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36Y1 -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36Y1
KR850000336Y1 KR2019840012239U KR840012239U KR850000336Y1 KR 850000336 Y1 KR850000336 Y1 KR 850000336Y1 KR 2019840012239 U KR2019840012239 U KR 2019840012239U KR 840012239 U KR840012239 U KR 840012239U KR 850000336 Y1 KR850000336 Y1 KR 850000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elements
slide fastener
neck
str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 모어델 죠오지
Original Assignee
텍스트론 인코포레이티드
크리스토프 엘.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154,649 external-priority patent/US4349943A/en
Application filed by 텍스트론 인코포레이티드, 크리스토프 엘. 호프만 filed Critical 텍스트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840012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제1도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평던도.
제2도는 제1도의 절취된 일부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파스너에서 절취된 하나의 결합 엘레멘트와 테이프 절편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 엘레멘트 및 테이프 절편의 정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유사도로서 파스너의 결합 엘레멘트가 만곡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지퍼"라 불리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칭형 결합 엘레멘트와 이 엘레멘트를 구비한 스트링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칭형 슬라이드 파스너로서는 미국특허 제3,330,013호, 제3,874,038호, 제3,886,634호 및 제3,964,137호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이런 형태의 파스너에서는 개개의 결합 엘레멘트의 중앙면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스트링거라고 불리는 서로 대향해 있는 파스너의 반쪽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칭형 스트링거의 장점은 양단부가 서로 반대로 교체될 수 있다는 점이며, 이로 인하여 파스너의 조립이 훨씬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스너의 어느 방향으로 든지 원하는 바에 따라 열려지게 하거나 닫혀지게 할 수 있다. 이 파스너의 단점은 대칭형 엘레멘트 복잡한 구조로 인하며 성형작업이 비교적 어렵다는 점이다.
상기한 미국특허 제3,886,634호는 목부에 설치된 설편(舌片)과, 엘레멘트의 헤드(head)내에 형성된 오목홈등을 가진 대칭형 엘레멘트를 발표하는데, 상기 설편 및 오목홈은 각각 반대편엘레멘트의 오목홈 및 설편에 끼워 맞춰 지도록 되어 있다. 오목홈의 폭은 설편이 오목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설편의 폭보다 커야한다. 오목홈과 설편의 폭 사이에는 공차가 필요한 까닭에 대향하는 엘레멘트들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테이프면에 직각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런데 이 파스너 테이프면에 직각방향으로의 상대적 운동이 너무 크게되면 파스너상에서의 슬라이드의 운동이 지장을 받게 된다.
본 고안은 장착 테이프와 이 테이프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결합 엘레멘트 열로 구성하고 각각의 상기 엘레멘트를 테이프의 일단부의 둘레에 성형한 몸체와, 테이프에서 떨어져 몸체로부터 신장되는 협소한 목부와, 목부에 부착한 헤드와, 목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1쌍의 설편등으로 구성시킨 슬라이더 파스너 스트링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를 반대측 스트링거내의 1쌍의 인접한 엘레멘트에 각각 구비된 설편을 수납하는 긴 오목홈을 포함하고 있으며, 테이프 설편과 오목홈의 상단면들이 동일 평면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엘레멘트를 용이하게 분리 성형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동일 평면들을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 엘fp멘트를 제작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성형 분리선(mo1ding Parting line)이 엘레멘트의 하단보다도 상단에 근접하여 있어서 밴드성형(band molding) 작업에 의하여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는 구조에 결합 엘레멘트를 제공차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오프셋 테이프(Offset tape)를 가진 대칭형 스트링거가 만곡되지 않도록 안정화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장점은, 서로 연동하는 목의 설편을 가진 대향하는 결합 요소와 헤드내의 오목홈 사이에서 슬라이드 파스너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과대하게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타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하여질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포함된 1쌍의 동일 평면상의 지지테이프(10)(12)의 내측단에는 서로 연동하는 결합 엘레멘트(14)(16)열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테이프(10)와 엘레멘트(10)는 좌측 스트링거를 형성하는 한편, 테이프(12)와 엘레멘트(16)는 우측 스트링거를 형성한다. 이 스트링거들은 슬라이더(18)의 이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지거나 이탈된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 엘레멘트(14)(16)을 가진 좌우측 스트링거는 사실상 거울의 상처럼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테이프(10)(12)의 내측단 둘fp에 직접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시켜 형성한 결합 엘레멘트(14)(16)는 각각 몸체부(20)와 엘레멘트(14)의 대향측면의 凹부(41)(43)에 의하여 형성된 협소한 목부(40)와, 목부(40)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42)등으로 구성된다. 몸체(20)는 테이프(10)의 내측 단부의 상하면에 장착되는 상부(34)와 하부(36)로 구성된다. 상부(34)의 상단면은 테이프에 평행하게 목부(40)를 통하여 헤드(42)까지 신장되어 있는 평면(22)과, 평면(22)의 양측으로 모가 깎인 상태로 신장된 삼각형표면부(26)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34)의 말단면(30)과 측면(31)(33)은 테이프(10)의 수직선에 대하여 약 15°의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어서 제조시에 성형공동(mold cavity)(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겨내진다. 하부(36)는 실제로 상부(34)보다 크며, 하부(36)의 상단부는 하부(36)의 말단과 측부 주위로 신장되어있는 동시에 테이프(10)의 내측단을 지나 테이프(10)의 상면을 따라 뻗어있는 성형분리선(molding parting line)까지 상승하여 있는 표면(32)에 의해 하부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있다. 사실상 상부(34)의 반대형상인 하부(36)에 있어서 그의 하단부는 상부(34)의 상단 평면(22), 모가깎인 삼각형 표면부(26), 말단면(30) 및 측면(31)(33)에 각각 상응하는 편평한 저면(24), 모가깎인 삼각형 지표면부(28), 경사진 말단면 및 정사진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표면(32)에 인접하고 있는 몸체(20)의 중앙부는 기하학적으로 몸체(20)의 상단 평면(22)과 저면(24)사이의 중간에 해당한다. 테이프(10)는 엘레멘트(14)의 기하학적 중앙보다 약간 위에 있는 중앙부내에 배치되므로 엘레멘트(14)의 상부(34)만이 테이프(10)위에 연장된다.
1쌍의 설편(38)(39)은 테이프(10)에 평행하게 몸체(20)로부터 각각의 凹부(41)(43)로 돌출하여 凹부(41)(43)에 수납되어질 걸림 돌기부를 가진 반대측 엘레멘트의 헤드(42)의 전방 원형부내에 형성된 오목홈(엘레멘트 14의 경우는 56에 해당함)에 맞물며 진다. 판상의 설편(38)(39)은 엘레멘트의 기하학적인 중앙에 대하여 상측으로 편심됨으로써 그의 상단면은 테이프(10)의 상단면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설편은 목부(40)를 따라 몸체(20)에서 헤드(42)쪽으로 거의 반정도 돌출해 있다. 오목홈(56)은 상단면(22) 및 저면(24)사이에 기하학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며, 오목홈의 상단은 테이프(10)의 상단과 동일 평면위치에 있게된다. 테이프(10)에 대하여 수직방향인 설편(38)(39)의 두께는 테이프(10)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인 오목홈(56)의 폭보다 작다.
헤드(42)와 목부(47)는 凹부(41)(43)를 형성하는 불규칙한 곡률면을 가지며, 파스너가 닫힐때 반대측 스트링거 내의 엘레멘트(16)와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불규칙 곡률면들은 각기 경사진 상부(46) 및 하부(48)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상하부는 공히 테이프(1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좁고 비경사진 접합면(50)에 대차여 약 15°의 각도를 형성한다. 접합면(50)은 상단면(22)과 저면(24)의 중앙에 위치하며 그의 상단이 성형분리선내에 위치하게 된다. 접합면(50)은 헤드(42)의 걸림 돌기부의 첨단까지 연장된다.
접합면(50)은 凹부(41)(43)의 전방 경사면을 형성하는 걸림 돌기부의 면상에 있는 헤드(42)의 후방에서 1쌍의 평면부(52)(54)(이하 평탄부라함)를 포함한다.
상측에서 바라볼때(제5도 참조), 평탄부(52)(54)는 목부(40)를 한정하는 원호와 헤드(42)상의 걸림 돌기부의 첨단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처럼 보인다. 스트링거들이 제2도와 같이 결합될때 엘레멘트(14)의 평탄부(52)(54)는 각각 대향엘레멘트(16)의 평탄부를 누른다.
슬라이드 파스너의 작용에 있어, 슬라이드(18)의 이동은 대향하는 결합 엘레멘트의 凹부(41)(43)내에 헤드(42)의 걸림돌기부를 맞물리게 하거나 이탈하게 한다. 설편(38)(39) 및 호목홈(56)은, 엘레멘트(14), (16)가 파스너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경우 스트링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설편(38)(39)의 상단면 및 오목홈(56)의 상단면이 동일 평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설편(38)(39)의 하부에 여유 공간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6도에 있어서, 엘레멘트(14)(16)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이리하여 대향하는 결합 엘레멘트간에는 테이프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과대한 상대적 이동이 제거되므로 슬라이드의 작동에는 아무런 지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더우기 "V"자형 형태로 상측으로 만곡되는 것과 같은 일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다만,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만곡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형태는 파스너에 장력이 가해질 때 자동적으로 없어지게 된다.
접합면(50)은 테이프(10)(12)의 면에 대하여 수직이므로 테이프(10)(12)에 가해지는 외측부하 또는 교차력 (crosswise force)은 엘레멘트 사이에 접합면(50)에 수직인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테이프에 가해지는 이 교차력은 그 중심점이 엘레멘트의 기하학적 중앙에서 떨어져 엘레멘트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 회전력은 평탄부(52)(54)가 없을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7도에 도시한 만곡상태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파스너에 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장력은 이웃 엘레멘트의 접합면(50)들을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테이프(10)(12)의 상단면까지 평탄부(52)(54)의 폭의 증가는 제7도의 만곡형태를 억제한다. 접합면(50)에 의하여 얻어지는 다른 하나의 이점은 엘레멘트 사이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크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설명한 구조는 특별히 밴드 성형기구(band molding apparatus)에 의하여 생산되도록 되어있다. 테이프(10), 설편(38)(39) 및 오목홈(56)의 상단면들의 배치는 성형상 도안의 복잡성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한편 밴드 성형기구의 유연한 밴드 부분내에 얕은 공동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케하고 있다. 성형 분리선은 특히 파스너를 제조하기 위하여 엘레멘트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동을 가진 유연한 밴드를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밴드 공동 길이를 최소화 함으로써, 밴드는 비교적 얇게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밴드의 곡률은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소형의 밴드 성형기구가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장착 테이프(10)(12)와 이 테이프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결합 엘레멘트(14)(16)의 열로 구성하고, 각각의 상기 엘레멘트(14)(16)를 테이프의 일단부 둘레에 성형한 몸체(20)와, 테이프에서 떨어져 몸체로부터 신장되는 협소한 목부(40)와, 목부에 부착한 헤드(42)와, 목부에서 외측으로 돌기한 1쌍의 설편(38)(39)등으로 구성시킨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 거에 있어서, 상기 헤드(42)를 반대측 스트링거내에 1쌍의 인접한 엘레멘트(14)(16)에 각각 구비한 설편이 수납되도록 긴 오목홈(56)을 형성하고, 테이프와 설편 및 오목홈의 모든 상면들을 동일평면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스트링거.
KR2019840012239U 1980-05-30 1984-11-27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KR850000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239U KR850000336Y1 (ko) 1980-05-30 1984-11-27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54,649 US4349943A (en) 1980-05-30 1980-05-30 Slide fastener stringer elements with tongues and grooved heads
US80-154649 1980-05-30
KR1019810001863A KR830005819A (ko) 1980-05-30 1981-05-27 설편과 오목형 헤드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KR2019840012239U KR850000336Y1 (ko) 1980-05-30 1984-11-27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863A Division KR830005819A (ko) 1980-05-30 1981-05-27 설편과 오목형 헤드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36Y1 true KR850000336Y1 (ko) 1985-03-07

Family

ID=2734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239U KR850000336Y1 (ko) 1980-05-30 1984-11-27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3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1144B1 (en) Slider for airtight and watertight slide fastener
US5020194A (en) Leakproof zipper with slider
EP0095160A1 (en) Watertight slide fastener
US4502190A (en) Slide fastener stringer
KR850003133Y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4349943A (en) Slide fastener stringer elements with tongues and grooved heads
KR100786000B1 (ko) 슬라이드 패스너
KR850000336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KR870001166Y1 (ko) 미끄럼걸쇠 파스너
US4040150A (en) Slide fastener having discrete coupling elements
EP1380222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JPH0436657Y2 (ko)
US2600905A (en) Box and pin separator for separable fastener stringers
EP0088355B1 (en) Lockable slide fastener slider
JPS6313687Y2 (ko)
JPS6232416Y2 (ko)
US2371591A (en) Slide fastener
KR850001442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
US2748440A (en) Slide fasteners
KR900008813Y1 (ko) 분리식 하지구
JPS59101104A (ja) 舌片と溝付頭部とを有するスライド・フアスナ−・ストリンガ−
US4896404A (en) Closure device for artificial turf sections
US2491197A (en) Coreless scoop for separable fastener stringers
US3947931A (en) Sliding clasp fastener
JP2006149707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チエ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