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70B1 - 화상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70B1
KR850000970B1 KR8200237A KR820000237A KR850000970B1 KR 850000970 B1 KR850000970 B1 KR 850000970B1 KR 8200237 A KR8200237 A KR 8200237A KR 820000237 A KR820000237 A KR 820000237A KR 850000970 B1 KR850000970 B1 KR 85000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division
electron beam
divi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856A (ko
Inventor
사다히로 이에하라
미쯔야 마스다
시즈오 이노하라
미노루 우에다
케이스께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야마시다 도시히꼬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781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37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61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5590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시다 도시히꼬,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시다 도시히꼬
Publication of KR83000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6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ine sourc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표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상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표시 소자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그 화상표시 소자의 스크리인의 확대정면도.
제3도는 동장치의 구동회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동장치의 수직편향 구동회로의 회로도.
제5도는 동장치의 수직편향 전극과 스크리인을 나타낸 측단면도.
제6도는 동장치의 표시라스터(Raster)를 나타낸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 소자의 수직편향 전극과 그 수직편향 구동회로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면전극 (2) : 선음극
(3), (3') : 수직집속전극 (4) : 수직편향전극
(5) : 비임류 제어전극 (6) : 수평집속전극
(7) : 수평편향전극 (8) : 비임가속전극
(9) : 스크리인판 (10), (14) : 슬릿
(11) : 도전기판 (12) : 절연기판
(13), (13') : 도전체 (15) : 도전판
(20) : 형광체 (22) : 전원회로
(24) : 동기분리회로 (25) : 수직구동펄스 발생회로
(27) : 수직편향 구동회로 (28) : 수평구동펄스 발생회로
(36) : 스위칭펄스 발생회로
본 발명은, 스크리인상의 화면을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해서 각각의 구분마다에 전자비임을 발생시켜서, 각 구분마다에 각각의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해서 복수의 라인을 표시하고, 전체로서 텔레비전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리인상에 컬러텔리비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종래, 컬러텔레비전 화상 표시용의 표시소자로서는, 브라운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브라운관으로는 화면의 크기에 비해서 안쪽깊이가 대단히 길어서, 박형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했었다. 또, 평판형상의 표시소자로서 최근 EL 표시소자, 플라즈마 표시장치, 액정표시소자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어느 것이나 휘도, 콘트라스트, 컬러표시 등의 성능면에서 불충분한 것이며, 실용화 되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자비임을 사용해서 컬러텔레비전 화상을 평판형상의 표시장치에 의해서 표시할 수가 있는 장치를 달성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표시소자의 조립시에 치수오차 등이 있어서 표시라인의 위치가 평행상태로부터 벗어져버렸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소정의 평행위치에 표시시키도록 보정을 할수가 있으며, 화면 전면에 정확하고 양호한 영상을 표시할 수가 있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크리인상의 화면을 수직방향에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해서 각각의 구분마다에 전자비임을 발생시켜, 각 구분마다에 각각의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해서 복수의 라인을 표시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해서 각 구분마다에 R. G. B 등의 형광체를 순차 발광시키도록 하고, 그 R. G. B 등의 형관체로의 전자비임의 조사량을 컬러영상 신호에 의해서 제어하게 하고, 전체로서 텔레비전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수직편향 전극에 있어서의 수직편향 전계형성용의 도전체를 각각 면 저항체에 의해서 형성하고, 그 단부에 수직편향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고, 또한, 이 도전체중에 있어서의 전압분포를 각 수직구분마다에 독립해서 변화시키는 조정수단을 착설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표시 소자의 기본적인 한 구성예를 제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표시소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차례로, 배면전극(1), 비임원으로서의 선음극(2), 수직집속전극(3), (3'), 수직편향전극(4), 비임류 제어전극(5), 수편집속전극(6), 수평편향전극(7), 비임가속전극(8) 및 스크리인판(9)이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편평한 유리밸브(도시하지 않음)의 진공으로 된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비임원으로서의 선음극(2)은 수평방향에 선형상으로 분포하는 전자비임을 발생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걸쳐져 있으며, 이러한 선음극(2)이 적당한 간격을 개재해서 수직방향에 복수본(여기서는 (2a)~(2d)의 4본만을 표시하고 있착)다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15본 착설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것들을 (2a)~(2a)로 한다. 이들의 선음극(2)은 예를들면 10~20μø의 텅스텐선의 표면에 열전자 방출용의 산화물 음극재료가 도포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선음극(2a)~(2o)은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서 열전자비임을 발생할수 있게 발열되어 있으며,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위쪽의 선음극(2a)으로부터 차례로 일정시간씩 전자비임을 방출하도록 제어된다. 배면전극(1)은, 그 일정시간 전자비임을 방출하기 위해 제어되어 선음극(2)이외의 다른 선음극(2)으로부터의 전자비임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발생된 전자비임을 앞방향으로만 향하게 해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이 배면전극(1)은 유리밸브의 뒷벽의 내면에 부착된 도전재료의 도막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들 배면전극(1)과 선음극(2)대신에, 면형상의 전자비임 방출음극을 사용해도 된다.
수직집속전극(3)은 선음극(2a)~(2o)의 각각과 대향하는 수평방향으로 길다란 슬릿(10)을 가진 도전판(11)이며, 선음극(2)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비임을 그 슬릿(10)을 통해서 꺼내고, 또한, 수직방향에 집속시쟈다. 수평방향 1라인분(320화소분)의 전자비임을 동시에 꺼낸다. 도면에서는, 그중의 수평방향의 1구분의 것만을 나타내고 있다. 슬릿(10)은 도중에 적당한 간격으로 뼈대가 착설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수평방향으로 좁은간격(거의 닿을정도의 간격)으로 다수개 나란히 형성된 구멍의 열로 실질적으로 슬릿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직집속전극(3') 도 마찬가지의 것이다.
수직편향전극(4)은 상기 슬릿(10)의 각각의 중간위치에 수평방향으로 해서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각각, 절연기판(1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도전체(13)(13')가 착설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향하는 도전체(13)(13')의 사이에 수직편향용 전압이 인가되어,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도전체(13)(13')에 의해서 1본의 선음극(2)으로부터의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16라인분의 위치로 편향하다. 그리고, 16개의 수직편향전극(4)에 의해서 15분의 선음극(2)의 각각에 대응하는 15쌍의 도전체쌍이 구성되고, 결국, 스크리인(9)상에 240본의 수평라인을 그리는 것과같이 전자비임을 편향한다.
다음에, 제어전극(5)은 각각이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슬릿(14)을 가진 도전판(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간격을 개재해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병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320본의 제어전극용 도전판(15a)~(15n)이 착설되어 있다(도면에서는 10본만을 나타내고 있음). 이 제어전극(5)은, 각각이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1화소분씩 구분해서 꺼내고, 또한 그 통과량을 각각의 화소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전극(5)용 도전판(15a)~(15n)을 320븐 착설하면 수평 1라인분당 320화소를 표시할 수가 있다.
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각 화소는 R. G. B의 3색의 형광체로 표시하기로 하고, 각 제어전극(5)에는 그 R. G. B의 각 영상신호가 차례로 가해진다. 또, 320본의 제어전극(5)용 도전판(15a)~(15n)의 각각에는 1라인분의 320조의 영상신호가 동시에 가해져서, 1라인분의 영상이 일시에 표시된다.
수평집속전극(6)은 제어전극(5)의 슬릿(14)과 상대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복수본(320본)의 슬릿(16)을 가진 도전판(17)으로 구성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분된 각기의 화소마다의 전자비임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집속해서 가느다란 전자비임으로 한다.
수평편향전극(7)은 상기 슬릿(16)의 각각 중간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해서 복수본 배치된 도전판(1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사이에 수평편향용 전압이 인가되어서, 각 화소마다의 전자비임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고, 스크리인(9)상에서 R. G. B의 각 형광체를 순차적으로 조사(照射)해서 발광시키도록한다. 그 편향범위는, 이 실시예에서는 각 전자비임마다에 1화소분의 폭이다.
가속전극(8)은 수직편향전극(4)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해서 착설된 복수개의 도전판(1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비임을 충분한 에너지로 스크리인(9)에 충돌시키도록 가속한다.
스크리인(9)은 전자비임의 조사에 의해서 발광되는 형광체(20)가 유리판(21)의 뒷면에 도포되고, 또, 메탈백(metal back)층 (도시하지 않았음)이 부가되어서 구성되고 있다. 형광체(20)는 제어전극(5)의 하나의 슬릿(14)에 대해서, 즉, 수평방향으로 구분된 각 1본의 전자비임에 대해서, R. G. B의 3색의 형광체가 한쌍씩 착설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줄무늬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제1도중에서 스크리인(9)에 기입된 파선은 복수본의 선음극(2)의 각각에 대응해서 표시되는 수직방향에서의 구분을 나타내고 2점쇄선은 복수본의 제어전극(5)의 각각에 대응해서 표시되는 수평방향에서의 구분을 나타낸다. 이들 양자로 구획된 한개의 구획에는, 제2도에 확대해서 표시한 바와같이, 수평방향에서는 1화소분의 R. G. B의 형광체(20)가 있으며, 수직방향에서는 16라인분의 폭을 가지고 있다. 한개의 구획의 크기는, 예를들면, 수평방향이 1mm, 수직방향이 16mm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는, 알기쉽게 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의 길이가 수직방향에 대해서 매우 크게 확대되어 그려져 있는 점에 주의해주기 바란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1본의 제어전극(5) 즉 1본의 전자비임에 대해서 R. G. B의 형광체(20)가 1화소분의 한쌍만이 형성되어 있으나, 2화소 이상분의 두쌍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물론이고, 이 경우에는 제어전극(5)에는 두개이상의 화소를 위한 R, G, B 형상신호가 순차로 가해져서, 그것과 동기해서 수평편향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이 표시소자에 텔레비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회로의 기본구성을 제3도에 표시해서 설명한다. 맨처음에, 전자비임을 스크리인(9)에 조사해서 라스터를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회로(22)는 표시소자의 각 전극에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동작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이며, 배면전극(1)에는 - V1, 수직집속전극(3)(3')에는 V3, V3', 수평집속전극(6)에는 V6, 가속전극(8)에는 V8, 스크리인(9)에는 V9의 직류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입력단자(23)에는 텔레비전 신호의 복합영상 신호가 가해지고, 동기분리회로(24)에서 수직동기신호(V)와 수평동기신호(H)가 분리 추출된다. 수직구동펄스 발생회로(25)는 수직펄스에 의해서 복귀되어서 수평펄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등에 의해서 구성되고, 수직주기중의 수직귀선 기간을 제외한 유효수직 주사기간(여기서는 240H분의 기간으로 한다)에 차례로 16H기간씩의 길이의 15개의 구동펄스(a, b……o)를 발생한다. 이 구동펄스(a, b……o)는 선음극 구동회로(26)에 가해져, 여기서 반전되어서, 각 펄스기간에만 저전위가 되게하여, 그 이외의 기간에는 약 20볼트의 고전위가 되게한 선음극 구동펄스(a', b'……o')로 변환되어, 각 선음극(2a, 2b……2o)는 그 구동펄스(a'~o')의 고전위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있어, 구동펄스(a'~o')의 저전위 기간에도 전자를 방출할수 있도록 가열상태가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15분의 선음극(2a~2o)으로부터는 각각에 저전위의 구동펄스 (a'~o')가 가해진 16H기간에만 전자가 방출된다. 고전위가 가해지고 있는 기간에는, 배면전극(1)과 수직집속전극(3)에 가해지고 있는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정해진 선음극(2)의 위치에 있어서의 전위보다도 선음극(2a~2o)에 가해져 있는 고전위쪽이 +가 되기때문에 선음극(2a~2o)으로부터는 전자가 방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선음극(2)에 있어서는, 유효수직 주사기간의 사이에, 위쪽의 선음극(2a)로부터 아래쪽의 선음극(2o)를 향해서 차례로 16H 기간씩 전자가 방출된다. 방출된 전자는 배면전극(1)에 의해서 앞방향쪽으로 밀려나서, 수직집속전극(3)중 대향하는 슬릿(10)을 통과하고, 수직방향으로 집속되어서, 평판형상의 전자비임이 된다.
다음에, 수직편향 구동회로(27)는 수직구동펄스(a~o)의 각각에 의해서 복귀되어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그 카운트 출력을 D/A 변환하는 변환회로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수직구동펄스(a~o)의 16H 기간사에에 1H씩 16단계로 변화하는 한쌍의 수직편향신호(V)(V')를 발생한다. 수직편향신호(V)와 (V')와는 함께 중심전압이 (V4)의 것으로, (V)는 순차 증가하고, (V')는 순차 감소해 가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변화하도록 되어있다. 이들 수직편향신호(V)와 (V')는 각각 수직편향전극(4)의 전극(13)과 (13')에 가해져, 그결과, 각각의 선음극(2a~2o)로부터 발생된 전자비임은 수직방향에 16단계로 편향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스크리인(9) 상에서는 한개의 전자비임으로 16라인분의 라스터상으로부터 차례로 순차 1라인분씩 그리도록 편향된다.
이상의 결과로, 15개의 선음극(2a~2o)의 위쪽의 것부터 차례로 16H기간씩 전자비임이 방출되고, 또한 각 전자비임은 수직방향의 15개의 구분내에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순차 1라인분씩 편향되므로서, 스크리인(9) 상에서는 상단의 제1라인째부터 하단의 제240라인째까지 순차 1라인분씩 전자비임이 수직편향되어 합계 240라인의 라스터가 그려진다.
이와같이 수직편향된 전자비임은 제어전극(5)과 수평집속전극(6)에 의해서 수평방향에 320의 구분으로 분할되어서 꺼내어진다. 제1도에서는 그중의 1구분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전자비임은 각 구분마다에, 제어전극(5)에 의해서 통과량이 제어되고, 수평집속전극(6)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집속되어서 1본의 가느다란 전자비임이 되어서, 다음에 설명하는 수평편향수단에 의해서 수평방향에 3단계로 편향되어서 스크리인(9)상의 R, G, B의 각 형광체(20)에 순차 조사한다.
즉, 수평구동펄스 발생회로(28)는 3개 종속접속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평동기 신호에 의해서 트리거 되어서, 1수평 기간중에 펄스폭이 같은 3개의 수평구동펄스(r), (g), (b)가 발생한다. 여기서는, 한예로서, 각각의 펄스폭을 약 7μsec로 하고, 유효수평 주사기간인 50μsec 사이에 3개의 펄스(r), (g), (b)가 발생되게 하고 있다. 그들의 수평구동펄스 (r), (g), (b)는 수평편향 구동회로(29)에 가해진다. 이 수평편향 구동회로(29)는 수평구동펄스(r), (g), (b)에 의해서 스위칭되어서 3단계로 변화하는 한쌍의 수평편향신호(h)와 (h')를 발생한다. 수평편향신호(h), (h')는 함께 중심전압이(V1)의 것으로, (h)는 순차 증가하고, (h')는 순차 감소해 가도록, 서로7역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들 수평편향신호(h), (h')는 각각 수평편향전극(7)의 전극(18)과 (18')에 가해진다. 그 결과, 수평방향으로 구분된 각 전자비임은 각 수평기간 사이에 스크리인(9)의 R, G, B의 형광체에 순차 17μsec씩 조사되도록 수평편향 된다. 단, 제1도의 표시소자에서는, 수평편향전극(7)에 있어서는 한개의 도전체(18) 또는 (18')가 인접하는 두개의 구분의 전자비임의 편향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들 인접하는 전자비임에 대해서 서로 역방향으로의 편향작용을 일으키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320 구분의 전자비임은, 홀수번째의 구분의 것이 R→G→B의 차례로 편향된다고 하면 짝수번째의 구분의 것은 반대로 B→G→R의 순으로 편향된다는 것과같이, 1구분마다에 반대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렇게 하여, 각 라인의 래스터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의 320개의 각 구분마다에 전자비임이 R, G, B의 각 형광체(20)에 차례로 조사된다.
그래서, 각 라인의 각 수평구분 마다에 전자비임을 R, G, B의 영상신호에 니라서 변조하므로서, 스크리인(9)상에 컬러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다음에, 그 전자비임의 변조제어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텔레비젼 신호입력단자(23)에 가해진 복합영상 신호는 색복조회로(30)에 가해지고, 여기서 R-Y와 B-Y의 색차신호가 복조되고, G-Y의 색차신호가 매트릭스 합성되고, 다시, 그들이 휘도신호(Y)와 합성되어서, R, G, B의 각 원색신호(이하, R, G, B)의 연상신호라 한다)가 출력된다. 그들의 R, G, B 각 영상신호는 320조의 샘플호울드회로조(31a)~(31n)에 가해진다. 각 샘플호울드회로조(31a)~(31n)는 각각 R용, G용, B용의 3개의 샘플호울드회로를 가지고 있다. 그들의 샘플호울드 회로조(31a)~(31n)의 샘플호울드 출력은 각각 유지용의 메모리장치조(32a)~(32c)에 가해진다.
한편, 샘플링을 기준클록발진기(33)는, PLL(phase locked logp)회로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약 6.4MHz의 기준클록을 발생한다. 그 기준클록은 수평동기신호(H)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위상을 갖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 기준클록은 샘플링 펄스발생회로(34)에 가해져서, 여기서 자리이동 레지스터에 의해서 클록 1주기씩 지연되는 등으로 해서, 수평주기(63.5μsec)중의 유효수평 주사기간(약 50μsec)사이에 320개의 샘플링펄스(a)~(n)가 순차 발생되어 그후에 1개의 전송펄스가 발생된다. 이 샘플링펄스 (a)~(n)는 표시해야 할 영상의 1라인을 수평방향에 320의 최소로 분할했을 때의 각각의 화소에 대응하고, 그 위치는 수평동기신호(H)에 대해서 항상 일정해지도록 제어된다.
이 320개의 샘플링펄스(a)~(n)가 각각 상기의 320조의 샘플호울드회로조(31a)~31n)에 가해지고, 이것에 의해서 각 샘플링호울드회로조(31a)~31n)에는 1라인을 320개의 화소로 구분했을때의 각각의 화소의 R, G, B의 각 영상신호가 개별적으로 샘플링되어 호울드 된다. 그 샘플링 호울드된 320조의 R, G, B 영상신호는 1라인분의 샘플링호울드 종료후에 320조의 메모리(320a)~(320b)에 전송펄스(t)에 의해서 일제히 전송되고, 여기서 다음의 1수평기간동안 유지된다.
메모리(32a)~(32n)에 유지된 1라인분의 R, G, B 영상신호는 각각 320계의 스위칭회로(35a)~(35n)에 가해진다. 스위칭회로(35a)~(35n)는 각각이 R, G, B의 개별입력단자와 그것들을 순차 절환해서 출력하는 공통출력단자를 가진 애널로그 게트회로에 의해서 구성되 것으로서, 각 스위파회로(35a)~(35n)의 출력은 전자비임을 변조하기 위한 제어신호로서 표시소자의 제어전극(5)의 320본의 도전판(15a)~(15n)에 각각 개별적으로 가해진다. 각 스위칭회로(35a)~(35n)는 스위칭펄스 발생회로(36)로부터 가해지는 스위칭펄스에 의해서 동시에 절환제어된다. 스위칭펄스 발생회로(36)는 앞서 설명한 수평구동펄스 발생회로(28)로부터의 펄스(r), (g), (b)에 의해서 제어되어 있으며, 각 수평기간의 중앙부분의 약 50μsec를 3분할해서 약 17μsec씩 스위칭회로(35a)~(35n)를 절환하고, R, G, B의 각 영상신호를 시분할해서 교호로 순차 출력하여, 제어전극(15a)~(15n)에 공급하도록 절환신호(r), (g), (b)를 발생한다. 단, 스위칭회로(35a)~(35n)에 있어서, 홀수번째의 스위칭회로(35a), (35)……는 R→G→B의 순서로 절환되고, 짝수번째의 스위칭회로(35b), (35d)……(35n)는 반대로 B→G→R의 순서로 절환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스위칭회로(35a)~ (35n)에 있어서의 R, G, B의 영상신호의 공급절환과, 수평편향 구동회로(29)에 의한 전자비임의 R, G, B이 형광체에의 조사, 절환, 수평편향이, 타이밍에 있어서나 순서에 있어서도 완전히 일치하도록 동기제어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전자비임이 R형광체에 조사되고 있을때에는 그 전자비임의 조사량이 R영상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G, 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어되어서, 각 화소의 R, G, B 각 형광체의 발광이 그 화소의 R, G, B 영상신호에 의해서 각각 제어되게 되어, 각 화소가 입력의 영상신호에 따라서 발광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가 1라인분의 320개의 화소에 대해서 동시에 행해져서 1라인의 영상이 표시되고, 또한 240분의 라인에 대해서 위쪽의 라인으로부터 차례로 행해져서, 스크리인(9)상에 한개의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제동작이 입력텔레비젼 신호의 1피일드마다에 반복되어, 그결과, 통상의 텔레비젼 수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크리인(9)상에 동화(動畵)의 텔레비젼 영상이 영출된다.
상기와 같이해서, 이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텔레비젼 영상이 영출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이란 용어는, 영상을 영출할때에 라인단위의 표시가 되는 방향이 수평방향으로서, 그 라인의 쌓아올려져 가는 방향이 수직방향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실적인 화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과 직접 관계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세히 설명한 바와각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형상의 표시장치에 의해서 컬러텔레비전 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어서 박형컬러텔레비젼 수상기 등을 실현할 수가 있고, 더우기, 전자비임과 형광체를 사용하므로서 밝고 보기좋은 컬러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이해서, 이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텔레비젼 영상이 영출되는 것이나, 표시소자를 제조할때의 조립오차 등에 의해서 수직편향이 균등하게 행하여지지 못하고, 그 때문에 스크리인(9)상에 있어서 각 라인의 간격이 불균일하게 되거나, 각 라인의 단부가 상하로 벗어지든가 해서, 평행으로 표시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그와같은 경우에는 스크리인(9) 상에서의 래스터의 각 라인을 소정을 위치에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정확하게 평행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해서, 그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4도는 수직편향 구동회로(27)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링카운터(37)는 수직구동펄스 발생회로(25)로부터의 수직구동펄스(a)~(o)의 각각의 앞가장자리에서 복귀되고, 그후 수평동기신호(H)를 카운트해서, 16개의 출력단자로부터 순차 1H마다 절환펄스 (α)~(π)를 발생한다. 한편, 가변저항기(38)에는 16개의 출력단자가 착설되어 있어서, 각각으로부터 수직편향을 위한 16단계의 출력전압이 꺼내지고, 애널로그스위치(39α)~(39π)를 개재해서 꺼내어진다. 각 애널로그 스위치(39α)~(39π)는 각각 절환펄스(α)~(π)에 의해서 순차 1H기간씩 도통하도록 스위칭되어, 최저단자와 최고단자와의 사이에서 16단계로 분할되어 차례로 레벨이 높아지는 계단형상의 출력이 얻어진다. 그 출력전압은 이미터폴로아 접속된 트랜지스터(40)를 개재해서 꺼내지고, 가변저항기(41)에 의해서 진폭이 조정되고, 또한, 트랜지스터(42)(43)(44)로 구성된 B급 증폭회로(45)로 증폭되어서, 출력단자(46)에서 수직편향신호(V)가 출력된다. 한편, 수직편향신호(V')도 꼭같은 회로에 의해서 만들어지나, 상기의 경우와는 애널로그 스위치(39α')~(39π')가 반대인 순서로 절환펄스(α)~(π)에 의해서 절환되는 점만이 다른 것이며, 그것에 의해서 순차 레벨이 낮아지는 계단형상의 출력(V')이 작성되고, 출력단자(46')로부터 출력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수직편향신호(V)와 (V')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수직편향전극(4)의 도전판(13)과 (13')에 가해져, 이것에 의해서, 전자비임이 수직방향의 각각의 1구분에 있어서 16단계로 편향되어 1본의 전자비임으로 16라인의 라스터가 그려진다.
그러나, 표시소자에 있어서 조립할때에 수직편향전극(4)의 각 전극판의 부착치수에 오차가 생겨서 도전체(13)과 (13')가 정확하게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지않거나 전후방향에 비스듬하게 되어버리는 등의 불균형을 일으키고 있으면, 스크리인(9)상에 있어서 래스터의 각 라인이 소정의 평행상태로 그려지지않고, 간격이 불균일하게 되거나, 각 라인의 단부가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벗어져 버리게 된다. 제6도는 그 벗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중, 실선이 각 라인의 소정위치, 1점쇄선이 벗어지게 표시된 라인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6도에서는 수직방향의 (가)(나)(다)(라)의 4개의 구분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또한, 각 구분내에서도 5분씩의 라인만을 도시하고있다. 구분(가)와 (라)에 있어서는, 각 라인이 정확하게 소정의 평행상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구분(나)에 있어서는 각 라인의 왼쪽부분이 중앙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벗어지게 표시되어 있으며, 구분(다)에서는 각 라인의 왼쪽부분이 중앙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벗어지게 표시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래스터에 있어서의 각 라인의 표시위치의 벗어짐을 전기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것을 실현하는 수직편향전극(4) 과 수직편향 구동회로(27)의 일실시예를 제7도에 표시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수직방향의 각 구분마다에 전자비임을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직편향전극(4)의 각각의 도전체(13a)~(13p)와 (13a')~(13p')를 면저항체에 의해서 구성하고, 그들의 면저항체제의 도전체(13a)~(13p)와 (13a')~(13p')의 한쪽의 단부에 각각 수직편향신호(V)와(V')를 인가하고, 다른쪽의 단부에 각각 조정용의가변저항기(47a)~(47p') 및 (48a')~(47p')와 애널로그스위치 (48a)~(48p) 및 (48a')~(48p')와의 직렬회로를 접속하고, 또한, 그들의 애널로그스위치(48a)~(48p)와 (48a')~(48p')를 수직구동펄스 (a)~(p)에 의해서 수직방향의 각 구분마다에 순차 도통시키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수직방향의 각 구분의 각각에 대해서, 그 구분의 전자비임이 발생되어 있는 기간에 애널로그스위치 (48a)~(48p), (48a')~(48p')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는 가변저항기(47a')~(47p'), 를 조정해서 각각의 구간의 도전체(13a)~(13p), (13a')~(13p')에는 흐르는 수직편향 신호의 크기를 바꾸어 그 도전체 중에 있서의 전압분포를 변화시키므로서, 각각의 구분내에 있어서의 왼쪽에서 오른쪽에 걸쳐서의 수직편향 전계의 분포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가있고,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라스터의 불평행상태를 보정해서 평행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물론, 수직편향신호(V)의 조정과 함께, 수직편향신호(V')도 마찬가지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해서, 표시소자의 조립시에 수직편향전극(4)의 부착위치에 치수오차가 생기는 등의 원인에 의해서 래스터의 각 라인의 평행상태가 벗어졌을 경우에도, 수직방향의 각 구분마다에 수직편향 전극의 도전체중에 있어서의 전압분포를 조정하므로서, 각 라인을 소정의 평행상태의 위치에 정확하게 표시할 수가 있으며, 텔레비젼 영상을 정확하게 영출할 수가 있도록 할수가 있다.
또한, 수직편향신호의 도전체중에 있어서의 전압분포를 수직방향의 각 구분마다에 독립해서 조정하는 수단은 도시한 실시예의 회로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임의로 변형해서 사용하면 된다. 또, 그 조정수단을 결합하는 위치도, 그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을 수직방향에 복수로 구분하여, 각 구분마다에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해서 복수본씩의 라인을 표시할 경우에 있어서 각 구분의 수직편향용의 신호의 수직편향 전극중에 있어서의 전압분포를 각 구분마다에 조정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표시소자의 조립시에 치수오차 등이 있어서 표시라인의 위치가 평행상태에서 벗어져 버린 경우에도 용이하게 소정의 평행위치에 표시시키도록 보정을 할수가 있고, 화면전체에 걸쳐서 양호한 영상을 정확하게 표시할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의 1구분당 R, G, B의 형광체를 한조씩 착설토록 하였으나, 1구분당 복수조씩 착설해서 1구분에 복수화소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물론, 그 경우에는 샘플호울드 회로조와 메모리의 수를 복수배해서 수평방향 1라인분의 총화소 수분만을 형성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스위칭회로에서는 그들 복수조의 메모리로부터의 R, G, B 영상신호를 순차 꺼내서 제어전극에 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 수평방향으로 각 구분에 형성하는 형광체는 R, G, B의 3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컬러영상을 표시할수 있는 것의 경합이면 임의로 선택해도 좋다.

Claims (7)

  1. 형광체 스크리인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크리인상의 화면을 수직방향에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된 각 수직구분 마당에 전자비임을 발생시켜, 상기 각 수직구분 마다에 전자비임을 순차 수직방향에 편향해서 각 수직구분 마다에 복수의 라인을 표시하고 하고, 상기 스크리인상의 화면을 수평방향에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된 각 수평구분 마다에 화소마다 적, 녹, 청 등의 복수의 색의 형광체를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두고, 전자비임을 상기 수평 방향의 구분마다에 분할하고, 또한 각각을 각 수평구분 마다에 수평방향으로 편향해서 각 수평구분 마다에 상기 복수의 색의 형광체를 순차 조사해서 발광시키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컬러텔레비전 신호부터 상기 각 수평구분 마다의 각 화소의 영상신호를 샘플링해서 유지하고, 상기 각 수평구분마다에 상기 전자비임에 의한 상기 복수의 색의 형광체의 조사와 동기해서, 상기 유지된 영상신호에 의해서 상긱 각 수평구분마다의 전자비임을 각색마다 변조해서, 상기 스크리인상에 컬러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수직구분 마다에 전자비임을 발생하는 수단으로서, 각 수직구분마다에 열전자비임을 선형상으로 발생하는 선음극을 착설한 화상표시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직편향 전극에 있어서의 수직편향전계 형성용의 도전체를 각각 면저항체에 의해 형성해서 그 단부에 수직편향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도전체중에 있어서의 전압분포를 각 구분마다에 독립해서 변화시키는 조정수단을 착설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편향 전극의 도전체의 한쪽단부에 각각 수직편향신호를 인가하고, 다른쪽 단부에 조정수단을 접속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조정수단으로서, 수직편향전극의 복수의 도전체에 각각 가변저항기를 접속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수평방향에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된 각 구분마다에 적, 녹, 청 등의 복수의 색의 형광체가 도포된 스크리인과, 상기 스크리인의 수직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각 구분마다에 순차 전자비임을 발생하는 전자비임과, 상기 수직구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해서 각 수직구분 마다에 상기 스크리인 상에 복수본씩의 라인을 그리게 하기위한 수직편향전극과, 상기 수평구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전자비임을 각 수평구분 마다에 수평방향으로 편향해서 각 수평구분 마다에 상기 복수의 색의 형광체에 순차 조사시키는 수평편향 전극과, 상기 스크리인에 조사되는 전자비임의 양을 입력영상 신호에 따라서 변조해서 상기 스크리인상에 화상을 연출시키기 위한 제어전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8200237A 1981-02-10 1982-01-21 화상표시 장치 KR850000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8181A JPS57133778A (en) 1981-02-10 1981-02-10 Picture display device
JP18781 1981-02-10
JP2061881A JPS57135590A (en) 1981-02-13 1981-02-13 Picture display device
JP20618 1981-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856A KR830009856A (ko) 1983-12-23
KR850000970B1 true KR850000970B1 (ko) 1985-07-02

Family

ID=2635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237A KR850000970B1 (ko) 1981-02-10 1982-01-21 화상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51846A (ko)
KR (1) KR850000970B1 (ko)
AU (1) AU529327B2 (ko)
BR (1) BR8200691A (ko)
DE (1) DE3203765A1 (ko)
FR (1) FR2499764B1 (ko)
GB (1) GB2095079B (ko)
IT (1) IT1155259B (ko)
MX (1) MX158516A (ko)
NL (1) NL190297C (ko)
PH (1) PH199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92159C (nl) * 1981-02-10 1997-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leurenbeeldweergeefinrichting.
EP0094622B1 (en) * 1982-05-13 1986-0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EP0094670B1 (en) * 1982-05-19 1986-03-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JPS60119063A (ja) * 1983-11-30 1985-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US4703231A (en) * 1984-06-26 1987-10-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at type image display tub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4714863A (en) * 1984-08-30 1987-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bration damping means for the line cathode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4752721A (en) * 1984-09-12 1988-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harged particle beam deflector and flat CRT using the same
US4745344A (en) * 1984-11-06 1988-05-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at plate-shaped cathode ray tube
US4658188A (en) * 1985-02-11 1987-04-14 Control Interface Compan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a flat screen cathode ray tube
JPH0789661B2 (ja) * 1986-03-20 1995-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平板型陰極線管の駆動方法
DE3622259A1 (de) * 1986-07-02 1988-01-0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lache bildwiedergabevorrichtung
EP0316871B1 (en) * 1987-11-16 1994-1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JPH01221070A (ja) * 1988-02-29 1989-09-04 Casio Comput Co Ltd 画像情報処理装置
US4956575A (en) * 1989-03-23 1990-09-11 Chang Kern K N Flat panel display with deflection modulation structure
DE3911351A1 (de) * 1989-04-07 1990-10-11 Nokia Unterhaltungselektronik Flache anzeigeeinrichtung
US5639330A (en) * 1990-03-14 1997-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king an image display element
US5017842A (en) * 1990-05-03 1991-05-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JPH11185671A (ja) * 1997-12-24 1999-07-09 Matsushita Electron Corp 画像表示装置
US20080211481A1 (en) * 2007-03-02 2008-09-04 Mark Star Servo-Tech Co., Ltd. Handheld spectral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3361A (en) * 1952-01-02 1955-11-08 Du Mont Allen B Lab Inc Cathode ray tube
JPS5235491B2 (ko) * 1972-02-16 1977-09-09
US3935499A (en) * 1975-01-03 1976-0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nolythic staggered mesh deflection systems for use in flat matrix CRT's
US3992644A (en) * 1975-06-20 1976-11-16 Zenith Radio Corporation Cathodoluminescent display with hollow cathodes
JPS5853462B2 (ja) * 1976-09-20 1983-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A1085443A (en) * 1976-12-10 1980-09-09 Thomas L. Credelle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4137478A (en) * 1977-06-20 1979-01-30 Rca Corporation Color flat panel television
US4158210A (en) * 1977-09-13 1979-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cture image display device
US4170771A (en) * 1978-03-28 1979-10-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Orthogonal active-passive array pair matrix display
US4170772A (en) * 1978-04-26 1979-10-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Flat panel display with full color capability
US4227117A (en) * 1978-04-28 1980-10-07 Matsu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cture display device
KR850000958B1 (ko) * 1981-02-10 1985-06-29 야마시다 도시히꼬 화상표시장치
DE3265125D1 (en) * 1981-02-10 1985-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200280A (nl) 1982-09-01
MX158516A (es) 1989-02-20
GB2095079A (en) 1982-09-22
AU529327B2 (en) 1983-06-02
KR830009856A (ko) 1983-12-23
FR2499764B1 (fr) 1985-12-13
AU7998782A (en) 1982-09-23
NL190297B (nl) 1993-08-02
DE3203765C2 (ko) 1993-01-21
US4451846A (en) 1984-05-29
FR2499764A1 (fr) 1982-08-13
DE3203765A1 (de) 1982-11-18
IT8267116A0 (it) 1982-02-02
BR8200691A (pt) 1982-12-14
PH19925A (en) 1986-08-14
GB2095079B (en) 1985-02-27
NL190297C (nl) 1994-01-03
IT1155259B (it) 198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970B1 (ko) 화상표시 장치
KR850000958B1 (ko) 화상표시장치
JPH0332175B2 (ko)
JPS6228633B2 (ko)
JPH0139626B2 (ko)
JPS644392B2 (ko)
JP2652387B2 (ja) 画像表示装置
JP2652386B2 (ja) 画像表示装置
JPH023355B2 (ko)
JPH0325994B2 (ko)
JPH0459743B2 (ko)
JP2600664B2 (ja) 画像表示装置
JP2817149B2 (ja) 画像表示装置
JPH0459742B2 (ko)
JPH0454432B2 (ko)
JPH0329351B2 (ko)
JPS5884580A (ja) 画像表示装置
JPH0746576B2 (ja) 画像表示装置
JPH0325893B2 (ko)
JPH0434255B2 (ko)
JPH0334716B2 (ko)
JPS644715B2 (ko)
JPH0524610B2 (ko)
JPS646593B2 (ko)
JPS61114666A (ja) 画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