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138Y1 - 스터드 체인링크 - Google Patents

스터드 체인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138Y1
KR850000138Y1 KR2019810008627U KR810008627U KR850000138Y1 KR 850000138 Y1 KR850000138 Y1 KR 850000138Y1 KR 2019810008627 U KR2019810008627 U KR 2019810008627U KR 810008627 U KR810008627 U KR 810008627U KR 850000138 Y1 KR850000138 Y1 KR 850000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tud
chain
hink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94U (ko
Inventor
해드만 벤그트
Original Assignee
베르그비크 오크 알라 에이비
군나르파게르군트
잉바르 오래마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그비크 오크 알라 에이비, 군나르파게르군트, 잉바르 오래마르크 filed Critical 베르그비크 오크 알라 에이비
Priority to KR2019810008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138Y1/ko
Publication of KR8300006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터드 체인링크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체인링크(Stdded Chain link)의 예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된 스터드 체인링크의 단면도로서, 체인링크의 측부와 스터드의 단부선단이 소로 맞물림되는 스터드 삽입 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스터드가 링크에 압박된 상태의 도면.
본 고안은 각 체인링크의 측부에 링크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요형(凹型)을 갖는 소위 스터드를 끼우고 링크의 축부를 스터드의 단부에 압박하게끔 고착시킨 스터드 체인링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링크로 형성된 체인은 선박, 유전 시추공 장비, 적재 보이스(bousy)용 앵커 체인(anchor chain)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체인의 강도가 극히 엄격하게 요구된다. 링크는 둥근 횡단면의 스틸 블랭크(steel blank)를 가열하여 완성된 체인과 후크형으로 맞물릴수 있게 굽힌 다음, 스틸 블랭크의 평탄한 종단면을 플래쉬(flash) 용접기로 접합시키고, 스터드를 용접부의 바로 대향측에 삽입하여 이를 링크의 측부와 맞물리게 압박시킨 후 링크를 2중 열처리 및 내시험을 행하여 제작한다.
본 고안에서 참고로한 종래에 알려진 스터드는 스웨덴 특허 제 168, 492호(또는 "Ny Teknik"회지 No.8, 1975.1.8 및 9참조바람)에 발표되어 있다. 스터드의 단부에는 링크에 스터드를 집결,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환상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의 측부의 사입된 스터드의 단부선단 주위에는 지지용접이 행해지므로 스터드의 고정을 더 보강시켜 균렬붕괴를 방지하며, 이것은 체인이 예컨대 유전시추 장비를 매설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때 필요하다. 이러한 용접조작은 대부분이 수동으로 행하여지므로 상술한 바와같은 링크체인의 제작에 요하는 총시간이 많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지지용접은 경우에 따라 링크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결점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용접을 행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는 개량된 스터드 체인링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스터드의 단부를 요형으로 만들고 또 링크의 종축면에 접합되는 부분도 역시 요형으로 만듬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링크의 측부가 스터드를 압박될때 스터드가 링크의 측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스터의 단부는 횡단면에서 그 곡율반경이 체인 블랭크의 반경보다 다소 적게끔하여 틈에서의 부식을 피할 수 있도록 스터드와 링크사이에 완전한 맞물림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좋다.
더우기, 스터의 단부면과 링크의 직경에 비하여 긴 링크의 측부를 형성하면 스터드가 링크에 압박될 때 링크의 변형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므로 강도에 관한 보다 만족하게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로인해 링크의 접합부도 역시 스터드가 링크로 압박된 후에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을 적게 받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체인 링크(1)는 스터드(2)를 가지며, 이 스터드(2)는 링크의 측부로 압박되어 있다. 둥른스틸 블랭크로 제작된 링크(1)는 플래쉬 용접에 의해서 스터드(2)의 바로 대향측에 있는 그 측부의 하나에 접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터드(2)는 링크(1)의 종축면에 접합되는 요형 단부면(3)(제1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서 링크의 횡단면에 접합되기에 적합한 요형으로 되어 있다.
제 2 도는 링크의 측부가 스터드(2)의 측부선단과 맞물림되는 단계를 표시한 것이다. 링크의 횡단면에 접합되는 스터드(2)의 단부면의 곡율반경은 체인링크 블랭크의 반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스터드의 단부는 2개의 상호 수직면에 접합되기에 적합한 요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터드(2)와 링크(1)사이에 현저히 효과적인 봉착 또는 고정이 이루어져서 틈에서의 부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터드의 지지면을 링크의 직경에 비하여 다소길게 형성함으로써 스터드가 링크로 압박될 때 그리고 체인이 매우 큰 하중을 받게되어 링크의 플래쉬 용접된 접합부가 더 이상 장력을 감당할 수 없게 될때의 링크의 변형이 종래에 비하여 감소된다. 스터의 견고한 고정과 접촉변의 양호한 맞물림으로 지지용접이 추가로 필요없으므로 스터드체인의 제작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

  1. 링크의 양측부 사이에 삽입되고 단지 링크의 양측부를 스터드를 향하여 가압시켜서 그 양측부사이에 고정되며 그 단부가 링크의 종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오목한 형상을 지니는 스터드(2)를 가지는 스터드 체인 링크에 있어서 스터드(2)의 단부는 링크(1)의 종방향 평면에서도 역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체인 링크.
KR2019810008627U 1976-04-09 1981-12-18 스터드 체인링크 KR850000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627U KR850000138Y1 (ko) 1976-04-09 1981-12-18 스터드 체인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60000871 1976-04-09
KR2019810008627U KR850000138Y1 (ko) 1976-04-09 1981-12-18 스터드 체인링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0871 Division 1976-04-09 1976-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94U KR830000694U (ko) 1983-08-03
KR850000138Y1 true KR850000138Y1 (ko) 1985-02-13

Family

ID=7251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627U KR850000138Y1 (ko) 1976-04-09 1981-12-18 스터드 체인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1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47B1 (ko) * 2013-12-09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94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6206A (en) Tubular pole slip joint construction
CA1042638A (en) Swaging dies
US1700319A (en) Conduit construction
EP2050889B1 (en) Device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together
KR100240099B1 (ko) 철근 연결 구조
JPS61104824A (ja) 弾性高分子材製ベルトの接合方法
KR850000138Y1 (ko) 스터드 체인링크
US4036010A (en) Studded chain link
US3248134A (en) Reinforced welded joint
US4202484A (en) Compression prestressed weld joints
US4067188A (en) Heavy-duty offshore stud chain link
JPS5977146A (ja) 歯付きベルトのジヨイント方法
KR970003630B1 (ko) 강철바아의 맞대기용접방법 및 그 장치
US3708864A (en) Method of forming a weld fitting
US2380071A (en) Welding band for pipe joints
US2603735A (en) Welding process and joint
US3635498A (en) Weld fitting
WO2021054187A1 (ja) 鉄筋用圧接治具
JPH0143179B2 (ko)
JP7328525B2 (ja) 溶接構造物
US1515692A (en) Method op welding metallic structures
JPH0675794B2 (ja) T型継手
SU846214A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 деталей
USRE16274E (en) Xx x xx - xx - xx
JPS5992166A (ja) 片面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