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19Y1 - 복 사 기 - Google Patents

복 사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19Y1
KR840002119Y1 KR2019840008084U KR840008084U KR840002119Y1 KR 840002119 Y1 KR840002119 Y1 KR 840002119Y1 KR 2019840008084 U KR2019840008084 U KR 2019840008084U KR 840008084 U KR840008084 U KR 840008084U KR 840002119 Y1 KR840002119 Y1 KR 840002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paper
exposure
exposed
original
expos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지로오 헨미
기요시 다께나까
Original Assignee
다이닛뽄 스구리인 세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이시다 도꾸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뽄 스구리인 세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이시다 도꾸지로오 filed Critical 다이닛뽄 스구리인 세이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8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1/00Devices for performing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manifolding by means of pressure-sensitive layers or intermediaries, e.g. carbons; Accessories for manifolding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522Projection optics
    • G03B27/525Projection optics for slit exposure
    • G03B27/526Projection optics for slit exposure in which the projection optics move
    • G03B27/527Projection optics for slit exposure in which the projection optics move as a whole in a translatory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 사 기
도면은 기계 내부의 이해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일부분을 삭제한 본고안 복사기의 측단면도.
본 고안은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적으로 상자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슬릿(Slit)노출 시스템을 이용하는 복사기에 관한 것이다.
사진 복사기는 주어진 원화(原畵)에서 인화재료(이하 감광지라 칭한다)에의 직접 노출 또는 인화판 제조를 위한 중간 사진의 노출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복사기는 구조상 수평-베드식, 오버헤드식, 수직식, 상자 모양식으로 분류된다.
마지막 번째의 상자 모양식 복사기는 감광지상의 노출이 외부의 어떠한 빛에 대해서도 보호된다는 점, 즉 노출광선이 기체의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는다는 점과, 기계가 간단하게 고안되어 기계의 설치공간을 감소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나머지 방식의 복사기들 보다 우수하다. 종래의 상자 모양식의 복사기의 노출 시스템은, 풀-사이즈(Full Size)이며, 동시 노출식이었다.
풀-사이즈와 동시 노출식은 그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많은 노즐광원을 필요로 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복사할 원화가 큰 치수일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복사기 또한 큰 치수의 것이어야만 한다.
그 결과로 이와같은 큰치수용 복사기는 상기한 장점들 중의 하나, 즉 기계설치공간이 감소되도록 치밀학게 고안된 상자모양 복사기의 장점을 손실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간단하고 작은 구조로써 큰치수의 원화를 복사할 수 있는 상자 구조모양의 복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주요목적을 고려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복사기는 크게 구분하여, 처음에는 기체의 천정면을 따라 실제 수평으로, 그다음에는 측면을 따라 실제 수직으로, 끝으로 밑면을 따라 실제 수평방향의 이러한 순서를 따라 감광지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와, 기체내부의 상부에 위치한 촬영지역과, 기체의 하부 공간내에 위치한 현상지역으로 구성되며, 촬영지역은 기체의 천정면을 따라 이동하는 감광지와 마주보도록 실제 수평으로 위치한 노출지역과 이 노출지역 바로 아래에 평행하게 위치한 원화스탠드와 전기한 노출지역과 원화스탠드와의 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스탠드 위에 놓인 원화를 노출지역으로 옮겨서 감광지의 감광성 표면상에 화상을 결정하는 슬릿 노출주사기구(走査機構)를 포함하며, 현상지역에는 현상하기 위한 노출감광지가 통과하며, 또한 나란히 수평으로 인접배치된 현상제 탱크와 안정제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복사기는,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작은 구조로써 큰 치수의 화상을 복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예시되어 있듯이 본고안의 복사기는, 처음에는 기체(1)의 천정면(1a)를 따라 실제 수평방향으로, 그 다음에는 측면(1b)를 따라 실제 수직방향으로, 끝으로 밑면(1c)을 따라 실제 수평방향으로 약 400mm길이 정도의 넓이가 되는 박판 모양의 인화지나 감광지(4)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A)와, 전기한 기체(1)의 상부 공간내에 위치한 촬영지역(B)과, 전기한 기체(1)의 하부 공간 내에 배치한 현상지역(C)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촬영지역(B)에는 기체(1)의 천정면(1a)을 따라 이동되는 감광지(4)와 마주보도록 실제 수평으로 놓여 있는 노출지역(5)과, 이 노출지역(5)바로 아래 평행하게 위치된 원화스탠드(22)와, 전기한 노출지역(5)과 원화스탠드(22)사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슬릿 노출주사기구(12)가 장치되어 있다.
현상지역(C)은 현상제 탱크(27)와, 안정제 탱크(28)와, 건조장치(29)와, 복사지 받이(33)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오른쪽에 있는 것으로, 기체(1)의 천장면(1a)의 한쪽끝에 감광성 표면이 외부로 된 채로 감겨 있는 감광지(4)를 수용하는 감광지 수납실(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감광지는 양화(Positive)이다. 전기한 감광지(4)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2점쇄선상을 따라 수납실(2)로부터 인출되어져 나온다.
전기한 기체(1)내부에서 예정된 코오스를 따라 감광지(4)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A)에는 여러쌍의 고무로울러(11)(11)와, 여러개의 안내부재(8)(8)와, 두개의 전기모우터(L)(M)가 포함된다. 1쌍으로된 고무로울러(11)(11)는 나란히 이웃한 각쌍의 로울러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기체(1)의 천정면(1a), 측면(1b), 밑면(1c)을 따라 감광지(4)가 이동되도록 통로를 만들어 준다. 전기한 안내부재(8)는 감광지(4)의 이동통로 중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는 노출지역(5)의 배출구(도면에서 왼쪽 위)쪽에 위치해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현상재 탱크(27)의 입구(도면에서 왼쪽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다.
전기한 노출지역(5)의 배출구 쪽에 있는 모우터(L)는 노출지역(5)의 입구와 배출구 양측에 위치한 고무로울러(11)(11)에 무한궤도식체인(미도시)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 모우터(L)는 수납실(2)내에 감겨있는 감광지(4)를 그 수납실(2)의 밖으로 끌어내어 천정면(1a)를 따라 촬영지역(B)내의 노출지역(5)을 통과하도록 한다.
전기한 모우터(N)는 건조장치(29)내에 위치시켜서 건조장치(29)의 입구와 배출구 양쪽에 있는 고무로울러(11)(11)에 무한궤도식 체인으로 연결한다.
또한, 이 모우터(N)는 노출된 감광지(4)가 현상제 탱크(27)와, 안정제 탱크(28)와, 건조장치(29)와, 복사지 받이(33)를 경유하여서 이동되도록 작용한다.
노출지역(5)은 유리판(6)과, 이 유리판(6)위에 포개어 놓여진 감광지 탭(Tap)(7)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실(2)로 부터 인출된 감광지(4)는 유리판(6)과 탭(7)사이의 틈을 지나 통과하며, 이때 유리판(6)과 대향설치된 탭(7)은 자체의 중량으로서 통과하는 감광지(4)를 누른다.
그 감광지(4)를 누르는 탭(7)의 하부면에는 합성수지로서 이루어진 선(線)형의 요철모양이 표면에 형성된 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어져 있다.
이 테이프는 감광지(4)가 미끄러져 나가 정전기가 발생되지 못하도록 그 테이프 표면의 블록부분에서 방지하여준다. 노출지역(5)의 배출구쪽에 위치한 두개의 안내부재(8)(8)사이의 공간에는 탭 롤(Tap Rool)(9)과 절단나이프(10)가 설치되어 있다. 그 탭롤(9)은 감광지(4)가 절단나이프(10)에 의해 잘못 절단되지 않도록 해준다.
전기한 절단나이프(10)는 감광지(4)가 전진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서 실제적으로 수직 왕복운동하며, 그 절단나이프(10)의 왕복운동은 절단나이프(10)아래에 위치한 안내부재 홈(10')에 의해 이끌어진다. 원화스탠드(22)는 조작자가 창(미도시)을 통해 기체(1)밖으로 밀어 낼수 있도록 기체(1)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원화스탠드(22)의 표면위에는 스폰지 판(23)이 덮여져 있다. 스탠드(22)내부에는 튀어오르는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많은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주어진 원화(24)는 스폰지 판(23)위에 놓이게 되며, 전기한 유리판(25)이 그 원화를 누르게 되어 유리판(25)과 밀착된다. 도면에서(26)은 스폰지 판(23) 및 원화(24), 유리판(25)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후크이다.
실제로 상자 모양인 슬릿 노출주사기구(12)는 반사경(13)과, 인미러(in mirror)식 렌즈(14) 및 회전 솔레노이드에 의해 움직이는 셔터(15)로 구성된다. 주사기구(12)의 외부 아래에는 한쌍의 기다란 광원램프(16)(16)가 매달려 있다. 전기한 주사기구(12)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끔 구동체인(17)에 의해 양축으로부터 밀려난다. 그 구동체인(17)은 노출주사기구(12)를 지지하고 있는 무한궤도식의 긴 체인이다. 주사기구(12)의 양쪽에 위치된 한쌍의 풀리(18)(18')는 구동체인(17)을 지지해 주며, 그 체인(17)은 한쌍의 풀리(18)(18')주위에 감겨져 있다.
도면에서 풀리(18)하나는 트렌스밋숀(19)을 경유하여 정. 역 모우터(M)에 의해서 구동된다. 광선 차단커튼(20a)와 (20b)의 한쪽 끝이 각각 주사기구(12)의 표면 윗쪽끝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에는 스프링 로울러(21a)(21b)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전기한 광선 차단커튼(20a)(20b)은 셔터(15)이외의 다른곳을 통해 빛이 누출되는 것과 그 빛이 감광지(4)에 닿는 것을 방지해 준다. 조작증, 주사기구(12)를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광선차단커튼(20a)하나가 기체(1)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있는 한쪽 스프링 로울러(21a)에 의해서 감겨진다. 반대로 주사기구(12)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면, 또 다른 광선 차단커튼(20b)이 기체(1)의 왼편에 위치한 스프링 로울러(21b)에 감겨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34)는 주사기구(12)의 표면 아래에 뚫려진 슬릿이다. 조작시에 있어서, 모우터(M)가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면, 슬릿노출주사기구(12)는 구동체인(17)에 의해서 도면의 왼편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본 고안의 이러한 특별 실시예에서, 주사기구(12)의 왼쪽에서의 운동한계점을 노출 개시점이라 명명하고, 오른쪽에서의 운동 한계점을 노출 종단점이라 명명한다. 주사기구(12)가 노출 개시점으로부터 움직이기 시작하면, 동시에 셔터(15)가 열리고 광원램프(16)(16)에 불이 켜진다 광원램프(16)(16)로부터 나오는 빛이 원화(24)를 비추면, 다시 그 원화(24)로부터 윗쪽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반사된 빛은 슬릿(34)을 통과하여 슬릿 노출주사기구(12)안으로 들어가 반사경(13)의 한쪽 거울표면(13a), 인미러 렌즈(14), 반사경(13)의 다른한쪽 거울표면(13b)를 비춘다.
이렇게 상자모양의 주사기구(12)의 내부에 반사된 빛은 개방된 셔터(15)를 지나 주사기구(12)밖으로 나와서 노출지역(5)을 지나간다. 그리고 난후, 그 빛은 감광지(4)의 감광성 표면을 비추어 원화(24)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만들도록 노출지역(5)의 유리판(6)을 통과한다. 이리하여, 주사기구(12)가 원화(24)위를 주사하는 동안 원화(24)의 형상이 부분적으로 감광지(4)까지 이동된다.
노출 종단점은 프린팅 기계에서 사용되는 인화판이 요구되어지는 거리만큼 노출 시발점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리미트 스윗치(미도시)는 주사기구(12)의 노출 종단점의 도착여부를 탐지하도록 노출 종단점에 설치된다. 리미트 스윗치가 주사기의 노출 종단점 도착을 탐지하면, 탐지신호가 리미트 스윗치로부터 모우터(M)내에 있는 콘트롤 유니트에 보내진다.
이때 모우터(M)는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탐지신호를 기초로한 회전을 조정한다. 탐지신호에 따라 반응하는 셔터(15)의 회전 솔레노이드는 셔터(15)를 닫는다. 이리하여 노출이 완료된다.
슬릿 노출주사기구(12)는 모우터(M)의 역방향회전에 의해 노출시발점으로 되돌아 간다. 이때 주사기구(12)가 노출 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속도는 노출 종착점으로 갈때의 속도보다 더욱 빠르다. 이러한 속도의 변화는 트렌스밋숀(19)에 의해서 수행된다.
모우터(M)의 역회전과 동시에 모우터(L)은 감광지(4)의 노출 부분이 절단나이프(10)을 지날때까지 감광지(4)를 수납실(2)의 밖으로 끌어내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감광지(4)는 절단나이프(10)에 의해 잘못 잘려지어 노출부분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렇지만 이런 경우에 감광지(4)가 현상재 탱크(27)쪽으로 더나아가게 되면, 절단나이프(10)와 노출지역(5)의 배출구의 끝 사이로 들어온 감광지(4)부분은 2개가 연속해서 노출이 진행되는 동안은 노출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감광지가 노출이 안된채로 다시 말하면 원화(24)에 있는 피사체가 찍히지 않은 상태로 현상제 탱크(27)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서 감광지(4)의 노출부분이 절단나이프(10)에 의해 잘려진후, 다시 감광지(4)의 주된 부분이 노출지역(5)쪽으로 후퇴되도록 예정된 시간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우터(L)가 움직인다.
역회전되는 모우터(L)의 시간길이는 노출지역(5)의 배출구 끝에서 절단나이프(10)에까지 이르는 거리와 상응하여 결정되며, 그것은 미리 시간기록계에 투입된다. 기체(1)하부내의 한측면(1b)에서 다른측면 (1d)까지에는 현상제탱크(27), 안정제탱크(28), 건조장치(29), 복사지 받이(33)가 설치되어 있다.
절단나이프(10)에 의해서 노출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잘려진 감광지(4)는 모우터(N)에 의해 측면(1b)를 따라서 현상제 탱크(27)의 입구로 이동된다. 그러면 감광지(4)는 현상제탱크(27)로 들어가고, 그 다음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안정제 탱크(28)로 들어간다. 더 나아가 감광지(4)가 건조기(29)로 이동되면 복사는 완료된다. 건조장치(29)의 내부는 위, 아래로 구분되어 있는 두개의 실(室)과, 이 두개의 실 사이에 놓여 있는 두개의 다공판(30)(30)이 약간 떨어져 있으며, 그 다공판(30)(30)의 사이에는 감광지(4)의 이동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홴(31)이 열원(熱源)인 휜(Fin)형태의 히이터(32)주위에 있는 공기를 불러 일으키도록 설치되어서, 다공판(30)에 뚫은 많은 구멍을 통해 감광지(4)의 상.하부의 표면이 가열된다. 이리하여 감광지(4)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다공판(30)은 감광지(4)위의 어떤 한정된 부분에만, 홴(31)에 의하여 바람이 집중되게 하지 않고, 그 바람의 세기가 골고루 분산되게 해준다.
또한, 다공판(30)은 공기 이동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열원에서의 화재발생 대비책으로도 이용된다.
이렇게하여 건조된 감광지(4)는 계속하여 복사지 수납판에 쌓이게 된다. 전기한 모우터(N)는 감광지(4)의 이동뿐만 아니라, 홴(31)의 작동에도 이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광원램프(16)(16)에서 나온 빛의 일부가 현상제 탱크(27)로 흘러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촬영지역(B)과 현상지역(C)사이에 격판(1e)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하였다.
전술한 구조를 하고 있는 본 고안의 복사기의 덕택으로, 노출이 슬릿 노출 주사기구(12)에 의해서 이행되도록 하였으므로, 슬릿 노출주사기구(12)가 왕복운동할 수 있을 정도만큼의 원화(24)의 노출지역(5)과의 사이 공간을 감소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사할 원화가 큰 것일지라도 종래의 풀-사이즈의 동시 노출식의 복사기처럼 주된 공간을 확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복사기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구조는 작지만, 상대적으로 큰 원화를 복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감광지의 이동통로는 가능한한 기체내의 가장 긴 코오스를 따르도록 설치하였다.
즉, 기체(1)의 천정면(1a)및 한쪽 측면(1b)과, 밑면(1c)를 따르는 이동통로를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기체(1)의 내부는 가장 유효하게 실용되어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다. 또, 종래의 복사기에는 건조기가 기체외부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본 고안의 복사기는 현상제 탱크(27), 안정제 탱크(28), 건조장치(29), 복사지 받이(33)등의 모두가 기체(1)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복사기의 모양이 많이 개량되었음은 물론, 그 설치공간을 많이 감소시켰다. 또한, 기체(1)내의 하부에 위치한 현상제 탱크(27)은 격판(1e)에 의해 슬릿 노출주사기구(1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였으므로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상으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자 모양식의 복사기 고유의 중요한 특징들이 기계의 어떤 기능도 해치지 않고 모두 획득되어 질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우수한 실용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자 모양의 기체(1)의 천정면(1a)을 따라 실제 수평방향으로, 그 다음에는 일측면(1b)을 따라 실제 수직방향으로, 끝으로 밑면(1c)을 따라 실제 수평방향으로 감광지(4)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A)와, 전기한 기체의 상부 공간내에 위치한 촬영지역(B)과, 전기한 기체의 하부 공간내에 위치한 현상지역(C)으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촬영지역은 기체의 천정면을 따라 이동되는 감광지와 마주보도록 실질상 수평방향으로 놓여진 노출지역(5)과, 이 노출지역 바로 아래에 평행하게 위치한 원화스탠드(22)과, 전기한 노출지역과 원화스탠드 사이의 공간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원화스탠드위에 놓여진 원화세트로 부터 노출지역까지 옮겨진 감광지의 감광성 표면에 형상을 만드는 슬릿 노출 주사기구(12)를 포함하고, 전기한 현상지역에는 감광지가 통과하여 현상되는 현상제 탱크(27)와 안정제 탱크(28)를 나란히 인접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KR2019840008084U 1980-07-10 1984-08-18 복 사 기 KR840002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084U KR840002119Y1 (ko) 1980-07-10 1984-08-18 복 사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97460 1980-07-10
JP1980097460U JPS5723535U (ko) 1980-07-10 1980-07-10
KR1019810002476A KR830006020A (ko) 1980-07-10 1981-07-08 복 사 기
KR2019840008084U KR840002119Y1 (ko) 1980-07-10 1984-08-18 복 사 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476A Division KR830006020A (ko) 1980-07-10 1981-07-08 복 사 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19Y1 true KR840002119Y1 (ko) 1984-10-13

Family

ID=141929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476A KR830006020A (ko) 1980-07-10 1981-07-08 복 사 기
KR2019840008084U KR840002119Y1 (ko) 1980-07-10 1984-08-18 복 사 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476A KR830006020A (ko) 1980-07-10 1981-07-08 복 사 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390269A (ko)
JP (1) JPS5723535U (ko)
KR (2) KR830006020A (ko)
DE (1) DE3126877A1 (ko)
DK (1) DK293081A (ko)
ES (1) ES259385Y (ko)
FR (1) FR2486670A1 (ko)
GB (1) GB2079962B (ko)
IT (1) IT11713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469A (en) * 1981-06-01 1982-12-06 Ricoh Co Ltd Exposing method for photosensitive element
USRE34454E (en) * 1985-12-24 1993-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US4742374A (en) * 1985-12-24 1988-05-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US4870444A (en) * 1985-12-24 1989-09-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JPH0643790Y2 (ja) * 1986-10-27 1994-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転写型感光感圧紙の露光現像装置
US4806982A (en) * 1986-12-15 1989-02-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ing device
CA1298415C (en) * 1987-01-13 1992-03-31 Makoto Ohgoda Radiation image read-out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587960B2 (ja) * 1987-01-13 1997-03-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情報記録読取再生装置
DE19963086C1 (de) * 1999-12-24 2001-06-28 Aloys Wobben Rotorblatt für eine Windenergieanla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3691A (en) * 1966-10-22 1970-10-13 Ricoh Kk Electrophotographic duplicator
DE1772600A1 (de) * 1967-06-08 1971-05-19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r Belichtung von lichtempfindlichem Kopiermaterial
GB1235665A (en) * 1967-06-08 1971-06-16 Agfa Gevaert Nv Phot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images
US3537787A (en) * 1967-09-16 1970-11-03 Icp Inc Photocopy reproduction system
US3535037A (en) * 1967-09-29 1970-10-20 Ricoh Kk Variable magnification exposure device for a reproduction apparatus
JPS4813446B1 (ko) * 1969-03-10 1973-04-27
US4050812A (en) * 1975-04-15 1977-09-27 Ricoh Co., Ltd. Light shield curtain assembly for reciprocating optical scanning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486670A1 (fr) 1982-01-15
ES259385U (es) 1982-01-16
IT8148854A0 (it) 1981-07-08
DK293081A (da) 1982-01-11
DE3126877A1 (de) 1982-04-22
KR830006020A (ko) 1983-09-17
ES259385Y (es) 1982-07-01
US4390269A (en) 1983-06-28
JPS5723535U (ko) 1982-02-06
GB2079962A (en) 1982-01-27
IT1171372B (it) 1987-06-10
FR2486670B1 (ko) 1984-11-30
GB2079962B (en) 198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119Y1 (ko) 복 사 기
US3245330A (en) Wet electronic copying apparatus
US3079839A (en) Duplex photocopier
GB1567640A (en) Optical copying apparatus
US3740867A (en) Drier in copier
US3272100A (en) Electrostatic copier
US5168310A (en) Original image transporting and reading apparatus
US4045135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with retractable image transfer roller means
GB1027596A (en) Apparatus for making photographic prints
US35287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 lighting in photocopy projection equipment
US4488803A (en) Slit exposure type copying camera
US3521951A (en) Apparatus for exposure through a slit
US4565440A (en) Device for exposing and developing a light-sensitive material
US3861799A (en) Camera
KR0178288B1 (ko) 사진처리장치
US3498708A (en) Photocopying apparatus
US4425034A (en) System for suppressing vibrations of a photoconductive belt in a processing zone of an electrostatic copying machine
US4707117A (en) Copying machine with original-position confirming device
US4291973A (en) Scanning system
US3712732A (en) Apparatus for guiding the marginal portions of wide and narrow strips of photosensitive material or the like
US3535035A (en) Electrostatic copier lamp reflector
US3717408A (en) Flash flat-bed wet copier
US3254586A (en) Exposure apparatus
US5084726A (en) Copying machine
US3718395A (en) Machine for producing plates and prints from micro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2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