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488Y1 - 제습용기(除濕容器) - Google Patents
제습용기(除濕容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0488Y1 KR850000488Y1 KR2019810003137U KR810003137U KR850000488Y1 KR 850000488 Y1 KR850000488 Y1 KR 850000488Y1 KR 2019810003137 U KR2019810003137 U KR 2019810003137U KR 810003137 U KR810003137 U KR 810003137U KR 850000488 Y1 KR850000488 Y1 KR 8500004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alcium chloride
- pipe
- inner container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제승용기의 절단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절단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습용기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용기내의 1부 절단 사시이다.
본 고안은 실내, 벽장, 로커(locker)등에 비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포착하는 제습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습용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외(a)내에 끼워진 내용기(b)의 저면부 외주에는 홈(c)이 설치되고, 이 홈(c)에는 복수개의 소공(d)이 뚫려서, 내용기(b)내에 충전된 염화칼슘(e)으로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습(吸濕) 포착하고, 포착된 수분은 염화칼슘(e)에 용해되고 염화칼슘(e)액이 되어서 내용기의 소공(d)으로부터 외용기(a)내로 흘러 저장되도록 되어 있었다. 도면중(f)는 뚜껑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습용기에 있어서는, 외용기(a)내에 염화칼슘(e)액을 낙하시키는 소공(d)이 내용기(b)의 저면부에 있기 때문에, 상부로부터 용해가 되는 염화칼슘(e)액이 상기 소공(d)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 포착이 곤란하며, 또 염화칼슘(e)액은 점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홈(c)에 고이고 말아, 소공(d)을 통하여 낙하하기 어려웠다.
한편, 이 소공(d)의 구경을 크게 하면 염화칼슘(e)의 분말입자 자체가 외용기(a)내로 낙하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하단을 개구하여 벽면에 적당히 슬릿을 설치한 배수 파이프를 저부 중앙에 설치하고, 이 파이프의 하단을 저부 외측에 돌출시키고 또한 내부에 흡습제를 충전할수 있도록 구성한 내용기를 갖추고, 이 내용기를 외용기내에 양 용기의 저부사이로 소요공간을 형성하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된 외용기(1)내에 역절두원추상으로 형성한 내용기(2)를 이 양 용기(1)(2)의 개구부가 밀폐상태가 되도록 같은 방향으로 삽입하여 외용기(1)와 내용기(2)의 양 조면부 사이에 소요의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용기(2)의 저면부 중앙에 벽면의 길이방향으로 적당수의 소폭의 슬릿(3)을 갖추고 또한 상단 및 하단을 개방한 배수파이프(4)를 관통 설치하고, 이 파이프(4)의 상단을 내용기(2)의 위에 있는 선과 동일한 수준에 위치시키며 또, 내용기(2)의 저면부에서 돌출하는 파이프(4)의 하단부를 추상(錐狀)으로 형성하고, 다시금 상기 내용기(2)내에 흡습제로서 염화칼슘(5)을 충전한다. 도면가운데 (6)은 뚜껑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내용기(2)가 외용기(1) 내에 떨어져 들어가지 않도록 한 공지의 수단, 예컨대 외용기(1)의 내벽부에 돌기를 설치하는 등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였으며, 또 외용기(1)와 내용기(2)와는 착탈이 가능한 것이며, 다시금 파이프(4)와 내용기(2)와는 고착된 것이거나 착탈 가능한 것이라고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제습용기를 사용할때에는 우선 뚜껑(6)을 제거하고 그런 다음, 벽장등 제습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비치한다.
염화칼슘(5)의 표면이 공기에 접촉하면, 공기중의 수분이 흡습, 포착되고 화학반응에 의하여 염화칼슘(5)액으로 된다. 염화칼슘(5)액은 내용기(2)의 중앙에 위치하는 파이프(4)의 슬릿(3)내에 유입되고 이 파이프(4)의 하단 개구로부터 낙하하여 외용기(1)내로 흘러 저장된다. 이때, 파이프(4)의 상단도 개구하고 있으므로 염화칼슘(5)액의 낙하를 조장한다.
이와 같이 공기중의 수분을 포착하여 이루어진 염화칼슘(5)액은 차례로 파이프(4)의 슬릿(3)에서 외용기(1)내로 흘러 저장되므로, 염화칼슘(5)의 표면은 포착한 수분에 방해됨이 없이 항상 공기와 접촉할수가 있다.
외용기(1)내에 저장한 염화칼슘(5)액을 폐기할 경우는, 외용기(1)로부터 내용기(2)를 떼어내고 행하면되고, 따라서 염화칼슘(5)이 잔류하는 동안은 포착한 수분에 방해됨이 없이 제습효과를 발휘할수가 있다. 또 본 제습용기를 넘어뜨렸을 경우라도 외용기(1)와 내용기(2)와의 끼워맞춘 부분이 기밀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파이프(4)가 중앙에 위치하며 나아가 이 파이프(4)의 하단부가 추상으로 되어있는 까닭에 저장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습제로서 염화칼슘을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흡습성이 높은 약제라면 다른 흡습제를 사용하여도 된다는 것, 배수파이프의 슬릿은 세로방향이외에 단속(斷續)되는 나선상 등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는 것, 용기의 형상에 구애되지 않는다는 것, 용기 형성재료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방수지, 금속등 모든 재료를 선정할수 있다는 것, 그밖에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수 있다는 것은 물론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흡습, 포착한 공기중의 수분이 내용기의 중앙에 위치하는 배수파이프의 슬릿에서 외용기내로 용이하게 유입하여 저장되기 때문에, 포착된 수분은 항상 새로운 면을 노출시켜 제습효과가 높다는 것 등의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 하단이 개구되고 벽면에 적당히 슬릿(3)을 설치한 배수파이프(4)를 저부중앙에 설치하고 이 파이프의 하단을 내용기(2) 바닥아래로 돌출시키며 또한 내부에 흡습제(5)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내용기(2)를 갖추고, 이 내용기(2)를 외용기(1)내에 양 용기의 바닥사이로 소요공간을 형성하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10003137U KR850000488Y1 (ko) | 1981-04-30 | 1981-04-30 | 제습용기(除濕容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10003137U KR850000488Y1 (ko) | 1981-04-30 | 1981-04-30 | 제습용기(除濕容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947U KR830000947U (ko) | 1983-09-22 |
KR850000488Y1 true KR850000488Y1 (ko) | 1985-03-23 |
Family
ID=1922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10003137U KR850000488Y1 (ko) | 1981-04-30 | 1981-04-30 | 제습용기(除濕容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50000488Y1 (ko) |
-
1981
- 1981-04-30 KR KR2019810003137U patent/KR850000488Y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947U (ko) | 1983-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94144A (en) | Dehumidifying container | |
US4319679A (en) | Storage device for bodies, which shall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such as bodies for the absorption of humidity | |
GB2205242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evaporating a solution | |
KR101806990B1 (ko) | 재사용이 가능한 제습용기 | |
EP1328448B1 (en) | Apparatus for moisture absorption | |
US5215561A (en) | Moisture collection apparatus | |
KR850000488Y1 (ko) | 제습용기(除濕容器) | |
KR910000664Y1 (ko) | 제습용기 | |
JPS582417Y2 (ja) | 除湿容器 | |
EP2039416A1 (en) | Container device for an environmental humidity absorber with an anti-spill system | |
GB2098501A (en) | Dehumidifying container | |
JPS6122665Y2 (ko) | ||
US558840A (en) | Austin m | |
JPS6028483Y2 (ja) | 除湿容器 | |
JP2002224527A (ja) | 除湿器 | |
JPS6110742Y2 (ko) | ||
KR20130001991U (ko) | 제습제 리필사용이 가능한 제습제 용기 | |
JP2604332Y2 (ja) | 除湿剤容器 | |
JPH0243471Y2 (ko) | ||
CN211002313U (zh) | 一种防潮抗霉型瓦楞纸箱 | |
KR102606294B1 (ko) | 다회용 습기제거제 | |
JPS6240668Y2 (ko) | ||
JP3018058U (ja) | 簡易除湿器 | |
JP3417499B2 (ja) | 除湿容器 | |
JP3417500B2 (ja) | 除湿容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