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203Y1 - 형광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203Y1
KR850000203Y1 KR2019840010029U KR840010029U KR850000203Y1 KR 850000203 Y1 KR850000203 Y1 KR 850000203Y1 KR 2019840010029 U KR2019840010029 U KR 2019840010029U KR 840010029 U KR840010029 U KR 840010029U KR 850000203 Y1 KR850000203 Y1 KR 850000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p
ballast
fluorescent lamp
ho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오 요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0695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5716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도시바
Priority to KR2019840010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2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01J61/523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램프 장치
제1도에서 제5도까지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그 단면도.
제 3도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회로 구성도.
제5도는 정특성더어미스터로 구성되는 안정기의 특성도.
제6도는 변형예에 대한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나삽형 꼭지쇠를 구비하고 있으며 백열전구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형광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원 절약대책이 사회적인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고, 광원분야에 있어서도 에너지 절약형 조명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형광램프는 백열전구에 비해i서 발광효율이 우수하고, 따라서 형광램프를 백열전구의 대체조명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략면에서 유리하다. 이 경우, 백열전구는 E27등의 나삽형 꼭지쇠를 개재하여 소케트에 돌려끼워지는 것이므로, 형광램프도 나삽형 꼭지쇠를 직접적으로 구비하도록 하면 기존의 백열전구용 조명시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르 형광램프에는 글로우 스타터로서의 점등관이 필요하고, 또 방전전류를 안정시키기 위한 안정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형광램프를 백열전구와 대체해서 사용하려면, 램프왁 일체적으로 점등관 및 안정기를 장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형광램프와 점등관과 안정기 및 나삽형 꼭지쇠를 유니트화한 형광램프 장치가 고려된다.
이와같은 형광램프 장치는 비교적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안정기로서 카아본 피막저항이나 산화피막저항을 사용하면 큰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형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정특성 비직선성저항체, 즉정특성 더어미스터로 구성되는 안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세라믹스체로 되어 소형이고, 또 램프특성에 합치한 전류제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정특성더어미스터는 자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치가 증가하여 램프전류를 제한하기 때문에 자체의 온도를 소정치 이하로 규제해야 한다. 그러므로 정특성 더어미스터로 된 안정기에 방열작용이 있고 온도 조정작용을 하는 온도조정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 조정부재를 사용하면 점점 스페이스가 커져서 전체가 대형화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안정기를 꼭지쇠 셸내의 절연체에 형성한 중공도통공내에 수용하여 꼭쇠를 소형화해서 전체적으로 소형화되는 형광램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 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를 따라 설명한다.
도면중 부호(1)는 외위튜우브이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을 하고 있다. 이 외위튜우브(1)는 폴리카아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등의 투광성 제료로 형성되고 있으나, 유백색 등의 반투광성 재료라도된다. 외위튜우브(1)의 일단에는 꼭지쇠(2)가 연결된다. 이 꼭지쇠(2)는 절연성 꼭지쇠기체(3)과 E27등의 곡지쇠 셸(4)로 구성된다. 상기 꼭지쇠기체(3)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원통형 구성체(5), (5)를 서로 마주 조립함으로써 형성되고, 조립하면 2단식 원통형이 된다. 이와같은 구성체(5),(5)는 조립하면 수 나사(6)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6)는 상기 셸(4)을 씌워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또 셸(4)은 절연절착제(7)을 개재하여 아이레트단자(8)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꼭지쇠기체(3) 내에는 직경이 큰 부분에 서로 대향해서 위치되는 리브(9),(9)가 형성된다. 이들 리브(9),(9)에는 결함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직경이 큰 부분의 깊숙한 부분에는 원형의 수납공(11)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9),(9)에는 이 수납공(11)에 임해서 돌부(12),(12)가 형성된다. 또 꼭지쇠기체(3)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는 상기 수납공(11)에 연속해서 본 고안의 중공도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위튜우브(1)의 일단은 꼭지쇠기체(3)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브(9),(9)에 형성한 결합홈(10)내에 고착된다. 그리고 꼭지쇠기체(3)의 내면에는 계지클릭(14), (14)이 형성되고, 외위튜우브(1)에 형성한 결합공(14a), (14a)에 결속되어 외위튜우브(1)와 꼭지쇠기체(3)를 결합하고 있다.
한편, 외위튜우브(1)의 타단에는 캡(15)이 피착되어 있다. 이 캡(15)은 저면이 있는 통형상으로 되어있고, 비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이 캡(15)의 내면에는 협지단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협지 단부(16)에는 후에 설명하는 유지판(25)이 협착된다. 상기 외위튜우브(1)의 타단은 캡(15)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캡(15)의 내면도에도, 상기 꼭지쇠기체(3)의 계지클릭(14)……와 동일한 계지클리(17)……이 형성되어 있어서이 계지클릭(17)……은 외위튜우브(1)에 형성한 결합공(18)……에 결속되어서 외위튜우브와 캡(15)와의 결합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외위튜우브(1)내에는 형광램프(20)가 삽통되어 있다. 이 형광램프(20)는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고, 벌브의 양단에 바이포스트형 꼭지쇠(21),(21)가 피착되며, 이들 꼭지쇠(21),(21)에는 각각 핀(22),(22),(22),(22)이 돌출되어 있다. 또 벌브내에는 제4도의 회로도에 도시한 필라멘트(23a),(23b)가 설치되고, 또 이 벌브내에는 소정량의 수은과 불활성가스가 봉입된다. 이와 같은 형광램프(20)의 양단은 유지판(24),(25)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한쪽 유지판(24)은 절연합성수지로 구성되고, 그 외경치수는 외위튜우브(1)의 내경과 합치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주연부에 각부(26),(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부(26),(26)는 꼭지쇠기체 (3)에 형성된 리브(9), (9)의 단면에 당접해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판(24)에는 상기한 형광램프(20)와 핀 (22),(22)이 삽입되는 삽입공(27),(27)이 있다. 따라서 형광램프(20)의 일단은 핀(22), (22)를 유지판(24)의 삽입공(27), (27)에 관통시킴으로써 이 유지판(24)과 결합된다. 그리고 이 유지판(24)은 각부(26),(26)를 꼭지쇠기체(3)의 리브(9)(9)에 당접시킴으로써 축방향에 따른 위치의 결정이 이루어지고, 또 유지판(24)의 외주는 외위튜우브(1)의 내면에 끼워져서 반경 방향의 위치가 한정된다. 이로인해 형광램프(20)의 일단은 이 유지판(24)를 개재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위치가 결정되고, 또 기계적 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다른쪽의 유지판(25)은 캡(15)의 개구부 내경에 합치하는 외경 치수를 지니고, 캡(15)에 형성한 협지단부(16)에 충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판(25)은 상기 단부(16)와 외위튜우브(1)의 하단 개구연과의 사이에서 협지됨으로써 축방향 및 경방향의 위치가 결정되고 고정된다. 그리고 이 유지판(25)에도 핀 삽입공(28),(28)이 형성되어 있고, 형광램프(20)의 타단측의 핀(22),(22)이 관통된다. 또, 유지판(25)에는 회전 스토퍼홈(29),(29)이 형성되어 있고, 캡(15)에 형성한 계지리브(30), (30)와 결속된다. 따라서, 형광램프(20)의 타단은 이 유지판(25)에 의하여 축방향 및 경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고 기계적 유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형광램프(20)는 양단의 유지판(24),(25)에 의해 외위튜우브(1)의 중심축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리하여 상기 캡(I5)내에는 점등관(31)과 필요에 따라서 잡음 방지용 콘덴서(32)가 수용된다 이들 점등관(31) 및 콘덴서(32)는 모두 유지판(25)에 지지되고 있다. 유지판(25)에는 지지돌기(33),(33),(34)가 일체로 돌설되고, 점등관(31)은 한쌍의 지지돌기(33),(33)간에 이들 돌기(33),(33)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협지된다. 또, 콘덴서(32)는 돌기(34)에 그리이드선(32a) 또는 (32b)를 감아서 고착된다.
한편 상기 꼭지쇠(2)내에는 안정기(35)가 수용되며, 이 안정기 (35)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특성을 지니는 비직선 성정특성더어미스터로 구성되고, 구체적인 예로는 티탄산바륨에, 이트륨란탄, 세륨, 니오브, 탄탈, 비스무트 또는 안티몬 등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미량첨가해서 얻어진 것으로서 세라믹계결정체로 소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안정기(35)는 용수철 받침판(36)과 온도조정판(37)사이에 끼워서 꼭지쇠기체(3)에 형성한 중공도통공(13)내에 수용된다. 도통공(13)내에는 코일 용수철(38)이 수용되고, 이 코일용수철(38)은 용수철받침판(36)은 언제나 안정기(35)로 누르고 있다. 또, 부호(59)는 용수철받침판(36)과 아이레트단자(8)를 접속하는 리이드선이다. 한편 온도조절판(37)은 수납공(11)내에 삽입되는 직경이 큰 부분(40)과, 도통공(13)내에 삽입되는 직경이 작은 부분(41)을 지니고, 그 상단은 상기 리브에 형성된 돌부(12), (12)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안정기 (35)는 코일용수철(38)에 의해 눌려지고 있기 때문에 온도조정판(37)에 면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온도조정판(37)에는 접속핀(42)이 결합되며, 이 접속핀(42)에는 도전코오드(43)의 일단이 접속된다. 코오드(43)는 램프(20)의 일단에 있는 한쪽 핀(22)에 접속되어있다. 이와 같은 온도조정판(37), 안정기(35), 용수철받침판(36) 및 코일용수철(38)은 꼭지쇠기체(3)를 구성하는 반원통형구성체(5), (5)를 서로 결합하기에 앞서서 각 수납공(11) 및 도통공(13)내에 장착되고, 그러한 후에, 구성체(5), (5)를 결합하여 그 다음에 셸(4)를 씌워서 조립하는 것이다.
또, 부호(44),(45)는 다른 도전코오드로서, 외위튜우브(1)내에서 형광램프(20)의 외면을 따라 인도되고 있다. 한편, 코오드(44)는 형광램프(20)의 양단에 있는 각각 다른쪽의 핀(22), (22)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쪽 코오드(45)는 점등관(31)과 셸(4)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들 코오드(44), (45)는 점착성테이프(46), (47)에 의하여 꼭지쇠(21), (21)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형광램프장치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회로구성을 하고 있다. 즉 안정기(35)는 램프(20)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는 동시에 점등관(31)은 램프(20)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또 콘덴서(32)는 점등관(3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형광램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형광램프 장치의 꼭지쇠(2)를 백열전구용 소케트에 백열전구대신 끼운 후 스위치(48)를 닫아 전원(49)에 접속하면, 점등관(31)이 글로우방전한후, 접점을 닫아램프(20)의 전극(20a), (23b)에 전류가 흘러 전극(23a),(23b)을 가열한다. 이때 안정기(65)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저항치가 작고, 따라서 대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극(23a), (23b)의 발열량이 큰 것이다. 상기 점등관(31)의 접점이 열리면 펄스전압이 발생하여, 이 전압은 전극(23a),(23b)간에 인가되어 램프(20)의 방전을 일으킨다. 안정기(35)는 펄스전압에 따라 발열해서 제5도의 t1이상의 온도로 되기 때문에 전류를 제한하고, 발전에 필요한 만큼의 램프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램프는 안정점등하게 된다. 전원전압이 상승하면 안정기(35)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므로 스스로 발열해서 이로인해 저항치가 증대되어 램프(20)에는 제한된 전류를 공급한다. 또, 전원전압이 낮아지면 안정기(35)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어 발열이 적어지므로, 온도가 저하되어 저항 치는 작아지고, 타라서 램프(20)에는 큰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제5도와 같은 정특성 비직선특성을 지니는 더어미스터는 램프(20)의 점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원전압의 상승등으로 인해 안정기(35)의 발열이 증가하여, 최대온도 t2이상에 도달하면, 극단적으로 전류가 규제되어 램프가 꺼지는 일이 있다. 따라서 안정기(35)자신의 온도는 t2이하로 억제되어야한다. 이로인해 안정기(35)에 온도조정부재(37)가 면접촉되어 있으므로 안정기(35)의 열은 온도조정부재(7)에 전도되어 이 온도 조정부재(37)의 넓은 표면적에서 방열되게 된다. 따라서 안정기(35)의 온도상승이 t2이하로 규제되기 때문에 양호한 전류억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정기(35)를 꼭지쇠셸(4)의 절연된 중공도통공(13)내에 수용했으므로, 꼭지쇠기체(3)의 직경이 큰 부분을 작게 할 수가 있고, 따라서 꼭지쇠(2)를 소형화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점등관(31)은 안정기(35)에서 이격된 캡(15)내에 수용했으므로 점등관(31)이 안정기(35)나 온도 조정판(37)의 방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램프점등중에 접점을 폐쇄하는 등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일이 없다. 또, 온도조정판(37)에 제6도에 변형례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홈 (60),(60)을 형성하면 리브(9),(9)를 이 가이드홈(60), (60)에 안내되어 온도조정판(37)은 꼭지쇠기체(3)의 대경부 개구측으로 부터 삽입할 수 있어서 온도조정판(37)이 수용공(11)내에 수용된 후에 회동변위시키면 온도 조정판(37)의 지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렇게 하면, 꼭지쇠 구성체(5),(5)를 서로 충합한 후에도 코일용수철(38), 용수철받침(36), 안정기(35) 및 온도조정판(37)은 꼭지쇠기체(3)내에 장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꼭지쇠내에 수용되는 안정기는 셸내에 설치된 절연체에 형성한 도통공에 수납되기 때문에 꼭지쇠를 소형화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전체를 소형화,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있다.

Claims (1)

  1. 투광성 또는반투광성 외위튜우브의 일단에 나삽형꼭지쇠를 연설하는 동시에 타단에 캡을 피착하고, 상 외위튜우브내에 직관형 형광램프를 수용하며, 상기 캡내에 점등관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꼭지쇠내에 정특성 더어미스터로 구성되는 안정기 및 이 안정기와 접촉해서 안정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온도 조정부재를 수용하는 형광램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꼭지쇠는 내부에 중공도통공(13) 및 수납공(11)을 가지며 분할이 가능하게 형성된 절연성 꼭지쇠 구성체(5,5)와, 이 꼭지쇠 구성체에 강착되는 꼭지쇠 셸(4)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중공도통공내에, 그리고 상기 온도 조정부재는 상기 수납공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KR2019840010029U 1981-03-04 1984-10-12 형광램프 장치 KR850000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029U KR850000203Y1 (ko) 1981-03-04 1984-10-12 형광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695A KR830005716A (ko) 1981-03-04 1981-03-04 형광램프 장치
KR2019840010029U KR850000203Y1 (ko) 1981-03-04 1984-10-12 형광램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695A Division KR830005716A (ko) 1981-03-04 1981-03-04 형광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03Y1 true KR850000203Y1 (ko) 1985-02-15

Family

ID=2662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029U KR850000203Y1 (ko) 1981-03-04 1984-10-12 형광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2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9071A (en) Fluorescent lamp device
US5294865A (en) Lamp with integrated electronic module
US3836814A (en) Three-way lamp converter
US2892992A (en) Printed circuit lamp base
US4366416A (en) Fluorescent lamp device
US4991071A (en) Light string set
JPH03163708A (ja) 小型アーク・ランプ取付け装置
US3355612A (en) Incandescent lamp
EP0389937A2 (en) Means for converting a lamp with a screw-type base into a lamp with a bi-pin base
KR850000203Y1 (ko) 형광램프 장치
US20070243740A1 (en) Socket assembly
KR850001268Y1 (ko) 형광 램프 장치
US2059977A (en) Portable lamp construction
CA2366336A1 (en) Reflector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unit
US3379871A (en) Incandescent lamp with dimmer
JPH076740A (ja) 低電圧ハロゲン光源内蔵型二重点灯ランプとその変圧装置並びに二重点灯ランプと変圧装置の2次側ソケットとの装着構造
US3070767A (en) Socket adapter
US8330370B2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mproved thermal management
US4980607A (en) Light bulb life extender
US2469607A (en) Electric lamp unit
KR850000139B1 (ko) 형광램프 장치
JP2002298608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KR850000204Y1 (ko) 형광 램프 장치
JP2568591B2 (ja) 片口金蛍光ランプ
US3017594A (en) Glow discharge light assembly with resi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