 나타나지 않게 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측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차단(cut off)상태가 되어 뮤팅설정레벨 LED(2)는 발광되지 못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 및 저항(R5)을 통한 접점(b)에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우레벨 신호가 나타나게 되며, 이 로우 레벨 신호는 다이오드(D2) 및 인버어터(I1)를 통하여 하이레벨신호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에 입력되므로,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TR2)가 도통상태가 되어 저주파 증폭단(8)의 입력측(9)을 접지시키므로 AM방송 저주파 신호를 뮤트시키게 된다. 한편 AM검파단(6)의 출력단가(10)에 나타나는 검파 출력신호가 제2(a)도에 도시한 E2이상(강전계범위)인 하이 레벨 상태로 출력되면 선택스위치(SW1), 저항(R4) 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레벨 지시기 구동회로(7)의 입력단자(a)에 나타나는 전위는 설정 레벨 전위(V2)이상인 하이 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회로(7)의 뮤팅 동작설정 레벨 출력단자(Q2)에 바이어스 신호가 나타나게 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 전류를 흘려주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므로, LED(2)는 발광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 및 저항(R5)을 통한 접점(b)에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이 레벨신호가 나타나게 되며, 이 하이 레벨 신호는 다이오드(D2) 및 인버어터(I1)를 통하여 로우 레벨신호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트랜지스터(TR2)가 차단 상태가 되어 뮤팅회로는 동작되지 않으므로, 저주파 증폭단(8)에서는 일정 레벨 이상의 AM방송 저주파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AM방송 청취시에 뮤팅 스위치(SW2)를 접속(뮤트 동작되지 않는상태)한 상태에서는 직류 전원(B+)이 저항(R7) 및 스위치(SW2)를 통하여 인버어터(I1)의 입력측에 직접 공급되므로 인버어터(I1)의 입력측 신호는 구동회로(7) 및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상태와는 관계없이 항상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하이 레벨 신호는 인버어터(I1)에 의하여 로우레벨 신호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TR2)가 차단되므로 뮤팅회로는 동작되지 않아 이때에는 그대로 AM방송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AM검파단 출력 레벨을 임의로 조정하여 설정레벨 이상(강전계)에서는 뮤팅 회로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그대로 AM방송 신호를 출력시키고, 설정 레벨이하(잡음성분이 많이 포함된 약전제)에서만 뮤팅 회로가 동작되도록 하여 잡음 성분에 가까운 AM방송 신호를 뮤트시키므로서 보다 명료한 AM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AM레벨지시기 및 레벨지시기 구동회로를 가진 AM수신기에 있어서, 통상의 AM검파단(6)의 출력단자(10)에서 저항(R1-R3), 선택 스위치(SW1) 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레벨 지시기 구동회로(7)의 입력단자(a)로 접속시키고, 그의 뮤팅 설정 레벨 출력 단자(Q2)에 에미터측을 뮤팅 설정 레벨 LED(2)에 연결시킨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을 접속시키고, 그의 콜렉터측에 저항(R5)(R6) 및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뮤팅 스위치(SW2)와 인버어터(I1)를 접속시키고, 인버어터(I1)출력측을 통상의 저항(R8) 및 트랜지스터(TR2)에 접속시키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AM뮤팅회로.
KR2019830006224U 1983-07-15 1983-07-15 Am뮤팅회로 KR850002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224U KR850002013Y1 (ko) 1983-07-15 1983-07-15 Am뮤팅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224U KR850002013Y1 (ko) 1983-07-15 1983-07-15 Am뮤팅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30U KR850002230U (ko) 1985-04-22
KR850002013Y1 true KR850002013Y1 (ko) 1985-09-17

Family

ID=1923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224U KR850002013Y1 (ko) 1983-07-15 1983-07-15 Am뮤팅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0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30U (ko) 198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002B1 (ko) 와이얼리스 수신기
CA1198684A (en) Electronic control switch for a power boost amplifier
US3999132A (en) Stereo inhibit circuit
KR850002013Y1 (ko) Am뮤팅회로
US4112371A (en) Muting and tuning indicator system for an FM receiver
US4059802A (en) Input level display circuit for receivers
US3714579A (en) Electronic volume and on/off circuits for remote control systems
KR900002683B1 (ko)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JPH0321091Y2 (ko)
KR940002933Y1 (ko) 음성모드 제어회로
KR860002771Y1 (ko) 자동 하이브렌드 양 조절회로
KR890009428Y1 (ko) Fm 수신기의 좌·우 채널 혼합량 자동 조절장치
KR800002010Y1 (ko) 자동 하이 브랜드(Hi-BLEND)회로
KR900006485Y1 (ko) Fm방송의 자동 대역폭 절환회로
JPS6241479Y2 (ko)
JPS6041894B2 (ja) 利得制御回路
JPS6223141Y2 (ko)
KR960006215Y1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음성신호 통과 대역폭 제어회로
KR880001941Y1 (ko) 자동고주파 모우드회로
KR900001225Y1 (ko) Fm 방송수신 모드의 스테레오/모노 자동절환 회로
JPH0254703B2 (ko)
KR890002373Y1 (ko) 라디오의 수신안테나 자동선택회로
KR960011410B1 (ko) 튜너의 고주파 입력신호 강도 조절회로
KR900002073Y1 (ko) 잡음신호 제거회로
JPS63246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1 Opposition [utility model]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