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541B1 -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 Google Patents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41B1
KR850000541B1 KR1019810002744A KR810002744A KR850000541B1 KR 850000541 B1 KR850000541 B1 KR 850000541B1 KR 1019810002744 A KR1019810002744 A KR 1019810002744A KR 810002744 A KR810002744 A KR 810002744A KR 850000541 B1 KR850000541 B1 KR 85000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ranch
basic
connection
maximum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974A (ko
Inventor
아우잉거 헬벨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팅게젤샤프트
빌리 부라이레 크라우스 페터 쉬밋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03029843 external-priority patent/DE3029843C2/d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팅게젤샤프트, 빌리 부라이레 크라우스 페터 쉬밋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팅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300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02K17/14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having windings arranged for permitting pole-cha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nd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해결법에 대한 각각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 및 제2도는 2 중성형(星形) 3중성형 결선에 대해서 양쪽의 극대수(極對數) 단계에 있어서의 권선접속도.
제3도 및 제4도는 그들에 부속된 11개의 접속단자 사이의 접속도.
제5도는 144개의 홈에 대한 12/16극 3상권선의 권선구성도.
제6도는 부속하는 극수변환 개폐기의 구성과 도선접속도.
제7도 및 제8도는 권선피치 1-13의 경우의 양쪽의 극수에 대한 그 권선의 겔게스의 다각형(
Figure kpo00001
polygon)을 표시한 도면.
제9도 및 제10도는 4준성형/33중삼각 결선에 대하여 양쪽의 극대수 단계에 있어서의 권선접속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그들에 부속된 12개의 접속단자간의 접속도.
본 발명은 극대수비가 P1: P2=(3m±1) : 3n이며, 양쪽의 극대수단계에 있어서 유효한 기본권선 분기의 복수의 군과 한개의 극대수(P1)에 대해서만 부가되는 영권선분기(零卷線分岐)를 가진다. 특허 2629642(VPA 76P 3136BRD)에 의한 극수(極數)변환이 가능한 3상권선에 관한 것이다.
기본특허에 의한 이러한 극수변환이 가능한 3상권선은 단지 6개의 접속단자와 병렬인 영분기 및 기본권선 분기의 3중성형(星形)/3중성형의 결선을 가진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 있어서, 양쪽의 극대수에 대해서 동일한 상권수(相卷數)를 가진다(상권수비 1 : 1). 따라서, 이 결선은, 거의 일정한 토오크 특성과 약 1 : 1.5까지의 작은 극대수 비만을 가지는 회전기에 대해서 특히 계획되어 있다. (P2)의 경우의 영분기의 설택적 직렬접속에 따라서 다른 상권수도 얻어지지만, 비교적 좁은 한도로 한정된다.
9개서 12개까지의 접속단자와 기본권설분기의 삼각/3중삼각결선 또는 성형/3중삼각결선을 가지는 종래 예의 특허에 의한 별도의 극수변환이 가능한 3상관선에 있어서는, 양쪽의 극대수 단계에 대해서 적어도 1 : 3의 비에 있어서 다른 유효한 상권수가 생기고, 따라서 그것은 상응하는 높은 극대수비에 대해서만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정한 또는 역토오크특성(후자는 1에 가까운 극대수비와 함께 실시할수 있음)에 대해서 1:1과 3:1의 사이의 극대수비를 가지는 회전기를 가장 적합하게 설계할수 있기 때문에, 상권수비가 1:1보다 크고 1:3보다 작은것을 가능토록 하는, 앞에서 설명한 종류의 극수변환이 가능한 3상권선을 창작한다는 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과제의 해결은 한편에서는 11개의 접속단자의 경우에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요건에 따른 수단에 의해서, 또는 12개의 접속단자의 경우에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특징요건에 따른 수단에 의해서 달성된다.
1개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제1의 해결법에서는, 상권수비w1:w2=2:1을 가지는 2중성형/3중성형 결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것으로는 2중성형에 대한 제1의 극대수단계 P1=(3m±1)에 있어서, 모든 기본권 선분기 및 영권분기를 일관해서 동일 코일에 의해서 구성된 상권선의 중앙이 균압도선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3중성형에 의한 제2의 극대수단계 P2=3n에 있어서는 영권선분기는 작용하지 않고, 그것은 3개의 기본권선 분기의 접속에 의해 중첩되어서 단락되어 있다.
상기의 2중성형/3중성형 결선에 대해서는, 모든 코일이 권수 및 도체 단면적의 점에서 같은 구성을 가져야만 하므로, 이 해결법은 기본권선분기의 영권선분기에 대한 분할비가 3:1로 같은 극대수비
Figure kpo00002
에 대해서만 채용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서, 상권수비가 w1:w2=3:1인 4 또는 3중성형3/중 3각결선에 대해서 12개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제2의 해결법에서는, 이 제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해결법은 임의의 극대수비의 경우에, 따라서 기본권선분기의 영권선분기에 대한 비가 선택가능한 경우에, 실시가능하며, 그 경우 영권선분기는 일반적으로 기본권선분기의 코일과 상이한 권수와 도체단면적을 가지는 코일로 구성할수 있다.
본 발명의 양해결방법에 대해서 각각 일반적인 실시예와, 또한 제1의 해결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기본권선분기는(○), (□), (△)이며, 영권선분기는(
Figure kpo00003
)으로 표시한다. 이들 분기는 어느 것이나 3군으로 구성되고, 그들의 시단은 A(
Figure kpo00004
), B(○), C(△) 및 D(□)이며, 그들의 종단은 각각(A'),(B'),(C') 및 (D')로 표시되어 있다.
(1)에서 (11)까지의 11개의 접속단자를 필요로하고, 제1도에서 제8도까지에 의한 2중성형/3중성형 결선으로 구성된 극수변환이 가능한 3상권선의 경우에는, 제1 극대수(P1)에 있어서 3개의 외부접속선(L1),(L2),(L3)은 접속단자(1),(2) 및 (3)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접속단자는 그 자체가 영권선분기(
Figure kpo00005
)의 시단(A) 및 기본권선분기(○)의 시단(B)과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영권선분기(
Figure kpo00006
)의 종단(A')은 다른 두개의 기본권선분기(△), (□)와 상호 견고하게 접속된 접속된 시단(C), (D)와 각각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그들기본권선분기의 종단(C'), (D')은 각각 견고하게 성형으로 연결되어서 접속단자(10), (11)에 인도되어 있다. 제1의 극대수(P1)에 대해서는, 접속단자(4), (5), (6)와 접속된 시단C),(D)은 절환교락선을 거쳐서 기본권선분기(○)의 종단(B')과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접속단자(7), (8), (9)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에 단자판 위의 절환접속을 또한 표시한다.
제3중성형 결선에 있어서의 제2의 극대수(P2)에 의한 운전의 경우는, 제2도 및 제4도에 의거해서 접속선(L1), (L2), (L3)이 상호 결합된 접속단자(7), (8), (9) 및 접속단자(10) 및 (11)에 접속되고, 동시에 접속단자(4)와 (7), (5)와 (8), (8)과 (9)의 사이의 절환접속은, (1)과(4), (2)와(5), (3)과 (6)으로 절환되어진다. 제5도에서는 특별한 실시예로서 144홈과 권선피치(1-13)를 가지는 16/12 극변환이 가능한 3상권선의 접속을 표시한다. 틀중에서 기입된 숫자는 각각 해당하는 홈속에 수용된 코일을 표시한다. 부(負)의 부호는 그 코일이 역방향으로 감겨져 있는것을 의미한다.
2차의 토오크 특성을 가지는 송풍기 구동용의 이 권선은, 권수비 W16:W12=2:1인 경우에 일관해서 동일한 코일과 기본권선분기의 영권선분기에 대한여 3:1로 동등한 분할비를 가진다. 극수비는
Figure kpo00007
가 되어, 공극에 있어서의 자속밀도비는
Figure kpo00008
이 된다.
12극 운전을 할때에는 q2=4(극과 도선당 4개의 홈)이 효과가 있으며, (그들중 각각 하나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영분기)), 16극 운전시에는 q1=3(극과 도선당 3개의 홈)이 효과가 있다. 권선피치(1-13) 즉 2P2=12에 대해서는 전절권(full-pitch winding), 또 2P1=16에 대해서는 4/3-비전절권인 경우에는 기본파에 대한 권선계수는 §12=0.903 및 §16=0.83이 되고, 2P2=12에 대해서는 제7도에, 2P1=16에 대해서는 제8도에 표시한 겔게스의 다각형이 생긴다. 고주파 분산계수는 12극 운전시에는 δ0=0.89%, 16극 운전시에는 δ0=1.41%가 된다.
극수절환에 대해서는, 9개의 절환접점을 가지는 제6도에 의한 절환개폐기를 사용하는것이 유리하며, 그 고정된 절환가능한 접속부에 의해서(I)에서 (11)까지의 접속단자가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절환스위치는 2P1=16의 다수극 운전에 적용된다. 절환접점을 오른쪽으로 절환하면 제2의 극수2P2=12가 생긴다.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한 기본권선분기의 영권선분기에 대한 분할비와 권수 및 도체단면적이 일반적으로 상이한 코일을 가지는, P1/P2=(3m±1) : 3n에 의한 임의의 극대수 결합은, 4중-다중성형/3중3각 절환결선을 사용해서 실현된다. 이 경우에는 12개의 단자와 어느정도 복잡한 절환장치가 필요하다.
제9도에서 제12도까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영권선분기가 한조만 착설되어 있으며, 그 시단(A)은 기본권선분군(○)의 시단(B)과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모든 권선분기(○ , □ , △ ,
Figure kpo00009
)의 모든 군은 그들 종단(A'), (B'), (C'), (D')이 각각 성형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기본권선분기의 성형중심점은 접속단자(10), (11), (12)로 인도되어 있다. 기본권선분기 (△, □, ○)의 군의 시단(B), (C), (D)는 각각 접속단자(1), (2), (3) 및 (4), (5), (6) 및 (7), (8), (9)와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9도와 제11도에 의한 제1의 극대수(P1)에 의한 운전시에는 접속선(L1), (L2), (L3)은 접속단자(1)-(4)-(7), (2)-(5)-(8) 및 (3)-(6)-(9)의 사이의 대응하는 절환접속에 의해서 병렬로 접속된 개개의 권선분기의 시단(A), (B), (C), (D)에 연결된다.
제2의 극대수(P2)에 의한 운전에 있어서는, 제10도와 제1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접속단자(1), (2), (3) 및 (4), (5), (6) 및 (7), (8), (9)가 직접적으로 상호 접속되고, 또한 순환하는 순서에 있어서 접속단자(12) 및 (10) 및 (11)과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서 기본권선 분기의 3중 3각결선이 생기고, 거기서 접속선(L1), (L2), (L3)이 접속단자(10), (11), (12)에 연결된다. 이 권선구성에 있어서는 상권수비는 W1: W2=
Figure kpo00010
:1이 된다.
분기가 제5도에 의거해서 배치되어 제9도 및 제10도에 따라서 접속된 144홈과 극수비 16:12의 권선구성을 가정하면, 자속밀도의 관계는
Figure kpo00011
이 된다. 도시된 한 개의 영권선 분기대신에, 다중성형 /3중 3각결선에 있어서는, 영권선분기중의 적어도 한개와 견고하게 접속된 복수의 영권선분기도 또한 계획할수가 있다. 그 경우에는
Figure kpo00012
에 의한 극대수비는 임의이고, 따라서 기본권선분기의 영권선분기에 대한 비는 자유롭게 선택가능하며, 영분기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권수와 도체단면적이 상이한 코일을 착설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극대수비가 P1: P2=(3m±1): 3n으로, 양쪽의 극대수 단계에 있어서 유효한 기본 권선 분기의 복수의 군과 한개의 극대수에 대해서만 부가되는 영권선분기를 가지는 특허 2629642(VPA 76 P3136 BRD)에 의거한 극수변환이 가능한 3상권선에 있어서, 극대수비가 P1: P2=
    Figure kpo00013
    이며, 기본권선분기(○, □, △)의 영권선분기(
    Figure kpo00014
    )에 대한 분할비가 3:1로 같으면, 모든 권선분기에 대해서 일관해서 동일한 코일이 사용될때, 제1의 극대수(P1)를 위한 3개의 접속단자(1), (2), (3)와 견고하게 접속된 영권선분기(" T-12 ")의 시단(始端)(A)이 다시 제1의 기본 권선 분기군(○)의 시단(B)과 견고하게 접속되고, 또, 영권선분기(" T-13 ")의 종단(A')이 다른 기본 권선 분기군(△, □)의 병렬접속된 시단(C), (D)과 견고하게 접속되어, 그들 권선 분기군(△, □)의 각각 성형으로 접속된 종단(C'), (D')이 제2의 극대수(P2)를 위한 2개의 접속단자로 인도되어 있으며, 제1의 극대수단계(P1)에 의한 운전시에는, 제1의 기본 권선 분기군(○)의 종단(E')이 다른 기본 권선 분기군(△, □)의 병렬로 접속된 시단(C), (D)과 접속되고, 또한 외부접속선(L1), (L2), (L3)이 접속단자(1), (2), (3)에 연결되어, 이에 대해서 제2의 극대수단계(P2)에 의한 운전시에는, 제1의 기본 권선 분기군(○)은 그 시단(B)을 접속단자(1)에서 (6)까지)를 개재해서 다른 기본 권선 분기군(△, □)의 (C), (D)에 접속되고, 또 그 종단(B')은 성형으로 접속되며, 또한 외부접속선 (L1), (L2), (L3)이 이 성형중심점 및 접속단자(10), (11)에 연결(제1도에서 제6도까지)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KR1019810002744A 1980-08-06 1981-07-28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KR85000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029843.2 1980-08-06
DE19803029843 DE3029843C2 (de) 1976-07-01 1980-08-06 Polumschaltbare Dreiphasenwick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974A KR830006974A (ko) 1983-10-12
KR850000541B1 true KR850000541B1 (ko) 1985-04-17

Family

ID=610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744A KR850000541B1 (ko) 1980-08-06 1981-07-28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38852A (ko)
KR (1) KR8500005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8484C2 (de) * 1979-03-05 1984-08-1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Bildung einer polumschaltbaren m-phasigen Wicklung für ein beliebiges Polpaarzahlverhältnis P↓1↓:P↓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38852A (en) 1982-08-27
KR830006974A (ko) 198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1602A (en) Compound short-circuit induction machine and method of its control
US4476422A (en) Single phase four pole/six pole motor
US2778962A (en) Armature winding with four parallels per phase
US3204167A (en) Electric motor winding arrangement
US4103212A (en) Two speed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US4473788A (en) Single phase two pole/six pole motor
KR850000541B1 (ko) 극수변환이 가능한 삼상권선
US4403160A (en) Pole change type motor
US4221999A (en) Three-phase two speed A.C. motor
US3463988A (en) Bi-phase and single-phase motor with polarity switching
US2900587A (en) Electric motors
JPH0644301Y2 (ja) 極数変換誘導電動機
RU2176124C1 (ru)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я обмотка на 10-6 полюсов (двойного шага)
SU1676007A1 (ru) Трехфазно-однофазна совмещенна обмотка
SU1677802A1 (ru) Трехфазна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 обмотка с отношением чисел пар полюсов 2 @ : 3 @ : 4 @
CA1139345A (en) Multi speed polyphase motor arrangement
SU1700700A1 (ru) Трехфазна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 обмотка
SU1467680A1 (ru) Трехфазна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 обмотка с соотношением чисел пар полюсов р @ :р @ =4:1
SU1539905A1 (ru) Трехфазна обмотка дл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совмещенного типа
SU1552300A1 (ru) Трехфазна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 обмотка на 1 и 3 пары полюсов
JP2637103B2 (ja) 電機子巻線
SU1480043A1 (ru) Трехфазна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 обмотка на 1 и 3 пары полюсов
SU1267540A1 (ru) Трехфазна двухскоростна обмотка машин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SU957431A1 (ru) Трехфазна полюсопереключаема обмотка
SU1665459A1 (ru) Совмещенна двухслойна трехфазна обмотка на 2 @ и 3 @ пар полю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