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746Y1 -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46Y1
KR850001746Y1 KR2019850000856D KR8500855D KR850001746Y1 KR 850001746 Y1 KR850001746 Y1 KR 850001746Y1 KR 2019850000856 D KR2019850000856 D KR 2019850000856D KR 8500855 D KR8500855 D KR 8500855D KR 850001746 Y1 KR850001746 Y1 KR 850001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trip
leaf
edge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856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베이 존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알레니 루드럼 스틸 코포레이숀
빈센트 지. 지오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1547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5932A/ko
Application filed by 알레니 루드럼 스틸 코포레이숀, 빈센트 지. 지오이아 filed Critical 알레니 루드럼 스틸 코포레이숀
Priority claimed from KR2019850000855U external-priority patent/KR8500017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46Y1/ko

Links

Landscapes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제1도-제4도는 본 고안 노즐의 개략도.
제5도는 종래 노즐의 개략도.
본 고안은 금속스트립(strip)을 신속히 주조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립주조장치에 있어서, 주조되는 금속스트립의 품질, 특히 변부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노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속스트립 주조의 개발이 성숙함에 따라서, 여러가지 개발된 구조가 성공적인 스트립 주조작업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그 개발대상의 한예가 용융금속이 냉각된 주조면으로 전달되는 노즐 또는 오리피스통로의 형태이다.
종래의 방법은 스트립 주조장치를 위한 여러가지 슬로트 구조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905,758호는 용융금속출구 또는 오리피스를 튜우브형태나 슬로트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142,571호는 직사각형 슬로트의 사용 또는 만곡단부를 갖는 슬로트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에서는, 본 고안의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슬로트의 만곡단부는 스트립 주조중 용융금속이 슬로트의 변부측으로, 흐르도록하여 변부가 필라멘트 형태로 매끈하게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비록 이 슬로트가 만곡단부를 갖는다 하여도 항상 스트립의 양측변부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만곡단부는 스트립의 양측변부가 매끄럽고, 어느 정도 둥글게 형성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스트립에서 요구되는 양측변부의 형태는 평면상의 것이 보다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 특히 스트립의 양측변부까지를 포함하여 스트립의 자체 횡방향 폭을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더우기 노즐을 통하여 주조되는 스트립의 양측변부가 실제로 평면상에 주조될 수 있는 금속스트립의 주조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노즐로부터 0.120인치내에 위치하고 노즐을 통과하여 200-10,000피이트분의 선속도로 이동하는 주조면에 용융 금속이 공급되는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노즐은 상호 평행하게 대면한 한쌍의 일정한 간격을 둔 리프(lip)를 포함하는데 상기 간격은 노즐의 전길이 방향에서 균일하다. 이 리프의 주연단부는 상호외측으로 연속확개 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리프사이의 균일한 간격에 대하여 3배 이하이고, 그 높이는 리프사이의 균일한 간격에 대하여 약 2배 이하이다.
본 고안의 이점은 변부의 품질이 양호한 금속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트립의 양측변부를 포함하여 스트립의 횡방향 폭에 걸쳐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노즐을 갖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면상의 개선된 변부를 갖는 양질의 스트립을 주조할 수 있든 스트립 주조장치의 조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점은 주조된 금속스트립의 변부를 다듬지 않고도 요구된 직선형의 변부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된 스트립 주조장치는 용융금속이 공급되는 내부를 갖는 턴디쉬로 구성된다. 이 턴디쉬에는 이 턴디쉬 내부의 용융금속이 주조면에 공급되는 노즐(14)을 갖는다. 주조면은 이 노즐로부터 약 0.120인치의 범위내에 위치하며 노즐의 전면을 통하여 약 200-10,000피이트분의 선속도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노즐(14)의 형상, 특히 노즐(14)의 양측단부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노즐(14)은 상측리프(18)와 하측리프(19)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측과 하측이란 용어는 주조면이 노즐(14)을 지나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노즐(14)의 상류측 부분과 하류측 부분을 말한다.
상측리프(18)와 하측리프(19)는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며 이들사이의 간격 즉, 폭 W는 노즐(14)의 전 길이를 통하여 균일하다. 노즐의 주연단부는 균일한 간격관계를 유지하지 않고 오히려 리프의 주연단부가 노즐(14)의 변부방향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외향 확개되어 있다.
이 확개된 부분은 노즐의 주연변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확개부분의 길이 L은 리프사이의 균일한 간격 W보다 약 3배이하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확개정도가 너무 커서는 안된다. 따라서 이 확개부분의 최대 높이 H는 리프사이의 균일한 간격 W보다 두배이하이어야 한다. 적당한 실시형태에서 리프(18)(19)의 주연단부는 상대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외향 확개되고, 그 길이 L은 리프(18)(19)사이의 간격 W보다 두배이하이고, 그 높이 H는 리프(18)(19)사이의 간격 W보다 1.5배 이하로 되어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외향 확개구조는 상측리프(18)와 하측리프(19)를 노즐(14)의 변부방향으로 상호 절단, 조각 또는 다른 확개방법에 의하여 얻는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리프(18)는 평면상으로 구성하고, 하측리프(19)만을 상측리프(18)로 부터 확개되도록 절단 또는 조각되어 본 고안에 요구되는 연속적으로 외향된 확개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3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측리프(19)는 평면상으로 구성하고, 상측리프(18)만을 하측리프(19)로 부터 확개되도록 구성하여 상술한 길이 L과 높이 H내에서 요구된 연속적인 외향 확개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노즐(14)의 확개변부가 직선형이 아니고 만곡형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만곡형 확개부는 또한 제4도에서 설명된 노즐리프의 양쪽 단부를 확개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노즐 리프의 한단부만을 확개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노즐(14)의 단부에 구성된 확개부의 형태에 관계없이, 확개부의 길이 L과 높이 H에 대한 최대 한계가 주어져야 한다. 부가적으로 이 확개부 노즐(14)의 변부방향으로 연속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속적인 확개부에 의하여 대향된 리프(18)(19)사이의 높이 H는 노즐(14)의 변부방향으로 연속 증가한다. 이러한 높이 H는 노즐(14)의 변부방향으로는 감소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속확개 구조로 본 고안 노즐의 변부면은 상호 평행하고 제1도-제4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균일한 간격을 이룬 리프(18)(19)에 수직이어야 한다. 종래의 방법은 노즐변부면이 둥글어서 스트립상에 둥근 변부면을 제공하나 본 고안의 노즐을 통하여 주조할때 수득한 스트립에는 보다 바람직한 평면상의, 변부면을 제공한다.
제5도에서 설명한 종래의 노즐은 높이가 노즐의 변부방향으로 증가한 다음 다시 감소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용융금속을 노즐의 변부에 보다 적게 공급하므로서, 둥근변부를 가진 스트립이 형성되어 사용전에 변부를 손질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노즐(14)은 1인치 이상의 종방향 길이를 가지며 36인치 이상의 종방향 길이를 가질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노즐(14)은 절단선만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넓은 스트립을 주조할 때 변부에 용융금속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노즐(14)을 제공하여 품질이 우수한 스트립이 주조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노즐 형태는 이를 통하여 주조된 스트립의 변부를 현저하게 개선시켰는데, 이러한 스트립의 변부를 포함한 횡방향 폭에 걸쳐 균일한 두께를 갖는 특징이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변부면은 구조상 평면을 이루어 스트립을 사용하기전에 실시하는 다른 손질을 필요치 않게 한다.

Claims (1)

  1. 일정한 간격을 둔 상측리프(18)와 하측리프(19)로 구성되고 주조면에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14)에 있어서, 리프(18)(19)의 양측변부면이 서로 평행 직선을 이루어 양측변부에서, 상호 연속적으로 확개되며, 확개된 부분의 길이(L)가 리프(18)(19)사이의 폭(W)에 대하여 3배 이하이고, 높이(H)는 리프(18)(19)사이의 폭(W)에 대하여 2배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KR2019850000856D 1980-09-11 1985-01-28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KR8500017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825 1980-09-11
KR1019810001547A KR830005932A (ko) 1980-09-11 1981-05-04 스트맆(strip) 주조장치용 개량노즐
KR2019850000855U KR850001745Y1 (ko) 1980-10-03 1985-01-28 금속 스트립 주조장치용 턴디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746Y1 true KR850001746Y1 (ko) 1985-08-19

Family

ID=2662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856D KR850001746Y1 (ko) 1980-09-11 1985-01-28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7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640525A1 (de) Kokille zum stranggiessen von stahlband
GB1595312A (en) Cooling apparatus
IT1168246B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punzonare, tranciare e sagomare in continuo materiale in lamiera
FR2444507A1 (fr) Procede pour traiter une bande continue en mouvement, notamment une bande de papier, et appareil selectivement transformabl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RU96117379A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заготовок при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е
US4425188A (en) Forming shoes for the twin-wire former of a paper making machine
KR850001746Y1 (ko) 스트립 주조장치용 노즐
SE8404184D0 (s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giessen von metall
FR2529485B1 (fr) Procede pour changer la distribution, en largeur, de l'epaisseur d'une bande de metal
US4330025A (en) Nozzle in a strip casting apparatus
ATE101067T1 (de) Stranggiessanlage zum giessen von vorprofilen.
EP0904873B1 (de) Trichtergeometrie einer Kokille zum Stranggiessen von Metall
US3989093A (en) Continuous casting plant for slabs
US4716956A (en) Roll caster feed tip and method
KR840002264A (ko) 레일의 만능 압연에 의한 생산 방법 및 성형된 블랭크
ES2068338T3 (es) Metodo y aparato para formar lineas rayadas sobre material en hojas.
JPS5794456A (en) Continuous manufacture device for metallic thin plate
JPS5536039A (en) Rolling method
GB988273A (en) Templat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ubing
KR970033796A (ko) 지제완충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E69513263T2 (de) Vorrichtung zum Stranggiessen von Produkten mit einem Rundprofilabschnitt und Produkten mit einem Profilabschnitt mit ebener Fläche
KR830005945A (ko) 연속 주조금속대의 마아킹방법
JPS6199541A (ja) 双ベルト式連続鋳造機
EP0148515A1 (de)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mit einer gekrümmt eingespannten Scherfolie
JPS56128652A (en) Holding roll for beam bl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