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598Y1 - 라벨(label) 취급장치 - Google Patents

라벨(label) 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98Y1
KR850000598Y1 KR2019840004564U KR840004564U KR850000598Y1 KR 850000598 Y1 KR850000598 Y1 KR 850000598Y1 KR 2019840004564 U KR2019840004564 U KR 2019840004564U KR 840004564 U KR840004564 U KR 840004564U KR 850000598 Y1 KR850000598 Y1 KR 850000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adhesive
switch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로 사까구찌
미찌 히노마사
세쯔오 쯔지
아끼요시 하시도
가즈요시 에노모도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데코 가부시끼 가이샤
히로 게이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0511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0623A/ko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데코 가부시끼 가이샤, 히로 게이다로오 filed Critical 구보다 데코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4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65C9/1876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벨(label) 취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유리하게 사용되는 대지에 보유된 레벨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라벨 반송장치 및 라벨 점착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Ⅴ-Ⅴ을 절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Ⅵ-Ⅵ을 절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Ⅶ-Ⅶ을 절취한 라벨 반송장치 부분의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Ⅷ-Ⅷ을 절취한 단면도.
제9도 내지 제13도는 각각 반송장치 부분에 관련하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주요부의 정면도.
제10도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11도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12도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13도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점착장치의 라벨보유구에 관련하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는 주요부의 단면도.
제15도는 하측에서 본 주요부 사시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각각 점착장치의 게이트에 관련된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제19도는 계중회로를 표시한 개략 블록도.
제20도는 라벨 발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한 예로 표시한 회로도.
제21도는 제20도에 관련하는 블록도.
제22도 및 제23도는 상기 장치에 대한 타이밍 선도.
제24도는 본 고안의 제어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25도는 제24도에 관련된 블록선도.
제26도는 상기 장치에 대한 타이밍 선도.
제27도는 본 고안의 제어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28도 및 제29도는 제27도에 관련된 블록선도이다.
본 고안은 한쪽 표면에만 접착제를 도포한 라벨을 준비하고 다른 표면에는 가격과 같은 정보를 기입하면서 이 라벨을 소정위치까지 이송한 후 상업용 상품 같은 대상물에 점착되게 하는 등의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게끔 한 라벨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라벨 취급장치는 중량에 의하여 가격이 매겨지는 상품에 가격 등의 정보가 표시된 라벨을 점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라벨은 통상적으로 점착성 재료의 접착제에 의하여 대지(台紙)에 일시적으로 보유된 상태로 소정의 정보를 기입되게 한 후 대지로 부터 박리되어 상품등에 점착되게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라벨취급장치로서 대지에 보유된 라벨에 정보를 미리 기입하고 이 라벨을 박리판에 의하여 대지로 부터 박리하자마자 박리된 라벨을 사람의 손에 의하여 상품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점착하는 것과 또는 박리판에 의하여 대지에서 박리된 라벨을 라벨 보유부에서 보유되게 하고, 그 다음에 보유된 라벨을 송풍에 의한 흐름으로 인하여 라벨을 비행시켜서 상품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점착하는 라벨 점착장치가 개발되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작업원이 라벨을 손으로 잡고서 상품에 점착하는 수동적인 점착장치이며 상품의 크기나 형상에 불구하고 임의의 위치에 라벨을 점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수동의 라벨 점착장치는 하나하나 레벨을 손으로 잡아서 점착하는 것이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능률적이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박리된 라벨이 자동적으로 상품에 점착되기 때문에 라벨 점착 수단으로서는 자동적이고 이러한 의미에서는 능률적이다. 그러나 상품의 크기나 형상 등에 의하여 항상 상품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라벨을 점착할 수는 없으며, 또한 라벨을 점착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는 라벨 점착장치의 라벨보유부를 라벨이 이송되게 하여 상품의 미리 선택된 위치의 바로위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이 라벨 보유부에서 라벨이 비행하여 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라벨보유부까지 이송된 라벨은 이 보유부에 바로 인접하여 대지로 부터 박리되어야 하며 라벨발행기의 라벨 박리부는 라벨발행기로부터 먼거리까지 돌출되게 한 구조이어야 한다. 따라서 라벨 발생기와 라벨 박리부를 라벨 발행기로 부터 멀리 떨어져 돌출되게한 라벨점착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왔다. 결국 라벨을 보유하고 점착을 수행하도록 공기흐름을 이용하는 종래의 라벨점착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나기 쉽고 신뢰성이 없을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라벨을 준비하는 공정에서 라벨을 점착하는 공정까지의 일련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또 능률적으로 행할 수가 있는 라벨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라벨 발행기는 라벨점착기의 라벨보유부에 이르기까지 연장시킨 바람직한 라벨 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은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값이 저렴한 라벨 점착장치로써 바람직한 제어회로가 구비되게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또 점착작업의 신뢰성을 높인 라벨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쪽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다른 표면에는 소정의 정보가 기입된 라벨을 준비하는 라벨 준비장치와 이 준비된 라벨을 상품과 같은 대상물에 점착하는 점착장치와, 라벨을 라벨준비 수단으로부터 점착수단까지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라벨 준비장치에 있어서의 라벨 준비 작동과 점착장치에 있어서의 라벨 점착 작동간의 상대적인 타이밍을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한 라벨 취급장치이다. 이 장치에 의하여 라벨의 준비공정에서 라벨의 점착 공정까지의 일련의 작업이 자동적으로 능률적으로 행할 수가 있게된다.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라벨 준비장치는 계중장치와 결합되고 이 계중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계중치 및 그에 따른 가격 등의 정보를 인쇄하는 라벨 발행기로써 구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상품의 계중에서 그 계중치에 따른 여러가지 정보가 표시된 라벨을 상품에 점착하는 작업까지 능률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의 라벨 점착수단장치까지 라벨을 확실히 공급되게 하여 상품의 소정위치에 점착되게 하고, 동시에 라벨점착 후 다음의 라벨 점착개시까지 라벨점착장치에 라벨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라벨 점착장치가 정기압(正氣壓 : positive presurreatmosphere)과 부기압(負氣壓 : negative presurre atmosphere)을 형성시키는 기류 발생장치, 기류 발생장치에 정기압과 부기압이 형성되도록 선택적으로 연통(連通) 상태로 되는 기압실과, 이러한 선택을 하는 개폐기와, 개폐기를 구동 제어하는 개폐기 구동장치로 구비되어 있어 라벨이 상기 기압실의 정압 또는 부압에 따라 각각 점착되거나 박리된다. 이를 위하여 기압실에는 외기와 연통하는 라벨 보유구(retaining port)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라벨보유구와 연통하여 라벨을 흡인 및 송풍하여 비행시키기에 적합한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점착장치의 점착작업을 지시하는 수단과 이 지시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트리거되고 한정된 시간에 반송장치를 구동하도록 작동하는 재트리거가 가능한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점착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킴이 없이 반송장치의 가동시간을 짧게 하고 반송장치의 수명을 길게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송장치는 라벨을 이동시키고 동시에 접착제가 도포된 적어도 한부분의 표면과 접촉되게한 가동부로 구성되는데, 이 가동부는 그의 라벨 접촉부가 접착제를 제거되지 않게 하나 혹시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서 가동부분에 부착되었다 할지라도 라벨과 접촉하는 다른 부분에 접착제를 옮겨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 기술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라벨 취급장치를 실현하는 기계적인 실시예의 설명과 이 기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설명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전체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라벨 반송장치 와 점착장치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대지에 보유된 라벨의 한 예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제1도는 라벨 반송장치 및 라벨 점착장치(1)가, 라벨발행기(2)와 구별되게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종래의 라벨 발행기(2)에 라벨 반송장치 및 라벨 점착장치(1)를 결합시키므로 본 고안의 라벨 취급장치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제1도를 참조하면, 라벨 발행기(2)는 계중접시(3), 조작판넬(4) 및 라벨 송풍구(5)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판넬(4)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작키, 조작스위치 및 표시부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단위중량당의 가격과 가공일자 또는 유효일자등의 상품코오드 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고, 또 단위 중량당의 가격, 계중치와 그때의 가격등을 눈에 보이게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중접시(3)에 놓여진 상품(6)은 예를들면 식료품과 같이 그 중량에 의하여 가격이 설정되는 물건이다. 본 고안의 라벨취급장치에 있어서는 상품(6)의 계중치에 따라 라벨 발행기(2)로 소정의 정보가 인쇄된 라벨(7)이 발행되고 이 라벨(7)이 상품(6)의 소정위치에 접착된다. 라벨(7)의 용지는 다수개의 대지(8)(제2도) 위에 일시적으로 보유되고 롤형상으로 되어 라벨발행기(2)의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2도에는 품명 "소고기 (카틀렛용)" 가공일 "53. 7. 10" 단가(원) "390" 정미중량(g), "658" 가격(원) "25669" 및 코오드 "2" 등의 정보가 인쇄된 라벨(7)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의 인쇄는 라벨발행기(2)(제1도) 내에서 행해지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라벨 발행기(2)는 인쇄장치를 포함한다. 또 라벨(7)은 그의 이면에 점착성의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것이고 이 점착제의 접착성에 의하여 대지(8) 위에 일시적으로 보유되고 있다. 대지(8)의 라벨(7)과 접하는 표면에는 공지의 적절한 표면처리가 되어 있어서, 라벨(7)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지(8)에 부착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다. 라벨(7)은 대지(8)에서 박리된 상태로 라벨반송장치 및 라벨 취급장치(1)에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라벨 발행기(2)는 라벨 박리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도에 도시한 라벨 발행기(2)는 계중접시(3)에 재치된 상품(6)의 계중치에 따라 라벨(7)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고 이 인쇄된 라벨(7)을 라벨 송풍구(5)로 부터 그 다음의 라벨 반송장치 및 라벨점착장치(1)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도는 라벨 반송장치 및 라벨 취급장치의 정면도이며, 제4도는 같은 측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선 Ⅴ-Ⅴ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선 Ⅵ-Ⅵ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라벨 점착장치(9)는 라벨 반송장치 및 라벨 점착장치(1) 내에 설치되어 있는데 라벨발행기(2)의 전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라벨점착장치(9)는 기압실로 구성시킨 케이스(10)를 포함하며, 케이스(10)내에는 칸막이(11)에 의하여 큰방(12)과 작은 방(13)으로 나누어져 있다. 케이스(10)의 저부판(14) 또는 작은 방(13)의 하부벽은 라벨 보유구(15)를 형성하도록 뚫어져 있다. 큰방(12) 내에는 예를들면 사이로코 팬(silocco fan)을 장착한 팬 박스(16)가 설치되며, 이 팬 박스(16)의 송풍구(17)라는 라벨 보유구(15)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칸막이(11)가 관통되어 있다. 한쌍의 회전축(18)은 작은방(13) 내에서 라벨보유구(15)와 송풍구(17)를 연통되게 송풍통로의 양측면상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회전축(18)은 그의 중심에 고정된 개폐기(19)를 지지한다. 이 개폐기(19)가 수평위치에 있을때에는 작은 방(13)을 상부방(20)과 하부방(21)으로 나누며 송풍통로를 폐쇄한다. 케이스(10)의 양측벽에는 상부방(20)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제1의 연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11)의 양단에는 하부방(21)과 큰방(12)를 연통시키는 제2의 연통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정면의 외벽에는 한쌍의 솔레노이드(24)가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4)의 각각의 플런저(25)의 선단은 핀(26)에 의하여 T자판(27)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회전축(18)에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지렛대 원판(28)이 케이스(10)의 정면의 외부벽에 설치된다. 그리고 T자판(27)의 수평으로 돌출된 부분과 그의 외주면에 인접한 지렛대원판(28) 사이에는 연결로드(29)가 그 양단의 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T자판(27)은 용수철(30)에 의하여 하방으로 항상 잡아당겨져 있다. 케이스(10)에 돌출한 핀(31)은 T자판(27)의 수직으로 돌출한 부분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스릿트(32)내에 삽입되어 T자판(27)이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4)를 작동시켜서 플런저(25)가 회수되게 하여 T자판(27) 및 연결로드(29)가 상향으로 변위되게 하고(제3도에 점선으로 도시함), 지렛대원판(28)이 각각 화살표(33)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이것에 의하여 회전축(18)이 개폐기(19)를 제5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수평위치로 부터 점선으로 도시한 직립위치로 회전시킨다. 팬 박스(16)의 흡인구(34)에 대향한 케이스(10)의 벽면에 공기흐름 조정구멍(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기흐름 조정구멍(35)은 팬박스(16)의 흡인구(34)로 공기를 흡인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후 기술되는 공기의 작용에 대한 설명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라벨흡인 및 보유상태에 있어서 공기흐름 조정구멍(35)은 일정한 공기량을 송풍하므로 라벨보유구(15)의 흡인력을 약하게 하고 라벨을 불어날리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흡인구(34)에서 흡인되는 일정한 공기량을 송풍하게 하므로 라벨 보유구(15)로 부터의 공기의 송풍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은 일정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 라벨보유구(15)에 인가된 송풍력을 증가시켜 제1연통구멍(22)을 통해서 흡인된 공기량을 송풍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기 흐름조정구멍(35)의 크기는 설계단계에 있어서 팬의 능력등과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여 결정하여도 좋고 또한 그 크기를 조정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라벨(7)을 보유하는 라벨보유구(15)에는 라벨 보유바(3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라벨보유구(15) 내에 도달한 라벨(7)은 이 라벨 보유바(36)에 부착된 상태로 흡인 보유된다. 하부방(21) 내에서 라벨 보유구(15)의 중심선과 팬박스(16)의 송풍구(17)의 중심선으로 이루어진 면(37) 위에는 흐름 조정판(38)이 설치된다. 개폐기(19)에는 그들이 서로 대향한 양단부로 부터 라벨보유구(15)의 방향에 향하여 반절부(39)가 설치된다.
상기 흐름 조정판(38)은 개폐기(19)를 수평상태인 화살표(33) 방향에 회동시켰을 때에 송풍구(17)로 부터 송풍된 공기의 난류를 방지하며라벨보유구(15) 내에 있는 라벨(7)의 중앙부로 공기를 향하도록 조정하여 라벨(7)을 똑바고 하측으로 비행시키는 것이다.
또 개폐기(19)에 형성된 반절부(39)는 제2의 연통구멍(23)을 상기 반절부가 형성되지 않을 때에 빨리 폐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흡인과 송풍의 절환시간을 짧게 하고 이에 의하여 라벨(7)은 흡인과 송풍의 모든 작용을 동시에 받는 시간이 짧아지고 크게 휘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라벨(7)은 똑바로 비행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라벨 점착장치(9)의 케이스(10)의 하방에는 라벨반송장치(40)가 설치된다. 또 제5도에는 라벨반송장치(4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7도에 제6도의 선 Ⅶ-Ⅶ에 따르는 라벨 반송장치(40) 부분의 단면도이고, 제8도는 같은 제6도의 선 Ⅷ-Ⅷ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라벨 반송장치(40)는 케이스(10)의 하측면에 고정된 안내판(41)과 이 안내판(41)의 하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된 벨트콘베어(42)를 포함한다. 벨트콘베어(42)는 케이스(10)의 하측면에 고정된 신호간에 평행인 한쌍의 프레임(43)을 포함한다. 이 프레임(43)에는 라벨 보유구(15)에 인접하여 소직경의 로울러(44)가 회전 가능하도록 그 양단이 지지되어 설치된다. 또 프레임(43)에는 라벨발행기(2)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그 양단이 지지된 지지축(45)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축(45) 위에는 4개의 환상 홈(46)을 가지는 대직경의 로울러(47)가 고정된다. 이 대직경의 로울러(47)의 각각의 환상홈(46)과 소직경의 로울러(44)와의 사이에는 비교적 신축성 있는 4개의 벨트(48)가 감겨져 있다.
이 벨트(48)는 실리콘 고무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의 저부판(14) 위에는 구동용모터(49)가 고정되고 이 구동용 모터(49)는 풀리(50), 벨트(51) 및 풀리(52)로서 지지축(45)과 같이 대직경의 로울러(47)를 고속 회전시킨다. 대직경의 로울러(47)에 인접하여 압축 로울러(58)가 프레임(43)에 회전자재로 설치된다. 이 압축로울러(53)는 대직경의 로울러(47)의 회전 또는 라벨(7)의 이동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다.
상술한 벨트콘베어(42)에 의하여 라벨보유구(15)에 라벨(7)이 반입된다. 이 라벨보유구(15)의 주위에는 정지구(54) 및 위치결정판(55)이 측면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정지구(54) 및 위치결정판(55)은 라벨보유구(15)에 반입되어 온 라벨(7)의 위치를 결정하고 케이스(10)의 하측면에 나사에 의하여 그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판(55)은 특히 제8도에 잘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간에 정지구(54)를 향하여 서서히 간격이 좁혀지도록 배치되고 그에 의하여 라벨(7)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하고 라벨보유구(15)에서의 라벨(7)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한다.
상품(6)의 위치결정 장치(56)는 상기의 라벨 반송장치(40)의 아래쪽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위치결정장치(56)는 그의 기준표면(57), (58)이 상품(6)에 인접되게 서로대향하여 상품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품(6)에 점착되는 라벨(7)의 위치를 결정한다. 한편의 기준 표면(58)은 상품에 대하여 수직으로 약간 변위되어 설치되고 이 기준표면(58)의 이면에는 리미트 스위치(59)가 설치된다. 따라서 기준 표면(58)의 변위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59)가 닫힌다. 이 리미트스위치(59)는 상술한 솔레노이드(24)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점착장치(9) 및 라벨반송장치(40)를 포함하는 라벨취급장치(1)는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라벨발행기(2)에 설치된다.
즉 우설 라벨 점착장치(9)측에는 제1의 부착판(60)이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라벨발행기(2)측에는 제2의 부착판(61)이 나사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1의 부착판(60)과 제2의 부착판(61)이 힌지(62)에 의하여 연결된다. 힌지(62)는 지지축(63)을 가지며 따라서 라벨점착장치(9)는 이 지지축(63)을 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다.
또 라벨 점착장치(9)의 타측면과 라벨발행기(2)와의 사이에는 상술의 회동을 못하게 하고 이 라벨점착장치(9)를 라벨방향기(2)에 고정하기 위한 록크장치(도시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6도를 참조하여 라벨발행기(2)과 라벨반송장치(40)과 관련이 깊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로울형태로 감겨진 대지(8)(제2도) 위에 보유된 라벨(7)은 우설 라인프린터(64)에 반송된다. 라인 프린터(64)는 계중장치에 의한 계중치에 따라 라벨(7)에 중량, 단가, 가격 등을 인쇄하는 것으로서 활자휨(65)과 활자햄머(66)로 구성되어 있다. 이 라인프린터(64)를 통과할 때는 라벨(7)은 아직 대지(8)에 보유된 상태이다. 이 내지(8)에서 라벨(7)을 박리하기 위하여 다음에 박리판(67)이 설치된다. 이 박리판(67)은 대지(8)을 예리하게 굴곡시키고 라벨(7)의 강성을 이용하여 박리를 행하는 것이다. 내지(8)는 모터(68)에 의하여 회전되는 축(69) 위에 로울형태로 감겨진다. 즉 라벨발행기(2) 내에 있어서는 내지(8)를 발송하므로서 라벨(7)을 반송하게 된다.
또 박리판(67)의 구성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대지(8)를 반송하므로서 라벨(7)은 대지(8)에서 박리된다.
이와 같이 대지(8)를 반송하는 라벨 간헐공급장치(70)는 대지를 소정 간격마다 간헐적을 반송한다.
박리판(67)에 의하여 일부 박리된 라벨(7)은 안내대(71) 위에 놓여지고 대지(8)에서 완전히 박리될 때까지 대지(8)에 의하여 반송장치(40)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반송장치(40)의 대직경의 로울러(47)와 압축로울람(53)와의 사이에 라벨(7)을 앞쪽 가장자리가 끼워지면 라벨(7)은 고속으로 반송장치(40) 내에 도입된다. 또 안내대(71)의 상면은 라벨(7)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과 접촉하므로 여기에는 쇠줄의 형태 또는 적당한 표면 가공을 하여 라벨(7)의 원할한 반송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대(71)는 또 인쇄대를 겸하는 것으로서, 이 인쇄대(71)의 상방에는 품명을 인쇄하는 인쇄판(72)이 배치되고 이 인쇄판(72)은 구동장치(73)에 의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하 작동된다.
상술한 라벨 발행기(2)에 있어서 라벨간헐 공급장치(70)는 라인 프린터(64) 및 인쇄판(72)에 의하여 인쇄가 완료되었을 때 인쇄가 완료되었다는 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대지(8)를 간헐적으로 공급한다. 대지(8)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라벨간헐 공급장치(70)의 반송핏치의 결정은 라인프린터(64)의 바로 앞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발광부(74)와 수광부(75)로부터 되는 광전검출기에 의하여 라벨과 라벨과의 간격을 검출하므로서 행해진다. 이와 유사한 광학적 검출장치로서 라벨(7)의 반송장치(40) 내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하여 안내판(41)에 설치된 개구부(77)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발광부(78)와 수광부(79)를 가지는 광전검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기계적인 구성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라벨 발행기(2) 내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치로 구성되는 계중장치(제19도를 참조하여 후에 기술함)에 의한 계중치에 따라 얻어진 소정의 정보(중량, 단가, 가격등)가 활자햄머(66)에 의하여 라벨(7)을 활자휠(65)에 압압하므로서 인쇄된다.
다음에 대지(8)가 화살표(81)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공급되면 박리판(67)에 의하여 라벨(7)이 대지(8)로부터 일부가 박리되고 안내대(71) 위에 오게된다. 다음에 구동장치(73)에 의하여 인쇄판(72)을 라벨(7)에 압압하고 이 라벨(7)에 품명이 인쇄되게 한다. 또한 이 상태로서는 라벨(7)이 대지에서 완전히 박리되어 있지 않다. 품명이 인쇄된 후 대지(8)는 라벨간헐공급장치(70)에 의하여 다시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라벨(7)의 앞부분은 반송장치(40)의 대직경의 로울러(47)와 압압로울러(53) 사이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라벨(7)은 반송장치(40) 내로 유도되고 화살표(82) 발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라벨(7)은 대지(8)에서 완전히 박리된 상태로 된다.
반송장치(40)의 대직경의 로울러(47)는 고속으로 회전(예를들면 매분 100미터의 표면속도)이고 있으므로 라벨(7)을 고속으로 공급하면서 각 벨트(48)와 안내판(41)의 사이을 화살표(82) 방향으로 고속으로 반송하여 라벨보유구(15) 내로 도착되게 한다. 이 보유구(15) 내에 있어서는 정지구(54)와 위치결정판(55)에 의하여 라벨(7)은 위치 결정되어 안내되고, 보유구(15)의 소정의 위치에 도착한다. 또 벨트(48)는 고속으로 작동되게 하며 실리콘 고무로 제조되었고 보유구(15)에 인접한 로울러(44)가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라벨(7)의 이면에 점착성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나 라벨(7)은 벨트(48)에서 용이하게 박리되어 보유구(15) 내에 삽입된다.
라벨(7)이 보유구(15)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개폐기(19)는 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이고 팬박스(16)의 흡인구(34)에는 제5도 및 제6도에 화살표로 기류의 방향을 도시하였듯이 라벨보유구(15) 및 제2의 연통구멍(23)을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고 또 팬박스(16)의 송풍구(17)에서 제1의 연통구멍(22)을 통하여 외부로 공기가 송풍되고 있다. 따라서 보유구(15) 내에 들어간 라벨(7)은 흡인되어서 라벨보유바(36)에 붙게되고 이 보유구(15) 내에 흡인 보유된다.
다음에 상품(6)을 위치 결정장치(56)의 기준면(57), (58)에 접촉시켜 리미트 스위치(59)가 온상태가 되며 솔레노이드(24)가 작동되고 T자판(27) 및 연결로드(29)가 용수철(30)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지렛대 원판(28)를 화살표(33)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회전축(18)에 의하여 개폐기(19)를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개폐기(19)는 수평 상태에서 직립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팬박스(16)의 송풍구(17)에는 송풍되는 공기는 직접 라벨보유구(15)를 향하여 송풍되게 된다. 이때 하부방(21)의 중앙에는 흐름조정판(3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폐기(19)를 수평 방향에서 화살표(33)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그 회동의 중간상태에서는 송풍구(17)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두 개폐기(19)로 안내되어 중앙에 집중되지만 그 집중된 공기는 서로 마주치지 않고 흐름조정판(38)을 따라 강하하여 라벨(7)의 중앙부에 집중되면서 라벨(7)을 똑바로 하방으로 비행시킨다. 또 두 개폐기(19)에는 반절부(3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반절부(39)에 의하여 개폐기(19)가 완전한 직립상태로 되기 전에 신속히 제2의 연통구멍(23)이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라벨(7) 위에 흡인공기가 송풍공기의 양쪽이 동시에 작용하는 시간이 짧아지로 라벨(7)이 그다지 크게 휘지 않으므로 라벨(7)은 직하방향으로 비행시켜진다.
이와 같이 송풍된 공기에 의하여 라벨보유구(15)내의 라벨(7)이 화살표(83) 방향으로 비행하고 상품(6)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점착되게 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안내판(41) 및 케이스(10)의 저부판(14)에 라벨보유구(15)를 구성하는 개구부의 앞단에는 예를들면 4개의 노치(84)가 설치된다. 이 노치(84)는 벨트 콘베어(42)의 종단부와 서로 중첩되게 위치하고 있다. 이 노치(84)는 라벨보유구(15)와 같이 상술의 하부방(21)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라벨 흡인 보유상태에 있어서는 라벨보유구(15)와 같이 이 노치(84)에서도 미리 공기가 흡인되어 있는 것이된다. 그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만일 이 노치(84)가 없다면 라벨(7)은 벨트 콘베어(42)에서 떨어졌을때부터 그 절반만이 겨우 보유구(15)에 의하여 흡인되고 이 라벨(7)이 화살표(82) 방향으로 고속공급되므로 정지구(54)에 마주치는 법이 없이 이 정지구(54)의 밑을 통하여 날아가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노치(84)가 설치되어 있으면 라벨(7)은 벨트콘베어(42)에서 떨어지기 전에 이미 노치(84)에 의하여 미리 흡인되고 케이스(10)의 저부판(14)에 인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라벨(7)이 벨트 콘베어(42)에서 완전히 떨어졌을때에는 이 라벨(7)은 저부판(14)을 따라 화살표(82)방향으로 진행하여 정지구(54)에 확실하게 마주쳐서 보유구(15)내에 흡인 보유되게 되어 정지구(54)의 밑을 통하여 날아가버릴 우려는 전혀 없다.
제9도 내지 제13도는 라벨반송장치(40)의 부분에 관련하는 구성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제9도 내지 제13도를 각각 참조하여 각기 다른 실시예의 특정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를 참조하여 압축로울러(53)의 양단의 지지축(58)은 축받이 블록(86)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 제9도에서는 한쪽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또 한편쪽에 있어서도 같은 구성이다. 축받이블록(86)은 프레임(43)에 상하방으로 형성시킨 안내홈(87)내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있다. 축받이 블록(86)에는 안내판(88)이 고정되고 이 안내판(88)은 프레임(43)의 측면에 대하여 인접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었을때 압축 로울러(53)는 그 무게에 의하여 대직경의 로울러(47)의 상단에 인접하게 되고 대직경의 로울러(47)와 압축 로울러(53) 사이에 라벨(7)이 삽입되는 경우 압축로울러(53)가 라벨(7)의 두께만큼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압축 로울러(53)의 축선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라벨(7)이 압축로울러(53)와 대직경의 로울러(47) 사이에서 강하게 압압되는 경우라던가 반대로 두 로울러(47), (53)의 간격이 라벨(7)의 두께에 비하여 너무 커서 라벨(7)를 반송하지 않는 우려가 없어진다.
일반적으로 두 로울러(47), (53)의 간격을 일정한 간격치로 설정하고 또 이것을 유지시킨다는 것은 용이한 일은 아니다. 이 간격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라벨(7)이 두 로울러(47), (53) 사이에서 너무 강하게 협지되어 라벨(7)의 이면의 접착제가 대 직경로울러(47)에 마찰된다든가 라벨(7)의 둘레로 빠져나온다든가 하는 구가 있다. 이와 같이 라벨(7)의 이면에 수용되지 않고 다른 부분으로 빠져나온 접착제는 점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들면 안내판(41)등에 부착되면 라벨(7)의 원활한 반송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전혀 생기지 않는다.
제9도의 실시예에서는 압축로울러(53)를 그 무게에 의하여 대직경의 로울러(47)에 압압되게 하였으나 따로 용수철(도시않음)을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적당한 압력으로 압축로울러(53)를 압압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0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압압로울러(53) 대신에양 프레임(43), (한쪽측만 도시 되어 있음)의 사이에 횡봉(89)을 나사(91)에 의하여 고정하고 여기에 판용수철(90)의 선단부가 대직경의 로울러(47)의 상단을 압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실시예도 제9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제11도를 참조하면 대직경의 로울러(47)의 환상홈(46)에 대항하는 위치에 압압로울러(53)의 외주면에는 환상돌기(9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환상돌기(92)의 폭)(93)을 환상홈(46)의 폭(94)보다 작게 설정하고 환상돌기(92)의 외주면과 대직경로울러(47)의 외주면을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되게 한다. 또 환상홈(46)의 저부면은 凸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벨트(48)가 사행(옆으로 빠지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압압로울러(53)와 대직경의 로울러(47)사이에 삽압된 라벨(7)은 환상돌기(92)와 환상홈(46)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휘어지고 라벨(7)의 휘어진 부분이외의 부분의 표면은 압축로울러(53)에 인접하는 동시에 라벨(7)의 이면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은 대직경의 로울러(47)에 인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는 대직경의 로울러(47)에 거의 부착됨이 없으나 가령 접착제가 대직경의 로울러(47)에 점착하였다 하여도 이 접착제가 압축로울러(53)측으로 전이하는 법은 없다. 또한 두 로울러(48), (53)는 라벨(7)을 환상홈(46)과 환상돌기(92)로서 휘어져 협지하도록 두 로울러(47), (53)의 간격조절을 그다지 정밀히 행하지 않아도 라벨(7)을 충분히 협지하여 반송할 수가 있다. 제12도를 참조하면, 대직경의 로울러(47)에 벨트(48)를 감아서 걸리게 하기 위하여 이미 설치된 4개의 환상홈(46)의 사이에 3개의 제2의 환상홈(95)이 형성된다.
또한 두 프레임(43), (43) 사이에는 횡봉(96)이 설치되고 여기에 판 용수철(97)이 고정된다.
이 판용수철(97)에는 3개의 다리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다리부(98)는 제2의 환상홈(95)내에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또한 각각의 다리부(98)의 선단과 각 환상홈(95)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라벨(7)은 대직경의 로울러(47)와 판 용수철(97) 사이에 삽입되게 한다. 이때 판용수철(97)의 각 다리부(98)의 전단은 제2의 환상홈 (95)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라벨(7)은 이 각각의 다리부(98)에 의하여 대직경의 로울러(47)에 압압된다. 따라서 라벨(7)은 고속 회전하고 있는 대직경 로울러(47)에 의하여 확실하게 반송된다. 또 각각의 다리(98)의 선단은 각기 제2의 환상홈(95)의 저면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라벨(7)의 이면의 접착제가 환상홈(95)의 저면에 점착되게 하지 않는다. 설령이 저면에 접착제가 부착하여도 부착된 접착제가 다시 다리(98)의 선단으로 전이하지는 않는다. 더우기 이와 같은 판용수철(97)로 이루어진 압압부재는 대직경 로울러(47)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이 압압부재에 의하여 대직경의 로울러(47)의 표면이 마모하지도 않는다.
상술한 여러가지의 실시예에서는 벨트 콘베어(42)의 앞단에 설치되는 대직경의 로울러(47)에 라벨발행기(2)로부터 공급되는 라벨(7)을 붙잡아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였으나 지금부터 기술하는 실시예는 이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다른 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제13도를 참조하면 벨트콘베어(42)앞에 한쌍의 스내칭 로울러(snatching rolleer)(99), (100)를 설치한다. 이 한쌍의 스내칭 로울러(99), (100)에는 제9도, 제10도,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대직경의 로울러(47)와 압축 로울러(53)에 사용된 특정적인 구성을 하여도 좋다.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라벨 점착장치(9)의 부분의 라벨 보유구(15)에 관련된 배열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라벨보유구(15)의 단면도를 도시한 제14도를 참조하면 라벨보유구(15)에 관련하여 설치된 라벨(7)의 위치결정용 정지구(54)는 라벨(7)의 선단과 마주치는 인접면(1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접면(101)은 라벨(7)이 상품(6)(도시않음)으로 향하여 비행하는 방향(83)으로 서서히 열리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이하에 기술하는 이유에 의하여 사용된 것이다.
레벨보유구(15)내에 흡인 보유되는 라벨(7)은 정지구(54)의 인접면(101)에 그 선단이 인접하는 상태로 위치결정되고 있다.
그러나 라벨보유구(15)에 송풍공기를 공급하는 라벨(7)을 화살표(83) 방향으로 비행시킬때는 상기의 인접면은 적어도 비행의 장해가 된다. 따라서 이 인접면(101)에 경사부를 형성시키므로 라벨(7)은 약간이라도 라벨보유구(15)에서 비행과정에 들어가면 정지구(54)와는 전혀 무관계한 상태가되고 똑바로 상품(6)으로 향하여 비행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인접면(101)을 가지는 정지구(54)의 구성은 위치 결정판(55)(제8도)에 형성시켜도 좋다.
라벨보유구(15)를 하방으로 본 주요부 사시도인 제15도를 참조하면 라벨보유구(15)에 관련하여 설치된 정지구(54)의 라벨(7)가 대향한 면(102)에는 상하방향(화살표(83)으로 표시한 라벨(7)이 상품(6)으로 향하는 비행방향)으로 연장하는 복구개의 릿지(103)가 설치된다.
따라서 보유구(15)내에 들어온 라벨(7)은 정지구(54)의 릿지(103)에 우선 부딪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릿지(103)가 설치된 이유는 제14도의 경우와 같이 라벨(7)을 화살표(83)방향으로 똑바로 비행시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이 제15도의 경우는 라벨(7)의 그 이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라벨(7)의 외주면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빠져나오는 이유는 라벨(7)이 대지(8)에 보유된 상태에서도 접착제가 빠져나올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라벨반송장치(40)의 큰 직경의 로울러(47)와 압축로울러(53)간에 압축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더욱 많은 접착제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삐져나오는 것을 라벨(7)이 정지구(54)에 그 일단면만이 접하는 구성인데도 불구하고 라벨(7)이 정지구(54)에 일시적으로 점착하는 현상을 생기게 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릿지(103)가 설치되어 있으면 라벨(7)의 일단면과의 접촉부분이 극히 작아지고 상술한 점착현상이 거의 생기지 않고 이 점착현상에 의하여 라벨(7)이 정지구(54)에 걸리고 라벨(7)의 적정한 비행을 방해하는 것 같은 영향은 거의 주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릿지(103)의 형상은 될 수 있는한 폭이 좁고 또 릿지(103)를 구성하는 재료는 접착제에 의하여 점차되기 어려운, 예를들면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릿지(103)의 배치상태를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고려하면 다시금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즉 대직경의 로울러(47)의 환상홈(46)에 있어서는 라벨(7)과 접하는 일이 없으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는 접착제가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한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릿지(103)의 폭을 환상홈(46)의 폭보다 작게하고 또 환상홈(46)이 설치된 위치의 연장선위에 릿지(103)를 설치하면 이 릿지(103)는 라벨(7)의 외주면중에 접착제가 빠져나오지 않는 부분의 라벨(7)를 수용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술한 점착현상을 방지하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각각 라벨 점착장치(9)의 게이트에 관련된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상술한 제5도에 특히 잘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송풍경로를 개폐하는 한쌍의 개폐기(19)는 좌우대칭적으로 개폐작동하는 것이다. 즉, 이 개폐기(19)는 서로대향하여 있는 그의 양 선단이 상기의 송풍경로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로 폐쇄상태와 양 선단이 경로의 중심에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경로 개방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 개폐기(19)를 동작시켜서 공기 송풍경로를 개방하면 팬박스(16)의 송풍구(17)로부터 라벨 보유구(15)에 흡인보유되어 있는 라벨(7)의 중앙에 부딪혀 서서히 그 주변부로 넓어져 간다. 따라서 라벨(7)은 그 중앙이 우선 하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보유구(15)에서 떨어진 다음에 그 양단이 같이 보유구(15)에서 동시에 떨어지게 하고 이 라벨(7)은 똑바로 상품(6)에 향하여 비행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좌우 대칭적으로 개폐작동을 행하는 개폐기는 이하에 기술하는 것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제16도를 참조하면 여기에 도시한 개폐기(104)는 각각 회전축(105)에 고정되고 이 회전축(105)이 회전하므로서 그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양 회전축(105)에는 두개의 큰 기어(106)가 서로 맞물리도록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큰 기어(06)에는 작은 기어(107)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도시않음)에 의하여 화살표(108) 방향으로 작은 기어(107)를 회전시키면 두개의 큰기어(106)와 회전축(105)에 의해서 양 개폐기(104)가 화살표(109)방향으로 회동하고 양 개폐기(104)의 각 선단(110)이 중심선(111)에서 등거리로 멀어져간다. 또 제16도에는 라벨보유구(15)내에 보유된 라벨(7)의 비행에 들어가는 과정의 한 형태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7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개폐기(112), 그의 중심선(113)에 대하여 수평방향에 근접하게 하거나 떨어져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양 개폐기(112)에는 랙크(114)가 설치되고 이 랙크(114)와 개벽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온(115)이 고정측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양 피니온(115)을 각각 화살표(116)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 개폐기(112)가 중심선(113)에서 등거리로 떨어져 간다.
제18도를 참조하면 원호모양으로 굴곡된 한쌍의 개폐기(1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기(117)의 구동기구는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고 회전축(103), 큰기어(106) 및 작은 기어(10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방(20)과 하부방(21)을 구별하여 미리 폐쇄하는 고정격벽(118)이 설치되고 이 고정격벽(118)을 이용하여 회전축(105)이 고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은 제16도의 경우와 유사하며 작은 기어(107), 큰기어(106) 및 회전축(105)에 의하여 양개폐기(117)가 화살표(119)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양 개폐기(117)의 각 선단이 중심선(120)에서 등거리로 멀어져 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라벨취급장치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기계적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가지를 기술하였다. 다음에 이와같은 기계적인 구성에 부가시켜서 적절한 동작 또는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전기적인 제어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19도는 제1도에 도시한 계중접시(3)을 포함하는 계중회로(130)를 표시하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이와 같은 계중회로(130)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본 고안에 관련하여 그 구성 내지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계중회로(130)는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6)이 놓여지는 계중접시(3)을 가지는 계중장치(121)를 포함한다.
이 계중장치(121)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계중접시(3)의 변위에 따라 연동하는 슬릿트를 형성시킨 프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프레이트에 형성된 여러개의 슬릿트에 대향하여 광전검출기가 설치된다. 이 광전검출기는 계중접시(3)의 변위 즉 프레이트에 형성된 슬릿트의 변위에 따라 그 슬릿트에 대한 펄스출력을 발생시킨다. 즉 이 계중장치(121)는 계중접시(3)의 기계적인 변위량을 전기적인 펄스열로 변환시킨다. 이 펄스열은 중량검출부(122)에 공급된다.
중량검출부(122)는 전기적인 펄스열이 가산펄스인가 또는 감산펄스인가를 검출하고 그 가산펄스 또는 감산펄스에 의하여 가산되고 또는 감산하는 카운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계중장치(121)의 계중접시(3)에 상품(6)을 놓으면 이 중량 검출부(122)로 구성시킨 카운터에 의하여 중량에 따라 펄스가 카운트된다. 그리고 이 펄스에 어떤 무게를 설정해두면 이 펄스의 갯수와 그 설정된 무게에 의하여 상품(6)의 중량치가 검출되는 것이다. 이 중량치는 라벨(7)에 인쇄할 정보로서 라벨발행기(2)에 설치한 라인프린터(64)에 공급된다. 또 이 중량치와 함께 이 라인프린터(64)에는 그 중량치에 따른 상품(6)의 가격도 동시에 주어진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중량검출부(122)에 의하여 판별된 가산펄스는 카운터(124) 대체 입력판별회로(125) 및 일정시간의 정지판별회로(126)의 입력으로 공급되며 감산펄스는 OR 게이트(123), 상기에 대체입력 판별회로(125) 및 일정시간 정지판별회로(126)의 입력으로 공급된다. 카운터(124)는 라벨의 발행후 계중접시에 새로운 상품이 놓여지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중량검출부(122)로부터의 감산펄스 또는 라인프린터(64)에 의한 인쇄종료 신호에 의하여 클리어되고 가산펄스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이 카운터(124)는 예를들면 프리셋트 카운터이고 소정갯수(예를들면 15개)를 카운트하였을 때에는 카운트 업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카운터(124)로 부터 발생된 카운트업 신호는 AND 게이트(129)의 한 쪽 입력으로 공급된다. 대체 입력 판별회로(125) 및 일정시간 정지판별회로(126)는 어느 것이나 계중장치(121)의 계중접시(3)가 평형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대체 입력판별회로(125)는 입력되는 가산펄스의 감산 펄스와의 입력상태에 의하여 평형 상태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계중접시(3)가 평형 상태가 되는 근방에서는 가산펄스 및 감산펄스가 교대로 공급되어 안정상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대체 입력판별회로(125)에서는 예를들면 하나의 가산신호가 주어지고 계속하여 하나의 감산신호가 주어지면 그 상태를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대체 입력판별회로(125)의 출력은 OR 게이트(128)의 한쪽입력으로 공급된다. 또 일정시간 정지판별회로(126)는 안정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발진기(127)로부터 공급된 펄스의 1주기사이, 예를들면 200밀리세컨드의 주기에 중량검출부(122)로 부터의 가산펄스나 또는감산 펄스가 입력되지 않으면 그 출력을 발생시키며 이는 계중접시(3)가 안정상태로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일정시간 정지 판별회로(126)의 출력은 상기 OR 게이트(128)의 다른쪽 입력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OR 게이트(128)는 계중접시(3)가 준안정상태가 되었는가 혹은 안정상태가 되었는 가의 표시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OR 게이트(128)의 출력은 상기의 AND 게이트(129)의 타측 입력으로 공급된다. AND 게이트(12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124)의 카운트업 출력이 공급된다. 계중접시(3) 상품(6)이 놓여지면 이 카운터(124)로 부터의 출력은 고레벨이 되고 따라서 이 상태로 계중접시(3)가 평형상태(안정상태)가 가까워진다든가 평형상태(안정상태)가 된다든가 하면 이 AND 게이트(129)에서 평형신호(131)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계중회로(130)의 보다 상세한 회로는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102,427호에 상세히 기술 되어있다.
제20도는 라벨 발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즉 이 제어회로는 제6도에 표시한 수광부(79)로 부터의 검출신호 및 예를들면 제3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리미트 스위치(59)로부터의 신호등에 응담하여 라인프린터(64)에 있어서의 라벨간헐 공급장치(70)(예를들면 제6도)의 모터(68)에 의한 간헐적인 공급, 예를들면 제3도에 표시한 솔레노이드(24)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이다. 리미트스위치(59)가 온되었을 때 고레벨 "H"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출력신호(132)는 AND게이트(133)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또 수광부(79)로부터의 통과 검출신호(134)는 보유회로(135)로 구성시킨 플립플롭(하나이상의 입력펄스를 받아 이전의 상태와 관련하여 안정된 두 상태중의 어느 하나의 출력을 내어주는 논리회로 소자로서 한 비트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136)의 셋트입력으로서 공급된다.
이 보유회로(135)는 OR 게이트(137)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출력이 플립플롭(136)의 클리어 입력에 공급된다. OR 게이트(137)의 입력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139)의 출력이 공급된다. 플립플롭(136)의 출력 Q는 상기 AND 게이트(133)의 좌측 입력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의 스위치(59)로 부터의 출력신호(132)와 수광부(79)로부터의 통과 검출신호(134)는 동시에 AND 게이트(140)에 공급되며, 상기 게이트(133)의 출력 및 AND 게이트(140)의 출력은 동시에 OR 게이트(141)를 경유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142)의 트리거 입력으로 공급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142)는 일정시간 예를들면 100밀리세컨드의 출력 지속시간을 가지는 재트리거 가능한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이며 상기 트리거 입력이 공급될때 마다 트리거 되고 그 출력 Q에 고레벨 "H"를 출력한다.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139)는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42)의 출력에 의하여 트리거 된다. 재트리거 가능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142)의 출력 Q는 스윗칭회로(143)의 온 또는 오프의 제어신호로서 공급되는 동시에 AND 게이트(144)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스위칭회로(143)는 예를들면 스윗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24)를 작동시키거나 비작동시킨다.
상기 AND 게이트(144)의 다른쪽 입력에는 단자(145)로부터의 클럭신호(146)가 공급된다. 이 클럭신호(146)는 제1도에 도시한 조작판넬(4) 상에 수동조작 가능하게 고정된 라벨발행스위치(147)에 의하여 공급된다. 이 라벨발행스위치(147)는 상술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의 상태에 관계없이 라인프린터(64)에 의한 라벨발행을 지령하기 위한 수동 스위치이며 예를들면 동일내용의 라벨을 발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 AND 게이트(44)의 출력은 라인프린터(64)에 의한 인쇄지령 신호이며 AND 게이트(148)의 한쪽 입력에 공급되며, 이 AND 게이트(149)의 다른쪽 입력은 단부스위치(149)에 접속된다.
이 단부 스위치(149)는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된 조작판넬(4)에 수동조작가능하게 고정하고 라벨발행의 종료를 지령하기 위한 수동스윗치이다. AND 게이트(148)의 출력은 상기 라벨발행스위치(147)의 출력, 즉 클럭신호(146)와 같이 와이어드 오아(wired OR)의 형태로 라인프린터(64)에 인가된다.
라인프린터(64)에는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중회로(130)로부터의 인쇄데이타(151)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 라인프린터(64)는 그 인쇄의 종료에 따라 인쇄종료신호(152)를 라벨간헐공급장치(70)에 인가되게 한다. 또 이라벨 간헐공급장치(70)에는 수광부(75)로부터 신호(76)(이것은 예를들면 제2도에 표시하는 라벨상호간의 간격을 검출하므로서 수광부(75)로부터 출력된다)가 인가된다. 라벨간헐 공급장치(70)는 예를들면 인쇄종료신호(152)에 응답하여 모터(68)를 작동시키고 신호(76)에 응답하여 모터(68)를 작동시키고 신호(76)에 응답하여 모터(68)를 비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21도의 후로우챠트 및 제22도 및 제23도의 타이밍 신호를 참고로 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시 우선 통상의 인쇄상태 즉 단부스위치(149)가 온되어 있지 않는 경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의 초기에 있어서 즉 전원 인가 직후 예를들면 제6도에 표시한 라벨보유구(15)에 라벨(7)이 보유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라벨발행 스위치(147)를 조작하고 그것을 온(제23(d)도)으로 하면 단자(145)로부터 이 클럭신호(146)의 타이밍으로 라인프린터(64)에 인쇄지령이 주어진다. 따라서 라인프린터(64)에서는 계중회로(130)로부터 인쇄 데이타(151) 및 날짜등의 소정 사항을 인쇄한다(제23(c)도).
라인프린터(64)에서는 그 인쇄완료와 동시에 인쇄종료신호(152)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라벨간헐공급장치(70)의 모터(68)(제6도)에 공급되게 한다. 따라서 제23(f)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라벨간헐공급장치(70)에 의하여 대지(8)를 예를들면 700㎜/초의 속도로 소정의 핏치만큼만 이송된다. 즉 라벨간헐 공급장치(70)는 신호(152)에 의하여 온이되고 신호(76)에 의하여 오프로 되며, 대지(8)는 예를들면 라벨한장분의 길이(소정핏치)만 간헐적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 대지(8)에서 인쇄완료 후의 라벨(7)이 박리되면서 안내대(인쇄대(71))로 공급되어 진다. 이 안내대(71) 위에 보내진 라벨(7)에는 인쇄판(72)이 압압되고 이에 의하여 품명이 인쇄된다. 그 후 이 라벨(7)은 압축로울러(53)와 대직경 로울러(47)에 의하여 삽입되고 구동용모터(49)에 의하여 고속주행(약 100m/분)되는 벨트콘베어(42)와 안내판(41) 사이로 공급되어 제6도의 화살표(82)로 도시한 하방향으로 이송되고 개구부(77)의 하부를 통하여 라벨보유구(15)에 급송된다.
벨트콘베어(42) 위에 라벨이 이송되었을 때 수광부(79)가 이 라벨을 검출한다. 따라서 이 수광부(79)에서 제23(g)도에 표시하는 통과 검출신호(134)가 발행되며, 따라서 보유회로(135)로 구성시킨 플립플롭(136)이 셋트되고 그 출력 Q 가 고레벨 "H"로 반전되게 한다. 또 상기 라벨보유구(15)에 이송된 라벨(7)은 제6도에 있어서 화살표로 기류의 방향을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에 의하여 라벨보유바(36)(제8도)에 흡인 보유된다.
그다음 상품(6)이 예를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장치(56)의 기준표면(58)에 의하여 압압되면 점착개스스위치 즉 리미트 스위치(59)가 이것을 검출하고 이 스위치(59)로부터는 제22(a)도로 표시한 바와 같은 출력신호(132)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AND 게이트(133)의 2입력은 같이 고레벨 "H" 로 되고 이 출력은 OR 게이트(141)를 거쳐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를 트리거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가 트리거되면 그 출력 Q가 고레벨 "H"가 되고 스위칭회로(143)가 온이되고 솔레노이드(24)가 제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용된다. 이 솔레노이드(24)의 작용에 따라 플런저(25)가 상승되고 그로써 개폐기(19)가 수평상태에서 직립상태가 된다. 따라서 팬박스(16)의 송풍구(17)와 라벨보유구(15)가 연통하고 라벨보유구(15)의 보유동작을 껌착동작으로 절환한다.
라벨보유구(15)와 송풍구(17)가 연통하면라벨바(36)에 보유하고 있는 라벨은 놓여진 상품(6)을 향하여 화살표(83) 방향으로 비행되고 이 상품(6)에 라벨이 점착된다.
한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타(142)의 출력 Q가 고레벨 "H"로 반전하면 출력가 거레벨 "L"로 되고 이에 의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39)가 트리거 된다. 따라서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39)에서 일정시간동안 고레벨 "H"의 출력에 의하여 보유회로(135)에 포함되는 플립플롭(136)이 리셋트된다. 그것과 함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의 고레벨 "H"의 출력 Q는 AND 게이트(144)에도 공급된다. 따라서 이 AND 게이트(144)는 단자(145)에 주어지는 클럭(146)의 타이밍으로 게이트(148)을 거쳐서(단부 스위치(149)가 오프이므로) 라인프린터(64)에 다음의 라벨의 인쇄를 지령한다.
그리고 라인프린터(64)에서는 상술의 인쇄작동(제22(c)도을 행한다. 그래서 이 인쇄작동이 종료하면 신호(152)를 라벨간헐공급장치(70)에 공급한다. 따라서 이 라벨간헐공급장치(70)가 제2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헐적인 이송 동작을 행한다. 즉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152)에 응답하여 모터(68)를 온으로 하고 신호(76)에 응답하여 모터(68)를 오프로 한다. 따라서 벨트콘베어(42)에 의하여 다시 인쇄된 라벨이 라벨보유구(15)에 이송된다. 이때 수광부(79)로 부터의 통과검출신호(134)(제22(c)도에 의하여 플립플롭 다시 셋트되고 다음에 리미트 스위치(59)가 온으로 됨으로서 개시되는 라벨을 점착하기 위한 동작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위치결정 장치(56)의 기준표면(58)에 의하여 상품(6)을 압압하고 라벨의 점착완료 후 다음의 상품을 다시 기준표면(58)에 의하여 압압하기 까지의 사이에 다음의 라벨이 라벨유구(15)에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라벨 점착작업을 행할 수가 있으며 조작성 및 작업효율이 향상한다.
이후 단부스위치(149)를 조작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23(a)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단부스위치(149)를 온으로 하면 AND 게이트(148)의 하나의 입력이 저레벨 "L"이 된다. 그리고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풀(6)을 기준표면(58)에 의하여 압압하고 리미트스위치(59)가 제23(d)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온으로 되면 제23(c)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42)에서 고레벨 "H"의 출력이 발생되고 솔레노이드(24)가 작동되며 라벨이 점착된다. 그러나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의 출력이 인가된 AND 게이트(144)로 부터의 클럭신호(1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AND 게이트(148)가 단부스위치(149)에 의하여 닫혀져 있으므로 라인프린터(64)에 대하여 인쇄지령을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3(c)도 및 제23(f)도에 표시하기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의 라벨을 위한 라벨의 간헐적인 이송은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라벨을 점착할 최후의 상풀에 라벨을 점착할 때에 우선 단부스위치(149)를 조작하므로서 불필요한 라벨이 인쇄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계속하여 정보 사항이 다른 라벨을 점착할 경우에도 불필요한 라벨이 라벨보유구(15)에 보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잘못된 점착을 행할 우려가 없다.
제24도는 본 고안의 제어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는 이 제24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블록(153)이 제20도의 실시예와 다르며, 다음의 기술은 주로이 블록(153)에 대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특히 계중회로(130)부터의 평형신호(131)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제1도의 조작판넬(4)에 선택스위치(154)를 설치한다. 이 선택스위치(154)는 상술의 계중회로(130)로 부터의 평형신호(131)에 응답하는 통상의 인쇄작동과 라벨발행스위치(147)의 조작에 응답하는 수동인쇄 동작을 선택하는 것이다. 선택스위치(154)는 그것을 온으로 함으로서 통상적인 인쇄작동을 선택하고 고레벨 "H"를 발생시킨다.
이 선택스위치(154)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보유회로(135)에 포함되는 플립플롭(136)의 출력 Q와 함께 AND 게이트(155)의 입력으로서 공급된다. 이 AND 게이트(155)의 출력은 플립플롭(157)의 입력에 인가된다. 이 플립플롭(157)은 그 클럭단자에서 단자(156)의 클럭신호(146)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 플립플롭(157)의 출력 Q는 인버터(158)를 경유하여 다이오드(159)의 음극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다이오드(159)의 양극에는 상기의 계중회로(130)로 부터의 평형신호(131)가 공급되고 다시금 이 양극은 라인프린터(64)의 인쇄이령 입력으로 접속된다.
한편 솔레노이드(24)의 온 기간을 규정하는 재트리거 가능한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142)의 출력 Q와 선택스위치(154) 출력이 반전신호는 AND 게이트(160)에 인가된다. 이 AND 게이트(160)의 출력은 라벨발행스위치(147)의 출력과 같이 AND 게이트(161)에 주어지고 있다. 이 AND 게이트(161)의 출력은 단부스위치(149)로 부터의 출력과 같이 AND 게이트(162)에 공급된다.
이 AND 게이트(162)의 출력은 라인프린터(64)에 있어서의 인쇄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인쇄정지신호(163)로서 라인프린터(64)에 인가된다. 이 라인프린터(64)에 계중회로(130)로 부터의 인쇄 데이터(151)가 공급되고 또 라벨 간헐공급장치(70)에 대하여 이 라인프린터(64)로 부터 인쇄종료신호(152)가 공급되고 수광부(75)에 의하여 신호가 공급되는 것(76)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하에 제25도의 후로우챠아트 및 제26도의 타이밍신호와 같이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기손하면 다음과 같다.
이 후 작동시에 있어서 통상의 인쇄작동 모오드 내지 자동 인쇄작동 모드에 대하여 기손하고자 한다. 정상적인 인쇄작동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택스위치(154)를 온으로 한다. 따라서 이 스위치(154)로 부터 고레벨 "H"의 신호가 얻어지고 AND 게이트(155)의 일측 입력에 공급되면서 동시에 고레벨 "H"가 반전되어 AND 게이트(160)에 공급되기 때문에 AND게이트(162)로 부터의 출력 즉 인쇄정지 신호(163)는 고레벨 "H"로 된다.
전원인가 직후에 있어서 벨트콘베어(42) 위에 인쇄된 라벨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서 수광부(79)는 아무런 검출신호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보유회로(135)의 플립플롭(136)는 라셋트된 그대로이며 그에 따라서 출력 Q는 저레벨 "L"로 되며 AND 게이트(155)의 출력은 저레벨 "L"이고 플립플롭(157)은 셋트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플립플롭(157)의 출력 Q가 저레벨 "L"로 되고 인버터(158)의 출력이 고레벨 "H"로 된다. 그러므로 이 인버터에 접속된 다이오드(159)는 음극측의 전위가 높아지게 되어 비도전상태가 된다.
한편 라벨을 점착하여야 할 상품(6)은 예를들면 제19도에 도시한 계중장치(121)의 계중접시(3)에 제26(a)도에 도시한 타이밍동안 적재된다. 그렇게 하면 상손한 바와 같이 계중회로(130)로 부터 제26(b)도로 도시한 타이밍 동안 평형신호(131)를 발생시킨다. 이 때 다이오드(159)는 상손한 바와 같이 비도전 상태이므로 평형신호(131)는 그대로 인쇄지령신호(150)로서 라인프린터(64)에 인가된다. 한편 이 라인프린터(64)에는 계중회로(130)로 부터의 인쇄데이터(1510가 인가되고 라인프린터(64)는 데이터(151)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라벨에 인쇄한다(제26(d)도). 그러나 이 라인프린터(64)로 부터의 인쇄완료 신호(152) 및 수광부(75)로 부터의 신호(676)에 응답하여 라벨간헐공급장치(70)가 제26(e)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지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킨다. 그렇게함으로서 인쇄된 라벨이 벨트 콘베어(42) 위로 급송되면서 라벨보유구(15)에 이른다. 이 때 수광부(79)에서는 제26(f)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과 검출신호(134)를 발생시킨다. 이 통과검출신호(134)에 응답하여 보유회로(135)의 플립플롭(136)이 셋트되고 그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AND게이트(155)의 출력이 고레벨 "H"가 되고 플립플롭(157)이 셋트된다. 이 때문에 이 플립플롭(157)의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되고 인버터(158)의 출력은 저레벨 "L"이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159)는 그 전극의 전위가 낮아지고 속방향의 도전상태가 된다.
그 후 점착할 상품을 위치 결정장치(56)의 기준표면(58)에 의하여 압압하고, 리미트스위치(59)가 온이되면 출력신호(132)가 고레벨 "H"로 되며 AND 게이트(133)의 출력이 "H"가 된다. 따라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가 트리거 되고 그 출력 Q가 고레벨 "H"가 되면서 솔레노이드(24)가 동작하여 상기와 같이 상품에 라벨이 점착된다.
그 후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42)의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되고 보유회로(135)에 포함되는 플립플롭(136)이 리셋트된다. 따라서 이 플립플롭(136)의 출력 Q와 AND게이트(155)의 일측입력은 저레벨 "L"로 된다. 그 때문에 인버터(158)의 출력은 고레벨 "H"로 되고 다이오드(159)는 다시금 비도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계중회로(130)로 부터의 평형신호(131)가 다시금 인쇄지령신호(150)로서 라인프린터(64)에 인가될 수 있다.
또 제26도의 타이밍 챠아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광부(79)가 라벨을 검출하고 나서 솔레노이드(24)가 작동할때까지, 즉 벨트콘베어(42) 위에 인쇄된 라벨을 검출하여 라벨 점착동작이 종료하기 까지의 사이에 제26(a)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계중회로(130)가 상품을 적재한 상태로 부하되어 평형신호(131)를 수신하여도 여기에 응답하여 인쇄작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것은 수광부(79)에서 통과 검출신호(34)가 발생되면 플립플롭(136)의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되고 플립플롭(157)의 출력도 고레벨 "H"로 되며 다이오드(159)가 상술한 바와 같이 순방향으로 도전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즉, 다이오드(159)가 순방향으로 도전되는 상태로 계중회로(130)에서 평형신호(131)가 발생하여도 이 평형신호(131)는 도전 다이오드(159)를 거쳐서 인버터(158)로 인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인프린터(64)에 인쇄지령신호(150) 즉 평형신호(131)가 인가되지 않는다.
또 수동의 라벨발행스위치(147)에 의하여 라벨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선택스위치(154)를 오프로한다. 따라서 플립플롭(157)이 셋트되는 일이 없고 인버터(158)의 출력은 저레벨 "L"이고 다이오드(159)가 상술한 바와 같이 순방향으로 도전된 그대로 된다. 따라서 계중회로(130)에서 평형신호(131) 즉 인쇄지령신호(150)는 주어지지 않는다. 한편 이 스위치(154)로 부터의 저레벨 "L"이 반전되어 AND게이트(160)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 AND게이트(160)의 타측 입력 즉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트(142)의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되면 이 게이트(160)으로 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AND게이트(161)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라벨발행스위치(147)에 주어지는 클럭신호(146)가 게이트(161) 및 (162)(단부 스위치(149)가 온일때 이 게이트(162)는 정지된다)를 경유하여 도출되고 인쇄정지신호(163)를 클럭신호의 타이밍에 따라 고레벨 "H"로 되는 결과로서 라인프린터(64)에 인쇄지령 신호를 인가되게 한다.
또 단부 스위치(140)의 작동에 대하여는 먼저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다. 즉, 이 단부스위치(149)가 온되면 AND게이트(162)는 오프되고 그 출력신호(163)는 저레벨 "L" 그대로 되고 평형신호(131)에 따른 라인프린터(64)의 인쇄작동 즉 라벨발행작동은 중지된다.
제27도는 본 고안의 제어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구동모터(49)를 적절하게 제어를 하는 회로(164)이다(예를들면 제6도 참조). 그리고 팬모터(16a)는 팬박스(16)안에 설치되어 있다. 그나머지 장치들은 대체로 제24도 실시예의 장치와 같다. 따라서 블록(164)은 다음에 상세히 기술되며, 블록(164)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 따르는 스위치(166)는 개폐기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166)의 일측접촉부는 팬모터(16a)와 벨트콘베어(42)의 구동모터(49)의 각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모터(16a) 및 (49)의 타측 단부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65)를 경유하여 접지 되어 있다. 개폐기와 연동하는 스위치(166)의 타측은 동력원에 연결되어 있다(도시 안됨). 스위칭 트랜지스터(165)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67)의 출력 Q에 응답하도록 제어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67)는 라벨 점착동작 스위치 즉 리미트 스위치(59)가 작동될 때 방생된 신호(132)에 응답하여 트리거되는 재트리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다. 제28도와 제29도는 각각 벨트콘베이어(42)의 정지 상태에서 점착동작 시작까지의 후로우챠아트이며, 벨트콘베이어(42)의 작동동안의 점착동작을 나타낸다.
이후 제28도 및 제29도를 참조하여 제27도의 실시예의 작동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8도의 후로우챠아트를 참조하여 벨트콘베어(42)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벨트콘베어(42)의 정지시, 즉 모터(49)의 정지시에 있어서 계중장치(121)의 계중접시(3)에 상품을 전재하고 그것에 의하여 계중회로(130)로 부터 평형신호(131)가 발생되면 라인프린터(64)에 의하여 라벨 인쇄가 행해지고 이 인쇄된 라벨이 라벨간헐공급장치(70)에 의하여 안내대(71)로 공급된다. 그 후 상품을 계중장치(121)의 계중접시(3)에서 제거하여 지시된 라벨점착위치에 놓고 이에 의하여 위치결정 장치(56)의 기준표면(58)에 의하여 압압되면 리미트스위치(59)가 그것을 감지하고 고레벨 "H"의 신호(132)를 발생시키게 한다. 따라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67)가 트리거되고 그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되면서 스윗칭 트랜지스터(165)가 온이되고 두 개의 모터(16a) 및 (49)에 전원에 인가되어 회전을 개시한다. 따라서 팬박스(16)에 포함되는 팬(도시않음)이 회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벨트콘베어(42)가 구동된다. 벨트콘베어(42)가 이송을 개시하면 안내대(71) 위에 발행된 라벨이 압압로울러(53)와 대직경의 로울러(47) 사이에 끼워지고 벨트콘베어(42)와 안내판(41)과의 사이로 반입되고 라벨(7)이 라벨보유구(15)에 이송된다. 이때 수광부(79)로부터의 통과 검출신호(134)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24)를 구동하고 점착작동을 행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67)는 트리거되면 적어도 일정시간(예를들면 5초 내지 10초 정도) 동안 출력 Q가 고레벨 "H"로 되게 하고 모터(16a) 및 (49)를 작동되게 한다. 이 때문에 벨트 콘베어(42)의 작동중의 점착작동은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지(8)를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안내대(71)에 라벨을 발행하면 이 발행된 라벨은 벨트콘베어(42)에 의하여 즉시 라벨 보유구(15)에 이송되고 이때 수광부(79)에서 통과검출신호(134)가 발생된다. 따라서 리미트스위치(59)에 의한 상기의 점착작동이 즉시 행해진다.
또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67)의 상기의 출력지속시간 이내에 리미트스위치(59)가 온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은 반전되고 그 출력 Q이 저레벨 "L"로 되게하여 스윗칭 트랜지스터(165)가 오프로 되게하고 팬모터(16a) 및 벨트콘베어 구동용모타(49)가 정지되게 한다.
또 상술의 모터(16a) 및 (49)의 작동중, 즉 벨트 콘베어(42)의 작동중에 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용 문이 개방되면 그에 연동하는 스윗치(166)가 오프되고 모터(16a) 및 (49)는 스윗칭 트랜지스터(165)의 온 상태에도 불구하고 정지된다.
또 구동용 모터(49)를 구동시킨 후 벨트 콘베어(42)의 주행속도가 소정 속도에 달하는데 시간을 요하는 경우에는 이 벨트콘베어(42)의 벨트(48)의 이면에 있는 라벨(7)을 박리되게 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의 실시예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67)를 신호(132)에 의하여 트리거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것은 제29도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계중회로(130)로 부터의 평형신호(131) 및 라인프린터(64)에서의 인쇄완료신호(152) 또는 대지의 라벨 간헐공급장치(70)의 간헐적인 공급타이밍 등에 의하여 재트리거하도록 하면 상술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27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콘베어(42)의 구동용모터(49)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167)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정지하기 때문에 고속주행하는 벨트콘베어(42)의 주행기간 중에 주행속도를 낮추지 않고도 그 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고 벨트콘베어(42), 구동용 모터(49) 및 소직경의 로울러(44) 및 지지축(45)의 개별적인 지지부의 수명을 길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한쪽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지에 일시적으로 보유되고 다른쪽에는 소망의 정보가 기입된 라벨(7)을 상기 대지로 부터 박리하여 점착작동을 준비하는 라벨 준비장치(40)와, 상기 준비된 라벨을 대상물에 점착하는 점착장치(9)와, 상기 라벨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부분에 접촉하여 그 라벨을 상기 라벨준비장치로 부터 상기 점착장치까지 반송하는 이동부분을 포함하는 벨트콘베어(42)와, 상기 라벨준비장치의 라벨 준비동작과 상기 점착장치의 라벨점착동작과의 상대적인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라벨 취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착장치(9)가, 기류를 발생하여 정기압과 부기압을 형성하는 팬박스(16)와, 상기 팬박스(16)의 정기압과 부기압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외기와 연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라벨을 불어 날리거나 흡인지지하는 라벨보유구(15)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방(21)과, 좌우 대칭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2개의 개폐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개폐기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반절부(39)가 서로 근접하였을 때는 경로가 폐쇄되고 서로 멀어졌을 때는 경로가 개방되어 정기압 또는 부기압을 선택하는 개폐기(19)와, 상기 개폐기를 구동제어하는 솔레노이드(24)로 이루어져, 상기 라벨(7)을 상기 하부방의 정기압 혹은 부기압에 따라 각각 불어날리거나 흡인 지지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취급장치.
KR2019840004564U 1979-02-20 1984-05-17 라벨(label) 취급장치 KR850000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564U KR850000598Y1 (ko) 1979-02-20 1984-05-17 라벨(label) 취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511A KR830000623A (ko) 1979-02-20 1979-02-20 라벨취급장치
KR2019840004564U KR850000598Y1 (ko) 1979-02-20 1984-05-17 라벨(label) 취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511A Division KR830000623A (ko) 1979-02-20 1979-02-20 라벨취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98Y1 true KR850000598Y1 (ko) 1985-04-11

Family

ID=2662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564U KR850000598Y1 (ko) 1979-02-20 1984-05-17 라벨(label) 취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5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5915A (en) Label handling apparatus
EP0071191B1 (en) Apparatus for bonding thermosensitive adhesive label
KR890001048B1 (ko) 자동 조립 장치
US6085818A (en) Printed labe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inted label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rinted labels
US5133396A (en) Label feeding machine
US4581094A (en) Device for suction-sticking display labels
JPH08137403A (ja) ラベル連続体およびラベル連続体の切断装置
KR850000598Y1 (ko) 라벨(label) 취급장치
US3556898A (en) Label prin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2782961A (en) Label dispensing device
JPS5911059Y2 (ja) ラベル貼着装置
US3630805A (en) Label-applying machine
PL178969B1 (pl) Etykieciarka do przemyslowego, zdalnego etykietowania pakunków o róznych rozmiarach i ksztaltach PL
GB15780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elements to articles
JPS6238229B2 (ko)
US4121536A (en) Label dispensing device
JP3979065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S5911058Y2 (ja) ラベル貼着装置
JPH0986526A (ja) ラベルプリンタ
JPH09295629A (ja) ラベル貼付装置
JP2851298B2 (ja) 両面粘着テープ並びに該両面粘着テープの使用方法及び該両面粘着テープを用いた貼着物の貼着装置
JPS5923694Y2 (ja) ラベル貼着装置
JPS5910012Y2 (ja) 値付装置
JPS6437340A (en) Automatic label printing machine
JPS5911057Y2 (ja) ラベル貼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