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561Y1 -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 Google Patents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561Y1
KR840001561Y1 KR2019820008544U KR820008544U KR840001561Y1 KR 840001561 Y1 KR840001561 Y1 KR 840001561Y1 KR 2019820008544 U KR2019820008544 U KR 2019820008544U KR 820008544 U KR820008544 U KR 820008544U KR 840001561 Y1 KR840001561 Y1 KR 840001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nsparent plate
board
tape hous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426U (ko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8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561Y1/ko
Publication of KR840002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하우징 2 : 돌출턱
3 : 괘치부 4 : 걸림턱
5 : 투명판 6 : 요부
7 : 괘지턱 8 : 협지편
본 고안은 녹음기의 테이프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을 통하여 테이프의 상태를 투시하는 투명판을 용이하게 조립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하우징의 투명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우징에 투명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접착제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접착부위가 자주 떨어지는 결함이 있었고 조립과정에서도 일률적인 작업이 되치 못하여 작업공정이 많이 드는 등의 결점이 있었으며, 또 녹음기를 사용도중 투명판이 파손되었을 때는 투명판만의 교체가 불가하여 하우징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교체작업이 간단하도록 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중앙상부에 개구부(1')를 형성한 테이프하우징(1)의 중앙부에 통공(1˝)을 형성하고 이의 상부에 돌출턱(2)을 가진 괘지부(3)를 형성하여 하부에는 내측에형의 걸림턱(4)을 형성한 다음, 상부 내측에 요부(6)를 형성하고 하부에 괘지턱(7)을 가진형의 협지편(8)을 좌·우에 형성한 투명판(5)을 하우징(1)의 개구부(1')를 통하여 하우징(1)에 조립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9는 녹음기 본체, 10은 하우징힌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투명판(5)을 하우징(1)의 상부로부터 개구부 (1')를 통하여 삽입하게 되면 협지편(8)의 괘지턱(7)이 하우징(1)의 걸림턱(4)에 걸림과 동시에 돌출턱(2)이 투명판(5)의 요부(6)에 요입되어 결합되며 이를 교체시에는 투명판(5)의 하부에 약간의 힘을 가해 밀면 걸림턱(4)에 걸려있던 협지편(8)이 빠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투명판(5)을 상부로 빼내어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쉽게 조립 및 교체시킬 수 있어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투명판(5)이 파손되었을 때는 하우징(1)을 분해하지 않고도 쉽게 투명판(5)만을 교체할 수 있는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돌출턱(2)을 형성한 괘지부(3)를 형성하고 하부에는형의 걸림턱 (4)을 형성하여 하우징(1)을 구성한 다음, 상부내측에 요부(6)을 형성하고 하부에 괘지턱(7)을 협지편(8)을 좌·우에 형성시킨 투명판(5)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 하우징(1)에 조립토록 하여서 된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KR2019820008544U 1982-10-29 1982-10-29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KR840001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544U KR840001561Y1 (ko) 1982-10-29 1982-10-29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544U KR840001561Y1 (ko) 1982-10-29 1982-10-29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26U KR840002426U (ko) 1984-06-27
KR840001561Y1 true KR840001561Y1 (ko) 1984-08-20

Family

ID=7214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544U KR840001561Y1 (ko) 1982-10-29 1982-10-29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5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26U (ko) 198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164U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una parte de extremo paraun recipiente.
DE60043518D1 (de) Verfahren zum Anbringen von Komponenten an Filtermaterial, das in Atemschutzmasken verwendet werden kann
JP3354503B2 (ja) 光コネクタのためのフェルール着脱工具
DE69101611D1 (de) Gerät zur Behandlung biologischer Proben.
CA2203112A1 (en) Optocomponent capsule having an optical interface
KR840001561Y1 (ko) 녹음기 테이프 하우징의 투명판
CA2069336A1 (en) Plastic Seal
JPS58166311U (ja) 歯科の印象用トレイ
USD260434S (en) Pipette
KR810001250Y1 (ko) 계전기용 케이스
JPH06121836A (ja) 注射針安全カバー
KR200210390Y1 (ko) 컴퍼스 바늘 고정부 구조
KR890004425Y1 (ko) 컨버어터 케이스의 결합장치
KR970000972Y1 (ko) 자동화 공정에 적합한 슬리브 플러그
ES466368A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s construcciones de bastidor
ES2066964T3 (es) Una proteina reg.
KR200270614Y1 (ko) 위패
JPH1130727A (ja) 光ファイバホルダ
ES2071922T3 (es) Dispositivo para sujetar dos componentes.
KR860000658Y1 (ko) 음향기기의 도어 안전장치
KR880001123Y1 (ko) Tv 손잡이
KR810000183Y1 (ko) 파 렛 트
KR800000331Y1 (ko) 통형 휴즈
DE69010348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tertioalkyldicarbonat.
JPH044507A (ja) 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