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50B1 -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50B1
KR840002150B1 KR1019810000159A KR810000159A KR840002150B1 KR 840002150 B1 KR840002150 B1 KR 840002150B1 KR 1019810000159 A KR1019810000159 A KR 1019810000159A KR 810000159 A KR810000159 A KR 810000159A KR 840002150 B1 KR840002150 B1 KR 84000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ammonium
particulate material
uranium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그왈드 라슨 리챠드
크레이 브래스필드 헨리
Original Assignee
제네랄 일렉트리 캄파니
삼손 헬프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랄 일렉트리 캄파니, 삼손 헬프콜 filed Critical 제네랄 일렉트리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42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 G21C3/58Solid reactor fuel Pellets made of fissile material
    • G21C3/62Ceramic fuel
    • G21C3/623Oxide 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연료 펠릿의 사시도.
제2도는 펠릿 밀도와 미립상 세라믹 혼합물중 특정량의 결합제에 대한 숙성기간에 관련한 연료 펠릿의 인장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미립상의 세라믹 물질을 압착하여 치밀하게 응집된 취급이 용이한 물제로 만들고, 이어서 이를 소결하여 입단화(粒團化)한 단위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특히, 소결, 분쇄, 그리고 최종사용 등과 같은 취급 또는 과정을 거치면서 물리적 강도가 증대함과 동시에 거의 완벽한 미립상의 핵분열성 핵연료 물질의 미소결 또는 예비소결 펠릿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의 핵연료로서 우라늄, 프루토늄 및 토륨의 세라믹 화합물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물질들이 산화우라늄, 산화프루트늄, 산화토륨 및 이들의 혼합물과 함께 사용된다. 원자로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핵연료는 이산화 우라늄이다.
이산화 우라늄은 핵연료로서는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미세하고 통기성이 매우 좋은 분말물질로서 상업적으로 제조된다. 상기 이산화 우라늄은 자유로이 흐를수 있는 분말 물질이 아니라 덩어리와 괴상(傀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하는 밀도로 원자로 튜브내에 충진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상업용 이산화 우라늄 분말 물질은 그 특별한 조성으로 인해 직접 핵연료로서 사용할 수가 없다. UO2는 실제로 그 조성이 UO1·7에서 UO2·25까지 변화될 수 있는 안정한 단상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이산화 우라늄은 일정 성분비의 법칙에서 제외된다. 열전도도는 산소/우라늄의 비율이 증대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산소/우라늄의 비율이 가능한한 낮은 이산화 우라늄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산화 우라늄 분말물질은 대기중에서 쉽게 산화하고 또 수분을 쉽게 흡수하는 관계로 분말 물질중의 산소/우라늄의 비율은 연료용으로 사용가능한 비율을 크게 초과하게 된다.
사실상, 산소/우라늄의 비율이 1.7내지 2.015인 이산화 우라늄이 핵 연료로서 적합하지만, 2.00의 비율이나 2.015정도의 높은 비율이 통상의 소결 작업에서 계속 제조될수 있기 때문에 이 비율이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어떤 경우에는 이산화 우라늄중의 산소/우라늄의 비율을 소결온도에서 2.00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때도 있다. 예를들면, 특별한 제조공정하에서 2.195정도의 높은 산소/우라늄의 비율을 갖는 핵연료를 제조한 다음, 소결된 제품을 환원성 기류내에서 처리하여 원하는 산소/우라늄의 비율을 취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핵연료로서 적합한 이산화 우라늄 분말 물질을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전에,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결합제 및 그 분해 생성물들을 소결전에 완전 제거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결합제를 사용치 않고 분말물질을 특정크기의 원통형 미소결몸체로 다이프레스시키는 것이었다. 결합제 잔유물이 소결된 핵연료 내에 혼입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소결 공정에서, 몸체의 내부 기공율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각 입자들간의 강력한 확산결합을 전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제를 제거하기 위한 예비 소결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한, 유기결합제의 사용은 강한 결합형성을 방해한다.
이같은 결합을 이루기 위해 필요로하는 소결온도 및 보다 높은 치밀화 압력은 필요로하는 기공율을 크게 저하시킨다.
소결 기류는 소결기류에 크게 의존하는 특정의 소결온도에 따라 약 1000℃에서 약 2400℃까지 상승할수 있다. 예들들면, 습성 수소가스를 소결기류로 사용하는 경우, 수증기가 소결속도를 촉진시키는 관계로 약 1700℃정도의 보다 낮은 소결 온도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소결작업은 몸체의 농도를 강화시키고, 또 몸체를 원하는 산소/우라늄의 비율로 떨어뜨리거나 원하는 산소/우라늄의 비율에 근접시키게끔 설계된다.
종래의 유기결합제 또는 플라스틱 결합제는 이들이 소결된 몸체 내부를 탄소등의 불순물로 오염시키는 경향이 있고, 또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제 제거 처리 작업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핵연료의 분말 가공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그 밖에도, 결합제들의 분해에 의해, 이들 결합제 물질들은 가끔 몸체를 소결시키는데 사용된 장치내에 유기물질의 침전물을 남기게 되며, 따라서 장치에 대한 정비 절차를 복잡하게 만든다.
1977년 갈리반에 특허되어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061,700호에는 합성연료 또는 제조 장치를 오염시키지 않고 분말 세라믹기술에 의해 원자로용 핵연료물질인 개량된 소결몸체를 제조함과 아울러, 소결을 통해 기공율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고 소결된 입자들사이에 강력한 결합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곧 사라져 버리는 새로운 일단의 결합제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특허 제4,061,700호에 기재된 일시적인 결합제는 카보네이트 음이온, 바이 카보네이트 음이온, 카바메이트 음이온 및 이들의 음이온 혼합물들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정된 암모늄 양이온 및 음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수화물, 양호하게는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카바메이트, 암모늄 세스퀴 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바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정된 결합제로 구성된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결합제는 핵연료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으며, 이 결합제를 사용하여 결함이 없는 핵연료 물질인 압착된 몸체를 얻을수 있고 동시에 긴 사슬 탄화수소 결합제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강도에 필적하는 인장강도를 얻을수 있다. 또한, 30℃경도의 낮은 온도에서 이들 결합제들이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및 물(H2O)(또는 수증기)로 분해하기 때문에, 상기 결합제들은 핵 연료 물질내에 불순물을 거의 남기지 않는다.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061,700호의 설명과, 본출원의 앙수인에게 또한 양도된 미합중국특허 제3,803,273호, 제3,923,933호 및 제3,927,154호가 모두 미립자 핵분열 세라믹 물질로부터 핵연료 펠릿 또는 몸체를 제조하는 본 분야의 중요한 특징에 제각기 관련되기 때문에 여기서 참조로 모두 언급한다.
비록 상기 특허발명들이 모두 당해 기술분야를 진보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결에 앞서 그러한 미립자 세라믹 핵연료 물질에 대한 미소결 또는 불발화강도, 그리고 강화된 몸체 또는 펠릿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필요성이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임계 미소결 또는 불발화강도 또는 물리적 입단화 등에 기인한 결함 또는 오점으로부터 유래하게되는 높은 불량율 및 생산원가를 절감시킬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발화 전 또는 미소결단계에서, 그리고 그 후에 매우 큰 강도 및 물리적 입단화를 가지는, 상기 특허들내에 기술된 형태인 일시적 결합제들에 의해 미립상 핵분열 세라믹 연료 물질인 미소결 또는 불발화 압착몸체 또는 펠릿과, 이들로부터 유도되는 개량된 제품을 제조하는 빙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특정의 성분 또는 조성물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중간물질을 전체공정중의 연속한 단계 또는 작업에 걸쳐 진행시키는 중요한 숙성 시기를 포함하는 연속제조 공정의 조합을 구성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미립상의 핵연료 물질을 결합제와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핵연료 물질의 이론적 밀도인 약)30%내지 약 70%범위의 밀도를 갖는 미소결 몸체로 제조하며, 이 미소결 물체를 가열하여 거의 모든 결합제를 가스로 분해시키고, 또 상기 몸치를 가열하여 소결 몸체를 제조하고 또 제어된 기류중에서 이 소결몸체를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핵분열성 핵연료 몸체의 형성 및 그 후의 소결 처리에 있어서 불량품이 크게 감소되고 또 물리적 결함이 적은 제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카보네이트 음이온, 바이카보네이트 음이온, 카바메이트 음이온 및 이들 음이온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음이온과 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화로 이루어진 결합제, 양호하게는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모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결합제와 핵연료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치밀하고 점착성이 좋은 구조의 형태로 소결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저하게 개선된 물리적 강도와 압착변형 저항성을 가지고, 물리적 장애 또는 오점이 최소로되며, 또 공장의 제조 공정에 투입할때에 내구력 및 취급 용이성을 갖게 되는 치밀한 미립상 세라믹 물질의 몸체 또는 점착성 펠럿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제조방법의 발명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일시적인 결합제와 혼합된 미립상 세라믹 물질로 부터 견고하게 입단화되거나 또는 접착성을 갖는 단위를 형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미립상 조성물을 압착시켜 치밀한 형태로 만들고 또 이를 소결시키는 것과 같은 이후의 취급 또는 공정을 행하기 이전에 상기 조성의 혼합물중의 일시적 결합제를 숙성 또는 반응시키는 기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 작입후에 주어진 형태나 크기로 분쇄하거나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제조단계 또는 작업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 음이온, 바이카보네이트 음이온, 카바메이트 음이온 및 이들 음이온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음이온과 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그 수화물의 결합제와, 미세한 분말상의 핵연료 또는 세라믹 물질을 혼합하는 공정도 포함한다.
미립상 핵연료 물질은 우라늄, 프루토늄 및 토륨 산화물(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산화우라늄, 산화프루토늄, 산화토륨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세라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원자로 핵연료로서 사용되는 각종물질을 포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핵연료는 산화우라늄, 특히 이산화우라늄이다. 이밖에 핵연료라는 용어는 프루토늄과 우라늄의 산화물의 혼합물과, 산화 가도륨(Gd2O3)과 같은 핵연료 물질에 첨가되는 1개 이상의 첨가제를 의미한다.
이산화우라늄의 사용이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진행시키는데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산화우라늄 분말(또는 입자)은 2.00보다 큰 산소/우라늄의 원자 비율을 가지며, 이 값은 2.25에까지 이를수 있다. 이산화 우라늄 분말 또는 입자 크기는 약 10미크론까지 이르며 또 입자 크기의 하한은 제한받지 않는다.
이와같은 입자 크기는 적정 온도와 적정시간이내에 상업적 규모로 소결을 진행시킬 수 있게 한다. 짧은시간내에 소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약 1미크론 입도까지의 이산화 우라늄 분말을 사용한다. 구매가능한 이산화 우라늄 분말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약 0.02미크론 내지 0.5미크론 범위의 미크론 이하의 작은 입자크기 물질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단독 또는 혼합물 상태로서 결합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로는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암모늄카보네이트,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카바메이트, 암모늄세스퀴카보네이트, 암모늄카바메이트와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핵연료 물질과 혼합하는 경우 이들 결합제와 핵연료 물질은 (NH4)4[UO2(CO3)3], (NH4)6[(UO2)2(CO3)5] (H2O)2]H2O, (NH4)2[UO2(CO3)2(H2O)2], (NH4)3[(UO2)2(CO3)3(OH)(H2O)5], NH4[UO2(CO3) (OH) (H2O)3] 및 UO2CO3H2O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카보네이트계열의 암모늄 유도체를 형성하여 접착이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결합제는 고유특성을 갖는다.
이 결합제는 카보네이트음이온, 바이카보네이트음이온, 카바메이트 음이온 및 이들 음이온, 의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정된 음이온과 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나 이들의 수화물로 주성분을 이루며, 또 이산화 우라늄 분말과 혼합하고, 압착시키고, 또 가열후에 불필요한 불순물을 남기지 않고 소결시킬 수 있도록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아야하며, 이같은 결합제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및 암모늄 카보네이트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구매가능한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는 전혀불순물을 함유치 않으며, 또 구매 가능한 암모늄 카보네이트 또한 전술한 기타 암모늄 화합물 이외에도 불순물을 전혀 함유치 않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열중량 분석결과 환원성기류 UO2소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가열속도에서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와 암모늄 카보네이트의 증발이 완전히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및 암모늄 카보네이트가 분해온도 범위로 가열되는 경우 우수한 속도로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및 물로 분해하며 또 연료중에 오염물질(불순물을 거의 남기지 않으며 또 소결로중에 불필요한 잔유물을 잔유시키지 않는다. 이밖에 핵연료 물질표면상의 결합제 점유 표면적을 최대로하기 위해서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및 암모늄 카보네이트는 400메쉬 또는 그 이하의 작은 입자 물질을 사용한다. 핵연료 물질중의 밀도 저하 기공의 형성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경우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가 결합제로 사용된다.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및 암모눔 카보네이트의 열가소성은 이들 물질을 다이프레스시켜 보통 압착 압력에서 얻을 수 있는 이론상의 밀도의 90%에 달하는 미소결 밀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증명될 수 있다.
핵연료 물질이 첨가되는 결합제의 량은 일반적으로 핵연료 물질의 성형도에 따라 약 0.5내지 약 7.0중량%범위에서 선택된다. 예를들면, 성형이 용이한 이산화우라늄 분말은 결합제 첨가량이 적어도 되는 반면, 성형이 비교적 어려운 분말은 보다 많은 결합제를 필요로하게 된다. 선정한 결합제가 암모늄 카보네이트인 경우 이 결합제의 첨가량은 핵연료 물질의 필요로 하는 소결 밀도에 따라 좌우된다.
핵연료 물질상에 결합제의 결합 능력을 최대로하기 위해서 결합제와 핵연료 물질의 균질 배합을 행한다. 기공성 또는 저밀도를 필요로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합제를 핵연료 물질과 균질하게 배합시켜 결합제의 입단 형성을 방지해야 하는데, 이는 이같은 입단이 소결기간중에 증발하여 소결시킨 핵연료 물질중에 기공을 남겨 소결체로서의 핵연료 물질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다. 혼합후에 결합제의 입단이 핵연료 물질중에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트압연 또는 햄머 압연과 같은 압연공정을 거쳐 입단을 파괴시킨다. 이같이 배합 및 압연된 분말은 저압 다이프레스로 예비 압착을 시킨 다음, 체(sizing screen)를 통해 입상으로 만들어 혼합물의 유동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배합물의 균일도를 최적으로 유지하며 또 비균질성 입단의 생성을 방지하기위해 결합제를, 유동층계(fluid bed system)에 현탁되거나 유동화된 미립상 세라믹 물질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투입하고, 또 여기서 결합제가 세라믹 연료물질 입자에 거의 균일하게 분산될때까지 유동화 배합을 계속시킬 수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같은 성분들의 첨가 및 혼합을 위한 바람직한 유동층계는 1979탄 10월 30일자의 미합중국특허 제4,172,667호와 1979년 9월 25일자의 미합중국특허 제4,168,914호에 기술되어 있다.
결합된 미립상 결합제와 세라믹 물질은 균질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취급이 보다 용이한 소형 입단의 배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약 01분 이상에 걸쳐 배합을 계속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같은 미립상 세라믹 물질과 상술한 결합시 성분과의 배합물은 미립상 혼합물을 압착시켜 폘릿과 같은 입단화되거나 또는 치밀한 점착성 물질이나 몸체로 만들고, 또 이같은 입단화 몸체를 소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제조공정이나 단계를 진행시키기 이전에 거의 정지 상태에서 48시간이상, 양호하게는 72시간 이상을 숙성시켜 얻게된다.
정의된 형태 또는 조성의 결합제는 이 숙성기간중 어느 정도의 분해 반응을 일으켜서, 세라믹 입자상에 선구물질에 의해 얻을 수 있었던 결합력 보다 훨씬 더 우수한 결합력 증대 효과를 제공하는 생성물로 변환된다.
이 숙성기간 또는 휴지기간이 종료한 후에는, 미립상 핵 연료 물질과 결합제의 숙성 혼합물은 압착법(특히 다이프레싱)과 같은 수많은 기술을 사용하여 미소결몸체, 일반적으로는 실린더형 펠릿으로 제조될수 있다. 특히, 이 혼합물은 취급하는데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짐과 아울러 소결후에는 원자로 규격에 합치되는 크기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압착된다. 핵연료 물질내에서의 본 발명의 결합제의 숙성은 미소결 몸체의 강도 입 단화를 크게 개선시킨다. 미소결 몸체는 이론치의 약 30내지 70%범위의 밀도를 갖게 되지만, 통상적으로는 이론치의 약 40내지 60%범위의 밀도를 가지며, 이론치의 약 50%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미소결 몸체는 제조 공정에 따라 좌우되는 기류중에서 소결시킨다. 특히, 상기 기류는 이산화 우라늄핵연료 제조시에 이산화우라늄을 단독으로 소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류이며, 또한 결합제 성분의 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와 양립할 수 있는 기류이어야 한다. 실제로 불활성기류, 환원기류(예를들면, 건조수소), 또는 평형상태에서 이산화 우라늄이 필요로 하는 산소/우라늄 비율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산소 부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가스 혼합물(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872,022호에 기술된 수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조정기류와 같은 각종 기류가 사용될 수 있다.
소결 온도까지 가열되는 속도는 소결 온도가 도달하기 이전이 부산물 가스가 어떠한 속도로 제거되느냐에 크게 좌우되며, 또 일반적으로 이는 로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속과 로내 물질의 량은 물론 로내부의 균질성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소결기류중에서 사용되는 가스 유속과 거의 동일하게 로를 통과하는 가스 유속을 유지함으로써 소결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결합제 물질의 분해로 발생되는 가스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결합제 물질을 분해하고 또 증발시키기 위한 가열 속도가 시간당 약 50℃내지 약300℃인 경우에 가장 좋은 결과를 얻게된다. 결합제 물질의 분해가 종료되고 또 부산물 가스가 로에서 거의 제거된후에, 필요하다면 가열속도를 단위시간당 약 300℃내지 500℃, 또는 800℃까지 증대시킬수도 있으나 소결몸체에 금이갈 정도로 급히 가열해서는 안된다.
소결이 종료되면 통상적으로 소결몸체는 실온으로 냉각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소결몸치의 냉각 속도는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소결몸체에 금이 갈 정도로 급히 냉각해서는 안된다. 특히, 상용의 소결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냉각 속도와 동일한 냉각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냉각 속도는 단위시간당 100℃내지 약 800℃의 범위이며, 일반적으로는 단위시간당 약 400℃내지 600℃의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소결된 이산화우라늄 몸체는 이릍 소결시킨 기류와 동일 기류내에서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라믹 연료물질 소결 몸체의 밀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할때에 우라늄 선구물질 또는 암모륨 옥살레이트같은 기공 형성제를 연료 물질에 첨가시킬 수 있다. 기공 형성제를 사용하는경우 이는 균일한 미세 입상으로 만들어서 미립상 세라믹 물질과 사전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됨과 아울러 개선된 강도와 물리적 입단화를 갖는 미소결 또는 불발화 핵연료 펠릿화된 제품이 제1도에 도시되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방법의 양호한 태양으로서 이에 따라 제조된 제품은 전술한 바와같이 인장 강도가 개선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실시예 1]
미합중국 특허 제4,172,667호에 기슬된 장치와 유동층계중의 이산화우라늄 입자에 UO2기준 약 2.7중량% 비율로 균질 미세분말 암모늄 카보네이트를 투입한다. CNH4)2CO3·H2O와의 미립상 혼합물을 유동층계내에서 약 10분간 유동화 및 교반을 행하고, 이 결과로 수득된 입자의 균질 배합물을, 이후에 입자를 압착 및 치밀화시켜 점착성 입단화 몸체 또는 펠릿으로 만드는 공정을 행하기 이전에 정체 조건하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그 후에, 미합중국 특허 제4,061,700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린더형 연료 펠릿으로 다이프레스시켜 제조공정을 종료시킨다.
이같이 숙성단계를 거쳐 제조된 펠릿은 숙성단계를 생략하고 동일 방법에 따라 제조한 미숙성 혼합물의 경우보다 미소결 또는 불발화 상태에서 약 2배로 증대된 인장 강도를 가질 정도로 매우 증대된 강도와 입단화도를 갖게된다. 압착된 펠릿의 정상적인 소성후, 필요로하는 크기로 만드는 분쇄 공정에 있어서, 숙성 펠릿 시료는 그 회수율이 약 95%였음에 반하여 미숙성 펠릿 시료는 약 50%이하에 불과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제조된 암모륨 카보네이트 결합제와 이산화우라늄의 혼합시료를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숙성시간을 변경하여 숙성시키고 이 시료를 결합제없이 동일한 제법에 따라 제조한 시료와 비교한다. 인장 강도를 psi로 측정한 이 측정치를 제2도에 그래프로 도시한다.

Claims (1)

  1. 개선된 강도를 가짐과 아울러 결함이 없는 미소결 펠릿읕 제조하기 위한 미립상 물질 및 일시적인 결합제로 구성된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량의 미립상 물질을 유동층계에서 유동화 및 교반시키고, 유동화 및 교반이 행해지는 미립상 물질에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카바메이트, 암모늄 세스퀴 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바메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일시적인 결합제를 첨가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제를 미립상 물질과 혼합시키고, 상기 일시적인 결합제 및 미립상물질의 혼합물을 48시간 이상의 기간동안 숙성시키며, 수득한 숙성된 혼합물을 압착시켜 미소결 몸체로 형성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19810000159A 1980-01-21 1981-01-20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KR84000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62680A 1980-01-21 1980-01-21
US113626 1980-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50B1 true KR840002150B1 (ko) 1984-11-20

Family

ID=2235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159A KR840002150B1 (ko) 1980-01-21 1981-01-20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S56128487A (ko)
KR (1) KR840002150B1 (ko)
BE (1) BE887144A (ko)
DE (1) DE3100411A1 (ko)
ES (1) ES8404550A1 (ko)
FR (1) FR2474021A1 (ko)
GB (1) GB2067536B (ko)
IT (1) IT1135083B (ko)
SE (1) SE8100300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915A (en) * 1982-03-22 1984-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nuclear fuel pellets, and product thereof
US4522769A (en) * 1982-08-24 1985-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nuclear fuel products
JPS6070393A (ja) * 1983-07-27 1985-04-22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ツク・カンパニイ 核燃料ペレツト製造用の改良された方法および結合剤並びにそれによつて得られる製品
DE19944984C1 (de) * 1999-09-20 2000-12-21 Siemens Ag Inhomogenes Kernbrennstoff-Pell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36677A (fr) * 1966-09-14 1968-08-16 Atomenergi Ab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rps poreux d'un oxyde combustible nucléaire
US3755513A (en) * 1969-01-15 1973-08-28 Nukem Gmbh Production of porous uo2 containing ceramic oxide fuel
GB1461264A (ko) * 1973-01-12 1977-01-13
IL49613A0 (en) * 1975-07-24 1976-07-30 Gen Electric Sintered ceramics having controlled density and porosity
US4061700A (en) * 1975-09-10 1977-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Fugitive binder for nuclear fuel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00411A1 (de) 1981-12-17
GB2067536A (en) 1981-07-30
JPS56128487A (en) 1981-10-07
GB2067536B (en) 1983-12-14
BE887144A (fr) 1981-07-20
FR2474021A1 (fr) 1981-07-24
ES498678A0 (es) 1984-04-16
IT8119206A0 (it) 1981-01-20
IT1135083B (it) 1986-08-20
SE8100300L (sv) 1981-07-22
ES8404550A1 (es) 198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8360A (en) Fugitive binder for nuclear fuel materials
US4383953A (en) Method of improving the green strength of nuclear fuel pellets
Zimmer et al. SGMP—an advanced method for fabrication of UO2 and mox fuel pellets
JP4019045B2 (ja) 混合酸化物核燃料粉末及び混合酸化物核燃料焼結体の製造方法
GB2156144A (en) Fabrication of nuclear fuel pellets
KR840002150B1 (ko) 미소결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방법
US4427579A (en) Method of producing fugitive binder-containing nuclear fuel material
US4432915A (en) Method for producing nuclear fuel pellets, and product thereof
EP3951799B1 (en)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nuclear fuel with a burnable absorber
JPS5895617A (ja) 酸化ウランの粒度を増大させる方法
JPH0244037B2 (ko)
JP4075116B2 (ja) 核燃料粒子の製造方法及び核燃料ペレットの製造方法
EP0277708B1 (en) Pellet fabrication
Balakrishna et al. Uranium dioxide powder preparation, pressing, and sintering for optimum yield
CA1165067A (en) Method of improving the green strength of nuclear fuel pellets, and product thereof
GB2152730A (en) Method of making fuel pellets for a nuclear reactor
CA1083336A (en) Sintered ceramics having controlled density and porosity
Larson et al. Method of improving the green strength of nuclear fuel pellets, and products thereof
CA1082443A (en) Fugitive binder for nuclear fuel materials
US3812050A (en) Production of porous ceramic nuclear fuel employing dextrin as a volatile pore former
Larson et al. Nuclear fuel pellets
Gallivan Fugitive binder for nuclear fuel materials
US4816187A (en) Binder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nuclear pellets, and the method and product thereof
JP2004534951A (ja) UO2マトリックス中に分散された(U,Pu)O2凝集体からなる複合核燃料材料の製造方法
RU2333074C2 (ru) Шихт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таблеток из оксида ци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