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787Y1 -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 Google Patents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787Y1
KR840002787Y1 KR2019840011642U KR840011642U KR840002787Y1 KR 840002787 Y1 KR840002787 Y1 KR 840002787Y1 KR 2019840011642 U KR2019840011642 U KR 2019840011642U KR 840011642 U KR840011642 U KR 840011642U KR 840002787 Y1 KR840002787 Y1 KR 840002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ifting
mast portion
fix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바아토우 리차아드
Original Assignee
크라크 이퀴프먼트 캄파니
토마스 씨. 크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28,308 external-priority patent/US4356891A/en
Application filed by 크라크 이퀴프먼트 캄파니, 토마스 씨. 크라크 filed Critical 크라크 이퀴프먼트 캄파니
Priority to KR2019840011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제1도는 운반대가 최저면에 있고 접혀진 상태에 있는 리프트 트럭 엎라이트의 배면도이다.
제2도는 캔틸레버된 실린더가 확장되어 있고 운반대가 최대 프리리프트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엎라이트가 최대로 확장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제1도 엎라이트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엎라이트 구조를 변경시킨 엎라이트의 배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엎라이트에서 캔틸레버된 실린더가 확장되어 있고 운반대가 최대 프리리프트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7도는 제5도의 엎라이트에서 엎라이트가 최대로 확장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8도는 제5도 엎라이트의 평면도이다.
제9도는 제5도 엎라이트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투시도이다.
리프트 트럭(lift-truck)의 설계에서 과거수년간의 난점은 엎라아트(upright)를 통해 운전자가 잘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또 단가가 엎라이트의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상기의 취지에 따라 리프트트럭에서 승강 엎라이트를 통한 운전자의 가시상태를 좋게하기 위해 미합중국 특허 제2,394,458호. 제2,456,320호, 제2,855,071호, 제3,830,342호 독일(DE) 특허 제1,807,169호에 등에 의해 여러가지 특허가 출원되었지만 상기한 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최대프리-리프트 2단계 엎라이트로 알려진 엎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만 엎라이트에 적용할 수 있는 고정 엎라이트부분과 승강 엎라이트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와 비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가시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고, 또 구조가 간단하며 단가가 저렴하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를 엎라이트 구조에서, 일정한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게 승강 엎라이트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가 엎라이트의 한쪽에 인접하여 비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가 보는 방향에서, 비대칭으로 된 상기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와 그 조립체에 인접하여 있는 엎라이트의 한면이 겹쳐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엎라이트를 통해 볼 수 있는 시계가 상기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와 엎라이트의 한면이 분리되게 설치되어있을 때보다 더 넓어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두개의 체인(유연한 리프팅 요소)이 작동되어 진다.
두 체인중 한 체인(첫번째 체인)은 엎라인트의 일부분을 횡으로 가로질러 일정하게 떨어져 있는 한쌍이상의 스프로켓트에 꿰여져 있다.
상기 스프로켓트는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와 고정 엎라이트부분으로 부터 지탱되든지 아니면 횡 바아(bar)구조의 양끝으로 부터 지탱되어 진다.
상기 횡 바아 구조는 실린더 조립체로부터 지탱되어 진다. 엎라이트를 가로지르는 상기 체인의 한끝은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의 한쪽에 단단하게 고착되어 있고, 다른끝은 승강부분의 먼쪽(실린더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먼쪽)에 고착되어 있다.
다른 체인(두번째 체인)은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의 상단이나 상기 횡바아 구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텟트에 꿰어져 있다.
두번째 체인의 한쪽끝은 첫번째체인의 한쪽끝과 같이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의 한쪽에 단단하게 고착되어있고, 다른 끝은 인접하여 있는 승강 부분쪽에 고착되어 있다.
비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가 작동하기 전에 캔틸 레버(cantilever)된 실린더로 승강 부분에서 최대 프리-리프트(free-lift) 위치까지 부하운반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된 실린더는 승강부분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비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와 이에 연관되는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리프팅 힘이 최대 프리 리프트 엎라이트 구조로된 엎라이트의 횡면에 균형을 이루면서 적용되게 하고 엎라이트를 통해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시계를 개선시키는 것이 본 고안의 주안점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시계를 개선시키고, 값이 저렴하며, 구조가 간단한 최대 프리-리프트 형의 엎라이트를 만드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4도에서, 본 고안의 엎라이트 조립체는 공지된 것과 같이 리프트트럭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마스트 부분(20)에는 횡으로 일정하게 떨어져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채널 부재(22)가 있다.
옆으로 일정하게 떨어져 있는 두개의 I-비임(26)으로 구성된 단일체의 승강 마스트 부분(24)이 채널부재(22)에 끼워져 있다.
고정 마스트 부분(20)에서 지지되는 안내로울러인 승강 마스트 부분(24)은 고정마스트부분(20)에 대해 상하로 작용될 수 있게 되어있다.
한쌍의 횡지지판(31)(32)이 있는 운반대(30)는 승강 엎라이트 부분에서 상승할 수 있게 공지된 식으로 설치된 안내 로울러이다.
고정 마스트 부분(20)은 상단과 하단의 횡지주(36)(38)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 마스트 부분(24)은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 횡지주(40)(42)(4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주(36)에는 엎라이트의 오른쪽에 인접하어 아래로 뻗어있는 지지판(46)이있다.
I-비임 마스트 부분인 승강 엎라이트 부분(24)은 공지된 식으로 고정 마스트 부분(20)내에 끼워져 있다.
여기서 I-비임(26)의 앞 플란지는 채널부재(22) 앞 플란지의 외부에서 그것과 겹쳐져 있고, I-비임(26)의 뒤플란지는 채널부재(22)의 뒤플란지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I-비임(25)(26)과 채널부재(22) 사이에 적당하게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도시 되지않음)에 의해 I-비임 승강부분이 고정된 채널부분에 대해 신축운동을 할 수 있게 종횡으로 지지되어져 있다.
I-비임 엎라이트 구조 운반대의 설치방법과 안내용 지지 로울러의 구조 및 설치방법등의 특징은 미합중국 특허 제3,213,96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에 예시된 바와같이, 수직으로 일정하게 떨어져 있는 한쌍의 판부재(50)(52)는 비대칭으로된 실린더의(54) 상단과 하단 끝에 인접하여 하나의 채널부재(22)에 고착되어 있다.
실린더(54)에는 피스톤 로드(56)가 있다.
실린더 조립체는 도시된 것과같이 상승된 위치에서 레일인 채널부재(22)에 지지되어져 있다.
브라겟트인 판부재(50)는 스타드(stud)(58)에 의해 지지판(46)에 고착되어 있고, 볼트에 의해 "62"에서 브라텟트(bracket)(60)에 죄여져 있는 판부재(52)는 브라켓트(60)에 의해 채널부재(22)에 고착되어 있으며, 브라켓트(60)는 채널부재(22)의 외부에 용접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56)의 상단에는 두갈래로된 브라켓트(64)가 설치되어 있고, 또 스프로켓트(68)가 축(66)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축(도시되지 않음)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도르래(70)는 너트(72)에 의해지지 되고, 너트(72)는 두갈래로된 브라켓트(64)의 앞쪽에 고착되어 있다.
도르래 (70)에 의해 유연한 유압도관 즉 호오스(hose)(74)가 지지된다.
호오스(74)가 피스톤상에서 스프로켓트(68)와 함께 상승되어 진다.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엎라이트의 횡면상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일직선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스프로켓트(78)(80)에 대해 스프로켓트(68)는 일직선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스터브축(82)(84)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스프로켓트(78)(80)와 횡지주(36)는 지지 부분(8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체인(90)이 꿰여져 있는 스프로켓트(68)(80)가 구동스프로켓트로 작동하는 동안 스프로켓트(78)는 유동스프로켓트(idle sprocket)로 작동한다.
실린더(54)의 바깥쪽에 인접하여 있는 체인(90)의 한쪽끝은 체인앵커(chain anchor)(92)에 고정되어 있고, 엎라이트의 반대쪽에 인접하여 있는 체인(90)의 다른끝은 앵커(94)에 의해 브라켓트(96)에 고정되어있다.
브라켓트(96)는 볼트(98)에 의해 승강마우스트 부분(24)의 횡지주(44)에 고착되어 있다.
스프로켓트(68)의 앞쪽 부분에 꿰어져 있는 제2체인(100)의 한쪽끝은 앵커(102)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끝은 앵커(104)에 고정되어 있다.
앵커(92)(102)는 판부재(50)에 고착되어 있고, 앵커(104)는 브라켓트(106)와 볼트(108)에 의해 횡지주(44)에 고착되어 있다.
승강 마스트부분(24)의 중앙에 있는 캔틸레버(cantilever)된 리프트 실린더(114)는 캔틸레버된 지지 브라켓트(116)(118)에 지지되어 있다.
브라켓트(116)(118)의 중앙 부분에는 홈이 나 있다.
브라켓트(116)는 용접에 의해 "120"부분에서 실린더에 고착되어 있고, 브라켓트(116)(118)는 도시된 것과같이 볼트에 의해 횡지주(42)(44)에 죄여져 있다.
단일체로된 스프로켓트(123)는 두갈래로 된 브라켓트(124)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피스톤 로드(126)의 끝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켓트(123)에 꿰여져 있는 체인(122)의 한쪽끝은 실린더상에 설치된 앵커판(128)에 고착되어 있고, 다른 끝은 횡지지판(32)의 중앙에 있는 앵커블럭(130)에 고착되어 있다.
비대칭으로 설치된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 실린더(54)와 피스톤로드(56)와 캔틸레버된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실린더(114)와 피스톤로드(126))의 길이는 접혀진 상태에 있는 엎라이트 조립체 길이의 1/2 정도이다.
각각의 리프트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2 : 1의 비율로 각각의 엎라이트 부분이 상승된다.
즉 처음에는 운반대가 실린더(114)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프리 리프트 위치까지 상승되고, 그 다음에는 최대프리 리프트 위치에 있는 운반대와 엎라이트 부분인 승강 마스트부분(24)이 실린더(54)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고로 상승될 수 있는 곳까지 상승되어진다.
각 실린더 바닥끝 부분에 있는 커플링(coupling)에 연결된 튜브(134)와 유연한호오스(136)사이에 호오스(74)가 연결되어 있다.
호오스(138)는 유압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비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가 피스톤 로드의 끝이나 승강부분으로 부터 지지되는 한쌍의 스프로켓트에 의해 내부부분인 승강 마스트부분(24)에 연결되지 않은 프리스탠딩(free standing)실린더이고,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로켓트(68)가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스프로켓트(80)가 고정 엎라이트 부분인 고정 마스트 부분(20)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실린더 조립체(54)(56)와 위치는 체인앵커(92)(102)의 위치나 운반대(30)의 중앙 수직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운반대의 중앙수직면에서 부터 실린더 축까지의 횡 거리가 운반대의 중앙 수직면에서부터 제1체인의 외부끝까지 횡거리와 운반대의 중앙 수직면에서부터 제2체인의 외부끝까지 횡거리의 합의 1/4정도되게 비대칭으로된 실린더를 운반대의 중앙 수직면과 체인의 외부끝 사이에 설치한 후술하는 변형시킨 실시예에서와 같이 앵커(92)(102)를 실린더(54)의 외부에 설치할 필요없이 실린더 (54)에다 바로 고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엎라이트 횡면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엎라이트부분인 고정마스트 부분(24)의 중앙 수직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체인앵커(94)와 체인앵커(104)를 설치하였다.
실린더(114)가 중앙에 설치되어있고, 실린더(114)와 운반대가 단 하나의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엎라이트에서 운반대(30)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엎라이트 한쪽의 종면뒤에 비대칭으로된 실린더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여기서 종면이란 엎라이트 조립체에서 세로로 뻗어있는 수직면중 엎라이트 한쪽에 있는 수직레일 조립체의 외부면과 내부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수직면을 뜻한다.
본 고안은 변형시킨 실시예인 제5-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요한 설계변형은 엎라이트에서 횡으로 뻗어있고, 비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 엎라이트 부분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내부 엎라이트 부분으로부터 안내되는 스프로켓트 지지부재가 있다는 것이다.
즉 제1-4도에서와 같이 모든 스프로켓트가 외부의 고정된 엎라이트 부분에 설치되어 있지는 않지만 모두다 비대칭으로 설치된 실린더와 함께 상승한다.
횡으로 뻗어있는 스프로켓트 및 도르래의 지지용 안내부재(15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엎라이트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홈이 나있는 한쌍의 볼트(152)에 의해 피스톤 로드(56)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레일인 채널부재(22)이 뒤 플란지에 죄여져 있고, 실린더(54) 통에 용접되어 있는 브라켓트(즉 판부재)(52)(60)에 의해 실린더 (54)의 바닥 끝부분이 지지되어 있다.
이중 스프로켓트(68)와 호오스 도르래(154)는 공통축 (160)에 설치되어 있고, 공통축(160)은 부재(150)의 다리(162)와 다리(164)에 있는 두 갈래로 된 두꺼운 끝부분에 지지되어 있다.
부재(150)의 끝부분에는 스프로켓트 및 도르래의 조립체가 들어갈수 있는 오프닝(166)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로켓트(80)와 도르래(172)는 상기의 반대쪽에 있는 축(168)에 설치되어있고, 축(168)은 슬롯트(170)내에 있다.
부재(150)는 엎라이트에서 횡으로 경사지게 뻗어있다.
엎라이트를 가로질러 스프로켓트(68)의 한쪽 스프로켓트(80)에 꿰여져 있는 체인(90)의 한쪽 끝부분은 앵커블럭(182)에 있는 체인 앵커(92)에 고착되어 있는 다른 끝부분은 앵커블럭인 브라켓트(96)에 있는 앵커(94)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 레일인 채널부재(22)의 외부에 고착되어 있는 앵커블럭(182)는 채널부재(22)의 상단 끝 부분에서 뒤쪽으로 캔틸레버 되어져 있다.
앵커블럭인 브라켓트(96)는 앵커블럭(182)의 반대쪽에 있는 하단 횡지주(44)부분에 있다.
스프로켓트(68)의 앞쪽에 꿰여져 있는 체인(100)은 앵커(102)에서부터 앵커(104)까지 횡으로 뻗어있다.
앵커(102)는 앵커블럭(182)에 있고, 앵커(104)는 앵커블럭인 브라켓트(106)에 있다.
체인(100)은 부재(150)에 있는 오프닝(184)을 통해 뻗어 있다. 유 압도관 즉 호오스(74)는 체인(90)과 평행으로 엎라이트에서 횡으로 도르래(154)와 도르래(172)에 꿰여져 있다.
호오스(74)의 한쪽 끝은 튜브(186)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끝은 튜브(188)에 연결되어 있다.
튜브(186)는 실린더(54)의 바닥에 연결되어 있고, 튜브(188)는 실린더(114)의 바닥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마스트부분(24)의 I-비임(26)에는 길게 내부로 뻗어 있는 뒤 플란지 부분(190)이 형성되어 있고, 뒤플란지 부분(190)은 외부로 향해 있는 한쌍의 오프닝 클리이트(cleat)(192)와 정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한쌍의 오프닝클리이트(192)는 부재(150)의 앞쪽 부직면에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 마스트부분(24)을 횡으로 지지하는 부재(150)는 승강마스트부분(24)에 대해 수직으로 안내된다.
제5-9도의 실시예에서, 엎라이트의 횡면에 작용하는 힘 모멘트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1-4도에서와 같이 운반대(30)의 중앙수직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등하게 떨어진 곳에 있는 앵커(94)와 앵커(104)에다 체인(90)과 체인(100)을 연결시켰다.
그리고 또 운반대(30)의 중앙수직면에서 부터 피스톤 로드(56)와 부재(150)가 연결된 곳까지의 횡거리가 운반대(30)의 중앙 수직면에서부터 체인 앵커(92)까지의 횡거리와 운반대(30)의 중앙 수직면에서 부터 체인앵커(102)까지 횡거리의 합의 1/4정도되게 하여 엎라이트의 횡면에 작용하는 힘 모멘트의 균형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설계를 하면 엎라이트부분인 고정마스트부분(20)과 승강 마스트부분(2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가 엎라이트의 횡면에 대해 균형이 잡혀지게 된다.
엎라이트를 이상적으로 설계하여 이론상으로 힘모멘트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지만 이런것은 실제상에있어서 거의 불가능하다.
포오크의 중심에서 벗어난 부하때문에 발생되는 불균형한 모멘트에 의해 야기되는 엎라이트 상의 사이드스라스트(side thrust) 또는 토르크(torque) 하중을 부하운반대 사이드 스라스트 로울러(load carriage side thrust roller)(196)로 저지시킬 수 있다.
부하운반대 사이드 스라스트 로울러(196)는 공지된 방법으로 I-비임(26) 바깥 플란지의 가장자리에서 작용한다.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유압장치로 압축된 유체를 실린더 조립체(54)(114)에다 전달시키면 엎라이트가 제1도의 위치에서부터 제3도의 위치로 상승되어진다.
여기서 처음에는 피스톤 로드(126)의 상승에 따라 승강부분에서 운반대(30)가 제2도에 도시된 최대 프리리프트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운반대(30)와 피스톤 로드(126)의 상승비율은 2 : 1이다.
상기 초기작동이 완료될때 비대칭으로된 실린더(54)에 의해 고정마스트부분(20)에서 승강부분이 상승된다.
(운반대(30)는 실린더(114)에 의해 상술한 최대 프리리프트 위치에서 계속 유지됨)(제3도 참조).
체인(90)과 스프로켓트(80) 그리고 체인(100)과 스프로켓트(68)가 상술한 것과 같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엎라이트 구조가 제3도의 위치까지 상승하는 동안 엎라이트 횡면상의 균형이 계속 유지되어 진다.
압축된 유체를 실린더에서부터 유체 저장탱크로 배출 시키면 상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엎라이트가 하강되어진다.
제5-9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에서, 스프로켓트(68)(80)와 유압도관 및 도르래(154)(172)를 지탱하고있는 지지용 안내부재(150)가 I-비임 플란지부분(190) 상에서 승강마스트부분(24)에 대해 안내운동을 하는 것 외에는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과 유사하다.
여기서 엎라이트의 횡면에 작용하는 힘의 균형은 상술한 것과 같은 식으로 유지되어진다.
본 고안의 취지내에서 여러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횡으로 일정하게 떨어져 있는 수직레일이 포함된 고정 마스트 부분(20), 고정 마스트 부분에서 상승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횡으로 일정하게 떨어져 있는 수직레일이 포함된 승강 마스트 부분(24)과 승강 마스트 부분에서 상승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운반대(30)를 가진 리프트 트럭용 엎라이트 구조에 있어서, 비대칭으로 설치된 단 하나의 리프트 실린더(54) 조립체가 작동할 수 있게 승강 마스트 부분(24)에 연결되어 있고 상승된 위치에 있을때 고정 마스트부분(20)의 한쪽으로부터 지탱 되어지며, 제1과 제2의 리프팅 체인(90)(100)이 스프로켓트(68)(78)(80)에 꿰여져 있고, 제1과 제2의 리프팅 체인이 작동할 수 있게 실린더 (54)조립체와 고정 마스트 부분 (20)그리고 승강 마스트 부분(24)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리프팅 체인의 한쪽끝 부분은 실린더(54) 조립체의 한쪽 외부에 있는 앵커(92)(102)에 고착되어 있고, 제1리프팅체인(90)의 다른끝 부분은 인접하여 있는 엎라이트쪽에 가까운 승강 마스트 부분(24)에 있는 앵커(94)에 고착되어 있으며, 제2리프팅 체인(100)의 다른끝 부분은 상기 부분의 반대쪽에 인접한 승강 마스트 부분(24)에 있는 앵커(104)에 고착되어 있고, 제1과 제2의 리프팅체인(90)(100)의 상기 다른끝 부분이 운반대(30)의 중앙 수직면에서 서로 반대편으로 동등하게 떨어진 것에 고착되어 있으며, 실린더(54) 조립체와 제1의 리프팅 체인(90)그리고 제2의 리프팅체인(100)이 고정 마스트 부분(20)에 대해 승강 마스트 부분(24)을 상승시키고, 운전자 시계의 고정 장애물인 엎라이트 구조의 수직레일 뒤로 또 하나의 장애물인 리프트 실린더(54) 조립체가 가리워지게 설치하어 운전자 시계 장애범위를 줄였으며, 비대칭으로된 실린더(54) 조립체가 승강마스트 부분(24)이 고정마스트 부분(20)에서 상승하도록 하는 것과 관계없이 제2의실린더(114) 조립체가 승강마스트 부분(24)에서 운반대(30)가 상승하도록 하고, 비대칭으로된 실린더(54) 조립체와 제2실린더(114)조립체의 피스톤 로드(56)(126)의 전후 왕복운동거리가 접혀진 상태의 엎라이트 구조높이의 1/2정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용 엎라이트 구조.
KR2019840011642U 1979-04-09 1984-11-17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KR840002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642U KR840002787Y1 (ko) 1979-04-09 1984-11-17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28,308 1979-04-09
US06/028,308 US4356891A (en) 1979-03-08 1979-04-09 Upright for lift truck
KR1019800001449A KR830002646A (ko) 1979-04-09 1980-04-07 리프트트럭의 엎라이트
KR2019840011642U KR840002787Y1 (ko) 1979-04-09 1984-11-17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449A Division KR830002646A (ko) 1979-04-09 1980-04-07 리프트트럭의 엎라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87Y1 true KR840002787Y1 (ko) 1984-12-24

Family

ID=2734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642U KR840002787Y1 (ko) 1979-04-09 1984-11-17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7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4778A (en) Lift truck mast assembly
US3841442A (en) Lift truck upright
CN201040700Y (zh) 一种宽视野叉车门架
CA2370398A1 (en) Elevating platform assembly
US3275296A (en) Hoisting truck having boom means comprising a tension fulcrum bar
KR910008172B1 (ko) 리프트 트럭용 엎라이트(upright)
US2621822A (en) Apron construction for lift trucks
CN112829962A (zh) 用于飞机牵引车的抱轮机构
US4356891A (en) Upright for lift truck
US4949816A (en) Upright for lift truck
US4124104A (en) Lift mask carriage mounting arrangement
US5082090A (en) Stacking mast for a lift truck
KR840002787Y1 (ko)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US3727781A (en) Lift truck load lifting mechanism
US3608761A (en) Forklift truck with swinging mast
US4280592A (en) Full free-lift upright for lift truck
CN108625292A (zh) 一种预制立柱的模板拼装平台
KR850000026Y1 (ko) 리프트 트럭의 엎라이트
KR840002786Y1 (ko) 리프트 트럭(lift truck)의 엎라이트(upright)
US4276961A (en) Mast and carriage assembly
CN214459635U (zh) 一种可调节角度的隧道锚洞机械进出装置
US4401191A (en) Upright for lift truck
CN220283347U (zh) 一种防止横梁脱落的龙门吊
JP3512085B2 (ja) クレーン装置
KR200316112Y1 (ko) C형기둥구조의 2단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