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19B1 - 직기의 "셀베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耳絲)의 이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셀베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耳絲)의 이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19B1
KR850001119B1 KR1019810003705A KR810003705A KR850001119B1 KR 850001119 B1 KR850001119 B1 KR 850001119B1 KR 1019810003705 A KR1019810003705 A KR 1019810003705A KR 810003705 A KR810003705 A KR 810003705A KR 850001119 B1 KR850001119 B1 KR 85000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or
forming
low
mov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19A (ko
Inventor
다께시 고바야시
하지메 스스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3000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44Automatic stop motions acting on defective operation of loom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03C7/04Mechanisms having discs oscillating about a weftwise axis and having apertures for warp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셀베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耳)의 이상 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장치를 구비한 "셀베이지"형성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셀배이지" 형성장치의 구동기구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서도(桁道) 형성반(盤)과 이사(耳
Figure kpo00002
) 및 검출장치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 정면도.
제4도는 검출장치만의 측면도.
제5도는 검출장치의 블록회로도.
제6도는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연산(演算) 처리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저도형성반 7a,7b : 이사(耳
Figure kpo00003
)
8a,8b : 이사안내공 22 : 검출장치본체
27 : 투광소자 28 : 수광소자
Y : 위입위치 A,B : 이사의 위치
본 발명은 직기의 셀배이지(selvage)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배이지 야안"(selvage
Figure kpo00004
: 이하 耳
Figure kpo00005
라고 함)의 절단이나 이상한 장력저하를 확실히 검출하여 공연(空撚)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무저(無桁) 직기에서는 1픽크(pick)마다 위사의 양단이 절단되므로 직포의 단에서 위사선단이 수축되어 직포내측으로 빠지기 쉽고 또 직포단으로부터 약간의 외력에 의하여서도 경사가 직포단으로부터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광폭직기에서는 제직중에 직포의 중간에서 재단하므로 그 재단직포단이 흐트러지기 쉽다.
이상과 같은 불합리를 없애기 위하여 지경사의 단부에 "셀배이지" 형성장치를 배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이사로 위사단(端)을 포촉하여 직포의 이부(耳部 : 셀배이지)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셀배이지" 형성장치는 이사안내공을 가지는 저도형성부재에 의하여 두 가닥의 이사에 개폐운동을 부여하고 이것에 의하여 형성된 저구(桁口)내에 위사를 통과시키고 다음의 개폐운동의 사이에 이사로 위사를 얽어서 셀배이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셀배이지의 형성시에는 저도형성부재를 나와서 직구에 이르는 저도형성이사에 대하여 항상 어느 정도의 장력이 부여되고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저도형성이사의 장력이 이상저하되거나 절단되는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상검출장치로서 종래 일본 공개번호 실개소 53-90667호 공보나 특개소 53-139860호 공보에 소개된 바와 같은 이사보빈의 직근(直近)위치에서 이사의 일부를 선단에 걸어서 그 장력을 검지하는 아암(Arm)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형식의 장치가 있었다.
이 장치에서는 이사의 장력변동에 따라서 아암의 선단이 작게 회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사가 절단되어 아암이 특히 크게 회동될 때에는 아암의 선단의 근접스윗치에 접근하여 이것이 온(on)되어 이사의 이상상태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상검출장치에서는 아암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을뿐 아니라 이 아암을 이사의 장력에 대항하여 회동부세(付勢)애 두기 위한 스프링이 필요하며 또한 이 아암의 회동에 응동(應動)하여 작용하는 근접스윗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들의 기구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이들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이사보빈의 가까이에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이 장치에 있어서는 근접스윗치를 사용하므로 그 작동시에는 아암선단의 작동체를 근접스윗치에 대하여 어느 일정한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동접근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정확하게 접근시킬 수 있도록 아암 및 근접스윗치를 설치한다는 것은 제작상 매우 곤난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및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를 위한 공간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이사의 이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사의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기폭중앙에 위치하는 중이(中耳)장치로 구체화시킨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중이장치에서는 하나의 유니트로서 좌우양착의 셀배이지를 형성하도록 2개의 셀배이지 형성장치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이 중 한쪽에 대하여서만 부호를 부쳐서 설명하기로 한다.
직기프레임에 착설된 지지플래이트 11은 상방에서 환상박판 12를 체착하고 있으며 이 체착부에서는 동시에 회전자재한 로울러 13을 등간격으로 3개 착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하방에서도 제착수단 14로 직접 다른 환상박판(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고 있다.
이 하방의 환상박판도 회전자재한 3개의 로울러 16을 등간격으로 착설하고 있다. 상방의 로울러 13은 이사보빈 3a, 3b를 장비하는 회전반(盤) 4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방의 로울러 16은 이 회전반 4와 동기(同期)회전하는 저도형성부재로서의 저도형성반 5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 15는 이사보빈용 커버이다.
이사보빈 회전반 4 및 저도형성반 5에는 각각 치차 17, 1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회전전달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구동치차 19로부터 중간치차 20을 경유하여 치차 18이 회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저도형성반 5가 회동되며 다음에 치차 18과 교합된 치차 41로부터 치차 42를 경유하여 전기한 환상박판 12에 착설된 블라켓트 43에 지지된 치차 44에 회전이 전하여지고 이 치차 44와 일체화된 치차 45가 전기한 치차 17과 교합됨으로써 이사보빈 회전반 4가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이 전달되는 양회전반 4,5에 대하여 양보빈 3a,3b로부터 인출되는 이사 7a, 7b는 제2도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이사안내공 6a,6b로 들어가서 회전반 4와 지지플래이트 11의 간격내를 지나서도 형성반 5의 표면을 경유 그 이사안내공 8a,8b내로 끌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시도형성반 5 및 환상박판의 이면을 통과하여 지경사 1과 마찬가지로 직구9에 이르게 되며 저도형성반 5의 회전에 의하여 이사 7a,7b는 교호로 개폐운동을 하게 되어 저도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 이사 7a,7b가 절단되거나 그 장력이 이상하게 저하되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저도형성반 5를 나와서 직구 9에 이르는 상하 한쌍의 저도형성이사 7a,7b중 상부의 실 7a가 이점쇄선(二點鎖線)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B위치).
이와 같이 하방으로 처지게 되면 이사 7a는 위입위치 Y보다도 하방으로 오게 되어 버려서 셀배이지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 저도형성이사 7a가 밑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저도형성반 5의 종광 2측에 설치하고 있다.
이 검출장치는 특히 제3,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저도형성반 5의 상부직전에 위치하고 이사 7a,7b의 양단에서 종방향으로 설치한 한쌍의 취착판 21 사이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또 양 취착판 21은 직기프레임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장치의 본체 22는 각 취착판 21에 내접하여 종방향으로 뻗은 좌우 한쌍의 각편(脚片) 23과 양각편 23을 거의 중앙부에서 연결편 24를 개재시켜 연결 고정하는 비스(mechine screw) 25로 구성하며, 양각편 23 사이가 상부의 저구(桁口) 형성이사 7a 통과용의 통과부 26이 되어 있다. 이 통과부 26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또 전기한 비스 25의 양단은 양취착판 21의 상단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장구(長溝) 21에 대하여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검출장치의 양각편 23 내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투광소자 27과 수광소자 28이 설치되어 양소자 27,28사이에서 이사 7a의 상하방향으로의 통과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양소자 27,28은 이사 7a의 정상상태 위치 A와 공연(空撚)을 이르키는 이상발생시의 위치 B와의 사이의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중이장치이기 때문에 좌우 양측의 저도형성반 5에서의 이사 7a, 7b 합계 4본에 대하여 검지해야 하며 양소자 27,28 사이를 4본의 이사 7a,7b가 통과하게 된다.
검출장치에서는 이사 7a,7b가 저도형성반 5의 회전에 따라서 투광소자 27과 수광소자 28 사이를 상하로 통과함으로서 차광신호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사 7a,7b의 절단시나 장력저하시에는 이 이사가 B위치까지만 상동(上動)되지 않으며 차광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발생수가 감소하고 이 감소가 이상신호로서 검지된다.
이때 전기한 이사 7a,7b에 의한 차광신호의 발생은 이것만이 단독 검출되는 것이 아니고 직기의 회전 즉 저도형성반 5의 회전수와 비교하여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저도형성반 5는 크랭크 1회전(직기 1회전)에 대하여 반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제3도의 위치로부터 반회전되면 상항의 각 이사 7a,7b가 1회씩 광전소자를 상하로 통과시켜서 통과회수는 합계 2회가 된다.
따라서 중이장치의 경우 1 유니트로 좌우 양측의 셀배이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저도형성반 5의 1/2회전당이사 7a,7b의 검출회수가 4회 이하가 되면 이사 7a,7b의 이상의 검지될 수가 있는 것이다.
전기한 검출장치는 제5도의 브록크(Block) 회로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투수광소자 27,28에 의하여 생기는 차광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31, 증폭된 신호를 디지탈(digital)화시키기 위한 파형정형기 32 및 이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3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3에는 근접스윗치 34 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직기의 크랭크 아암 1회전 즉 저도형성반 5의 1/2회전마다 하나가 발생하는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33은 차광신호의 수를 저도형성반 5의 회전수와 비교하여 후기하는 직기의 정지요구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전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33의 연산(演算) 처리동작을 제6도의 "프로우 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전기한 차광신호가 들어가면 카운터가 개시되고 이 카운터수는 정상적인 중이장치의 배이지직성동작 상태에서는 근접스윗치 34으로부터의 발생신호 하나에 대하여 넷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운터수는 근접스윗치 34로부터의 신호 즉 직기의 소정의 회전을 확인한 다음에 이것과 비교되어 정상여부가 판단된다.
카운터수가 4 이하가 되면 이사절단으로 판단되어 정치 요구신호가 발하게 되고 직기의 운전이 정지된다. 카운터수가 4이면 카운터는 클리어되고 다시 차광신호펄즈가 카운터된다.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이사 7a가 정상위치 A로부터 B위치로 내려갔을 때 이사 7a의 이상검출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투수광소자 27,28을 비교적 상방위치에 설치하였으나 이사 7a는 그 절단시 등에는 B위치보다도 훨씬 더 하방까지만 상승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투수광소자 27,28을 더 하방에 배치하여도 이사 7a의 이상을 충분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위치는 전기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사 7a의 A위치와 하부의 이사 7b와의 사이의 범위내이면 검출위치는 어느 곳이라도 좋다.
또 전기한 검출장치는 저도형성반 5의 직후보다도 더 후방(종광 2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예는 중이장치에 대한 채용에 이었으나 양단의 셀배이지부에 대하여서도 또는 사이부(捨耳部)에 대하여서도 마찬가지로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저도형성부재로서의 저도형성반을 대신하여 이사안내공을 가진 상하왕복레버, 기타의 수단으로 이사를 상하동시켜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전식의 검출장치를 사용하였으므로 기계적인 가동부분을 없애어 그 구조를 간단히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체의 크기는 콤펙트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를 위한 공간을 작게 잡을 수 있고 또한 설치위치도 비교적 자유로히 선택할 수 있어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잇으며 또한 이사의 이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Claims (3)

  1. 이사(耳
    Figure kpo00006
    : Selvage yarn) 안내공을 가진 저도(桁道) 형성부재에 의하여 이사에 개폐운동을 부여하여 위사를 얽어서 직포에 셀베이지를 형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저도형성부재와 직구(織口)와의 사이에 또한 이사의 상하운동범위내에 전기한 이사의 상하동에 의한 차광회수를 검지하여 이것을 카운트하고 이 회수와 소정회수를 비교하도록 구성한 광전식 검출장치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사(耳
    Figure kpo00007
    : 셀배이지 야안)(selvage yarn)의 이상검출장치.
  2. 검출장치는 상부의 저도형성이사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각편(脚片)(23)과 각 각편(23)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한 투광소자(27) 및 수광소자(28)로 구성되며 저도형성부재의 직후위치에 설치되도록 한 제1항에 기재한 직기의 셀재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의 이상검출장치.
  3. 투광소자(27) 및 수광소자(28)는 저구(桁口) 형성이사의 정상위치와 이상발생시의 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높이로 설치하도록 하는 제1항에 기재한 직기의 셀배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의 이상검출장치.
KR1019810003705A 1980-10-15 1981-09-30 직기의 "셀베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耳絲)의 이상 검출장치 KR850001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43842A JPS5771459A (en) 1980-10-15 1980-10-15 Abnormality detecting apparatus of ear yarn in ear molding apparatus of loom
JP55-143842 198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19A KR830007919A (ko) 1983-11-07
KR850001119B1 true KR850001119B1 (ko) 1985-08-03

Family

ID=1534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705A KR850001119B1 (ko) 1980-10-15 1981-09-30 직기의 "셀베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耳絲)의 이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412562A (ko)
JP (1) JPS5771459A (ko)
KR (1) KR850001119B1 (ko)
CH (1) CH654038A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238A (en) * 1981-04-18 1982-10-29 Toyoda Automatic Loom Works Driving of motor in loom
BE1000902A4 (nl) * 1987-09-02 1989-05-09 Picanol Nv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zelfkant aan een weefsel bij weefmachines
EP0674032B2 (de) * 1994-02-23 2004-11-24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Rotations-Kantendreher für Webmaschinen
DE19720634C1 (de) * 1997-05-16 1998-10-01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zum Bilden einer Gewebe- und Fangleiste bei der Herstellung eines Gewebes auf Webmaschin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3313755A (ja) * 2002-04-22 2003-11-06 Tsudakoma Corp 耳経糸切れ検出装置
US6904118B2 (en) * 2002-07-23 2005-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density map using dual-energy CT
DE10313188A1 (de) * 2003-03-25 2004-10-07 Lindauer Dornier Gmbh Rotationskantendrehereinrichtung einer Webmaschine
DE10336006B4 (de) * 2003-08-01 2007-07-12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an einer Webmaschine zum Bilden von Dreherkanten
CN106192168B (zh) * 2016-08-29 2017-11-24 青岛天一集团红旗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喷气织机绞边机构试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43178A (de) * 1965-05-22 1967-08-31 Zangs Ag Maschf Drehervorrichtung zum Binden von Gewebekanten an einem Webstuhl
CH621158A5 (ko) * 1977-05-13 1981-01-15 Rueti Ag Maschf
US4248272A (en) * 1979-10-25 1981-02-03 Appalachian Electronic Instruments, Inc. Shed sensing stop motion system for high speed looms
US4300599A (en) * 1980-01-04 1981-11-17 Leesona Corporation Warp de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71459A (en) 1982-05-04
KR830007919A (ko) 1983-11-07
JPS6323297B2 (ko) 1988-05-16
US4412562A (en) 1983-11-01
CH654038A5 (de) 198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119B1 (ko) 직기의 "셀베이지" 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사(耳絲)의 이상 검출장치
US381823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broken threads or other disturbances in a fibre web
US4817675A (en) Method for repairing a broken warp thread on weaving machines, and the rethreading mechanisms used
US4361172A (en) Mechanism for stopping a circular loom during weaving operation
US3489910A (en) Optical weft thread monitoring apparatus for looms employing multiple reflections of a light beam
US4384596A (en) Means and method for sensing loom conditions indicative of potential fabric defects
US4592394A (en) Optical weft sensor for air jet weaving looms
JPH07117927A (ja) 糸切れ検出方法とその装置
US4248272A (en) Shed sensing stop motion system for high speed looms
JPS61221063A (ja) 整列糸の糸切れ探知方法,および同方法に用いるフイ−ラ
US6814107B2 (en) Device for detecting breakage of leno threads on looms or on a loom more specifically provided with heald frames an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thread breakage
US4095621A (en) Woof breakage detection system for a shuttleless weaving machine
US3593752A (en) Loom
JPH031416B2 (ko)
SU108391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с механизмом смены цвета
US3871414A (en) Device for producing a false selvedge on a fabric as well as weaving looms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2557533A (en) Stop motion for narrow fabric looms
JPH08109549A (ja) 織機の経糸異常検知装置
US3522535A (en) Motion determinator having a light source,a shutter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and light responsive photoresistors
EP3527702A1 (en) A device for contactless measurement of the parameters of a linear textile form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and a textile machine
SU15201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многозевной ткацкой машине
US3550641A (en) Arrangement for the monitoring of the insertion of weft threads
US34888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draft of staple fiber sliver in a drafting system
JP2003313755A (ja) 耳経糸切れ検出装置
EP3896201A1 (en) Device for forming a leno weave in a weav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