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227B1 -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227B1
KR840002227B1 KR1019810001335A KR810001335A KR840002227B1 KR 840002227 B1 KR840002227 B1 KR 840002227B1 KR 1019810001335 A KR1019810001335 A KR 1019810001335A KR 810001335 A KR810001335 A KR 810001335A KR 840002227 B1 KR840002227 B1 KR 84000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bstance
gate
soleno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889A (ko
Inventor
초우스토우라키스 니키타스
Original Assignee
초우스토우라키스 니키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우스토우라키스 니키타스 filed Critical 초우스토우라키스 니키타스
Priority to KR101981000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227B1/ko
Publication of KR83000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electrically

Landscapes

  • Vacuum Packag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따라서 가압하에 물질이 함유된 캔을 유지하고 있는 기구의 평면도.
제4도는 캔을 구성하는 포장된 제품의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따른 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제어회로의 시간간격 및 펄스 길이를 정하는 개괄도.
제7도는 60Hz로 사용되도록 한 제5도의 제어회로의 일부분.
제8도는 제7도의 부분적인 제어회로의 시간 간격 및 펄스길이를 정하는 개괄도.
본 발명은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증발에 의하여 살충제, 방취제,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들을 적절한 시간간격을 두고 전기적으로 주위 대기중으로 분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충제나 방취제의 증발을 위한 공지의 전기적 장치들은 증발되는 물질이 고체형태로 위치하는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장치를 구성한다. 그 물질은 살충제나 방취제로 충만된 섬유소 모양을 가지기로 한다. 가열 효과로 해서 살충제나 방취제는 정해진 길이의 시간동안에 섬유소로 부터 증발한다. 살충제나 방취제를 더 증발시키려면 충만된 새로운 섬유소가 가열장치 위에 놓여져야 한다.
공지의 장치들은 살충제나 방취제를 단지 그 장치 주위의 제한된 공간내로 밖에는 분산시킬수 밖에 없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더 많은 부피의 대기가 살충제나 방취제로 처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몇개의 유사한 장치들이 사용되어야한다. 게다가 증발되는 살충제나 방취제가 가열장치 위에 누적물을 형성시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누적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공지의 장치로는 연속적이고 조절된 조작을 할 수가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 가능한 시간간격을 두고 증발에 의해서 물질의 조절된 양을 자동적으로 주위전체 공간에 분산되게 하는 장치를 밝히려는 것이다. 즉 저장기에 함유된 분산기를 위한 전기적인 발동작용 및 제어 시스템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산되는 물질을 위한 용기를 구성하는 패키지를 다루고 있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나타낸 분산장치는 원통형케이스(1)과 장방형의 박스(2)를 함유하는 물체를 가진다. 케이스(1)과 박스(2)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케이스(1)은 장치에 의해 분산된 물질이 들어있는 가압되는 캔(3)을 포함한다. 캔(3)은 케이스(1) 내에서 제2,3도에 나타낸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캔 내의 물질이 모두 분산되고 나면 케이스의 밑면 뚜껑을 통해서 케이스(1)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케이스의 원통형 벽의 입구(4)는 케이스(1)로부터 캔(3)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장치가 평평한 표면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기 유입구가 된다.
위의 캔 지지장치 외에 다른 지지장치, 즉 밸브작동기 장치와, 가열장치가 케이스(1)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제2도에 나타나 있다. 이들 장치들은 상부의 캡(5)로 덮어져 있어 케이스(1)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되어 스테인레스 강선 스크린(6)을 고정한다.
상부의 캡(5)는 그 원주 측면에 장방형 박스(2)는 기계의 작동을 위한 전기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뒷쪽 덮개에 신장된 구멍(8)이 있고 시간간격 선택스위치(9)가 있다.
장방형 박스(2)의 옆면은 기계의 조작상태를 나타내 주는 램프(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기계장치는 동력공급 코드(11)에 의해 교류 전원에 연결된다. 대표적으로 본 장치는 200볼트, 50Hz나 110볼트, 60Hz 전원에 연결 사용된다.
제2도에는 바닥입구(4)가 있는 케이스(1)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와이어스크린(6)이 설치된 상부캡(5)은 케이스(1)의 상부 가장자리에 있는 원형 리제스(12)에 놓여있다. 가압캔(3)은 케이스(1)이 속이 빈 원통형 공간내에 삽입되어 있다. 캔(3)의 환상의 홈(15)에 해당되는 환상의 캔 가이드(14)는 케이스(1)내에 삽입된 캔(3)의 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확실히 해주며 캔(3)의 열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여 준다. 두개의 래치(16)는 개개의 나사(17)에 의해 케이스(1)의 상부면(13)위에 동축 지지되어 있다. 래치(16)의 평면도는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제2,3도로 부터 캔(3)은 래치(16)들이 제2,3도의 왼편에 보인 위치에 있을 때는 래치(16)들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래치(16)들이 제2도의 오른편에 보인 바와 같이 그들의 바깥쪽 위치로 회전할 때에는 캔(3)은 자유로이 제거될 수 있다.
밸브 작동기장치(20)는 솔레노이드 코일(21), 그의 절반부분에 위치하는 연주형 솔레노이드 코일(22), 그리고 코어(21)와 코일(22)의 내부 직경내에 있는 인도슬리브(23)들을 포함하는 환상의 솔레노이드를 구성한다. 그 솔레노이드는 나사(2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나사(17)에 의해 케이스(1)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나사(24)는 또한 솔리노이드의 상부면을 덮는 단열판(25)를 지지한다. 단열판(25)는 인도슬리브(23)의 중앙입구와 동축 정열된 중앙부의 홀(26)을 가진다. 또한 스프링(27)은 상부캡(5)을 지지해 주기 위해 판(25)에 죄여져 있다.
자성물질로 만들어진 플란저(28)는 인도슬리브(23)의 원형입구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튜브(29)에 고정된 디스크(30)을 받는 리세스와 동축 튜브(29)를 받는 보어를 가진다.
축 튜브(29)의 하부 끝은 캔(3)의 입구 안으로 뻗어있다. 축튜브(29)의 상부 끝에는 노즐 튜브(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플론과 같은 플라스틱물질로 만들어진 부싱(32)에 의해 인도된다.
플란저(28)와 축튜브(29)는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축튜브(29)의 하부 끝은 캔(3)의 밸브에 위치한다. 플란저(28)가 머무는 디스크(30)는 축 튜브(29)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플란저(28)의 수평면이 솔레노이드 코어(21)의 수펑면 보다 높게 위치한다.
단열판(25)의 상부면에 위치한 금속판(33)은 금속 환상가열 장치(34), 금속판(33)과 가열장치(34) 사이의 가열요소(35)을 위한 지지체로 작용한다. 가열장치(34)는 주위 단열물질(36)로 쉽게 단열되는 전기저항을 가지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열요소(35)를 구성한다. 가열장치(34)는 노즐튜브(31)과 동축 정렬된 입구(37)를 갖는다. 금속판(38)과 입구(37) 내로 뻗은 슬리브 형태의 돌출부 및 원주형 림은 홀(40)이 있는금속디스크(39)를 지지한다. 금속판(38)과 금속디스크(39)는 그들을 간단히 위로 올려줌으로써 제거할 수있다.
제1,2도에 따르는 기계장치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박스(2)내의 전자 제어회로로 부터의 각 지시에 대하여 솔레노이드 코일(22)은 활성화되고 플란저(28)를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플란저는 축 튜브(29)를 움직이고 이는 캔(3)의 밸브를 박스(2) 내의 전자 제어회로에서 정해긴 시간간격 동안 아래쪽으로 열어지도록 해준다. 밸브가 열려있는 동안에 캔(3)이 함유된 물질이 그로부터 나와서 축튜브(29)와 노즐튜브(31)를 통해 추진된다. 노즐튜브(31)로 부터 나오는 물질은 금속디스크(39)에 의해 굴절되어 가열된다.
공기와 휘발성분을 함유하는 추진 가스는 가열판(39)의 홀(40)을 통해 계속 이탈되어 기계장치 주위의 공기중으로 분산된다.
비 휘발성 성분은 금속디스크(39)에 축적된다. 축적된 성분은 캔 밸브의 작동의 중지없이 점차 증발되고 가열요소(35)로의 전류의 공급은 기계장치가 사용되는 한은 계속된다. 이들 점차 증발되는 성분은 주위로 이탈되어 캔(1)의 아래쪽 입구(4)를 통하여 들어오는 자연 공기에 의해 그 흐름이 증폭된다.
가열되고 금속디스크(39)에 의해 분산되는 물질의 잔류물은 그 판에 붙어있어서 장치를 오래 사용한 뒤에는 불편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특히 그 잔류물이 독성을 가진 것이면 캔(3)이 새것으로 교체될며 금속디스크(39)의 교체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제4도에 따르면 교체 패키지(41)은 가압충만캔(3)은 물론 제2도의 금속판(83)과 금속디스크(30)를 구성한다. 금속 판(38)은 캔(3)의 출구부분에 끼워지고 금속디스크(39)는 금속판(38) 내로 설치된다.
플라스틱이나 금속캡(42)는 그 손실이나 손상을 막기 위해 금속판(38)과 금속디스크(39)를 포함하는 캔(3)의 상부부분에 맞춰져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상부캡(5)은 케이스(1)로 부터 제거된다. 금속디스크(39)와 금속판(38)도 제거된다. 다음에 래치(16)는 빈캔(3)을 자유로이 해주기 위해 회전된다. 패키지(41)로 부터 킹(42)을 제거하고 패키지(41) 내의 캔(3)으로 부터 금속판(38)과 금속디스크(39)를 제거한 다음 그 캔이 케이스(1) 내로 삽입되어 반대쪽으로 래치(16)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안에서 지지된다. 금속판(38)과 금속디스크(39)는 다음에 가열장치(34) 위에 놓이고 상부캡(5)은 다시 케이스(1)에 놓여진다. 코드(11)를 교류전원에 다시 연결한 다음 그장치를 다시 선택스위치(9)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에 맞게 즉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캔(3) 내부의 물질을 분산만시키고 가열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금속판(38)과 금속디스크(39)를 제2도의 가열장치(34)에 끼우지 않으면 된다.
캔(3)내의 물질은 액체나 고체이다. 캔(3)은 또한 다른 형태의 밸브를 가질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플란저(28)가 캔 밸브의 튜브 형성부분에 부착되도록 조정될 것이다. 게다가 팬(3)은 가압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공지의 펌프가 케이스안에 삽입된 캔이나 용기의 입구 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그 펌프는 솔레노이드(21), (22)에 의해 작동된다.
본 장치는 캔(3)으로부터 나오는 물질의 가열로 인하여 보다 많은 양의 작용제가 증발되며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보다 적은 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 장치의 효과는 그 설치장소의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장치 자체에는 밸브가 없기 때문에 통상적인 난점이 해결되어 있는 셈이다.
제 5-8 도는 박스(2) 내의 제어회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a) 가열장치(34)의 온도와 가열금속판(39)의 온도를 제어한다.
(b) 솔레노이드 코일(22)에 공급되는 연속적인 펄스 사이의 선태적인 시간 간격을 제공해 준다.
(c) 솔레노이드 코일(22)에 공급되는 펄스의 다양한 길이를 제공하여 주므로 가열장치(34)와 주위로 공급되는 물질의 양을 다양하게 하여준다.
제5도는 220볼트 50Hz의 교류에 연결되는 두개의 입력 터미널 VP와 VN을 보여주고 있다. VP와 VN은 콘덴서(5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주 리이드 중의 하나는 제어회로의 공통 그라운드로 작용한다. 퓨즈(52)를 통해 터미널 VN과 연결된 그라운드는 VN으로 지시되어 있다.
제5도의 가열장치는 두개의 저항가열 요소(53)과 (54)를 가진다. 이는 제2도의 가열요소(35)에 해당되는 것이다. 두 가열요소(53)과 (54)는 정류기(55)를 통하여 터미널 VP에 연결되어 있다. 개개 회로를 폐쇄하려면 가열장치(53)는 제너 다이오드(56)을 통하여 터미널 VN이 연결되고 가열장치(54)는 트리악 반도체스위치(57)를 통하여 터미널 VN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류는 계속 가열요소(53)으로 흐르는 반면에 가열요소(54)내의 전류는 스위치(57)에 의해 개폐된다.
제어다이오드(56)의 전압은 저장콘덴서(58)로 인하여 일정하다. 제어다이오드(56)은 이를 테면 56 볼트로 선택된다. 일정 전압은 또한 일련의 저항(59)와 콘덴서(60)에 의해 정류되어 다음의 각 회로에 일정한 음의 직류 공급전압 VS를 공급하게 된다. 제어다이오드(56)에서의 직류 전압은 스위치(57)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스위치(57)의 게이트는 저항기(61)를 통해서 제어다이오드(56)에 연결된다. 온도 감용 저항기(62)는 제2도의 가열장치(34)와 열적으로 접촉된다. 저항기(61)는 저항기로 온도 감응 저항기(62)로 낮추는 것과 필터 저항기로서의 두가지 목적을 지닌다. 저항기(61)과 (62)의 조합은 가열장치(34)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트리악(57)로 전압을 공급해 주는 온도 감응 전압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22)에의 전류의 공급은 정류기 브러지(64)와 스위치(65)의 조합에 의한 교류 터미널 VP와 VN으로 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정류기 브리지(64)는 스위치(65)가 조절전압이나 트랜지스터(66)으로부터의 전류에 의해 켜질경우에 주전압의 양극의 반파장에 대하여 솔레노이드 코일(22)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여 준다. 저장 콘덴서(67)은 정류기 브리지(64)로 부터의 직류전류를 부드럽게 하여준다. 일련의 저항기(68)는 솔레느이드 코일(22)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며 다이오드(69)는 코일(22)로 부터의 역전류를 유지시켜 준다.
트랜지스터(66)에 대한 시간신호는 두개의 펄스 계수 집적회로(70)과 (71)에 의한 주 교류전압으로 부터 유도된다. 선택기(73)과 (74)는 정지와 작동시간의 길이를 선택하는 양상을 제공하고 있다.
집적회로(70)는 형태번호 4024로 시판되는 CMOS형 집적회로와 같은 일곱개의 계수단계를 가지는 계수기이다. 이는 또한 터미널 CL,R, 공급전압에의 연결을 위한 두개의 터미널 VS와 VN, 그리고 각 계수단계의 출력터미덜 Q1‥‥Q7을 가진다. 진동수가 50Hz인 주 전압은 저항기를 통해서 입력터미널 CL로 공급된다. 따라서 터미널 Q1에서의 출력펄스는 진동수가 25Hz이며 Q2는 12.5Hz, Q3는 6.25Hz 등이다. 26으로 나뉜진동수 50Hz를 가지는 펄스를 유도하는 터미널 Q6은 빛 반사다이오드(77)에 연결된다.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0)의 출력터미널 Q2‥‥Q7은 이동 가능한 접촉암 ×를 가지는 6위치 1극 선택기인(73)의 스위치 터미널 A‥‥F에 각각 연결된다. 출력터미널 Q2‥‥Q7과 스위치 터미널 A‥‥F 사이의 연결라인에는 연결라인 중의 하나와 각기 접촉되어 있는 터미널쌍 A'‥‥F'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터미널쌍 A'‥‥F'에 또다른 터미널쌍 Y와 Z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 A'‥‥F'와 Y 및 Z는 제5도에 보인 회로판에 다른 전자요소들과 같이 나타나 있다. 선택장치(73)는 제1도의 시간간격 선택 스위치(9)에 해당된다.
선택장치(73)의 이동 가능한 접촉암 × 는 펄스 카운팅 접적회로(71)은 4020번 형태로 시판되는 CMOS형 집적회로 이다. 29,210, 및 212의 계수비를 제공하는 출력터미널 Q9,Q10및 Q12만이 제5도에 나타나있다.
멀티플 게이트 집적회로(72)는 세개의 분리된 AND 게이트를 구성하는데 그중 두개는 제5도의 장치에서 사용된다. 각 AND 게이트 G1과 G2는 세개의 입력터미널 G11와 G21들을 가지며 각기 하나의 출력터미널 G10와 G20등을 갖는다. 첫번째 AND 게이트 G1의 세개의 입력 터미널 G11는 각기 펄스 카운팅 검적회로(71)의 터미널 G9,G10및 G12에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G1의 출력터미널 G10는 저항기를 통해서 트랜지스터(66)의 기저부에 연결되어 있다. 두번째 AND 게이트 G2의 두 입력터미널 G21는 각기 선택장치(74)의 터미덜 Y와 Z에 연결되어 있다. 세번째의 입력터미널 G21는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1)과 (70)의 터미널 R이 공급되는 신호의 근원을 형성한다. 멀티플 게이트 집적회로(72)의 AND게이트의 개략도가 제6도에 나타나 있다.
제5도의 시간조절회로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길이 P인 필스신호가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1)의 입력터미널 CL에 공급되면 터미널 Q9,Q10및 Q12에서의 펄스신호는 각기 Pㆍ29, Pㆍ210및 Pㆍ212의 길이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길이의 합(CP-5632)에 해당되는 시간간격 후에 AND게이트 G1의 출력에서 신호가 나타날 것이다. 지금 접촉암 ×가 A위치에 있다면 집적회로 계수기(71)의 터미널 CL로 공급되는 펄스신호의 길이는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0)의 입력터미널 CL로 공급되는 50Hz신호로 되는 관점에서 보아 40밀리초이다.
따라서 AND게이트 G1에서 출력신호가 나타나서 40.5632밀리초 후에(또는 약 225초나 3 3/4분 후에)트랜지스터(66)에 공급될 것이다. 만일 접촉암 ×가 B 위치에 있다면 간격길이는 7 1/2 분일 것이고 F 위치에 있다면 2시간 일것이다. AND 게이트 G1과 트랜지스터(66)에서 나타나는 출력신호가 전도로 제어된다면 접촉암 ×의 위치에 의해 선택된 간격의 끝에 가서 스위치(65)는 커질 것이고, 직류전류가 솔레노이드(22)를 통해서 캔(3)의 밸브를 열게할 것이다.
솔레노이드(2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지속의 결정은 게이트G2의 작용을 통해 얻어진다. AND 게이트 G2의 세개의 입력 G21에서의 신호가 존재한다면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0)과 (71)의 터미널 R에 공급되는 신호는 AND 게이트 G2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AND 게이트 G1의 입력에서의 그러한 상태는 AND 게이트 G1에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에, 그리고 터미널 Y와 Z가 각기 연결되어 있는 터미널 A'‥‥F'에서 나타나는 펄스신호의 길이의 합에 해당되는 간격이 소멸되는 경우에 있어난다. 집적회로 계수기(70)의 출력 터미널Q2‥‥Q7으로 부터의 펄스신호가 0.08초와 2.56초 사이의 길이를 가질 경우에 터미덜 Y와 Z 의 A'‥‥F'들과의 모든 가능한 연결이 다음표에 나타나 있다.
[표 1](단위는 초)
Figure kpo00001
위 표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22)이 작동되고 캔(3)의 밸브가 열리는 기간의 시간은 최소 0.08초와 최대 3.84초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분산되는 물질에 따라서, 캔(3)의 밸브의 구조이 따라서, Y, Z와 A'‥‥F' 간의 연결에 따라서, 그리고 다른 빈수들에 따라서 시간간격이 선택된다. 선택장치(74)의 그러한 반 영구적인 설정과는 반대로 선택장치(73)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만일 교류진동수 60Hz가 50Hz 대신 사용된다면, 그리고 솔레노이드 코일(22)의 연속적인 작동의 간격이 선택장치(73)의 다른 위치들에서 요구된다면 집적회로(71)과 (72)간의 다른 연결회로가 제 7,8도에 보인것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경우에 있어서는 집적회로 계수기(71)의 출력터미널Q5,Q6,Q9,Q11및 Q12와 멀티플 게이트 집적회로(72)이 포함된 세개의 게이트 G1,G2및 G3가 모두 이용된다.
AND 게이트 G1의 세개의 입력 터미널 G11는 각기 출력터미널 Q5,Q6및 Q12에 연결 된다. 두개의 입력터미널 G21은 각기 Q9과 Q11에 연결된다. AND 게이트 G2의 세번째 입력터미널 G2는 AND 게이트 G1의 출력터미널 G10에 언결된다. AND 게이트 G2의 출력터미널 G20는 저항기(75)에 연결되어 그를 통해서 트랜지스터(66)의 기저부에 연결된다. 두개의 입력터미널G31각기 제5도에 보인 선택장치(74)의 터미널 Y와 Z에 연결 된다. AND 게이트 G3의 세번째 입력터미널 G31는 AND 게이트 G2의 출력터미널 G20에 연결된다. AND 게이트 G3의 출력터미널 G30는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0)과 (71)의 터미널 R에 연결된다. 펄스들은 제5도에서와 같이 선택장치(73)의 접촉암 ×로 부터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1)의 입력터미널 CL에 공급된다.
앞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해서 출력터미널 Q5,Q6,Q9,Q11및 Q12에서의 시간간격의 총합, 즉 P.6752후에 AND 게이트 2의 출력에시 신호가 나타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치 A내의 접촉암 ×와 함께 길이가 33.33 밀리초인 신호가 펄스 카운팅 집적회로(71)의 입력터미널 CL 에 공급될 것이다. 따라서 AND 게이트 G2에서 출력신호가 나타나서 33.33.6752 밀리초 후에 트랜지스터(66)로 공급된다.
솔레느이드 코일(22)을 통한 전류의 지속은 앞의 표에 보인 값들과는 다소 다를 것이다.
앞서의 기술은 첨부된 도면과 마찬가지로 보기로든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얼마든지 다른 장치와 변형들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증발에 의해 물질을 주위 대기로 분산시키는 데 있어서, 그 물질을 지니는 압력 캔(3)이 들어가는 케이스(1)와 그 케이스 내의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래치(16), 상기의 물질이 그 용기로 부터 선택가능한 시간간격을 두고 미리 정해둔 길이의 시간동안 주위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용기에 착탈 가능케 연결된 솔레노이드코어(21)와 환상의 솔레노이드 코일(22)와 축방향 축튜브(29), 적어도 하나의 금속디스크(39)을 가지는 환상의 가열장치(34)와 금속디스크(39), 상기의 물질을 그의 용기로 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열 표면 위로 유도하여서 증발되도록 하기 위한 축방향 축튜브(29)와 노즐 튜브(31), 그리고 증발된 물질이 상기의 가열 표면됨으로 부터 주위 대기로 분산되게 하는 구멍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는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KR1019810001335A 1981-04-18 1981-04-18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KR84000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335A KR840002227B1 (ko) 1981-04-18 1981-04-18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335A KR840002227B1 (ko) 1981-04-18 1981-04-18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89A KR830004889A (ko) 1983-07-20
KR840002227B1 true KR840002227B1 (ko) 1984-12-06

Family

ID=1922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335A KR840002227B1 (ko) 1981-04-18 1981-04-18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2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89A (ko) 198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5797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material into the atmosphere
US3187949A (en) Spray dispenser for pressurized liquid having timer control
CA2337738C (en) Variable temperature vaporizer
US6969008B2 (en) Point of purchase fragrance sampling
US3993444A (en) Intermittent time controlled vapor dispensing device
US5029729A (en) Method of dispensing vapor to the air in a room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686352A (en) Electronic pressing iron
US2714649A (en) Vaporizer
US4734560A (en) Vaporizing unit
US20040071456A1 (en) Variable temperature vaporizer
US5133044A (en) Portable humidifier
US4658985A (en) Method of dispensing vapor to the air in a room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EP0511853A2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US20040247301A1 (en) Multi-fragrance scent dispenser
EP0296807A2 (en) Aroma diffuser assembly
US464169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utomatic cup-filling control
JP2008544834A (ja) Ehdエアゾール分配装置および噴霧方法
US5131070A (en) Portable humidifier
KR840002227B1 (ko)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장치
US34762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s
US3911974A (en) Balloon dispensing and filling machine
US2540095A (en) Vapor dispenser
US5143460A (en) Portable humidifier
US6275651B1 (en) Apparatus for emitting scents
US4155001A (en) Electrode-type vapo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