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539B1 -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 Google Patents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539B1
KR850001539B1 KR1019810001732A KR810001732A KR850001539B1 KR 850001539 B1 KR850001539 B1 KR 850001539B1 KR 1019810001732 A KR1019810001732 A KR 1019810001732A KR 810001732 A KR810001732 A KR 810001732A KR 850001539 B1 KR850001539 B1 KR 85000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filter
bias
circu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994A (ko
Inventor
리 페이스 게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죠셉 로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죠셉 로너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11/12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using amplifiers with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11/12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using amplifiers with feedback
    • H03H11/1213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using amplifiers with feedback using transistor amplifiers

Landscapes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회로도.
제2도는 제1도 회로에 대한 입출력도표.
제3도는 본 발명 여파기의 기본회로설계도.
제4도는 제3도 회로의 변형도.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 회로에 대한 입출력도표.
제6도는 제3도 회로의 제2변형도.
제7도는 제3도 회로의 제3변형도.
제8도는 본 발명 여파기에 대한 교체설계도.
제9도는 제8도 회로의 변형도.
본 발명은 능동여파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공급전압과 소수의 부품 및 전류형작또이 사용되어 특히, 집적회로에 설치하기 적합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거의 모든 4차 능동 RC여파기설계에는 비교적 많은 부품이 드는 전압형작동이 사용되었다. 이들 여파기는 I C 저항 및 캐패시터값의 큰 공차로 인한 여파기 주파수변화와 고주파에서의 Q-증강 또는 발진에 의해 집적회로에는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들 공차로 인해 여파기주파수가 임게치일 경우 여파기는 필수적으로 동조되어야 한다. 현존하는 많은 여파기회로의 성능은 비접지캐패시터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해 I C에 설치할 때는 저하된다. I C 설계상 공지된 바와같이, 배면이나 또는 A C 접지점에 접속되지 않은 캐패시터는 그 어느 것도 기생캐패시터가 있어야 할 것이다. 어떤 설계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추가부품이 필요한 미분입력이 요구되는 것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수의 부품만을 요하는 전류형, 2차 지역통과, 대역통과 또는 고역통과 능동여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목적은 저공급전압과 고정동조 또는 가변동조의 간단한 방법으로 집적회로에서 작동되는 여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한 목적은 투-포드(two-pnrt)전압, 전류 또는 임피던스전달기능을 가진 원-포트(one-port)임피던스 기능이 실현되는 여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저러한 목적들은 바이어스전류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 두 트랜지스터형태가 기본으로 요구되는 여파기에 달성된다. 베이스-에미터접합의 적동저항치가 여파기의 저항소자로 사용된다. 한 캐패시터는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접합 양단에 접속되고, 다른 캐패시터는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접합 양단에 접속된다. 입출력점의 선택은 여파기의 특성 및 작동형태를 결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의 계통도는 2차 저역통과 및 대역통과 전달기능이 실현될 수 있는 동조 가능한 전류형 능동여파기이다. 제1도의 증폭기는 전류이득증폭기이고, 그들 각각의 1차 저역통과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KA및 KS는 DC전류이득이고, WA및 WS는 두 증폭기에 대한 3db의 코너(corner) 주파수이다. 주파수 WA및 WS는 두 증폭기에 접속된 바이어스원 C에 의해 동시에 조절된다. 증폭기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전류궤환형태로 접속된다. 부전류궤환을 보장하기 위해, 한 증폭기는 비변환 및 변환입력을 가져야만 한다. 입력전류는 D점이나 E점 중의 어느 한 곳에 인가될 수 있으며 출력전류는 F 점 및 G 점에서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출력전류를 이용하기 위해, 부동(浮動 : 비접지된)부하가 한 증폭기나 또는 두 증폭기 모두의 출력에 삽입된다. 저역통과 및 대역통과 전류전달기능이 제2도에 작성되어 있다. 특히, D점에서 소신호전류원으로 인가되어 F점 및 G에서 얻어지는 저역통과 및 전류전달기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저역통과
Figure kpo00002
대역통과
Figure kpo00003
여파기주파수 Wn은 바이어스원 C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3도에서, 여파기설계의 기본회로는 NPN트랜지스터 Q1및 Q2로 이루어지고, 이 트랜지스터 Q1및 Q2는 바이어스전류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접속되며, Q2의 콜렉터는 Q1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Q1의 베이스-에미터 접합 양단에는 C1이 접속되고
Q2의 베이스-에미터 접합 양단에는 C2가 접속되며
Q2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V바이어스는 AC접지전위이므로 제3도는 Q2및 Q1의 콜렉터로부터 접속된 캐패시터 C1및 C2는 실제로 접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5도의 도표를 참조하면, 만약 입력전류 I1A가 V1로 지정된 노드(node)내로 인가될 경우, 전류출력 I1은 저역통과특성을 공급하는 Q2의 콜렉터로부터 얻어진다. 동시에, 콜렉터 Q1로부터는 대역통과특성을 가진 출력전류 I2가 얻어질 수 있고, 전압출력은 대역통과특성을 가진 V1에서 얻어지며, 전압출력은 저역통과특성을 가진 V2에서 얻어진다. 그대신, 전류원 I1B가 노드 V2로 접속된다면, 앞서의 특성과 역전될 것이다. 즉, I1은 대역통과특성을 가질 것이며, I2는 저역통과특성을 가질 것이며, V2에서 대역통과특성이 얻어지고 V1에서 저역통과특성이 얻어질 것이다. 한편, 얻어진 입력이 전압이라면, 이것은 4개의 다른 점에 삽입될 수도 있고, 고역통과특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출력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신호원 VOA가 Q1의 에미터와 점지 사이에 접속된다면, 노드 V1에서는 저역통과특성이 얻어지고 V2에서는 대역통과특성이 얻어지며, 반면에 입력신호가 VOB에 인가된다면, V1에서는 고역통과특성이 얼어지고 V2에서는 대역통과특성이 얻어질 것이다. 두개의 전류입력과 네개의 전압입력이 표시되었으나, 단지 1개의 입력만이 정상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즉 사용되지 않는 전압원은 단락회로로 대치되고 사용되지 않은 전류원은 개방회로로 대치된다. 도면은 복잡성을 피하도록 도시되었다.
회로의 여파작동은 트랜지스터 Q1의 Q2로 구성된 전류궤환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둘레의 위상이동을 조절한다. 위상이동은 두 캐패시터 C1및 C2에 의해 조절되며 또한 두 트랜지스터 Q1및 Q2순 바이어스된 베이스-에미터접합의 동적재항 rel 및 re2에 의해 조절된다. 적절한 작동을 위해, 여파기회로는 두 개의 DC바이어스원 즉 V바이어스와 I 바이어스를 필요로 한다.
V바이어스는 트랜지스터 Q1및 Q2의 평균 베이스-에미터 전압강하의 대략 1.5배가 되도록 선택된 D C 전압원이다.
V바이어스는 여파기의 최소 D C 작동전압을 대략 0.8볼트로 제한한다. I바이어스는 Q1및 Q2의 DC에 미터 전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전류원이다. 충분히 큰 트랜지스터 β를 위해, 저역통과, 대역통과 및 고역통과 전압전달기능은 다음과 같다.
저역통과
Figure kpo00004
대역통과
Figure kpo00005
고역통과
Figure kpo00006
이들 식으로부터 여파기주파수 wn및 Q는 다음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
Figure kpo00007
여기에서 rel은 Q1의 DC에미터전류인 Ie1의 역함수이고, re2는 Q2의 DC에미터전류인 Ie2의 역함수이다. 트랜지스터 β를 크게 하기 위해(β》1),
Iel=Ie2=I바이어스 (6)
이경우, (5)식은 Q=
Figure kpo00008
……(7)으로 감소시키며 이것은 C2/C1비에 의해 여파기 Q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식들로부터, 여파기주파수 wn은 DC바이어스류 I 바이어스에 정비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여파기주파수는 여파기 Q와는 무관하계 DC바이어스전류를 변화시키는데 의해 동조될수 있다. 여러 종속능동여파기부분의 주파수는 각각의 부분에 같은 바이어스전류를 인가시키는데 의해 동시에 조절될수 있다. 이것은 집적회로에 이용할 수 있는 전류원을 추적하여 쉽게 달성된다.
제4도에서는, 비부동부하의 출력전류 I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3트랜지스터 Q3이 첨가되었다. 제5도의 I2열의 모든 여파기응답은 입력전압 VOA를 요구하는 것만 제외하고 얻어진다.
제6도에서는, 트랜지스터 Q1및 Q2의 DC에미터 전류를 분리제어하기 위해 제2바이어스전류원 I 바이어스 2가 첨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5)식으로부터 여파기 Q는 두개의 바이어스전류원의 비율을 조정하여 제어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여파기 Q는 제3도의 기본여파기회로에 대해 가능한 것보다 더적은 회로용량(C1+C2)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집적회로 적용분야에 중요하다. 여파기 주파수는 Q와는 무관하계 두 바이어스전류를 제어하도록 두 전류원을 추적하는데 의해 광범위한 주파수영역 전반에 걸쳐 동조 가능하다.
제7도에는 기본회로의 다른 변형이 도시되고, 동적영역을 계량하기 위하여 Q1및 Q2의 에미터와 직렬로 접속된 저항소자 R1및 R2가 부가되었다.
기본회로의 동적영역 및 대신호 성능은 순바이어스된 베이스-에미터 접합트랜지스터의 비선형전압-전류 특성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므로, 이들 특성의 개량은 비선형저항부분이 분리선형저항으로 대치된다면 달성 될 수 있다. 이 변형의 단점은 바이어스전류를 조정하여 동조될 수 있는 여파기의 주파수영역이 감소되고, 여파기주파수가 바이어스전류의 비선형함수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회로의 두개의 분리저항소자를 필요로하는 특정한 적용에 대해 이러한 단점을 보다 중요시할 경우에는 이 회로가 선택된다.
제8도에는 제1도에 도시된 여파기회로의 변형만이 아닌 여파기회로의 다른 변환이 도시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 Q1및 Q2는 같은 형태가 아니고, 노에 V2도 부가적인 바이어스전류원(I 바이어스 1)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교체회로의 장점은 V바이어스의 영역이 B+공급전압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점이다.
제8도의 회로에서, V바이어스는 좁은 영역의 전압치 즉, 베이스-에미터 전압강하의 1배 또는 2배 사이로 제한된다.
제9도에는, 동적영역을 개량하도록 제8도에 도시된 회로에 p-n접합 다이오드 D1이 부가되었다. 이 변형에 의한 부가된 장점은 I 바이어스 1=2 I 바이어스 2이고, Q2의 베이스와 노드 V2간의 DC오프셋전압이 0인 점이다. 이 상태는 입력전압원 VOC와 출력노드 V2를 사용하는 저역통과 여파기부분을 종속접속시키고 1볼트 이하의 전력공급전압에서 저역통과여파기부분을 작동시킨다.
본 기술상 숙련된 자들은 상술된 바로부터 다양한 변형과 또한 여러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간과할 것이다. 예를들면, 제4도 및 제7도의 회로변형은 제8도의 교체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등이다. 물론, 도시된 트랜지스터형태는 실험상의 것이며 꼭 그 형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집적회로칩에 설치하기 위한 개량된 능동여파기가 도시설명되었고 두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접합의 동적저항성은 다양한 작동형태 및 여파기 특성을 제공하도록 비교적 작은 두개의 캐패시터와 관련시켜 사용된다. 캐패시터는 배면접지, AC접지 또는 0임피던스 소신호전압원에 접속되므로, 기생캐패시터는 제기되거나 또는 그 효과는 무시될 수 있고, 집적회로에 설치할 때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에 주어진 실시예의 변형 및 다른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범주내에서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

1차 저역통과특성을 가지며 부전류궤환을 위해 접속된 제1 및 제2전류증폭기와, 두 증폭기의 저역통과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접속된 바이어스원과, 입력전류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예정된 특성을 가진 출력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KR1019810001732A 1980-05-12 1981-05-19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KR85000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48,850 US4340868A (en) 1980-05-12 1980-05-12 Current mode biquadratic active filter
US148850 1980-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994A KR830006994A (ko) 1983-10-12
KR850001539B1 true KR850001539B1 (ko) 1985-10-16

Family

ID=2252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732A KR850001539B1 (ko) 1980-05-12 1981-05-19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340868A (ko)
EP (1) EP0052117B1 (ko)
JP (1) JPS57500629A (ko)
KR (1) KR850001539B1 (ko)
AR (1) AR224812A1 (ko)
BR (1) BR8108603A (ko)
CA (1) CA1152167A (ko)
MX (1) MX150293A (ko)
WO (1) WO1981003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5885A (en) * 1984-10-01 1986-06-17 Motorola, Inc. Adjustable active filter
NL8603152A (nl) * 1986-12-11 1988-07-01 Philips Nv Filterschakeling.
GB2208340B (en) * 1987-07-17 1992-01-22 Plessey Co Plc Electrical circuits
US4843343A (en) * 1988-01-04 1989-06-27 Motorola, Inc. Enhanced Q current mode active filter
JPH04328976A (ja) * 1991-04-27 1992-11-17 Rohm Co Ltd アクティブフィルタの特性切り換え回路
ES2108082T3 (es) * 1992-07-24 1997-12-16 Alsthom Cge Alcatel Sistema de sintonizacion de un factor de calidad.
EP0579876B1 (en) * 1992-07-24 1998-09-02 Alcatel Frequency tuning system for an OTA-C pair
US5625317A (en) * 1994-08-08 1997-04-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uning method for integrated continuous-time filters
US6433626B1 (en) 2001-01-16 2002-08-13 Motorola, Inc. Current-mode filter with complex zeros
US7414461B2 (en) * 2006-09-25 2008-08-1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Linearization technique for current mode filters
EP2195926A2 (en) * 2007-09-20 2010-06-16 Nxp B.V. Tunable rf filter
TWI596895B (zh) * 2016-12-16 2017-08-21 國立臺灣大學 具有超級源極隨耦器的低通濾波器及傳輸零點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367A (en) * 1972-05-01 1974-02-12 Bell Telephone Labor Inc Active controllable filter circuit using variable transconductance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224812A1 (es) 1982-01-15
BR8108603A (pt) 1982-04-06
US4340868A (en) 1982-07-20
CA1152167A (en) 1983-08-16
EP0052117B1 (en) 1984-11-28
EP0052117A4 (en) 1982-09-10
MX150293A (es) 1984-04-10
EP0052117A1 (en) 1982-05-26
WO1981003405A1 (en) 1981-11-26
JPS57500629A (ko) 1982-04-08
KR830006994A (ko) 198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2492B1 (en) Active filter
KR850001539B1 (ko) 전류형 4차 능동여파기
KR900007918B1 (ko) 신호 증폭 감쇠용 회로
US3392342A (en) Transistor amplifier with gain stability
US4492934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linear characteristic
US4949054A (en) Temperature stable oscillator
US3835401A (en) Signal control circuit
EP0435472B1 (en) Active filter
US4518930A (en) Negative resistance circuit for VCO
US3532908A (en) Tunable bandpass active filter
EP0732807A2 (en) Controllable filter arrangement
US6392454B1 (en) Shunt regulated push-pull circuit having wide frequency range
JPH0645826A (ja) 電圧制御発振器
EP0611105B1 (en) Current source
US5475338A (en) Active filter circuit of a capacity ground type
JP3225527B2 (ja) 遅延回路
EP0667057A1 (en) Active impedance termination
KR910000687B1 (ko) 전압제어회로
US3812383A (en) High speed signal following circuit
US3452223A (en) Shaping circuit
WO1990012454A1 (en) Gyrator circuits
US3445756A (en) Circuit providing phase shift which is variable with frequency
US3296520A (en) Electrically controlled variable resistance
AU7179381A (en) Current mode biquadratic active filter
JPH10341122A (ja) 可変利得増幅器および可変電流分割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