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99Y1 - 전환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환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99Y1
KR840002199Y1 KR2019840000825U KR840000825U KR840002199Y1 KR 840002199 Y1 KR840002199 Y1 KR 840002199Y1 KR 2019840000825 U KR2019840000825 U KR 2019840000825U KR 840000825 U KR840000825 U KR 840000825U KR 840002199 Y1 KR840002199 Y1 KR 840002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s
connector
carri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알 캘카 제임스
앨런 월터 제리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페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90,149 external-priority patent/US4470655A/en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페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페니
Priority to KR2019840000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환 코넥터
제1도는 코넥터의 부품들 및 배열을 도시한 전개 투시도.
제2도는 접점 캐리어 부분의 부분적인 투시도.
제3도는 절연용기부분의 부분적인 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코넥터가 조립된 부분적인 종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코넥터가 조립된 부분적인 횡단면도.
제6도는 다른 형태의 접촉자의 정면도.
제7도는 다른 형태의 접촉자의 측면도.
제8도는 제4-7도의 접촉자에 있는 고정장치의 평면도.
본 고안은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치 혹은 간격이 다른 다중 도체용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케이블은 다양한 피치가 있으며, 이같은 케이블이나 혹은 피치가 다른 코넥터를 가진 케이블의 도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가 설명되었다. 한 케이블의 피치가 다른 케이블의 피치의 반이되는 경우에 미합중국 특허 제3,777,299호의 어댑터가 유용하다.
한 케이블의 피치가 다른 케이블의 피치의 배수가 되지 않는 좀더 일반적인 경우를 위해, 미합중국 특허 제3,990,767호와 제4,147,399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코넥터가 제시되었다. 전자에서는 일련의 동일한 양단을 가진 접촉자를 사용하여 그 두 단부는 힌지가달린(hinged)견고한 평형판들에 의해 연결되며, 한 셋트의 단부는 다른 셋트의 단부와 축방향 배열에서 점차로 분리되어서 원호상의 통로를 따라 끝난다. 미합중국 특허 제4,147,399호의 구조에서, 두 셋트의 단부가 평평한 통로를 따라 끝나지만 접촉자는 동일하지 않다.
본 고안은 최대의 효율 및 가장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이 될 수 있고 코넥터 조립시에 오차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동일한 접촉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두 셋트의 접촉자 단부가 평평한 통로를 따라 종단되므로 단자의 부적합한 길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접촉자에서 완전한 전기적 접촉을 보장한다.
이들 장점과 다른 장점들은 코넥터트스트랩(strap)이 단부의 필요한 단을 짓는데 필요한 정도로 변형을 허용하면서 접촉자의 2개의 단자를 지지하는 절연 지지장치와 함께, 두 단자사이에 변형가능한 납작한 스트랩을 가진 접촉자에 의하여 얻어진다. 이 모든 것은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코넥터는 하부 셀과, 하부 절연체(12), 홈통모양의 절연용기(14), 절연접촉자 캐리어(16) 다수의 접촉차(18), 상부셀(20), 절연카버(22), 항 응력 스프링 클램프(strain relief spring clamp)(24) 및 유지클립(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부품중의 어떤 것은 다른 도면과 연관하여 더 자세히 도해되고 설명된다. "상부"와 "하부"라는 지칭은 편의상 붙인 것이며, 단지 도면에서의 위치를 가리키기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제1도의 코넥터를 조립할 때, 접촉차(18)은 제일 처음 절연캐리어(16)에 붙여져서 고정되며, 그 다음에 홈통모양의 용기(14) 내부로 삽입된다. 클립(26)이 합쳐진 것에 붙여지고 그 전체가 상부셀(20)에 삽입된다.
하부 절연체(12)는 모서리 리지(121)이 하부셀의 내부 모서리에 대하여 누르고 절연체의 맨 위가 상부조립체의 저면에 고정되게 하부셀(10) 안으로 삽입되어 이 2개의 셀이 함께 채워진다. 적절한 평형 케이블에 부착하는 것은 이 케이블을 코넥터의 상부표면과 카버(22)의 하부 표면 사이에 압축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설치하기 위해서 케이블은 카버의 상부에 되접혀지고, 그 다음에 스프링 클램프(24)가 붙여져서 케이블을 확고히 제자리에 유지한다.
캐리어(16)은 제2도에 더 명백하게 도시되며, 일반적으로 I-비임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두 세로 모서리를 따라 중심 채널(169)를 형성하는 계속되는 상부 오우버행(162)와 톱날모양의 하부 오우버행(164)을 가지고 있다. 하부 오우버행의 각 톱날(166)상에 중심비임내의 구멍(168)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목적은 다음에 설명한다.
홈통모양의 용기(14)는 상부의 내부 두 모서리를 따라 노치(142)에 단이지어 있고 저면(144)는 그에 따라 구멍(146)이 있다. (제3도 참조). 측벽들에는 그 단부근처에 홈(148)(제1도)이 파져 있어서 캐리어(16)과 카버(22)의 적절한 모양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립(26)의 아암(261)을 수납하며 카버의 돌기들(221)이 클립의 슬롯(262)내에 끼워진다. 슬롯(262)의 하부는 또한 사용될 때 클램프(24)의 구부러진 모서리(242)를 수납한다. 용기(14)의 상부 외벽 모서리의 기다란 돌기들(150)은 상부셀(20)의 눌려진 측벽에 놓이고, 이 셀의 코어너 프레이스(201)은 용기(14)와 캐리어(16)의 상부 코오너를 눌러서 절연부품들을 함께 단단히 지지하며 셀내부에 유지한다.
제4도와 5도에 상세히 도시된 접촉자(18)의 형태는 와이어의 도체와 핀 혹은 숫 접촉부사이를 접속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같은 목적을 위해, 접촉자에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189,863호와 제3,444,506호에 설명된 상부의 두갈래로 갈라진판 혹은 U-접속단자(181)과 하부의 분리된 튜우브형 소켓 혹은 암단자(182)가 포함된다. 이 둘은 사이에 납작한 변형 가능한 스트랩(183)을 끼워서 함께 연결된다. 두 갈래진 판(184)은 스트랩의 접합부와 단자중의 하나의 부근에서 부터 그리고 스트랩의 폭을 가로넘어 연장된다.
튜우브형 단자(182)는, 판(184)가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스트립(185)를 통하여 스트랩(183)과 결합한다. 스트립(185)는 튜우브형 단자 상부의 원호형에서 고정판(184)와의 접합부에서의 납작한 모양으로 쉽게 변하도록 원호형 결갑부(186)에서 중심이 좁게 되어 있다. 스트랩(183)의 하단은 슬롯(166)내에 알맞게 고정된다. 이 단자는 튜우브형 단자(182)의 상부가 톱니(164)의 바닥과 접촉되고 판(184)와 스트립(185)의 고정효과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단단히 고정된다. 이들 접촉자의 중요한 특징은 이들이 하나의 납작한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판(184)는 구멍(168) 안으로 삽입된다. 두 갈래로 갈라진 구조에 의해 판은 삽입중에 약간 압축되며 그 다음 고정부 미늘(187)이 판을 구멍내에 단단히 보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여러개의 접촉자는 계속되는 조작중에 캐리어(16)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튜우브형 단자(182)는 용기(14)의 바닥(144)에 있는 구멍(146)을 통해 삽입되고 하부 절연체(12)의 대응하는 구멍(122)내에 놓여서 약간 수축된 개구(123)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다.
U-접촉자(181)은 용기(14)의 내벽에 있는 노치(142)와 상부 오우버행(162)의 외면에 끼워진다. U-접촉자의 하부 모서리는 단이진 부위의 하면에 놓이고, U-접촉자가 부착되는 스트랩(183)의 상부연장부는 오우버행의 하면에 놓여서, U-접촉자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단자(181)과 (182)를 연결하는 변형가능한 혹은 잡을 수 있는 스트랩(183)은 채널(169)내에 놓이며, 인접한 접촉자와 접촉되지 않고 자유롭게 접혀지도록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카버(22)는 캐리어(16)에 인접한 면에서 그리고 노치(14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방된 슬롯모양의 구멍(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안으로 접촉자(181)이 연장된다. 이 구멍은 접촉자의 납작한면에 밀접되게 끼워지지만 접촉자가 케이블이 와이어에 접촉될 때는 접촉자가 필요한 정도로 모서리쪽으로 확장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필요하면 접촉부위에 시험탐침을 넣을 수 있게 하는 시험구멍(223)이 있어도 된다.
카버(22)의 하부표면은 또한 다수 도체의 평행 케이블의 세로 리지와 홈에 대응하는 리지(225)와 홈(226)이 교대로 횡단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 도해한 바와 같이, 카버에는 또한 코어너 브레이스(201)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계진 단부(224)가 마련되고, 사이에 끼워지는 세로 거리는 연결할 평형 케이블의 폭과 같아진다. 카버의 케이블이 접촉하는 표면위에 얇은 층의 압력에 민감한 접착제를 부가하는 것이 때로는 도움이 되어서, 특히 코넥터를 케이블에 붙이는 동안에 고착 특성을 더해주는데 유용하다.
전환 코넥터에 있어서, 상부단자의 피치 혹은 간격은 하부단자와 다른 것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지금 설명한 코넥터의 U-접촉자는 튜우브형 접촉자보다 서로 더 가까웁거나 혹은 더 멀리 떨어져 있어도 된다.
케이블 및 하나의 핀 혹은 튜우브 코넥터와 모두 효과적으로, 단자들은 평행 평면 즉 캐리어(16)의 평행한 상부 및 하부면에 수직하여야 한다. 상부 단자의 선단은 평형케이블과 적절한 접속을 보장하도록 납작한 평면에 놓여야 한다. 튜우브형 혹은 핀 형단자의 선단 역시 상대된 혹은 튜우브 코넥터와 제대로 접속되고 튜우브나 핀의 부적당한 길이를 필요로하지 않고 접속되도록 납작한 평면에 놓여야 한다. 이들 여러 필요조건이 본 고안에서는 충족되는 것이다.
보통 중앙의 접촉자는 그 2단자를 동일축상에 놓이게 배열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하부단자의 피치가 상부단자의 피치보다 더 크다고 가정하면, 단자의 선단을 평면으로 위치시키는데는 그 중앙 접촉자에서 접촉 스트랩을 최대로 접거나 변형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그곳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접촉자에서는 최초로 접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는 것은 명백하다. 단자의 중간정도에 상대적 이동과 스트랩을 접는 것이 제4도에 도해되어 있다.
제6도와 제7도의 접촉자(19)에서 핀 혹은 숫단자(192)가 접촉차(18)의 분리된 튜우브형 단자(182)를 대신하며, 나머지 부품은 동일하다.
핀형 단자가 사용 되는 곳에서는, 하부 절연체가 없어지며, 하부셀(10)은 더 큰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 셀(10)의 종속부주위에 밀접하게 끼워지는 혹은 암 또는 튜우브형 단자를 가진 유사크기의 또 다른 셀(도시되지 않음)로서 대체된다.
본 고안에서 도시한 예에서, 상기 설명된 코넥터는 상부 U접촉자와 하부 튜우브형 단자가 12개 소자와 13개 소자의 2개의 평행한 열에 제각기 놓이는 총 25개의 접촉자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열은 4.9㎜이격되어 있고, 단자들은 각 열에서 중심에서 중심까지 2.5㎜이격되어진다. 하부열은 2.85㎜이격되어 있고, 각 열에서 단자는 중심에서 중심까지 2.8㎜이격되어져 있다. 본 장치는 폭이 31.75㎜이며 특히 1.27㎜의 피치(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간격)의 25개의 NO. 28 B & S 게이지 와이어와 표준 핀형 1.37㎜피치의 코넥터 사이의 전환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상세 설명을 비추어 볼 때, 다른 피치의 표준핀형 혹은 튜우브형 코넥터들간의 상호결속은 물론 2케이블 사이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같은 원리를 실시한 전환 코넥터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이같은 모든 변화에 있어서, 피치의 변화는 일군의 동일한 접촉차로서 그리고 각 형태의 모든 단자의 연장된 길이가 동일한 구조에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양태
[예 1]
지지부가 필수적으로, 톱니모양의 하부 모서리를 가지며 구멍뚫린 바닥과 다단의 상부내부 모서리를 가지는 외부 홈통모양의 용기내에 끼워지는 내부의 평평한 본체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모서리의 톱니부분은 상기 하부 단자를 수납하는 제2의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하부단자는 상기 용기의 바닥에 있는 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캐리어 본체는 그 모서리를 따라 채널이 만들어져서 상기 접촉자의 변형가능합 납작한 스트랩을 위한 자유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코넥터
[예 2]
캐리어 본체에는 상기 톱니부분에 인접하게 모서리 구멍이 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멍에 보유되는 예 1의 전환 코넥터
[예 3]
상부 단자들은 두갈래로 갈라진 판의 U-접촉자이면 상기 하부단자들이 튜우브형으로 되는 예 2의 전환 코넥터
[예 4]
접촉자가 상기 용기의 노치내에 포함되며 상기 하부단자는 상기 바닥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예 3의 전환 코넥터
[예 5]
하부 단자들이 숫단자가 되는 예 4의 전환 코넥터
[예 6]
하부 단자들이 암단자이며 그 단자를 둘러싸는 구멍뚫린 절연체를 포함하는 예 4의 전환 코넥터
[예 7]
상부평면에 끼워지고 상기 U-접촉자를 수납하도록 슬롯트가 파진 카버부분을 포함하는 예 3의 전환 코넥터

Claims (1)

  1. 평행한 상부 및 하부 평면을 가진 지지 캐리어와, 다수의 동일한 접촉자를 가진 전환 코넥터에 있어서, 접촉자(18)의 각각은 상기 캐리어(16) 상면에서 수직으로 공통된 거리로 연장한 상부단자(181)와, 캐리어(16)의 하면에서 공통된 거리로 연장한 하부단자(182,192)와, 접촉자를 캐리어에 고정하는 고정부(184,187)를 구비하고, 상부단자(181)는 소정의 거리로 일정하게 이격되고, 하부단자(182,192)는 상부단자의 이격거리와는 다른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고, 각 접촉자의 상부 및 하부단자들은 하나의 변형가능한 평면형 스트랩(183)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환 코넥터.
KR2019840000825U 1979-11-01 1984-02-01 전환 코넥터 KR840002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825U KR840002199Y1 (ko) 1979-11-01 1984-02-01 전환 코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90,149 US4470655A (en) 1979-11-01 1979-11-01 Transition connector
US90149 1979-11-01
KR1019800004060A KR830004687A (ko) 1979-11-01 1980-10-23 전화 코넥터
KR2019840000825U KR840002199Y1 (ko) 1979-11-01 1984-02-01 전환 코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060A Division KR830004687A (ko) 1979-11-01 1980-10-23 전화 코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99Y1 true KR840002199Y1 (ko) 1984-10-23

Family

ID=2734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825U KR840002199Y1 (ko) 1979-11-01 1984-02-01 전환 코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1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8338B1 (en) Transition connector
US4538873A (en) Connector structure for flat cable
US4743208A (en) Pin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US4460234A (en) Double-ended modular jack
US4039239A (en) Wire slot clip
JP2000048888A (ja) 電気コネクタ
US4784623A (en) Mass terminable flat flexible cable to pin connector
US4660917A (en) Multi-wir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4118095A (en) Wire connecting block
JPS5824908B2 (ja) 電気コネクタ
JPS5553882A (en) Device for connecting flat cable
JPS6016071B2 (ja) コネクタ
US4431248A (en) Flat cable connector
JPS62216185A (ja) コネクタ
US3840840A (en) Flat conductor cable connector
US416359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744772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termination
US4693536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KR840002199Y1 (ko) 전환 코넥터
US4458970A (en)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using such contacts
JPH0338706B2 (ko)
US4504102A (en) Electric connecting system
JPH01239775A (ja) コネクター製造用の表面モールド成形された電気接点
EP0339846A2 (en) Fuse box
US4564258A (en) Preloaded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