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639Y1 -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639Y1
KR840002639Y1 KR2019830001949U KR830001949U KR840002639Y1 KR 840002639 Y1 KR840002639 Y1 KR 840002639Y1 KR 2019830001949 U KR2019830001949 U KR 2019830001949U KR 830001949 U KR830001949 U KR 830001949U KR 840002639 Y1 KR840002639 Y1 KR 840002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st
stopper
guide
base
s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846U (ko
Inventor
안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1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639Y1/ko
Publication of KR840005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테이프 가이드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의 평면도
제4도의 (a)도는 V-스톱퍼의 정면도
(b)는 가이드 베이스의 평면도
(c)는 수직 및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드럼 2 : 수직가이드 포스트
3 :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 8 : 몸통
9, 9' : 나사공 10 : 고정단
11 : 스톱퍼 12, 12' : 나사
본 고안은 V.T.R의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포스트 고정 장치란 V.T.R의 헤드드럼에테이프를 인출 시킬때에 가이드 베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것으로, 종래에는 헤드 드럼을 로딩 베이스에 편심되게 설치하고, 헤드드럼 주변의 로딩베이스에 V스톱퍼를 고정하여 수직 가이드 포스트를 V스톱퍼의 V홈에 고정함으로서 최종위치 결정하도록한 수직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V스톱퍼의 밑면과 로딩 베이스의 윗면이 정확하게 밀착해야만 V홈의 직각도가 유지되는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2개의 나사로서 V스톱퍼를 로딩 베이스 위에 조립할 때 나사에서 발생하는 우력이 V스톱퍼를 고정시키는 위치를 틀려지게 하며, 수직 가이드 포스트의 좌우 밸런스는 V스톱퍼의 하부 안내홈에 의해서 잡아주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로 수직 가이드와 로딩 베이스의 안내홈 사이에 틈(gap)이 크게 발생하므로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을 잡아 주기 어렵고, 또한 수직 가이드 포스트가 V홈에 밀착 고정할 때의 수직도에 있어서는 가이드 베이스의 습동면에 위치한 로딩 베이스의 상면의 평면도, 가이드 베이스 습동면의 평행도, 수직 가이드 포스트가 조립되는 가이드 베이스에 가공된 홈의 습동면에 대한 직각도, 수직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에 조립된 가이드 로울러의 동축도등의 영향 때문에 V홈의 수직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슬랜트 가이드포스트가 헤드드럼의 테이프 주행면에 대한 방향각에 있어서는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가 조립된 가이드 베이스의 하부보스(boss)는 로딩할 때 안내홈의 외측벽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므로 수직가이드 포스트가 V스톱퍼에 고정될 때에 하부보스가 안내홈의 외측벽으로 밀려 붙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안내홈의 폭과 보스외의 치수차에 의해서 틈(gap)이 발생하여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방향각이 틀려지고,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와 수직가이드포스트 사이의 거리 및 경사각이 틀리면 헤드 드럼파 수직 및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에 감기는 테이프의 감김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조립시 상관 위치를 고려한 관련 부위들의 조정 개소가 많아지고 작업공정이 증가하며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또한 이와같이 많은 부품들을 정밀 가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가공상의 어려움이 있고, 부품의 정도가 높으면 가공공정이 증가하므로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수직가이드 포스트의 고정 방식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헤드드럼의 원주면에 새로운 스톱퍼를 설치하므로서 정확한 조립위치와는 무관하게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를 스톱퍼에 고정하게 되어 정밀한 가공으로 인한 원가상승을 대폭 줄이고, 또한 부품수를 줄임으로서 작업공정이 쉬워 작업성이 향상되고, 테이프의 주행 안전성을 크게 도모함으로서 우수한 테이프의 녹화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제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헤드 드럼(1)의 원주민에 수직 및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2) (3)를 일체로 형성한 가이드 베이스(4)를 로딩 베이스(5)의 안내홈(6)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헤드드럼(1)의 원주민과 동일한 원호면(7)을 형성한 몸통(8)에 2개의 나사공(9)(9')을 천공하고, 몸통(8) 저면에 일측으로 고정단(10)을 돌츨시켜서 일체로 형성한 스톱퍼(11)를 헤드드럼(1)의 원주면상의 일정한 위치에 나사(12) (12')로 좌우에 2개를 고정설치하여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를 스톱퍼(11)에 직접 고정시키게 구성한 것으로, 미설명 부호 13은 테이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안 V.T.R에 있어서 녹화 및 재생시에 이에 해당하는 보턴을 누르면(도면 생략) 헤드 드럼 (1)에 테이프(13)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베이스(4)가 로딩 베이스 (5)상의 안내홈(6)을 따라 최종위치 가까이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와 수직가이드 포스트(2)를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베이스(4)가 로딩(잠김상태)시에는 가이드 베이스(4)의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가 몸통(8)과 고정단(10)이 V-홈 형태로 구성된 스톱퍼(11)에 완전 밀착 고정하면서 완전로딩(roading) 사태로 되어 테이프(13)가 헤드 드럼(1)의 주행면을 지나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 및 수직가이드 포스트(2)의 주행면을 통과하게 되어 안정된 감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에 있어 편심되게 설치한 헤드 드럼(1') 주변의 로딩 베이스(5')에 V스톱퍼(11')를 2개의 나사(12'') (12''')로 고정 설치하여서 로딩 베이스(5')의 안내홈(6')을 따라 최종 워치에 도달한 가이드 베이스(4')의 수직가이드 베이스(2')가 V스톱퍼에 고정하게 되어 있으나, 헤드 드럼(1')의 축심과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의 각도를 유지되게 설치해야 하며, V스톱퍼(11)를 2개의 나사(12'') (12''')로 고정할 때 생기는 우력을 감안해서 고정시켜야 하고, 로우딩 베이스(5')의 수직 가이드 포스트(2')와 V 스톱퍼(11')의 면이 정확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로딩 베이스(5')의 윗면과 V스톱퍼(11')의 밑면을 정확하게 밀착고정하여 V홈의 직각도를 유지시켜야 하고, 또한 수직가이드포스트(2')의 좌우 밸런스는 수직가이드 포스트(2')와 하부 안내홈(6') 사이의 틈을 최대한으로 줄여야 하머,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와 수직가이드 포스트(2') 사이의 거리 및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3')의 경사각을 정확하게 잡아주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 장치인 스톱퍼 장치는 헤드드럼의 주연부에 스톱퍼장치를 설치함으로서 헤드 드럼이 위치하는 상태에 따라 항상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하므로, 로우딩의 최종 위치에서 수직 가이드포스트에 대한 위치결정, 수직도,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헤드 드럼에 대한 방향각, 수직 및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 사이의 거리 및 경사각상태, 각부위의 조립상태 및 관련 부품의 정밀도 규제등을 완전히 해결하므로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헤드 드럼의 신뢰성이 증가하며 부품의 정밀가공에서 생겨나는 원가 상승을 대폭줄이고, 더욱이 테이프의 주행 안정성을 크게 도모하므로 상태가 우수한 테이프의 녹화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V.T.R의 가이드 포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몸통(8)에 2개의 나사공(9)(9')을 천공하고 몸통(8) 저면에 일측으로 고정단(10)을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한 스톱퍼(11)를 헤드 드럼(1)의 주연부에 나사(12)(12')로 고정 설치하여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를 스톱퍼로 직집 고정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슬랜트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장치
KR2019830001949U 1983-03-07 1983-03-07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KR840002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949U KR840002639Y1 (ko) 1983-03-07 1983-03-07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949U KR840002639Y1 (ko) 1983-03-07 1983-03-07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846U KR840005846U (ko) 1984-11-10
KR840002639Y1 true KR840002639Y1 (ko) 1984-12-10

Family

ID=1922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949U KR840002639Y1 (ko) 1983-03-07 1983-03-07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6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846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629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358070A (en) Magnetic tape cassette
KR840002639Y1 (ko) V.t.r의 슬랜트 가이드포스트의 고정장치
US4700095A (en) Construction for installing a stepping motor of a floppy disk drive unit
US5077624A (en) Magnetic tape device including outsert-molded tape guide catchers
JP2873106B2 (ja) 磁気テープ用のテープ・ヘッドの位置を調節、監視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H0313662B2 (ko)
JPS587509Y2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
US6747839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a post stopper fixed to a vertical reinforcing wall
US20210383832A1 (en) Member, magnetic tape device, adjustment method
KR920006996Y1 (ko)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주변기구
KR870004053Y1 (ko) Vtr의 수직 및 경사 포스트의 위치 고정장치
KR920005443Y1 (ko)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주변기구
KR890005506Y1 (ko) 회전 실린더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KR950000563B1 (ko) 회전 헤드 어셈블리
KR860000418Y1 (ko) 회전축 단부 지지용 브라켓트
KR920002939B1 (ko) 테이프레코더의 헤드드럼장치
KR940003750Y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가이드 일체형 오디오 헤드 조립체
SU851483A1 (ru) Монтажный столик
SU1045270A1 (ru) Кассета
KR920000851Y1 (ko) 헤드드럼의 로타리 트랜스코어 고정장치
JPH0629787Y2 (ja) テープ走行試験装置
JPH0323986B2 (ko)
KR19980050076U (ko) 브이씨알의 헤드드럼 조립체 설치구조
US5833159A (en) Magnetic tape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1 Opposition [utility model]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