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43Y1 -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43Y1
KR840002443Y1 KR2019830006483U KR830006483U KR840002443Y1 KR 840002443 Y1 KR840002443 Y1 KR 840002443Y1 KR 2019830006483 U KR2019830006483 U KR 2019830006483U KR 830006483 U KR830006483 U KR 830006483U KR 840002443 Y1 KR840002443 Y1 KR 840002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resent
porous cylinder
filtration de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화
Original Assignee
신진밸브공업주식회사
박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밸브공업주식회사, 박찬언 filed Critical 신진밸브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6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3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과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여과장치(suction difluser)의 종단면도로서, 밴(vane)은 절개되지 않은 상태.
제2도는 제1도중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여과장치가 개입된 배관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장치한 경우의 배관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캡
3 : 여과망 4 : 공간부
5 : 다공통 6 : 구멍
7 : +자형 익판
본 고안은 유체용 여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형 익판을 둘러싸고 있는 2중의 걸름망을 설치하여 불순물의 여과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유(壓油)계통, 압축공기계통, 압력수계통 등에 설치하여 각 기기에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인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종래의 것은 걸름쇠(망) 안쪽에서 걸름역할을 하기 때문에 걸름쇠 안쪽에 배관작업시 생기기 마련인 용접티, 금속입자, 설비후의 배관계통에 생기는 녹 부스러기 등이 쌓이기 쉽고, 따라서 걸름쇠의 유체통과 공간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유체의 흐름에 장애가 되므로 수시로 내부 청소를 실시해야 하는 번거름을 겪어야 했다.
또 다른 결점은, 제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11)와 펌프(P)를 잇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소요되는 배관(12)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배관을 포함하여 펌프(P)를 설치하려며는 넓은 내부 공간을 필요로 할 뿐아니라 거기에 수반하여 엘보, 플랜지, 가스켓, 볼트 등의 잡부속과 용접작업 등 설비시간이 길다는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여과장치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개량된 배관계통의 여과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여과된 후에 유체의 이상와류, 수격 등의 바람직스럽지 못한 현상을 배제하여 펌프와 각종 기기를 보호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 청소를 자주할 필요가 없고, 시공이 간편하며, 또한 배관 공간을 작게하여 펌프실 면적을 감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와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완성된 여과장치의 종단정면 및 A-A선단면도이다. 이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로 개방된 입구(8)와 우측으로 개방된 출구(9)를 가진 본체(1)에서 출구(9)와 수평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공간부(4)에 원통형 여과망(3)과 다공통(5)및 +자형 익판(7)이 장치되어 있다. 주벽상에 비교적 작은 구멍(6)들이 조밀하게 뚫린 다공통(5)의 내부 공간은 익판(7)에 의해서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이 여과장치는, 입구(8)는 유입 계통에 그리고 출구(9)는 공급계통의 관로에 각기 접속되는 것으로서, 입구(8)를 통해 유입된 혼탁한 유체는 반드시 여과망(3)을 통과한 후에 다공통(5)의 구멍(6)을 통하여 출구(9)로 유출하게 되어 있다.
한꺼번에 많은량의 유체가 유입할 경우에는 여과망(3)을 일시에 거쳐나가기가 곤란하므로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유체는 자연히 여과망(3)과 공간부(4)의 내벽 사이에 떠 있는 공간을 유회(流回)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곧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여과망(3) 밖에서 골고루 여과될 수 있게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와 여과면을 제공하게 되고, 그리하여 본 고안에서 의도한 여과 효율의 증대라는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것이다.
공간부(4)에 유입되는 유체는 펌프(P)의 흡입력 때문에 상당한 유속을 갖는다. 유속이 빠를 수록 이상와류 현상, 수격 등이 심하게 일어난다.
이 같은 현상은 펌프만이 아니라 다른 기기에도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이러한 현상을 줄이고, 가능하다면 전면 방지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수가 있다. 즉, 여과망(3)을 통과할 유체의 일부는 다공통(3)의 외면에 부딪혀서 감속되고 또 일부는 구멍(6)을 통과하면서 감속되는 데다가, 다공통(5)의 내부에 자리잡고 있는 +자형 익판(7)이 각 방면에서 다공통(5) 내부로 흘러들어온 유체가 서로 합쳐지는 것을 막아주므로 유체의 이상 흐름이라든가 수격 현상이 최소화 내지 방지된다. 즉, 익판(7)에 의해서 수격 충격이 억제 내지 흡수되어 버리기때문이다.
한편, 여과장치 내부의 불순물의 수거는 제1도에서, 좌측에 있는 볼트(10)를 풀고 캡(2)을 열어 여과망(3)과 다공통(5), 익판(7) 꺼내고 청소하면 된다.
본 고안의 여과장치(A)가 개입된 배관계통은 제4도에 보는 바와 같이 여과장치(A)와 펌프(P)사이에 중간 배관없이 곧바로 시공되기 때문에 종래의 스트레이너(11) 시공시 소요되던 중간 배관(12)이 생략되고 따라서 펌프실의 면적이 작아도 되고 또한 여러 잡부속과 파이프가 생략되는 만큼의 시설비와 인건비가 절약됨은 물론 설비 시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여과장치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더퓨저, 스트레이너, 리듀시 및 시포트의 기능이 집약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laims (1)

  1. 원통형 여과망(3) 내부에 작은 구멍(6)들을 조밀하게 뚫은 다공통(5)을 설치하고 +자형 익판(7)으로 다공통(5) 내부공간을 그 길이방향으로 구획한 것을 입구(8)와 출구(9)가 ㄴ자로 위치해 있는 본체(1)의 내측 공간부(4)상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KR2019830006483U 1983-07-23 1983-07-23 여과 장치 KR840002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483U KR840002443Y1 (ko) 1983-07-23 1983-07-23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483U KR840002443Y1 (ko) 1983-07-23 1983-07-23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43Y1 true KR840002443Y1 (ko) 1984-11-24

Family

ID=1923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483U KR840002443Y1 (ko) 1983-07-23 1983-07-23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4680C (en) Fluid treatment
CN207575937U (zh) 一种y型过滤器
US2363009A (en) Water separator
CN204879420U (zh) 蒸汽冷凝水排水器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KR840002443Y1 (ko) 여과 장치
KR100906604B1 (ko) 플랜트용 t형 스트레이너
JPS62266112A (ja) 自浄式フイルタ−
CN210302656U (zh) 多联过滤装置
JP3125833B2 (ja) 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CN209967886U (zh) 一种卧式龙门锯床乳化油回收再利用装置
CN104826377B (zh) 一种涡旋重力离心管道除污器
KR950012432B1 (ko) 버켓(bucket)타입스트레이너 및 그 제조방법
CN210715073U (zh) 过滤装置及输油系统
CN213221185U (zh) 管道过滤器
KR102620509B1 (ko) 스트레이너
CN209696425U (zh) 一种市政自来水管道除污接头
CN214513149U (zh) 一种应用于冲灰水箱喷嘴前的防堵分离器
JPH0655076U (ja) 熱交換器
KR200333645Y1 (ko) 여과망을 설치한 자력 수처리기
CN214209632U (zh) 一种带粗过滤器的螺旋集污装置
RU2067018C1 (ru) Фильтр
TWI829026B (zh) 過濾器
CN220633275U (zh) 一种大流量冲洗过滤装置
KR20170029215A (ko) 선박용 해수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