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100Y1 - 전선관용 접속상자 - Google Patents

전선관용 접속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100Y1
KR850000100Y1 KR2019830004675U KR830004675U KR850000100Y1 KR 850000100 Y1 KR850000100 Y1 KR 850000100Y1 KR 2019830004675 U KR2019830004675 U KR 2019830004675U KR 830004675 U KR830004675 U KR 830004675U KR 850000100 Y1 KR850000100 Y1 KR 850000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box
piece
cut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77U (ko
Inventor
박혜은
Original Assignee
박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은 filed Critical 박혜은
Priority to KR2019830004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100Y1/ko
Publication of KR840007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관용 접속상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 사시도.
제2a도는 심원상 2중 절취선에 따른 절취편의 단면 구성도.
제2b도, 제2c도는 그 사용상태의 단면구성도.
제3도는 못박음 절취편의 단면 구성도.
제4a도는 못으로 고정한 상자와 분리시켰을 때의 일부 구성 단면도.
제4b도는 공지한 접속장자의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내부등심원상의 소직경 절취편 6 : 외부등심원상의 대직경 절취편
8 : 못박음 절취편
본 고안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 바닥 또는 천정내에 배설되는 배선용 전선관을 이어주는 접속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접속구 자리에 외경이 크고 작은 두개 규격의 전선관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와 접속상자를 매설고정하기 위해 박은 못을 용이하고 또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못박음 절취편을 구비한 전선관용 접속상자(이하 "상자"라 약칭한다)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관용의 접속상자는 바닥판과 사방 측벽판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크고 작은 지름의 접속구를 갖고 있으며, 접속구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절취선이 형성된절취편으로 막혀 있어서 배관시에 이르러 필요한 접속구의 절취편을 간단히 타격하여 제거하고 전선관을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관 접속상자는 실용신안공보 제649호의 공고번 : 84-323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기한 접속상자의 결점을 들자면 한개의 접속구에는 그 개구직경에 맞는 규격의 전선관 하나 밖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예를들면, 한국 공업규격 KSC 8411에서 전선관의 규격은 표 1의 예와 같다.
[표 1]
따라서 상자에는 표 1의 전선관 외형보다 다소 큰 직경의 접속구를 각각 구비해야만 하므로 모든 전선관의 접속구를 그 규격대로 상자의 파면에 구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매설시에 고정하기 위하여 못으로서 상자를 거푸집에 고정하게 되는데 거푸집제거후 이못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결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선관 접속상자는 제4b도에 그 기본적인 구성을 단면도로서 나타내었다.
여기에서는 상자(1')의 측벽판(3')의 접속구(10')가 우호(優弧) 곡선상의 열린 절취선에 따른 절취편(6')으로 막혀있고 이 절취편(6')은 연결편(4')으로 측벽판(3')에 이어져 있다. 이러한 상자에 전선관을 배관하자면 절취편을 제거하여 접속구(10')를 개방한 후 전선관의 단부를 삽입하고 거푸집제 거후에는 단부 나사에 환상의 너트(17')를 채우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상자(1')를 고정하는 수단은 못(12')을 바닥파(2')의 구멍(7')에 끼워 파넬(11')에 박아 고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판넵(11')을 떼내더라도 못(12')은 그 머리 부분이 상자 바닥파에 걸쳐서 빠지지 않고 못은 상자내에 크게 돌출된다.
그러므로 이 못을 제거하지 않으면 이후의 배선이나 마무리 작업등에 큰 장애가 될 뿐 아니라 노출된 못 끝에 상처를 입을 우려도 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잔여 노출길이를 짧게 못을 잘라내든가 동도의 점선표시 처럼 바닥파면(2')에 닿도록 굽혀야 하지만 이러한 상태로는 아무래도 깨끗치 못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경이 다른 두개의 접속구를 등심원상에 설치하는 2중 구조의 접속구를 갖게함으로써 직경이 다른 전선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선관 접속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접속상자의 고정 못을 완전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개량된 전선관용 접속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선관 접속상자(1)의 바닥판(2)에서 이어진 사방의 측벽판(3)에는 열린 우호 곡선상의 절취선을 따라 형성된 소대직경의 절취편(5)(6)이 등심원상에 배열되어 있다.
소직경 전선관의 절취편(5)은 소직경 접속구(9)내에 형성되어 연결편(4)으로 대직경절취편(6)에 이어져 있으며, 마찬가지로 대직경절취편(6)은 대직경 접속구(10)내에 형성되어 연결편(4)으로 측벽판(3)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두 절취편들은 프레스 가공시에 동시에 만들어지며, 가공 또는 취급시에 접촉으로 인하여 절취편(5)(6)들이 절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직경접속편(6)을 접속상자(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소직경 접촉편(5)은 측벽판(3)의 외측면에 일치시킨다.
상기한 접속구(9)(10)를 막고 있는 절취편(5)(6)들은 필요한 전선관의 규격에 맞춰 형성됨은 물론이고 여러 규격에 따라 단계적인 규격을 갖추거나 또는 절취편을 상기한 2종의 동심원과 같은 요령으로 3단계까지는 실용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자(1) 바닥판(2)의 못(12) 구멍(7) 주위에도 못대가리가 빠질 수 있는 크기의 폐곡선 절취선을 따른 환상의 절취판(8)을 마련해둔다. 이 절취편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바닥판(2)의 구멍(13)에 환상의 절취편(8)에 끼워져 있는 것과 같다.
이 절취면 역시 프레스가공으로 구멍(7)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도면의 부호 11,11'는 거푸집을 14,14',15,15'는 전선관을 17,17'는 넛트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전선관의 배관을 위하여 접속구(9)(10)를 개방하자면 연결편(4)의 부분에서 열린 우호곡선상의 절취선을 따라 접속구(10)(9)를 막고 있는 절취편(5)(6)을 측벽판(3)면에서 외부 또는 내부로 제껴 절취편(5)(6)을 잇고 있는 연결편(4)을 절단시킨다.
이 단순한 제거 수단은 공지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배관될 전선관의 규격에 따라 소직경 절취편(5)만을 제거하던가 대직경 절취편(6)을 선택적으로 절취한다. 소직경 절취편(5)만을 제거한 상태는 제2도의 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대직경 절취편(6)은 환상의 형태로 측벽판(3)에 붙어 있다. 이 경우의 배관은 제4a도의 상단부에 도시되어 있다. 대직경 절취편(6)을 제거하게 되면 소직경 절취편(5)은 대직경 절취편(6)에 붙은채로 전체가 제거된다.
이러한 상태의 단면도는 제2c도에서 보이고 있다. 다시 이 경우의 배관상태는 제4a도의 아랫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배관된 후에 거푸집이 제거되면 미리 전선관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넛트(17)를 채워 전선관을 상자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자(1)를 거푸집(1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자(1) 바닥판(2)상에 형성된 환상의 절취편 중앙의 못구멍(7)을 통해 통상의 요령으로 상자(1)를 거푸집(1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는 제4a도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하여 거푸집(11)을 떼내면 거푸집(11)에 박힌 못대가리(12a)가 절취편(8)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못(12)는 상자(1)에 매어 있지 아니하고 거푸집(11)과 함께 분리되며, 상자(1)에는 절취편(8)이 분리된 구멍(13)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상자(1)내에는 못(12)이 분리된 매끈한 상태가 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동심원상에 2중 구조를 형성된 절취편을 전선관의 규격에 따라 선택하여 제거하여 전선관을 상자에 조립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규격의 전선관을 상자에 조립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더 나아가서 거푸집의 제거와 동시에 상자의 고정 못이 깨끗이 제거됨으로 그 설치 공정이 간소화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선관 접속상자(1) 측벽판(3)상의 전선관 접속구에 절취편을 구비하고 바닥판에 못구멍을 구비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전선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선관 접속구(9)(10)를 직경이 각기 다른 2중으로 형성하여 소직경 절취편(5)은 연결편(4)으로 대직경 절취편(6)에, 대직경 절취편(6)은 연결편(4)으로 측벽판에 의지하게한 동심원주상의 대소직경 절취편(5)(6)과, 바닥판 못구멍(7)가 장자리에 못대가리가 빠질 수 있는 크기의 절취편(8)을 구비한 전선관용 접속상자.
KR2019830004675U 1983-05-27 1983-05-27 전선관용 접속상자 KR850000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675U KR850000100Y1 (ko) 1983-05-27 1983-05-27 전선관용 접속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675U KR850000100Y1 (ko) 1983-05-27 1983-05-27 전선관용 접속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77U KR840007877U (ko) 1984-12-26
KR850000100Y1 true KR850000100Y1 (ko) 1985-02-09

Family

ID=1923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675U KR850000100Y1 (ko) 1983-05-27 1983-05-27 전선관용 접속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1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002B1 (ko) * 2017-08-30 2019-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캐비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77U (ko) 198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7711A (en) Outlet box covers with location indicators for wall covering
US4194644A (en) Electrical junction access device
KR850000100Y1 (ko) 전선관용 접속상자
US4403355A (en) Bathtub drain enclosure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JP3030244U (ja) 電気配線用連結箱
JPH0321146Y2 (ko)
KR100752982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JPH0343791Y2 (ko)
JPS5828415Y2 (ja) 硬質ビニル電気ボツクス
JPS634900Y2 (ko)
KR102058474B1 (ko) 공동건물의 에어덕트 시공을 위한 슬리브에 슬리브캡의 결속장치
KR20030094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JPH044184Y2 (ko)
KR910002757Y1 (ko) 건축용 아우트레트박스의 고정구조
JP3373172B2 (ja) 配線用ボックスカバー及び配線用ボックス装置
JPS645953Y2 (ko)
JPS6316774Y2 (ko)
KR880004155Y1 (ko) 전선관용 배관박스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JPS6233798Y2 (ko)
JPH044185Y2 (ko)
JPS6226243B2 (ko)
JPH0336761Y2 (ko)
JP2005344444A (ja) 集水桝、および集水桝のグレーチング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