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77B1 - 고 형 연 료 - Google Patents

고 형 연 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277B1
KR850001277B1 KR8203591A KR820003591A KR850001277B1 KR 850001277 B1 KR850001277 B1 KR 850001277B1 KR 8203591 A KR8203591 A KR 8203591A KR 820003591 A KR820003591 A KR 820003591A KR 850001277 B1 KR850001277 B1 KR 85000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group
moisture
combustion
fue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211A (ko
Inventor
아쯔시 니시노
구니오 기무라
가즈노리 소네다까
유끼요시 이께다니
야스히로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야마시다 도시히고
마쯔시다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시다 도시히고, 마쯔시다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시다 도시히고
Publication of KR84000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1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10L5/10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형연료
본 발명은, 착화가 용이하고, 또한 다습분위기하에서 보존후에도, 착화성능이 열화하지 않는 고형연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래, 석유자원의 보호라는 면에서, 석탄의 유효한 이용이 외쳐지고 있다. 석탄은, 석유에 비해서 산지가 한정되어 있지 않은 것, 자원적으로 풍부한 것 등으로, 석유에 대체되는 연료로서 재차 주목을 받고 있다. 석탄을 연료로서 사용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오래이며, 석유가 보급되기 이전은, 발전용이나 가정용연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었다. 이들 연료가 그후 석유로 바뀌어진 이유로서는, 여러가지 생각되나, 그 하나로서, 착화하기 어렵고 사용이 불편한 것등을 둘 수 있다. 가정용 연료에 관해서 설명한다면, 대표적 액체연료인 등유는 발화온도가 300~350℃이며 그것에 대해서 석탄의 착화온도는 일반적으로 400~600℃로서, 100~300℃나 높고, 착화되기가 어렵다.
석탄이 지닌 이 결점을 해결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하나는, 액화, 가스화를 행해서 유동성 있는, 착화하기 쉬운 연료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근래, 석탄의 가스화, 액화는 활기있게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원가가 비싸고, 아직 개발단계이며, 실용적이 못된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고체상태 그대로 석탄을 사용하고, 그 착화성은 산화제 등의 연소촉진제를 첨가하므로서 개선하는 것이다.
또 고형연료는, 액체연료, 가스연료에 비해서 복사량이 많고, 또한 보존중의 위험성이 적으므로 가정의 조리용, 난방용으로 뿌리깊은 수요가 있다.
석탄을 고체상태대로 가정용 연료로서 사용한 예로서는, 유럽제국에서는, 난로, 조리용 오븐의 가열원으로서, 성형탄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연탄으로서 온돌용, 조리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것들은, 그대로는 착화하기 어렵고, 주로 수십%의 산화제를 첨가하므로서, 착화성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도, 다습분위기중에서는, 습기를 흡수해서 착화가 곤란해지고, 심할 경우에는 착화불능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다습분위기라 함은, 상대습도 60% 이상의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실내에 있어서 여름철에는 상대습도가 60% 이상으로, 또 겨울철에는 30~40% 정도가 된다.
습기를 흡수한 고형연료는, 외부열원에 의한 점화성능이 열화하고, 점화되지 않을 경우도 있다. 또, 일부분 점화되어도, 다량의 흰연기 또는 검은 연기를 발생시키거나, 꺼저버리거나 한다. 이러한 현상은, 고형연료 구성성분중에 함유된 흡습성물질이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형연료의 흡습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몇가지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수지를 용액상태 혹은 분말상태로 고형연료에 혼입하는 방법도 그 하나이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방법으로는, 수지의 미연소 성분이 다량으로 발생한다.
종래의 착화용이한 고형연료는, 그 연소초기에 고농도의 일산화탄소 및 미분해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다량으로 흰연기 등으로서 발생시키고, 이것이 연소시의 불쾌한 냄새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것은, 고형연료가 불완전연소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흰연기를 발생해서 문제가 된다. 또, 유지를 고형연료에 혼입하므로서, 내습성을 부여한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많은 흰연기 혹은 검은 연기를 발생한다. 또한, 수지, 유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특히 악취가 발생한다.
이들, 기존의 내습성 고형연료의 문제점은, 착화제의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는 내습재료가 너무 다량인데서 유래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와 같은 내습재의 첨가나 침지등의 거시적인 사고방식에 입각한 내습처리방법으로는, 무슨 일이 있어도 요구되는 내습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다량의 내습재료를 첨가시키지 않을 수가 없다.
다음에, 통상 고형연료의 성분으로서, 목탄, 나무부스러기, 종이와 같은 탄소질 물질이 사용되는 일이 많고, 이들 물질은, 흡습성이 있고, 다습상태에 있어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한다.
한편, 고형연료에 사용되는 연소촉진제에는, 통상, 초산염, 과염소산염, 중크롬산염, 과망간산염, 수산염 등이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연소촉진제는, 고형연료의 착화를 용이하게 하고, 연소를 촉진시켜서, 착화후의 타다가 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3종류의 물질로 크게 분류된다.
1) 착화가 쉬운 유기물질 : 착화온도가 낮은 유기물질이며,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아민류, 지방산 및 지방산염 등이 사용된다.
2) 산화제 : 석탄, 폭탄 등의 탄소질물질의 산화를 촉진하고, 착화성 및 연소성을 개선하는, 주로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류금속의 초산염, 과염소산염, 염소산염, 과망간산염, 중크롬산염, 크롬산염이 사용된다.
3) 촉매 : 탄소질물질의 산화촉진촉매, 이 산화망간이 보고되어 있다.
여기서, 다습상태로 상기의 성분을 함유한 고형연료를 두면, 고형연료중의 흡습성분이,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그 흡습한 수분에 , 상기의 수용성 성분이 일부 용해하고, 이 과정이 반복되어, 흡습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흡습한 고형연료는, 매우 착화성능이 열화하게 된다.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고형연료의 다습시에 있어서의 , 착화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내습성물질을 사용한 종래예를 설명한다.
Figure kpo00001
이 조성의 고형연료는, 종래에 1보다도 점화성이 나쁘고, 또, 연소중에 흰연기를 발생시킨다. 또 후술하는 내습시험에서는, 점화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 의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으로, 종래의 거시적인 사고방식에 입각한 내습처리방법이 아니라, 소극적 사고방식에 입각한 내습처리를 실시한 것이다.
고형연료에 있어서, 착화성능이 양호하게 되느냐의 여부는, 거기에 사용되는 연소촉진제가 잘 그 역할을 완수하느냐의 여부에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이 연소촉진제를 발수성 내지 방수성을 가진 가연성물질에 의해서 마이크로캡슐화 처리하므로서, 고형연료의 내습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종래의 내습착화제가 지닌 문제점도 일거에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연소촉진제에 집중적으로 내습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습시에 효율적으로 내습재료가 작용하고, 연소촉진제가 건조분위기에 있을때와 동등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고형연료의 내습성능이 향상한다.
(2) 내습재료를 사용했을 경우, 종래 생기고 있던 흰연기 또는 검은연기의 다량발생, 및 냄새를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다.
(3) 내습재료의 사용량을, 매우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탄소질물질이라 함은, 석탄, 목탄을 주체로 하고, 이것과 코오크스, 활성탄, 흑연, 나무부스러기, 종이에서 선택되는 물질과를 혼합 혹은 혼합하지 않고 구성해서 이루어진 물질이며, 연소촉진제란,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류금속의 초산염, 과염소산염, 염소산염, 중크롬산염, 크롬산염, 과망간산염, 수산염, 탄산염, 수소화물에서 선택되는 금속화합물, 메타놀, 에타놀, 프로판올, 벤젠, 톨루엔, 크실렌, 석유에테르, 헥사메틸렌테트라민,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아민에서 선택되는 유기용제, 철족금속의 초산염, 활산염, 염화물, 수산염, 탄산염, 산화물에서 선택되는 금속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물질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철족금속은 철, 코발트, 니켈이다.
상기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류금속의 금속염에 있어서, 염소산염, 수산염은 독물이며, 또 염소산염은 폭발의 위험이 높고, 그 취급에는 충분한 주의를 요하며, 또한, 과염소산염은 염소산염과 마찬가지의 성질을 가지고 염소산염보다 위험성은 적으나 불꽃과 같이 불똥을 튀기며 연소하므로 위험하다. 중크롬산염, 크롬산염은 중금속크롬을 함유하고 있으며, 유해유독물질이다. 초산염은, 연소시에 알칼리성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한 흰연기를 발생시키고, 이것은 금속을 부식하고, 생체에도 해를 끼친다.
이상과 같이, 산화제는 각각 고유의 결점을 가지고 있으나, 폭발의 위험성이 크며, 유해한 염소산염, 과염소산염, 과망간산염, 수산염에 비교해서, 초산염은 작용이 완만하며, 폭발의 위험성이 적고, 보다 사용하는데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쨌든간에 사용하는 산화제를 필요한 최소한도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 사유되고 있는 착화용이한 고형연료는, 건조사용조건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한 산화제의 배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량은 건조상태에서의 필요한 최소량으로 억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다습조건하에서는, 이들 고형연료는 흡습에 의해서, 착화성능 및 연소속도를 현저히 저하시키고 심할 경우에는 착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고형연료는, 산화제를 마이크로캡슐화하므로서, 다습시에도 마이크로캡슐에 의해서, 산화제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건조시와 동등한 착화성능을 유지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캡슐화제로서 사용하는 유기가연성물질이 불꽃연소하므로서, 종래 문제가 되어있던 배출미연소가스(일산화탄소, 알데히드, 메탄등의 탄화수소)도 완전하게 산화하고, 배기가스특성도 향상하였다.
본 발명의 철족금속염은, 철, 코발트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염화물, 초산염, 황산염, 수산염, 탄산염, 또는 아세트염 및 산화물이며, 이 철족금속염은, 고형연료의 주성분인 석탄, 코우크스, 흑연 등의 착화온도가 높은 탄소질물질(착화온도 400~600℃)의 착화온도를 소량의 첨가에 의해서 100~150℃ 내려서 착화를 용이하게 한다. 동시에, 고형연료의 착화성개선을 위해서 사용하는 산화제의 양을 저감할 수가 있고, 그 분해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해가스(Nox 등)도 저감한다. 그러나, 철족금속염은 거의가 흡습성물질이므로 해서, 다습시에는 착화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심한 경우에는 착화불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철족금속염의 마이크로캡슐화 처리에 의해서, 다습시에 있어서도, 철족금속염의 흡습을 방지할 수 있고, 고형연료의 연소시에 가연성물질의 마이크로캡슐이 용융-연소하고, 촉매가 초기와 동등한 작용을 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또, 유기용제는, 점화하기 쉬운 물질이며, 고형연료에 이것을 사용할 수가 있으면, 그 착화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유기용제는 거의가 휘발성물질이며, 이것을 고형연료에 그대로 첨가해도 시간과 함께 이들은 휘산해버리고, 고형연료 성분으로서, 그대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캡슐속에 유기용제를 봉입하므로서, 휘산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성능을 경시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고형연료 연소시에는, 캡슐이 용융함과 동시에, 유기용제는 기화하고 불꽃연소한다.
또,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대표되는 수소화물은, 분해해서 수소가스를 발생시킨다. 고형연료에 이것을 소량 사용할 수가 있으면, 온화한 불꽃을 내며 연소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 물질은, 공기중의 수분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해해버리고, 통상으로는 사용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외기와 차단할 수 있고, 고형연료용 연소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소촉진제를 마이크로캡슐에 포함시켜서 고형연료에 사용하므로서 착화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고형연료중의 흡습성물질을 마이크로캡슐에 포함시키므로서, 고형연료의 내습성능이 더 한층 향상됨과 동시에 종래 고형연료를 손으로 들면 손에 탄소물질이 붙어, 더러워진다는 일이 일어나고 있었으나, 이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게 되고, 손이 더러워지지 않는 고형연료를 만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캡슐이라 함은, 종합체나, 제막물질을 벽막으로 한다. 현미경적 크기의 용기, 포장, 콘테이너로서, 물질의 미립자를 내장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 그 크기는 약 5μ~300μ까지의 것이다.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종래 예로서는 갑압복사지, 의약품, 향료, 오일캡슐 등이 있으며, 다음에 각각에 대한 대표적인 예를 설명한다.
(1) 복 사 지 : 로이코염료의 아라비아고무와 젤라틴에 의한 마이크로캡슐.
(2) 의 약 품 : 아스피린의 에틸셀룰로우스 마이크로캡슐.
(3) 향 료 : 담배의 박하캡슐.
(4) 오일캡슐 : 건오일 혹은 윤활유의 알긴산칼슘캡슐.
본 발명은,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하는 제막물질로서, 발수성 또는 방수성을 가진 가연성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가연성물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등의 탄화수소중합물, 실이콘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폭시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산,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염화비닐리덴 공중합물,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물, 폴리비닐폴마알, 에틸셀룰로우스, 벤질셀룰로우스, 니트로 셀룰로우스, 젤라틴-아라비아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수지에서 구성되는 것이다.
마이크로캡슐화법에는, 크게 나누어서 화학적 방법, 물리화학적 방법, 기계적·물리적 방법의 세가지 종류의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고, 화학적 방법으로서는, 계면중합법, 물리화학적 방법으로는, 수용액계, 유기용매계로부터의 상분리법, 기계적·물리학적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드라잉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캡슐화 방법으로서, 상기 열거한 방법중,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의 임의이다.
본 발명의 고형연료를 제조하는데는 여러가지의 제조방법이 있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탄소질물질(석탄, 목탄 등)에 마이크로캡슐화한 연소촉진제(초산칼륨, 초산칼슘 등) 분말, 점결제를 혼합하고,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한후 건조해서 고형연료를 얻는다. 또 이 고형연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알루미늄, 금속실리콘 등의 금속분말이나, 성형조제로서, 벤트나이트 등의 점토를 가하는 것도 임의이다. 결합제로서는, 통상, 당밀칼복시메틸셀룰로우스, 타아르, 피치, 펄프폐액이 사용되나,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들의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은 임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다습분위기중에서의 실험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JISZ 8806기준에 준해서, 정습도조(定濕度槽)를 만들었다. 즉, 초산칼슘·4수염, 크롬산칼륨의 포화수용액을 건조기속에 넣고, 전자에 대해서는, 상대습도 55%, 후자에 대해서는 88%의 정습도조를 만들었다. 이 정습도조를 사용해서, 다음의 조성인 고형연료에 대한 다습분위기에 있어서의 착화성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
폴리아세트산비닐의 10중량% 메틸에틸케톤용액중에 초산칼륨을 넣고, 잘 분산시킨 후, n-헥산을 가하고, 1시간 실온에서 교반한다. 다시 0℃로 12시간 보존후, 초산칼륨을 분리해서, 냉 n-헥산(4℃전후)으로 세정 건조해서, 마이크로캡슐화한 초산칼륨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과망간산칼륨도 마이크로캡슐화하였다. 이 마이크로캡슐화한 초산칼륨,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해서, 고형연료를 조정하였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2]
마이크로캡슐화제로서 폴리에틸렌(고형연료 2), 폴리프로필렌(고형연료 3), 폴리스틸렌(고형연료 4), 실리콘수지(고형연료 5), 에폭시수지(고형연료 6), 폴리메틸메타크릴산(고형연료 7), 폴리아미드(고형연료 8), 아크릴로니트릴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고형연료 9)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의 고형연료를 조정하였다.
[실시예 3]
마이크로캡슐화제로서, 폴리아세트산비닐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염화제2철, 초산제2철 및 초산칼륨을 마이크로캡슐화하였다. 이 마이크로캡슐화한 초산칼륨, 염화제2철을 사용해서, 고형연료 10를 조제했다.
Figure kpo00003
상기 고형연료 10에 있어서, 염화제2철 대신에, 마이크로캡슐화한 동량의 초산제2철을 사용해서, 고형 연료 11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4]
폴리스틸렌의 10중량% 크실렌용액중에 수소화붕소나트륨을 넣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서, 마이크로캡슐화한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조정하였다. 이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실시예 1의 고형연료에 2중량부 첨가하고, 고형연료 12를 조정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으로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초산칼륨, 과망간칼륨을 사용해서 조정한 고형연료 13, 실시예 4와 같은 조성으로,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수소화붕소나트륨, 초산칼륨,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해서 고형연료 14 및 실시예 3의 고형연료 10과 같은 조성으로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염화제2철을 사용해서 고형연료 15를 조제하였다.
이들 각 고형연료에 대해서, 실온에 있어서 상기의 정습도조속에 넣어서, 24시간후에 꺼내서 즉시 성냥으로 점화해서 각종의 항목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상대습도 55% 및 88%의 정습조에 넣은 후의 평가결과를 각각 제1표 및 제2표에 나타낸다.
또한, 표중에서의 평가항목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제 1 표]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제 2 표]
Figure kpo00007
주) 착화제 13, 14, 15는 점화하지 않았다.
또한, 연소축진제에, 수산염, 과염소산염, 중크롬산염을 사용해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마이크로캡슐화처리를 한 것의 내습성시험에 있어서도, 고형연료 1~12와 동등의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 내습처리용 마이크로캡슐화제로서, 벤질셀룰로우스, 니트로셀룰로우스를 사용했을 경우, 에틸셀룰로우스와 동등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마이크로캡슐화법은,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것이나, 내습처리방법으로서의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방법은,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학적 방법, 혹은 물리적·기계적 방법에 의한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방법이라도 되고, 상술한 물리화학적 방법과 동등한 내습성능을 갖는 고형연료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제1, 제2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를 해서 연소촉진제를 마이크로캡슐에 포함시킨 고형연료 1~12는 마이크로캡슐화 처리를 하지 않은 고형연료 13, 15에 비해서 내습성층이 매우 향상되고 있다. 이것은 앞에서도 설명하였으나, 연소촉진제를 발수성 내지 방수성을 가진 가연성물질로 캡슐화하므로서, 외부에서 오는 수분으로부터, 연소촉진제를 절연, 보호할 수가 있고, 연소촉진제가 본래 가지고 있는 성능을 다습시에 있어서도 건조시와 마찬가지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 또한, 건조시에는, 이 캡슐이 용해, 분해하고, 연소축진제가 충분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유기계물질을 마이크로캡슐화제로서 사용했기 때문에, 이것이 분해해서 발생하는 가연성가스가 연소하므로서, 고형연료 1~12는 온화한 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한편, 미처리의 고형연료 13, 15는 불꽃을 내지 않고 연소하였다.
종래의 착화제의 내습처리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수지량이 많고, 예를 들면, 종래예 1에서는, 고형연료 전제의 56중량%까지 되고, 따라서 가연성가스의 발생량이 많아진다. 이 가연성가스의 일부는 다 연소하지 못하고, 미분해인채 나온다. 이것이 흰연기의 발생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캡슐화 처리재의 사용량이 적고, 고형연료에 대해서 5중량% 이하로 되며, 적도의 가스발생이 얻어지며, 연기없는 불꽃연소라는 고형연료로서는 바람직한 성능이 얻어진다.

Claims (8)

  1. 고형연료성분중의 연소촉진제를 마이크로캡슐에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발수성 내지 방수성을 가진 가연성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촉진제가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류금속의 초산, 염중크롬산염, 염소산염, 수산염, 탄산염, 수소화물, 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알칼리 및 알칼리 토류금속화합물, 철족금속의 초산염, 황산염, 염화물, 탄산염, 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철족금속화합물, 및 유기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물질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 중화물, 실리콘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폭시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산,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염화비닐리덴 공중합물,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물, 폴리비닐-폴마알, 에틸셀룰로우스, 벤질셀룰로우스, 니트로셀룰로우스, 젤라틴-아라비아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족금속이 철, 니켈,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가 메타놀, 에타놀, 프로판올, 벤젠, 톨루엔, 크실렌, 석유에테르, 헥사메틸렌테트라민,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이 리튬, 나트륨,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류금속이 칼슘, 스트론튬, 발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KR8203591A 1981-08-12 1982-08-10 고 형 연 료 KR850001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101 1981-08-12
JP56126101A JPS5832094A (ja) 1981-08-12 1981-08-12 固形燃料用着火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11A KR840001211A (ko) 1984-03-28
KR850001277B1 true KR850001277B1 (ko) 1985-09-04

Family

ID=1492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591A KR850001277B1 (ko) 1981-08-12 1982-08-10 고 형 연 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072521A3 (ko)
JP (1) JPS5832094A (ko)
KR (1) KR850001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4716A (en) * 1988-10-24 1989-07-04 Fuel Conservation Corporation Energy releasing catalyst and use thereof
KR20030069618A (ko) * 2002-02-22 2003-08-27 오태득 폐비닐을 이용한 대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0900A (ko) * 2004-06-16 2004-07-06 주식회사 피마 석탄 조연제
AU2012262798A1 (en) * 2011-06-01 2014-01-16 Appvion, Inc. Charcoal having encapsulated igniter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1562A (fr) * 1958-05-27 1960-01-04 Charbonnages De France Procédé de fixation durable d'additifs sur les combustibles solides
US3660055A (en) * 1970-06-18 1972-05-02 James Gilbert Haller Scented fireplace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11A (ko) 1984-03-28
JPS5832094A (ja) 1983-02-24
EP0072521A2 (en) 1983-02-23
EP0072521A3 (en) 198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9464B2 (ja) インフレータガス発生装置用の点火組成物
US20190330550A1 (en) Method for burning solid or semi-solid fuel
US2890108A (en) Catalyzed metal fuel
AU754475B2 (en) Fire extinguishing aerosol forming means
US3689234A (en) Instantaneously ignitable solid fuel
KR850001277B1 (ko) 고 형 연 료
KR20020019480A (ko) 자동발화성 인핸서제 조성물
US3337312A (en) Solid fuel coatings
CN106397077A (zh) 火驱粉粒点火剂制备方法
US4417900A (en) High temperature solid fire starter
CN114768164B (zh) 一种安全高效气溶胶灭火剂及其制备方法
KR20140132671A (ko)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JPS6324637B2 (ko)
US3151009A (en) Catalyzed metal fuel
CN109609205A (zh) 一种醇基柴油燃料及其制备方法
Prakash et al. Prevention of self decomposition in pyrotechnic wet mixtures by replacing aluminium with boron
US3032451A (en) Solid jet or rocket fuel
JPS5896696A (ja) 固形燃料の製造法
RU2106706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и опасных биообъектов в полевых условиях
US3770526A (en) Combustion composition containing a ferrocenyl or carboramyl derivative
RU280246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эрозоля сер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114471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ионообменных смол
CA1162741A (en) Combustible compositions
US3773575A (en) Method of burning a combustible substance by contact with combustion composition
US2970045A (en) Catalyzed oxygen-producting com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