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449B1 -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449B1
KR840001449B1 KR1019800004473A KR800004473A KR840001449B1 KR 840001449 B1 KR840001449 B1 KR 840001449B1 KR 1019800004473 A KR1019800004473 A KR 1019800004473A KR 800004473 A KR800004473 A KR 800004473A KR 840001449 B1 KR840001449 B1 KR 84000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roup
present
porous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147A (ko
Inventor
히로시 엔도
마사오 가도오
구니아끼 히노
Original Assignee
구레하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이도오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레하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이도오 히로시 filed Critical 구레하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449B1/ko
Publication of KR83000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36Preparation characterised by gaseous activat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작용성 그룹들이 특정한 비율로 함유된, 생체내에 독성물질을 흡착시키는 작용이 우수한 다공성 구상(球狀)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공신장인 혈액투석기(hemodialyzer)를 사용하여 생체내의 독성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신장 및 간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혈액투석기는 매우 복잡하므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고 환자의 체내에서 피를 뽑아야만 하므로 환자에게 육체적 및 정신적 고통이 가중되며 비교적 많은 비용이 드는 것이 결점이다.
최근,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간 및 신장병으로 인해 생체내에 형성된 내생적 독소를, 산화된 전분같은 약학적 물질을 경구 투여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약품은 반응성 물질종류이고 장내의 우레아는 제거할 수 있지만 간 및 신장병으로 인한 내생적 독소(예 : 옥토파민,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디메틸아민 등)은 거의 제거할 수 없으며 창자벽을 자극하는 부반응을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여러가지 물질을 흡착하며 생체에 안전한 의약용 활성탄의 장점을 고려하여, 간 및 신장벽으로 인한 내생적 독소를 의약용 활성판으로 제거하는 시도가 행해졌다. 그러나, 의약용 활성탄은 입으로부터 취해진 위장 내 독성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해독약으로 유용하지만 간 및 신장병으로 인한 장내의 내생적 독소를 제거하기에는 부적당하다. 이는 활성탄 표면에 입혀져 의약용 활성탄의 활성을 방해하는 담즙산(bile acid)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의약용 활성탄은 경구투여후, 간 또는 신장병을 앓는 환자에게 특히 위험한 변비를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간 및 신장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내부 투여하여 간 및 신장병으로 인한 내생적 독소를 제거하는 약학적 물질에 관한 것이다. 즉, 특정한 작용 그룹을 특정한 상호 비율로 함유하는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은 장내에 담즙산에 존재할지라도 상술한 내생적 독소를 흡수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변비를 일으키지 않고 위장내의 소화효소는 흡수하지 않는 선택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본 발명의 다공성 구성 탄소질 생성물이 작용 그룹으로서 산성 그룹, 염기성 그룹,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 및 카복실 그룹을 다음과 같은 상호비율로 함유하는 것이다.
(i) 염기성 그룹에 대한 산성 그룹의 당량비는 0.42 내지 2.5이고, (ii) 염기성 그룹의 당량과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당량을 합한 것에서 카복실 그룹의 당량을 뺀 값은 0.60보다 크다.
즉, 산성 그룹, 염기성 그룹,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 및 카복실 그룹의 양을 각각 A, B, C 및 D 밀리-당량/물질의 g(이하에서는 meq/g로 표시)으로 표시할때 상술한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i) A/B=0.40 내지 2.5이고,
(ii) (B+C)-D=0.60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은 상기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을 환자에게 경구 투여하여 간 및 또는 신장병으로 인해 환자의 체내에 형성된 내생적 독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우기, 세번째 특징은 다공성 구성 탄소질 물질을 0.5 내지 20용적%의 산소를 함유하는 대기중에서 350 내지 700℃로 가열한 후 탄소에 불활성인 대기중에서 800 내지 1000℃로 가열하여 상술한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을 제조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 구성 탄소질 생성물(이하에서는 본 발명 생성물로 칭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 그룹으로서 산성 그룹, 염기성 그룹,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 및 카복실 그룹을 특정한 상호비로 함유하며, 바로 이점으로 인해 본 발명 생성물은 신규의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생성물은 작용 그룹들을 다음 양으로 함유한다.
산성 그룹 : 0.03 내지 1.20meq/g(A meq/g)
염기성 그룹 : 0.20 내지 0.70meq/g(B meq/g)
페놀성 하이드록실그룹 : 0.2 내지 0.70meq/g(C meq/g) 및
카복실 그룹 : 0.15meq/g(D meq/g) 미만
상술한, 대표적인 작용 그룹의 함량은 다음과 같이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
(a) 산성 그룹(A 그룹)
200메쉬의 테일러 표준체에 통과시킨 본 발명 생성물의 분말화 시료 1g을 500㎖의 0.05N NaOH 수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48시간 진탕한 후 여과하여 시료를 회수하고 여액을 중화될 때까지 적정한다. A그룹의 양은 시료에 의해 소모된 NaOH의 양으로 나타내며 meq/g로 표시한다.
(b) 염기성 그룹(B 그룹)
200메쉬의 테일러 표준체에 통과시킨 본 발명 생성물의 분말화 시료 1g을 50㎖의 0.05N HCl 수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진탕한후 여과하여 시료를 회수하고 여액을 중화될 때까지 적정한다. B그룹의 양은 시료에 의해 소모된 HCl의 양으로 나타내며 meq/g으로 표시한다.
(c)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C 그룹)
200메쉬의 테일러 표준체에 통과시킨 본 발명 생성물의 분말화 시료 1g을 50㎖의 0.05N NaHCO3수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진탕한후 여과하여 시료를 회수하고 여액을 중화될 때까지 적정한다. C그룹의 양은 산성 그룹(A 그룹)의 양에서 시료에 의해 소모된 Na2CO3의 양을 뺀 것을 말하며 meq/g으로 표시한다.
(d) 카복실 그룹(D 그룹)
200메쉬의 테일러 표준체에 통과시킨 본 발명 생성물의 분말화 시료 1g을 50㎖의 0.05N NaHCO3수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진탕한후 여과하여 시료를 회수하고 여액을 중화될 때까지 적정한다. D그룹의 양은 시료에 의해 소모된 NaHCO3의 양으로 나타내며 meq/g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 생성물 내의 특정한 작용 그룹 함량 사이의 특정한 상호 비율은 본 발명 생성물에 한하는 것이며, 이 사실은 다음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 생성물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시판용 구성 활성탄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본 발명 생성물은 직경이 0.05 내지 1mm이고, 구멍 반경이 80Å 미만인 구상입자의 특정 구멍용적이 0.2 내지 1cc/g이고, 구멍반경이 100 내지 75,000Å인 구성입자의 특정 구멍용적이 0.1 내지 1.0cc/g인 다공성 구상입자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 반경이 80Å이하인 구상 입자의 특정 구멍용적은 통상의 가스흡착법으로 측정하고, 구멍 반경이 100 내지 75,000Å인 구상입자의 특정 구멍용적은 수은 포로시미터(mercury porosimeter)로 측정한다.
본 발명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a) 본 발명 생성물의 전구물질인 구상 탄소질 물질의 제조
H/C의 비가 0.45 내지 0.80이고 유동점(flow point)이 100 내지 300℃이며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비등방성 부분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중(重, heavy) 탄화수소를 출발물질로 사용한다. 상기 중탄화수소와 방향족 탄화수소(예 : 벤젠 및 나프탈렌)의 혼합물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100 내지 180℃의 열수에 분산시키고 탄화수소와 열수의 혼합물을 교반하여 탄화수소 혼합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든다. 분산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로 형성된 탄화수소 혼합물의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성상과 분리시키고 미세입자중에 함유된 방향족 탄화수소는 헥산, 메탄올 등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회수한다. 추출된 입자를 산화성 가스 기류(예 : 산소 기류)와 접촉시킴으로써 미세입자를 산화시켜 최종 입자내의 산소함량을 7 내지 25중량%로 만든다. 부분적으로 산화된 미세입자를, 탄소에 대해 반응성이 있는 가스기류 존재하에 고온으로, 예를들어 스팀 및 이산화탄소 기류하에 800 내지 1000℃로 가열하여 입자를 다공성 구상탄소질 물질로 전환시킨다.
(b) 본 발명 생성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수득된 다공성 구성 탄소질 물질을, 0.5 내지 20용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용적%의 산소를 함유하는 대기하에 35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로 가열하고, 다시 탄소에 대해 불활성인 가스, 예를들어 질소, 아르곤 및 헬륨 또는 이 가스의 혼합물 대기하에 800 내지 1000℃로 가열하여 상술한 작용그룹을 상술한 바와 특정 상호 비율로 함유하는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 즉 본 발명 생성물을 수득한다.
상술한 산소함유 대기는 산소 공급원으로서 산소, 산화질소 또는 공기에 의해 형성된다.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일련의 열처리하여 산성물질과 염기성물질 사이의 흡착력과 양쪽 물질들 사이의 흡착력과의 균형이 유지되며, 더우기 선택적인 흡착부위(adsorbing site), 즉 “염기성 그룹에 대한 산성 그룹의 당량비” 및 “염기성 그룹과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양을 합한 것에서 카복실 그룹의 양을 뺀 값, (B+C)-D”등으로 표시되는 선택적 흡착성을 갖게 된다.
산소를 함유한 대기에서만 열처리할 경우 아민과 같은 염기성 물질에 대한 흡착력은 증진되나 양쪽성 물질에 대한 흡착력은 증진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이 수득된 본 발명 생성물은 성체 내에 있는 내생적 독소에 대한 흡착성이 탁월하며, 이는 통상적인 활성탄에서는 기대하지 못한 것이다. 이 기전은 아직 해명되지 못했지만, 상술한 투수한 흡착력은 본 발명 생성물 내부표면상의 여러가지 작용 그룹사이의 특정한 상호 관계에 의한 흡착부위의 선택성과 본 발명 생성물 외부 표면상에 하전된 포텐셜과 본 발명 생성물의 미세한 물리적 구조와의 상승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 생성물은 통상적인 의약용 활성탄에서는 볼 수 없었던 흡착작용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 생성물은 담즙산이 존재할지라도 내생적 독소에 대한 흡착작용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 생성물은 간장성 뇌질환의 원인이 되는 옥토파민과 γ-아미노부티르산, 신장병을 일으키는 내생적 독소 및 이의 전구물질, 예를들어 디메틸아미노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아스파라트산 및 아르기닌과 같은 수용성 염기성 및 양쪽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한다.
덧붙여, 본 발명 생성물은, 제거되지 않아야 할 장내의 소화효소는 소량만을 흡착하며, 또한 섭취한후 변비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생성물은 간장병에 의한 진전 및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대사성 이상 및 기능성 이상을 치료하는 데, 신장병에 있어 혈액투석전에 가벼운 신장질환을 호전시키고 혈액투석시 상태를 호전시키는 데 유용하며, 또한 생체내의 독성물질로 인한 정신병을 치료하는 데도 유용하다.
본 발명 생성물을 간 및/또는 신장병을 치료하는 데 약제로서 사용할 경우, 투여량은 대상(사람 또는 포유동물), 대상의 나이, 질병 상태, 개인적 차이에 따라 다르며, 인체의 경우에 있어 일반적인 경구 투여량은 1 내지 5g/일이고 이를 하루에 3 내지 4회로 나누어 투여하며 상태에 따라 하루 투여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생성물은 임의로 입제, 과립, 정제, 당의정, 캡슐제, 현탁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캡슐제로 투여할 경우 통상의 젤라틴 및/또는 장내에서 녹은 물질을 사용한다. 정제로 투여할 경우 정제는 환자의 생체 내에서 본래의 미세한 구상입자로 분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본 발명 생성물은 알루미늄겔 및 KAYEXALATE
Figure kpo00002
(미합중국의 winthrop Lab의 상품)과 같은 전해질-조절제와 혼합한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 생성물은 다음 독성 시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포유동물에게 아주 낮은 독성을 나타내므로 상술한 효과 이외에도 약제로서의 적합성을 갖는다.
A. 포유동물에 대한 급성 독성 시험 :
후술할 실시예 1, 2 및 3에서 각각 제조한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 각각을 위관(stomach tube)를 통해 수컷 및 암컷 JCL-SD쥐(평균 체중 : 암컷 : 87.8±4.3g, 수컷 97.8±4.0g) 각 그룹(각 그룹은 한가지의 쥐 10마리로 구성된다)에 투여한다. 1주일 관찰한 결과 한마리도 죽지 않았으며, 관찰후의 부검결과 내부 및 외부에 아무런 이상이 없었으며, 투여로 인한 중독 증세로 여러기관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시험한 본 발명 생성물의 LD50은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3
B. 포유동물에 대한 아-급성 독성 시험 :
4주일된 JCL-SD 쥐 10그룹에 5종류의 고체먹이를 1달간 공급하는데, 각 그룹은 10마리의 수컷이나 10마리의 암컷으로 구성되며, 5종류의 고체먹이는 실시예 3의 본 발명 생성물 0, 1, 2, 5 및 10중량%를 각각 함유한다. 먹이와 물을 무제한 공급한다. 투여하는 동안 섭취한 먹이와 물의 양 및 쥐에 체중을 측정하고 그들의 행동을 관찰한다.
투여가 끝난후 쥐로부터 혈액시료를 뽑고 쥐를 부검한다. 투여하는 동안 섭취한 먹이의 평균양은 본 발명 생성물 1, 2, 5 및 10중량%의 함량에 상응하여 각각 1100, 2300, 5700 및 11400mg/kg(암컷쥐)이고 1400, 2800, 7000 및 14000mg/kg(수컷쥐)이었다.
고함량의 본 발명 생성물이 함유된 먹이를 섭취한 수컷쥐의 그룹에서 시험의 중간 단계에서 약간의 체중감소가 있었지만 이 체중은 곧 회복되었다. 이 체중 감소 이외에, 일반검사, 혈액검사, 요검사, 부검, 기관의 무게, 각조직에 대한 병리 조직검사 및 증독증조사 결과 아무런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것으로 본 발명의 영역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H/C의 비가 0.55이고 유동점 220℃이며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비등방성 부분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중탄화수소 300g과 100g의 나프탈렌을 교반기가 장치된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혼합물을 180℃에서 잘 혼합한다. 얻어진 액체혼합물에 1200g의 0.5%폴리비닐알콜수용액(검화율 88%)을 가하고 혼합물 140℃에서 30분간 격렬히 교반한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켜 직경이 0.07 내지 1.2mm인 구상입자 분산액을 형성시킨다. 다량의 물을 입자로부터 분리시킨후 구상입자를 추출기내에서 헥산으로 처리하여 입자내에 함유된 나프탈렌을 제거하고 공기 건조시킨다. 추출된 입자를, 유동상(床)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를 뿜어줌으로써 1시간당 25℃씩 상승시켜 300℃로 가열하고 300℃로 고정된 온도에서 2시간 더 가열하여 14중량%의 산소가 함유된 구상 입자를 얻는다. 산소함유 구성입자를 유동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팀으로 900℃로 가열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더 가열하여 본 발명 생성물의 전구물질인 다공성 구상 탄소질 입자를 수득한다.
이렇게 얻어진 전구물질을 3용적%의 산소가 함유된 대기하에 600℃로 가열하고 동일한 대기에서 3시간 더 가열한다. 질소대기하에서 950℃로 더 가열한 후 질소대기하에 30분간 동일한 온도로 유지시켜 본 발명 생성물을 수득한다. 여러가지 작용그룹의 특성과 함량은 다음표 3과 같다.
[실시예 2]
H/C의 비가 0.65이고 유동점이 210℃인 중탄화수소 300g과 100g의 나프탈렌을 교반기가 장치된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교반하면서 180℃로 가열하여 공용융(co-melt)시킨다. 얻어진 액체 혼합물에 0.5% 폴리비닐 알콜 수용액(검화율 88%) 1200g을 가하고 혼합물을 130℃에서 30분간 격렬히 교반한 다음,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냉각시켜, 직경이 0.1 내지 1.3mm인 구상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얻는다. 다량의 물을 입자로부터 제거한후 구상입자를 추출기내에서 헥산으로 처리하여 구상입자로부터 나프탈렌을 제거한다. 나프탈렌이 제거된 입자를 공기건조시키고 유동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를 뿜어줌으로써 1시간당 25℃씩 상승시켜 300℃로 가열한후 300℃에서 2시간 더 가열하여 20중량%의 산소가 함유된 구상입자를 얻는다. 산소함유 입자를 유동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팀으로 900℃로 가열하고 스팀으로 2시간동안 900℃로 유지시켜 본 발명의 전구물질인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얻는다. 이 전구물질을 10용적%의 산소가 함유된 대기하에 450℃에서 4시간 방치하고 질소대기하에 800℃로 가열한 후 질소 대기하에 30분간 800℃로 유지시켜 본 발명 생성물을 수득한다. 여러가지 작용그룹의 흡착성 및 양은 다음 표 3과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어진, 14중량%의 산소가 함유된 구성입자를 유동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팀으로 900℃로 가열하고 스팀을 사용하여 2시간동안 900℃로 유지시켜 본 발명 생성물의 전구물질인 다공성 구상탄소질 물질을 얻는다. 이 전구물질을 3용적%의 산소가 함유된 대기하에 550℃에서 5시간 방치하고 질소대기하에 900℃로 가열한 후 질소 대기하에 30분간 900℃로 유지시켜 본 발명 생성물을 수득한다. 여러가지 작용 그룹의 흡착성 및 양은 다음표 3과 같다.
[비교실시예]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어진, 산소함유(14중량%)구상 입자를 유동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팀으로 900℃로 가열하고, 2시간동안 900℃로 유지시켜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얻는다. 이 물질을 3용적%의 산소가 함유된 대기하에 550℃로 5시간 가열하여 다공성의 구성 탄소질 생성물을 수득한다. 여러가지 작용 그룹의 흡착성 및 양은 다음표 3과 같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탄소질 물질 및 혈액관류용(hemoperfusion)의 약품인 시판용 구상 활성탄의 함량 및 흡착성을 측정한 결과가 기술되어 있다. 흡착성은 담즙산 존재하에 β-아미노-이소부티르산, γ-아미노부티르산, 디메틸아민 및 옥토파민에 대해 시험관내에서 측정한 것이며, 결과는 다음표 3과 같다. 흡착된 물질의 양은, 시료를 0.5중량%의 담즙산 존재하에 상술한 물질의 수용액(농도 5mg/dℓ)에 부었을때 흡착된 양(mg/g)으로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04
상기표 3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 생성물, 즉 특정한 작용그룹을 특정한 상호 비율로 함유하는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흡착성은 간 및 신장병을 치료하는 데 있어, 비교실시예의 생성물, 또는 지금까지 혈액관류용 의약품으로 사용된 시판용 구상 활성탄의 흡착성보다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실험적 신장병을 앓고 있는 실험용 쥐에 대한 본 발명 생성물의 치료효율에 관한 것이다.
체중이 180 내지 220g인 JCL-SD 암컷쥐 3그룹(한그룹당 10마리의 쥐)을 사용한다. 상기 쥐의 복부를 마취하에 횡적으로 절개하고 각 쥐의 한쪽 신장의 신장부문을 동여댄다. 절개한 부위를 봉합하고 쥐를 1주일동안 그대로 놔둔다. 같은 조작을 다른 한쪽의 신장에도 수행하여 실험적 신장병을 앓는 쥐를 얻는다. 먹이와 물을 무제한으로 공급하면서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 생성물을 위관을 통해 하루에 5000mg/kg의 양으로 첫번째 그룹의 쥐에게 강제로 경구 투여하고 같은 방법으로 비교 실시예의 생성물을 두번째 그룹의 쥐에게 투여하며, 세번째 그룹의 쥐에게는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는다. 세그룹의 쥐의 상태를 관찰하여 두번째 조작후 쥐의 생존 기간(days)을 측정한다.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kpo0000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같이 실시예 3의 생성물을 투여한 그룹의 쥐의 생존 기간은 비교실시예의 생성물을 투여한 그룹의 쥐, 및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그룹의 쥐의 생존기간보다 길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신장병을 앓고 있는 인간에게 본 발명 생성물을 투여하여 신장병을 치료하는데 관한 것이다.
만성 신장병을 앓고 있는 44세의 남자환자의 경우, 장시간동안 크레아티닌 양이 2 내지 4mg/dℓ이고, 1달후 크레아티닌 양이 8mg/dℓ, 2달후 크레아티닌 양이 11mg/dℓ으로 나타났으며, 부수적으로 수반되는 식욕과 기운이 떨어지는 증세를 나타냈다. 이때 이 환자에게 실시예 3의 본 발명 생성물을 젤라틴 캡슐 형태로 하루에 3 내지 4g씩 6달동안 내부 투여하였다.
치료를 개시한 2주일 후부터 환자의 크레아티닌 양이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부수적으로 수반되는 증세가 없어지면서 크레아티닌 양이 8 내지 9mg/dℓ의 안정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간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본 발명 생성물을 투여하여 간질환을 치료하는 데 관한 것이다.
혈액내의 암모니아의 농도가 250 내지 300mg/dℓ으로 한달에 한번 정신 발작을 일으키는, 간질한을 앓고 있는 72세의 여자에게 실시예 3의 본 발명 생성물을 젤라틴 캡슐 형태로 하루에 5g씩 3달동안 내부 투여하였다. 투여하는 동안 정신 발작은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혈액내의 암모니아의 농도는 150mg/dℓ로 감소하였다. 현탁액 형태로 투여하였을때 투여 10일후 미미한 정신발작을 일으켰으며, 혈액내의 암모니아의 농도의 200mg/dℓ로 증가하였다. 투여하는 동안 피검사 및 피의 생화학적 검사 결과 아무런 이상도 발견하지 못했다.

Claims (1)

  1. 중탄화수소와 방향족 탄화수소와의 혼합물을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는 열수에 분산시키고, 생성된 미세입자를 산화성 가스류와 접촉시키고, 얻어진 부분적 산화된 미세입자를 고온에서 탄소에 대해 반응성이 있는 가스류 또는 가스혼합물류 존재하에 800℃ 내지 1000℃ 온도로 가열하여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수득함으로써 다공성 구성 탄소질 생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에서 수득된 다공성 구성 탄소질 물질을 0.5 내지 20용적%의 산소 또는 산소-함유 가스를 함유하는 대기하에 350℃ 내지 700℃로 가열하고, 가열처리된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탄소에 대해 불활성인 대기하에 800 내지 1000℃로 더 가열함으로써, 염기성 그룹에 대한 산성 그룹의 당량비가 0.40 내지 2.5이고 염기성 그룹의 당량과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당량을 합한 것에서 카복실그룹의 당량을 뺀 값이 0.60meq/g보다 큰, 상호간의 특정한 비율로 산성 그룹, 염기성 그룹, 페놀성하이드록실 그룹 및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KR1019800004473A 1980-11-22 1980-11-22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KR84000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473A KR840001449B1 (ko) 1980-11-22 1980-11-22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473A KR840001449B1 (ko) 1980-11-22 1980-11-22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47A KR830004147A (ko) 1983-07-06
KR840001449B1 true KR840001449B1 (ko) 1984-09-27

Family

ID=1921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473A KR840001449B1 (ko) 1980-11-22 1980-11-22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4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47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764A (en) Porous and spherical carbonaceous product
EP1249241B1 (en)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US4822765A (en) Process for treating activated carbon with aqueous ammonia
TWI319985B (en)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disease, and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
CA1112172A (en) Antidote consisting of particles of activated carbon
EP0688567B1 (en) Use of spherical activated carbon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US6830753B2 (en)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JP3518878B2 (ja) 抗ネフローゼ症候群剤
CN1098688C (zh) 治疗痔疾病用药用组合物
EP0620006A2 (en) Antidiabetic agent
US20170252370A1 (en)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agent for treating renal disease, and agent for treating liver disease
KR840001449B1 (ko) 다공성 구상 탄소질 생성물의 제조방법
JP3600901B2 (ja) 経口投与用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
EP1407772B9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orous spherical carbonaceous substance and its use for the treatment of renal and liver diseases
JP4311923B2 (ja) 経口投与用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AU2003204621B2 (en)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KR100600635B1 (ko) 경구투여용 흡착제 및 상기 경구투여용 흡착제를 포함하는의약조성물
KR820000684B1 (ko) 활성탄 입자로 된 해독제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