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65B1 -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 Google Patents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65B1
KR850000365B1 KR1019830002218A KR830002218A KR850000365B1 KR 850000365 B1 KR850000365 B1 KR 850000365B1 KR 1019830002218 A KR1019830002218 A KR 1019830002218A KR 830002218 A KR830002218 A KR 830002218A KR 850000365 B1 KR850000365 B1 KR 85000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elay
contact
selection sig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377A (ko
Inventor
김병무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디터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디터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65B1/ko
Publication of KR84000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겸용 다이얼러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겸용 다이얼러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겸용 다이얼러의 제어회로의 실시예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겸용 다이얼러의 제어회로의 또다른 일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회로 200 : 절환회로
300 : 아웃펄스 송출기회로 400 : 키패드 회로
500 :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 10 : 통화회로
본 발명은 아웃펄스 송출기회로와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가 함께 실장된 한 개의 다이얼러로 선택입력신호를 통한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기계식 교환기의 국선이나 또는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에도 다이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한 아웃펄스 송출방식과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한 개의 전화기에 여러개의 국선이 몰려 있는 간이 구내교환 장치인 키텔레폰 시스템내에 기계식교환기의 국선들과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들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의 다이얼러로 어떤 국선에도 해당국선에 필요한 다이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겸용 다이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텔레폰 시스템에서는 국선을 제어하는 경우에 키접점이나 미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였고, 이러한 방식의 키텔레폰 시스템에서는 아웃펄스나 복합주파수 신호가 스위치나 계전기 접점을 통하여 국선으로 송출하였다.
최근에 와서는 전자교환기가 급증함에 따라 여러 개의 국선을 수용하는 키텔레폰 시스템은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과 기계식 교환기의 국선을 동시에 수용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고, 따라서, 기계식 교환기 국선이나 전자식 교환기 국선에 아웃펄스나 복합주파수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는 다이얼러가 필요하게 되었으나 종래의 다이얼러는 아웃펄스 송출 다이얼러 또는 복합주파수 송출 다이얼러의 어느 한가지 기능만을 갖는 다이얼러였기 때문에 기계식 교환기의 국선이나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중의 어느 한 종류의 국선에만 다이얼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이어서 1개의 다이얼로는 기계식 교환기 국선과 전자식 교환기 국선을 동시에 수용하여 사용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거나 가능한 경우에도 다이얼 신호의 송출이 신속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에 와서 전자식 교환기의 보급이 급증하게 됨에 따라 종전의 기계식 교환기와 전자식 교환기가 병존하는 사정하에서 1개의 키텔레폰 시스템 내에 기계식 교환기의 국선과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이 동시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개의 다이얼러만으로도 기계식 교환기 국선이나 전자식 교환기 국선중의 어떤 국선에도 해당 국선에 필요한 다이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아웃펄스 송출방식과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실시예 및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겸용 다이얼러의 블럭도로서,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 또는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절환회로(200)를 통하여 국선으로 아웃펄스 또는 복합주파수가 송출되도로 제어하는 제어회로(100)와,
키패드회로(400)에서 눌려진 다이얼버튼에 의하여 아웃펄스를 송출시키는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 및 복합주파수를 송출시키는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와,
다이얼버튼과 연결되어 있어서 그 버튼이 눌러질 대 절환회로(2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키패드회로(400)와,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국선으로부터 전원을 받아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 또는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 전원을 공급해 주며,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에서 송출된 아웃펄스 및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서 송출된 복합주파수 국선을 송출시키는 절환회로(200)와,
그리고, 상대방과 통화를 위한 통화회로(10)로 구성되어 있는바, 그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제어회로(100)내에 있는 선택신호 공급회로를 통하여 역시 제어회로(100)내에 있는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에 선택신호를 인가하며,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 내에 실장된 계전기가 구동하여 절환회로(200)의 계전기 접점 및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내에 있는 아웃펄스 송출기의 전원 공급 계전기접점을 구동시키게 되며, 이 때, 키패드회로(400)에 연결된 다이얼 버튼이 눌러지면 절환회로(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시에 또한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에서는 절환회로(200)를 통하여 아웃펄스를 국선에 송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선택신호를 제어회로(100)내에 있는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에 인가하지 않으면 계전기가 복구되어 그 접점이 바로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 연결되며, 이때 키패드회로(400)에 연결된 다이얼버튼이 눌러지면 절환회로(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시에, 또한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서는 절환회로(200)를 통하여 복합주파수를 국선에 송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한 블럭도를 보다 상세히 예시한 겸용 다이얼러의 회로로서,
계전기(1 2)(10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101)의 콜렉터가 접지되어 있고, 그의 에미터는 전원공급단자(VCC)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베이스가 저항(104)을 통하여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와 연결되어 있는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와 선택시로 공급회로(1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신호 공급회로(150)가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선택신호를 공급해 줌에 따라 계전기(102),(103)를 구동시켜 절환회로(200)의 계전기 접전(201) 및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의 전원공급 계전기접점(301)을 제어하는 제어회로(100)와,
국선단자(202),(203) 양단에 연결되어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 및 복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브리지 정류기(204), 콘덴서(205), 공지의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버튼을 누를 때, 브리지정류기(204)에 연결된 채로 다이얼버튼의 접점(401)과 함께 단락 또는 개방되어 전원을 공굽시키는 다이얼버튼 공통접점(206) 브리지 정류기(204)의 단자(208),(209)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브리지정류기(204)전압을 조절하는 전압조절소자(210),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동시에 아웃펄스 송줄기회로(300)에서 송줄된 펄스에 따라 온(On), 오프(Off)되면서 그 다이얼 신호를 국선단자(202),(203)에 전달하는 트랜지스터(211), (212), (213), (214), 그리고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소자(215) 및 기타 주변소자 들로 구성되어 있는 절환회로(200)와,
아웃펄스 송줄기(302)에서 병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303),(304)의 공통 베이스단자에 뮤팅신호를 인가할때마다 그 트랜지스터(303),(304)의 에미터단자에 연결된 콘덴서(305)를 통해 계전기(306)를 구동시켜 그 접점(216)(217)을 절환시키는 계전기구동회로(307), 저항(308), 트랜지스터(309), 인버터(310) 및 다이오드(3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웃펄스 송출기(302)와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의 전원단자(501)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전자식 교환기와 기계식 교환기의 국선을 갑자기 바꾸어 선택할 경우에 아웃펄스 송출기(302)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동작방지회로(312),
그리고 아웃펄스 송출기(302)가 펄스송출을 하도록 하기 위한 발진기 및 주변회로들로 구성된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와
3×4 매트릭스 형태로 되어 있는 다이얼 버튼접점(401),
그리고, 아웃펄스 송줄기(302)와 복합주파수 발생기(502)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다이얼 버튼을 누를때에 아웃펄스 송줄기(302) 와 복합주파수 발생기(502)를 분리시키는 다이오드(402)로 구성된 키패드회로(400)와,
그리고 복합주파수 발생기(502)가 복합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발전기 및 주변회로들로 구성된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가 상호 연결되어서 본 발명에 의한 겸용다이얼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221는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개방되고, 송수화기를 들면 접속되는 후크스위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신호 공급회로(150)가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선택신호를 인가하면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내의 트랜지스터(101)가 온되어 계전기(102),(103)를 구동시키므로 절환회로(200)의 계전기접점(201)이 접점(218)으로 접속되고,
아웃펄스송줄기회로(300)의 아웃펄스 송줄기(302)의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01)이 접속된다. 또한 이 때 송수화기를 들면 후크스위치(221)가 접속되어 교환기측에 연결된 국선단자(203)가 통화회로(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국선단자(202)는 콘덴서(205) 및 계전기(306)의 접점(217)과 계전기(306)의 접점(216)및 다이얼버튼 공통접점(207)을 각각 통해 통화회로(10)의 타측에 연결되어 통화회로(10)와 국선단자(202),(203)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므로, 교환기측의 전원이 통화회로(10)에 공급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때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이얼버튼 공통접점(206),(207)의 각각은 개방된 상태 및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브리지정류기(204)의 단자(219),(220)는 계전기(306)의 접점(216)을 통해 국선단자(202)에 공통접속된 상태로 되어 그 단자(219), (220)의 양단 전압이 같게 되고 이에따라 브리지정류기(204)의 단자(208),(209)에는 출력전압이 없게되어 절환회로(200)는 동작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용자가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버튼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때에는 절환회로(200)의 브리지 정류기(204)의 단자(220)에 연결된 다이얼버튼 공통접점(206)이 접속되고, 다이얼버튼 공통접점(207)은 개방되므로 브리지정류기(204)의 단자(219), (220)의 양단에는 전압차가 생기게 되고, 따라서 브리지정류기(204)의 단자(219)에서 단자(209)를 통해 계전기 접점(218)을 거쳐 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단자에 바이어스가 가해져 트랜지스터(212)를 온 시키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212)의 콜렉터 단자를 통해서 트랜지스터(213), (214)에도 바이어스가 가해져 트랜지스터(213), (214)를 온 시키므로 그의 콜렉터 단자와 정전압소자(215)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14)의 콜렉터 단자와 정전압소자(215)의 접합부에 연결된 전원공급 계전기접점(301)을 통해서 아웃펄스 송줄기(302)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때, 전원을 공급받은 아웃펄스 송출기(302)는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버튼을 눌러 그의 해당 입력단자에 인가된 저전위신호에 대응하는 아웃펄스를 펄스송출단자(313)를 통하여 송출하는 동시에뮤 팅신호단자(314)를 통하여는 펄스송출단자(313)에서 아웃펄스가 완전히 송출될 때까지 뮤팅신호를 보내는바, 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뮤팅신호단자(314)에서 송출된 뮤팅신호는 트랜지스터(303),(304)의 공통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303)를 온 시키고 트랜지스터(304)를 오프 시키므로, 전류가 전원 Vt→ 트랜지스터(303)의 콜렉터. 에미터 → 콘덴서(305) → 계전기(306)→ 접지로 흘러 계전기(306)를 구동시키고, 이에따라 절환회로에(200)에 있는 계전기(306)의 계전기 접점(216),(217)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절환된다. 이와 동시에 아웃펄스 송줄단자(313)에서는 눌려진 다이얼버튼에 해당하는 아웃펄스를 다이오드(31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211)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트랜지스터(211)를 온, 오프시키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212), (213), (214)도 온, 오프되어 아웃펄스 송줄단자(313)에서 송출된 아웃펄스와 동일한 형태의 펄스가 국선단자(202),(203)를 통하여 교환기측으로 송출된다.
아웃펄스 송출단자(313)에서 펄스의 송출이 끝나면 뮤팅신호단자(314)에서도 신호가 나오지 않으므로, 뮤팅신호가 가해질 때 콘데서(305)에 충전된 전하는 트랜지스터(304)를 구동시켜 계전기(306)를 역으로 구동시키므로 계전기접점(216), (217)이 원상태로 복구된다.
그러나, 선택신호가 공급회로(150)가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선택신호를 인가하지 않으면 계전기 및 계전시 구동회로(110)내의 실장된 계전기(102),(103)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절환회로(200)의 계전기접점(201)과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의 아웃펄스 송출기(302)의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01)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며, 이때도 앞서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다이얼버튼을 누를때 까지는 절환회로(200)에 전원이 전혀 공급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다이얼버튼 중의 어느한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이얼버튼의 공통접점(206)이 접속되고, 다이얼 버튼의 공통접점(207)이 개압되므로 국선단자 202→219→209→201→501을 통하여 복합주파수 발생기(502)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원이 공급받은 복합주파수 발생기(502)는 전원단자(501)를 통하여 눌려진 다이얼버튼에 해당하는 복합주파수를 출력시켜 국선단자(202),(203)로 다이얼 신호를 보낸다.
또한 베이스가 저항(308)을 통하여 복합주파수 발생기(502)의 전원단자(501)와 접속되어 있는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309), 인터버(310) 및 다이오드(311)로 구성된 오동작 방지회로(312)는 사용자가 기계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통하여 통화하고자 하여 아웃펄스 송출기(302)에 전원을 공급해 주다가 계획을 바꿔 전자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통하여 통화하고자 하여 아웃펄스 송출기(302)에 공급해 주던 전원을 끊고 복합주파수 발생기(502)에 전원을 공급해 주게 되는 경우에, 전원공급이 단절된 아웃펄스 송출기(302)가 단절된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 작동을 하는 등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가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을 선택하면 트랜지스터(309)의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가해져 트랜지스터(309)가 온 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인버터(310)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이 하이 신호는 다이오드(311)를 거쳐 아웃펄스 송출기(302)의 디스에이블단자(316)에 공급되게 함으러써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2개의 전자식 교환기 국선과 8개의 기계식 교환기 국선을 동시에 수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이미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겸용 다이얼러의 제어회로의 일실시예도로서, 키버튼의 작동에 따라 키버튼과 연관된 10개의 키접점 (K1- K10여기서K1, K2는 전자식 교환기 국선을 선택하는 키접점임)이 접점(C)을 중심으로 접점(A) 또는 접점(B)과 상호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키접점(K1)의 접점(B)은 키접점(K2)의 접점(C)에 연결하고, 키접점(K2)의 접점(B)은 다음 키접점(K3)의 접점(C)에 연결되도록 하며, 키접점(K4)에서 키접점(K10) 까지도 계속 같은 방식으로 연결하되, 키접점(K10)에서는 접점(B)이 전원공급단자(VCC)에 연결되고, 키접점(K1)의 접점(C)은 어느 곳에도 연결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10개의 접점(A)은 접지되어 있으며, 키접점(K2)의 접점(B)이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와 연결되어 있는 선택신호 공그회로(150)와,
계전기(102),(103)와 이들 계전기(102),(103)를 통하여 콜렉터가 접지되어 있고, 에미터는 전원공급단자(Vcc)에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가 저항(104)을 통하여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101)로 된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로 구성되어 있는바, 그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키접점(K1), 과 키접점(K2)은 전자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키버튼의 접점을 나타낸 것이고, 키접점(K3)-키접점(K10)은 기계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키버튼의 접점을 나타낸 것으로, 키접점K1-K10은 평상시 접점(C)을 중심으로 접점(B)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선택해서 통화하고자 할 경우 키버튼을 눌러 키접점(K1) 또는 키접점(K2)이 접점(B)에서 접점(A)으로 이동접속되더라도 선택신호 입력단자(105)로는 키넙점키접점(K10)의 접점(B)과 접점(C)을 통하여 전원공급단자키접점(VCC)로 부터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101)는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계전기(102),(103)를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제2도에 도시한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으로 눌려진 다이얼 버튼번호에 해당하는 복합주파수가 송출된다.
또한, 기계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통화하고자 할 경우 키접점(K3)-키접점(K10)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을 눌러 키접점(K3) - 키접점(K10)이 접점(B) 에서 접점(A)으로 이동접속되면 선택신호 입력단자(105)로는 접점(A)과 접점(C)을 통하여 접지로부터 접지전원신호가 인가된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101)가 온 되어 그의 콜레터에 연결된 계전기(102), (103)가 동작되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제2도에 도시한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눌려진 다이얼버튼번호에 해당하는 아웃펄스가 기계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으로 송출된다.
제4도는 전자교환기 국선과 기계식 교환기 국선을 동시에 수용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한 제1도 및 제2도의 제어회로의 또다른 일실시예도로서, 각 개의 국선과 접속될 수 있도록 키접점들(151)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국선수용단자(152),(153) 사이에 음성신호 전송감쇄를 막기 위한 트랜스(154)와 발광다이오드(155) 및 트랜지스터(156)로 구성된 광전달소자(157), 저항(158) 그리고 트랜스(159)를 직렬로 연결시키고, 직렬 접속된 광전달소자(157)와 저항(158) 양단에는 국선수용단자(152)에서 국선수용단자(153)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직렬 접속된 다이오드(160), (161), (162)를 병렬로 접속시키고, 국선수용단자(153)에서 국선수용단자(152)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아이오드(163)를 병렬로 접속시키며, 광전달소자(157)의 트랜지스터(156)의 콜렉터를 선택입력단자(105)에 접속시켜서 구성된 선택신호 공급회로(150)와,
계전기(102),(103)와 이들 계전기(102),(103)를 통하여 콜렉더가 접지되어 있고, 에미너는 전원공급단자(Vcc)에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가 저항(104)을 통하여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101)로 되어 있는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로 구성되어 있는바, 그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전자교환식 국선과 기계식 교환기 국선을 동시에 수용하는 경우 기계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선택히서 통화하고자 할 경우 국선 수용단자(152)에 플러스(+) 극성의 국선을 연결하고, 국선수용단자(153)에는 마이너스(-) 극성의 국선을 연결시켜서, 키버튼 누르면 키접점(151)이 국선에 연결되어 전류는 구선수용단자(152), 트랜스(154), 광전달소자(157), 저항(158), 트랜스(159)를 거쳐 국선수용단자(153)로 흘러들어가면, 이 때 광전달소자(157)에서는 트랜스(154)로부터 들어온 전류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155)가 빛을 발하게 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156)가 온 상태가 되어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입력단자(105)에 선택신호를 가해주어 계전기가 동작되도록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제2도에 도시한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눌려진 다이얼버튼번호에 해당하는 아웃펄스가 기계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으로 송출되도록 하며, 또한 전자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을 선택해서 통화하고자 할 경우 국선수용단자(152)에는 마이너스(-)극성의 국선을 연결하고, 국선수용단자(153)에는 플러스(+)극성의 국선을 연결시켜서, 키버튼을 누르면 키접점(151)이 국선에 연결되어 국선수용단자(153)의 전류는 트랜스(159)및 다이오드(163), 트랜스(154)를 거쳐 국선수용단자(152)로 흘러 들어가게 되므로, 광전달소자(157)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이에따라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선택신호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계전지(102),(103)가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제2도에 도시한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식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으로 눌러진 다이얼버튼번호에 해당하는 복합주파수가 송출되게 된다.
다이오드(160),(161)(162) 및 저항(158)은 발광다이오드(155)에 흐르는 전류를 한하여 발광다이오드(155)를 보호하며, 트랜스(154),(159)는 통화로와, 선택신호 공급회로(150)를 교류적으로 차단하여 통화감쇄를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낟.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아웃펄스 송줄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줄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는 종래의 다이얼러가 아웃펄스 또는 복합주파수 중의 어느 하나만을 송줄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기계식 교환기 국선 및 전자식 교환기 국선을 동시에 수용하는 키텔레폰 시스템 등에서는 사용될수 없었던 것과는 달기 기계식 교환기 국선 및 전자식 교환기 국선이 함께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한 개의 다이얼러 만으로 기계식 교환기 국선이나 또는 전자식 교환기 국선 중의 어떤 국선에도 해당국선에 필요한 다이얼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식 교환기가 급증함에 따라 대두된 교환방식이 방식이 상호 다른 국선을 1개의 키텔레폰 시스템에 동시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겠다는 요청에 따르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그러한 겸용다이얼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한 것이다.

Claims (3)

  1. 선택신호 공급회로(150)의 출력신호로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계전기를 제어회로(100)와, 상기 계전기 및 계전기구동회로(110)의 계전기가 구동될 때 다이얼 버튼을 누르면 동작되는 절환회로(200), 상기 절환회로(200)가 구동될 때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 버튼 접점(401)의 접속상태에 따라 다이얼 신호를 송출하는 아웃펄스 송출기회로(300)와, 상기 절환회로(200)가 구동되지 않을때 키패드회로(400)의 다이얼버튼 접점(401)의 접속상태에 따라 복합주파수를 송출하는 복합주파수 발생기회로(5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2. 제1항에 있어서 접점(A)을 접지한 키접점(K1-K9)의 접점 (B)을 다음 키접점(K2- K10)의 접점(C)에 접속하고 키접점(K3- K10)의 접점(C)을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접속하여 선택신호 공급회로(15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펄스 송출방식을 겸함 겸용 다이얼러.
  3. 제1항에 있어서 키접점(151)이 병렬접속된 국선수용단자(152,)(153) 사이에 트랜스(154) 및 광전달소자(157)의 발광다이오드(155), 저항(158), 트랜스(159)를 직렬접속하여 그 발광다이오드(155) 및 저항(158)의 양단에 직렬접속된 다이오드(160),(161),(162) 및 다이오드(163)를 서로 역방향으로 접속하며, 광전달소자(157)의 트랜지스터(156)의 콜렉터를 계전기 및 계전기 구동회로(110)의 선택신호 입력단자(105)에 접속하여 선택신호 공급회로(15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KR1019830002218A 1983-05-19 1983-05-19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KR85000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218A KR850000365B1 (ko) 1983-05-19 1983-05-19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218A KR850000365B1 (ko) 1983-05-19 1983-05-19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377A KR840009377A (ko) 1984-12-26
KR850000365B1 true KR850000365B1 (ko) 1985-03-22

Family

ID=1922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218A KR850000365B1 (ko) 1983-05-19 1983-05-19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3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377A (ko) 198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267A (en) Telephone line interface and dialer circuitry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4479122A (en) Remotely controlled switched access to the console port of an electronic computer
US4916732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elephonic function
US3849607A (en) Polarity reversal switching circuit
KR850000365B1 (ko) 아웃펄스 송출방식 및 복합주파수 송출방식을 겸한 겸용 다이얼러
US4167655A (en) Push button to rotary dial converter systems
US4790006A (en) Method for electrically simulating a cradle switch and a hands free talking-loudspeaking key in a hands free talking-loudspeaking telephone station
US4107474A (en) Bipolar transistor switching network crosspoint
USRE27680E (en) Polarity sensitive voltage inserttion circuit for long subscriber loops
US4151377A (en) High impedance loop-seizing and dial pulsing circuit
US422318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line-supplied subscriber stations having dial devices
US3823271A (en) Polarity reversal circuit
US4691345A (en) Multifunction two line telephone system
US3100245A (en) Keysender frequency selector
US4309573A (en) Loudspeaking substation circuit
US4002857A (en) Telephone circuit to eliminate use of a hold button
GB1187487A (en) Combination Conference Connection and Call Transfer Device for Telephone Subscriber Lines
JPH01208094A (ja) 局線インタフェースの直流ループ形成回路
JP2506658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S5923665A (ja) 電子的共通スイツチ
KR860000113Y1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복합주파수 단축다이알 및 재다이알 장치
KR860000116Y1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비상시 국선 전환장치
KR910000628B1 (ko) 키폰전화기의 루우프 시뮬레이션 회로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910003300B1 (ko) 국선 및 전용선의 공용 인터페이스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5001300; OPPOSITION DATE: 198505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