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02B1 -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02B1
KR840000902B1 KR1019800004620A KR800004620A KR840000902B1 KR 840000902 B1 KR840000902 B1 KR 840000902B1 KR 1019800004620 A KR1019800004620 A KR 1019800004620A KR 800004620 A KR800004620 A KR 800004620A KR 840000902 B1 KR840000902 B1 KR 84000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haft
plane
force
expa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네카 루보밀
휘터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앤.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filed Critical 앤.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to KR101980000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레코드 캐리어에 대하여 두 부분의 가이드 드럼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겨있는 테이프의 형태의 기록 캐리어와 함께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의 일부를 보이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내의 선 Ⅱ―Ⅱ을 절취한 제1도의 장치의 안내드럼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와 함께 구동 샤프트상에 클램프되어 있는 안내드럼의 일부를 형성하는 자기헤드 지지체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내의 선 Ⅲ―Ⅲ을 절취한 제2도에 도시한 안내드럼 즉, 제2도에 비하여 확대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일부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선 Ⅳ―Ⅳ을 절취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와 함께 안내드럼 일부의 제3도와 동일한 평면도.
제6도는 제5도 내의 선 Ⅵ―Ⅵ상에서 취해진 단면도.
제7도는 제3 및 5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와 함께 안내드럼의 일부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내의 선 Ⅷ―Ⅷ을 절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3,5도 및 7도와 동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와 안내드럼 일부의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자치를 설치한 안내드럼의 일부의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와 안내드럼의 일부의 평면도.
제12도는 제3,5,7,9,10 및 11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와 안내드럼의 일부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 내의 선 Ⅷ―Ⅷ을 절취한 단면도.
본 발명은 테이프형의 자화 가능한 기록 캐리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정보트랙을 따라 기록 캐리어를 주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자기헤드로 구성되며, 자기헤드는 지지체상에 고정되고, 이 지지체는 그를 회전축에 강제로 결합되게 하는 허브를 가지며, 이 허브는 회전축과 동축으로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돌출한 관상형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관상형부상에는 그와 결합되게 축상에서 그와 클램핑 되게한 제거할 가능하게 클램핑장치를 설치하여 지지체와 축 사이를 강제 결합되게 한다. 상기 장치는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다.
종래 장치에서, 클램핑장치는 샤프트(shaft)상의 관형상부를 변형시키고 클램프시키기 위하여 그의 전체 주변부에 걸쳐 관상형부를 에워쌓고 있는 환상의 분리 클램핑 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상형부가 적당한 위치에서 클램프될 때, 클램핑 링은 전체 주변부에 걸쳐 축에 대향하여 상기 관상형부를 균일한 힘으로 조이면서 압압하는데, 이때 비교적 큰 변형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력에 의하여서는 샤프트의 변형을 일으켜 조여진 후에 샤프트에 변형이 있게 하고, 그 결과로 샤프트가 구동될 때 지지체의 편심회전을 하게 한다. 예를들어 두 개의 자기헤드들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이러한 편심은 기록 캐리어로부터 또는 기록 캐리어상에 정보는 기록 재생하는데 나는 영향을 준다. 회전 비크(vick) 레코더 헤드드럼을 설치하여 고도로 정확하고 또한 고도로 우수하게 재생시킬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종래 기술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문에 상기한 바와같은 형의 장치를 위한 즉 샤프트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헤드에 대한 지지체를 클램핑하면서도 비교적 적은 변형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지지체가 클램핑작동중에 전체장치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갖지 않게 하고도 샤프트에 대하여 신뢰성있게 클램핑되게 한다. 더우기, 클램핑장치는 지지체가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작동이 간단해야만 한다. 이것은 예를들면, 어떤 경우라도 지지체를 장치하거나 고체하는 동안 클램핑 작동의 기계화에 관하여 중요하다. 지지체의 이러한 고체는 수회 요구될 수 있다. 왜냐하면, 지지체상에 장치된 자기헤드가 제한된 수명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우기, 이러한 클램핑장치는 기록 재생하는 동안 항상 상태가 동일하도록 샤프트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확실히 고정시켜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클램핑장치가 서로에 대하여 강제 결합된 제1, 제2 및 제3의 클램핑 표면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에는 그에 접선방향의 평면으로 관상형부와 맞물리는 클램핑표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클램핑표면은 샤프트간에 수직인 어느 한 평면에서 서로간에 120°의 각 거리로 샤프트의 주변부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격리되어 있는 위치에서 관상형부와 맞물리며 지지체와 샤프트간에 강제 결합시키도록 조정장치에 의해 3개의 클램핑 조우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샤프트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클램핑 표면을 이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고, 상기 클램핑조우가 샤프트상에 관상형부를 클램프시키기 위해 조정될 때, 3개의 클램핑 조우들 각각이 관상형부상에 클램핑력을 인가되게 하므로, 이 힘이 각 클램핑 조우의 클램핑표면이 관상형부와 결합되는 접선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해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클램핑장치는 항상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샤프트상에 지지체를 클램프한다. 그 다음 클램핑 장치는 완전히 정지상태로 지지되게 관상형부와 중심상에 대칭으로 맞물리며, 이는 상기 관상형부의 전 주변부에 걸쳐 작용하지 않으나, 서로 120도의 각 거리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샤프트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평면내에 레치되어 있는 3개의 인가지점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3개의 클램핑조우들에 의한 3개의 인가지점에 인가된 클램핑력은 관상형부와 샤프트에 대하여 정확히 동일한 힘으로 중심에 집중된다. 관상형부와 클램핑장치를 정확히 대칭 결합시키므로 원래의 샤프트가 클램핑장치에 의해 인가된 클램핑 작동의 결과로서 변형될 수 없도록 한다. 클램핑장치가 서로간에 120도의 각 거리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3개의 인가지점에 있는 관상형부상에서 자동하기 때문에 상기의 관상형부는 그것이 정위치에서 클램프될 때, 비교적 작은 변형력만이 요구되는 단지 3개의 위치에서만 샤프트에 대향하여 압압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식으로 샤프트가 변형될 때 발생되는 모든 상기 결합들과 문제점들을 제거하여,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정보기록 재생작동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서, 고품질의 기록재생장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관상형부는 클램핑에 요구되는 작동력이 인가되거나 전달되게 한 클램핑 조우를 조정함으로서 샤프트상에 클램프된다. 물론 여러가지 가능성이 졸재하는 클램핑 조우들의 적당한 구조에 의해 클램핑 장치의 간단한 작동에 대한 필요조건들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클램핑장치를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체상에 배치되는 자기헤드가 지나치게 마모되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상기 지지체를 교체하기 위해 지지체를 간단히 장치하고 제거할 수가 있다.
만일 제1 및 제2 클램핑 조우들이 제1의 회동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이들 각각이 그에 접선인 평면으로 관상형부와 결합되는 클램핑 표면과 제1 및 제2 클램핑 조우들의 클램핑 표면이 서로에 대하여 60도 각도로 둘러쌓인 관상형부와 맞물리는 두 개의 접선방향으로 있는 평면을 가지며, 만일 클램핑장치가 제2의 회동조인트에 의해 제1클램핑 조우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 및 제3회 회동조인트에 의해 제2클램핑 조우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로 구성될 경우에, 제1 및 제2연결 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회동조인트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모든 상기 조인트의 축은 샤프트축에 실지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1조인트의 축은 제1 및 제2 클램핑 조우들의 클램핑 표면들이 관상형부와 맞물리는 즉, 대칭 평면이 샤프트 축을 포함하는 두 개의 접선방향의 평면에 대한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조인트의 축과 제3의 조인트축은 상기 대칭평면에 대하여 상호간에 밀러(mirror) 대칭으로 배치되며, 제2의 조인트와 제1연결바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조인트의 축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1의 연결평면과 제3의 조인트와 제2의 연결바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조인트의 외측을 가진 제2연결평면은 대칭 평면내에서 서로 교차되고, 그리고 제3의 클램핑 조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또 다른 조이트에 인접하여 설치된 돌기부(abutment)에 대향하여 압압되면서 그에 접선방향에서 상기 대칭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또 다른 관상형부와 맞물리는 클램핑표면을 가지지 않는 경우, 조정장치에 의해 제3 클램핑 조우는 지지체와 샤프트간에 강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샤프트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기부에 대하여 클램핑 표면을 이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클램핑장치는 샤프트축의 방향으로 상기 관상형부상에 그가 단단히 고정되므로 관상형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상에 관상형부를 클램핑시키기 위해서는 단일의 클램핑 조우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3개의 클램핑 조우들 서로에 대하여 적소에 위치시켜서, 클램핑 조우들이 서로간에 회동 연결되기 때문에 관상형부가 샤프트상에 클램프될 때, 비록 단 한나의 클램핑 조우를 조정장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할지라도 모든 3개의 클램핑 조우들이 항상 샤프트에 대하여 힘을 집중되게 하는 관상형부에 동일한 클램핑력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는 관상형부에 각 샤프트상에 힘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샤프트의 변형을 없게 한다. 더우기, 간단한 작동으로 지지체의 장치 및 제거, 즉 교체를 간단히 하게 하고 재제조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만일 제3의 클램핑 조우에 대한 돌기부가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 사이에 연장되고 제1의 다른 회동 조인트를 통하여 제1연결바와, 제2의 다른 회동 조인트를 통하여 제2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3연결바로 구성될 경우, 제1연결평면이 제2조인트와 제1의 다른 조인트 축들을 포함하며, 제2연결평면이 제3조인트와 제2의 다른 조인트와 제3조인트의 축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식으로, 간단하고 소형의 구조로서 신뢰성있고 안정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클램핑장치의 제3클램핑 조우가 상기 대칭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Ⅴ자형으로 굽어지는 탄성의 익스팬더(expender:팽창기의 의미이나 이후 익스팬더로 통침함)로 축조될 경우, 익스팬더는 제1익스팬더 림(limb)과 제2익스팬더 림으로 구성되고, 제1익스팬더 림의 자유단부는 제3클램핑 조우의 클램핑 표면으로 구성되며, 제2익스팬더 림의 자유단부는 제3연결바에 대향하여 지지된다. 또한 나사식 조정장치가 상기 익스팬더의 두 림들의 접속부에서의 익스팬더상에서 작용할 경우, 상기 림들은 샤프트상에 관상형부를 클램프시키도록 상기 조정장치의 작동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적은 작동력으로 소정의 결과를 갖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익스팬더에 의해 클램핑력과 소정 작동력 사이에 높은 힘 전달비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익스팬더림들이 탄성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의 경우에 여러 클램핑장치들의 익스펜더 림들에 의해 발생되는 클램핑력이 허용오차와 조정의 정확성에 대하여 그리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조정중에 발생하는 오차와 약간의 차이가 탄성에 의해 보상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라도 동일한 클램핑력이 발생된다. 더우기, 클램핑은 관통 나사 조정장치를 조이므로서 아주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지므로 지지체를 용이하고 신속히 교체할 수 있다.
익스펜더는 간단한 V자형 탄성의 금속박판 부품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만일 제3클램핑 조우로서 작동하는 익스펜더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으로 축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익스펜더를 팽창시키는 데는 적은 작동력으로 가능하다. 왜냐하면, 각 박판들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총두께를 갖는 박판형 익스펜더가 동일한 층두께를 갖는 단일층보다 더욱 잘 팽창되며, 한편 프샤트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동일한 부하가 샤프트상에 관상형부를 클램프시키도록 박판형 익스펜더에 인가될 수 있다.
만일 클램핑 장치의 제3클램핑 조우가 상기 대칭평면에 수직인 축둘레의 상기 바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제3연결바상에 지지되는 L자형 브래키트와 샤프트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림으로 축조되며 제3클램핑 조우의 클램핑표면은 제1림상에 형성되며, 나사식 조정장치가 제2림상에서 작동할 경우 브래키트는 상기 조정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3연결바에 대해 회동될 수 있어 관상형부를 샤프트에상 클램프시킨다. 이는 적은 작동력으로 간단히 작동될 수 있는 간단하고 견고한 클램핑장치로 구성되며 작동력과 최종 클램핑력간의 비트 브래킷트 림의 길이를 적절히 선택하므로 한정할 수 있다.
만일 지지체의 허브가 그로부터 반대방향의 축상으로 돌출하고 샤프트와 동축상에 있게 되면서 그들 각각이 클램핑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두 개의 관상형부로 구성될 경우 두 개의 클램핑장치의 제3의 두 클램핑 조우들은 샤프트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두 클램핑 장치들간에 위치되는 또 다른 대칭 평면에 대해 서로에 대해 서로 밀러대칭으로 배치되며, 제3의 두 클램핑 조우들을 조정할 경우 제3의 두 클램핑 조우들을 통하여 샤프트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상기 조우들을 조이도록 작동할 수 있는 단일 관통 나사 조정장치를 설치하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샤프트상에 지지체를 확실하고도 신뢰성있게 자유로이 작동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두 개의 관상형상부들이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서로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격리되어 있는 두 클램핑 영역내에서 샤프트상에 클램프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지지체가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비교적 큰 칫수를 갖고 있을 경우 특히 좋다. 두 클램핑 영역들 내에서 클램핑작동을 할 경우라도 지지체가 방사상 회전이나 축상의 불균형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비록 지지체가 샤프트의 축상방향으로 서로간에 일정한 거리로 격리되어 있는 두 클램핑 영역들내에서 샤프트상에 클램프되더라도, 샤프트가 클램프력이 대칭적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변형되지 않으며, 이러한 변형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더우기, 유리한 것은 두 클램핑장치들이 특히 간단히 시간을 절약하는 단일 동작으로 하나의 나사식 조정장치로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조우들과 연결바들은 회동조인트를 혀성하도록 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천공한 개별 부품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클램핑 조우, 제2클램핑 조우와 클램핑장치의 연결바들이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로 형성될 경우와 회동조인트들이 클램핑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게 하되, 샤프트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힘지로 축조될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특히 간단하며, 소형으로 신뢰할 수 있는 구조체로 축조할 수 있으며 클램핑 플레이트는 간단히 기계화된 천공 작동에 의해 값싸게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클램핑 조우와 제2클램핑 조우는 서로 단단히 연결되며 V자형 클램핑 부재의 두 림들로 구성되며 이 림들 각각은 그에 대하여 접선방향의 평면내의 관상형부와 결합되는 클램핑 표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접선방향의 평면내에는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들의 클램핑 표면들이 서로 60도의 각도로 둘러쌓여진 관상형부와 결합되는 한편 제3클램핑조우가 상기 대칭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른 접선평면내에서 조정장치에 의하여 관상형부와 결합되어 지지체와 샤프트간의 강제 결합을 하게 하는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또한 샤프트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클램핑 표면을 이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는 클램핑장치를 제공해주며 또한 정확한 클램핑에 대한 조건과 일치하므로 더욱 간단하고 안정된 구조로써 고도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제3클램핑 조우와 V장형 클램핑 부재간의 협동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다. 한 예로서, 제3클램핑 조우는 나사에 의해 클램핑 부재의 두 림들에 연결될 수 있다. 간단히 축조하기 위하여 제3클램핑 조우가 클램핑 부재의 두 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두 개의 연결바들이 회동 조인트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의 두 개 림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고 서로에 대하여 교대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대칭평면에 대하여 서로 밀러 대칭되게 레열되는 경우와 제3 클램핑 ㅈ우가 연결바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대칭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레치되어 돌기부(autment)에 대향하여 압압되게 하므로 지지체와 샤프트간의 강제결합을 하도록 한 경우 유리하다는 것이다. 제3클램핑 조우가 상기의 돌기부에 대해 조정될 수 있을 경우이다. 이로써 간단하고 안정한 대칭구조로써 비록 조우가 샤프트상에 관상형부분 클램프시키도록 작동된다 할지라도 균일한 힘 분레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 결과, 관상형부는 샤프트가 변형되지 않으면 서로 샤프트상의 제위치에 정확히 클램프된다.
제3클램핑 조우와 V자형 클램핑 부재간의 협동에 관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제3클램핑 조우가 바아의 형태로써 그의 일단이 회동 조인트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의 한 림에 직접 연결되고 그의 타단부가 조정장치로 작동하는 조정나사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의 다른 림에 연결되고 지지체와 샤프트간에 강제 결합되게 하는 경우 유리하다. 이로써 조정나사가 삽입되기 전에 지지체의 구조에 따라 방사상 방향으로 있는 관상형부상에 설치될 수 있게 한 간단하면서 견고한 클램핑 장치로 축조할 수 있다.
더우기, 제1클램핑 조우, 제2클램핑 조우그와 제3클램핑 조우가 샤프트와 동축인 링으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해 있는 설편(tonque) 즉, 링의 평면과 샤프트에 대해 경사져 있는 설편으로 축조되며 그 설편의 자유단부가 클램핑 표면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조정장치에 의하여 지지체와 샤프트간에 강제 결합시키도록 모든 3개의 클램핑 조우들이 샤프트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클램핑 표면들을 이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게 하면서,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링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이 실시예로서, 클램핑장치의 정밀성은 단일 부품은 제조의 정밀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후 테이프라 칭하여지는 테이프 형태의 자기 기록 캐리어(2)에 영상 및 음성정보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기록 재생장치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장치(1)는 공급스핀들(4) 및 권취스핀들(5)를 지지하는 데크 플레이트(3)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스핀들은 그 위에 설치된 공급리일(6)과 권취리일(7)을 구동시키는 작동을 한다. 공급리일(6)과 권취리일(7) 사이에 테이프(2)는 그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테이프 안내핀(8) 둘레를 돌아, 테이프상에 기억된 모든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자기소거헤드(9)를 지나, 이후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자 하는 테이프 안내드럼(10)을 돌아, 테이프상에 또는 테이프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자기기록 재생헤드(11)을 지나는데 여기서 익스터은 기록 재생중 테이프가 균일하게 이송하도록 그에 대향하여 압압되는 압압로울러(13)와 협동한다. 또한 테이프(2)는 그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데이프 안내핀(14) 및 (15)을 지난다. 분명한 것은 공급리일(6)과 권취리일(7)은 카세트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테이프는 카세트로부터 빼낼 수 있으며 적당한 장치에 의해 상기의 부품들을 통과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바와 같이, 테이프는 테이프 안내드럼의 원주표면 둘레로 나선식으로 둘러싸여지면서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자기헤드와 접촉되는데, 이 자기헤드는 상기 드럼에 설치되며 비데오 정보를 기록 재생하고 테이프와 협동하면서 테이프의 종방향의 경사로 연장되어 있는 정보트랙을 따라 테이프를 주사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서 테이프 안내드럼(10)은 데크플레이트(3)상에 견고히 고정된 반쪽부품의 정지드럼(16)(이후 정지드럼이라 통칭)과 앞에서 처음 언급한 반쪽부품의 드럼과 동축인 반쪽부품의 회전드럼(17)(회전드럼으로 통칭)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두 개의 자기헤드(18) 및 (19)를 지지하는 회전드럼(17)은 축(21)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22)의 자유단부(23)에 회전드럼(17)이 강제 결합되도록 해주는 허브(20)을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22)와 회전드럼(17)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모터(24)에 의해 직접 구동되며, 이 모터는 모터의 회전자(25)가 상기의 샤프트상에 동축상에 배열되면서 그에 연결된 샤프트(22)와 직접 맞물린다. 모터의 고정자(26)는 모터 하우징내에 수용되며, 이 하우징은 정지드럼(16)과 한 장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터(24)와 완전한 테이프 안내드럼(10)은 데크플레이트(3)상에 장치될 수 있는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허브(20)는 샤프트와 동축상에 있고 그로부터 반대방향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관상형부(28) 및 (29)로 구성되며, 이러한 관상형부는 그들 위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해체 가능한 클램핑 장치(30)에 의하여 결합된다. 두 개의 클램핑 장치는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 사이를 강제 결합시키도록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클램핑 영역의 샤프트(22)상에 관상형부(28) 및 (29)를 개별적으로 클램프한다. 또한 자기헤드에 의하여 비데오 정보를 정확히 기록 재생하는 과정중에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을 원만하고 만족스럽게 하기 위하여서는 본질적으로 자기 헤드 지지체로써 작용하는 회전드럼(17)이 클램핑장치(30) 및 (31)에 의하여 샤프트(22)상에 정확하고도 신뢰성있게 클램프되게 하여, 샤프트를 변형되지 않게 하거나 샤프트 베어링을 클램프동안 변형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이후 두 개의 클램핑장치(30) 및 (31)에 대하여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 기술하고자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클램프 장치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며 샤프트(22)의 축(21)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그들(30) 및 (31) 사이에 위치된 대칭평면(32)에 대하여 서로 밀러 대칭되게 배열된다. 이러한 이유로 두 개 클램핑 장치(30) 및 (31)의 개별적인 해당 부품들은 대쉬를 부가한 것 이외에는 클램핑 장치(31)의 부품에 대한 각각의 참고번호와 동일한 참고번호를 가진다.
두 개 클램핑장치(30) 및 (31)는 개별적으로 각각 제1의 클램핑조우(33) 및 (33′), 제2클램핑조우(34) 및 (34′)와 제3의 클램핑 조우(35) 및 (35′)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클램핑장치(30) 또는 (31)의 세 개의 클램핑조우는 서로 120도의 각 거리로 샤프트(22)의 원주부 둘레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샤프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4도 점선으로 도시한 어느 한 평면(36) 또는 (36′)상에 있는 위치에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각 클램핑장치의 제1클램핑조우(33) 또는 (33′)와 제2클램핑 조우(34) 또는 (34′)를 제1회등 조인트(37) 또는 (37′)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평판형 클램핑 레버로 축조된다. 두 개의 클램핑레버(33),(34) 또는 (33′),(34′)는 그에 접선방향으로 있는 평면(38),(39) 또는 (38′),(39′)에서 각각의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결합되어 있는 제3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클램핑 표면(40),(41) 또는 (40′),(41′)을 가진다. 이 경우 클램핑 표면은 평탄한 평면이다. 각각의 제1클램핑 레버(33) 또는 (33′)에 대한 클램핑 표면(40),(41) 또는 (40′),(41′)이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결합되는 두 개의 접선방향의 평면(38),(39) 또는 (38′),(39)은 서로 60도의 각으로 둘러쌓여 있다.
또한 두 개의 클램핑장치(30) 및 (31)는 제1의 평판형 연결바(42) 또는 (42′)와 제2평판형 연결 바(43) 또는 (43′)들로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연결바(42) 또는 (42′)는 제2회동조인트(44) 또는 (44′)에 의하여 제1클램핑레버(33) 또는 (33′)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바(43) 또는 (43′) 또한 제3의 회동조인트(45) 또는 (45′)에 의하여 제2의 클램핑 레버(34) 또는 (34′)에 연결된다. 제1연결바(42) 또는 (42′)와 제2연결바(46) 또는 (46′) 사이에는 제1의 다른 회동조인트(47) 또는 (47′)에 의하여 제1연결바에 연결되고 제2의 다른 회동조인트(48) 또는 (48′)에 의하여 제2의 연결바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제3의 평판형 연결바(46) 또는 (46′)가 연결되어 있다.
모든 회동 조인트의 축은 샤프트(22)의 축(21)에 대하여 편향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 경우 조인트의 축은 샤프트축에 대하여 약 3도의 적은 각도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클램핑장치의 작동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있다고 하여도 거의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적다. 제1조인트(37) 또는 (37′)의 축은 제1 및 제2클램핑조우(33),(34) 또는 (33′),(34′)가 각각의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개별적으로 결합되게 한 두 개의 두 개 접선방향의 평면(38),(39) 또는 (38′),(39′)에 대하여 대칭평면(49) 또는 (49′) 내에 개별적으로 위치된다. 대칭평면(49) 또는 (49′)는 샤프트(22)의 축(21)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3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클램핑장치에 대한 제2조인트(44) 또는 (44′)의 축과 제3조인트(45) 또는 (45′)의 축은 대칭평면(49) 또는 (49′)에 대하여 서로 개별적으로 밀러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는 각각의 제1연결바(42) 또는 (42′)에 대한 제2조인트 및 제1의 다른 조인트의 축을 가진 점선으로 도시한 제1연결평면(50) 또는 (50′)과 각각의 제2연결바(43) 또는 (43′)에 대한 제3조인트 및 제2의 다른 조인트의 축을 가진 점선으로 도시한 제2연결평면(51) 또는 (51′)들이 두 개의 접선 평면(38),(39) 또는 (38′),(39′)에 대한 각각의 대칭평면(40) 또는 (49′) 내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두 개 클림핑장치(30) 및 (31)에 대한 제1 및 제2클램핑 레버와 3개의 연결바는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52) 또는 (52′)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각 클램핑장치의 조인트는 각각의 클램핑 플레이트(52) 또는 (52′) 일체로 형성된 힌지로 구성되며, 이 힌지는 샤프트(22)의 축(21)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이러한 식으로 특별히 간단하고 소형의 안정한 구조로 축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두 개 클램핑장치(30) 및 (31)에 대한 제3의 클램핑 조우(35) 또는 (35′)는 각각의 대칭평면(49) 또는 (49′)에 수직으로 연장시킨 선을 따라 V자형으로 굴곡시킨 탄성적인 익스팬더(expender)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익스팬더는 제1익스팬더림(53) 또는 (53′)과 제2익스팬더 림(54) 또는 (54′)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익스팬더(35) 또는 (35′)는 단일층 물질로 180도를 절첩할 수 있는 두 개의 박판으로 구성시킨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첩은 각각의 제1의 익스팬더 림(53) 또는 (53′)의 자유단부(55) 또는 (55′)에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3연결바(46) 또는 (46′)상에 배열된 각각의 제1익스팬더 림(53) 또는 (53′)의 절첩 자유단부(55) 또는 (55′)는 제3클램핑 조우(35) 도는 (35′)의 클램핑표면으로 이루어지며 이 표면은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익스팬더 림(53) 또는 (53′)의 자유단부에서의 절첩으로 둥글게 되고 그에 접선방향으로 있는 다른 평면(56) 또는 (56′)내에 해당 관상형부(38) 또는 (29)와 결합하며, 여기서 평면은 두 개의 접선 방향으로 있는 평면(38),(39) 또는 (38′),(39′)에 대하여 대칭평면(49) 또는 (49′)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3도 및 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익스팬더 림(54) 또는 (54′)의 자유단부는 연결바(46) 또는 (46′)로부터 굽어진 리그(57) 또는 (57′)에 대향하여 압압되며, 이 러그는 각각의 익스팬더에 대한 돌기부로 작용하면서 두 개의 다른 조인트(47),(48) 또는 (47′),(48′)에 의하여 제1연결바(42) 또는 (42′)와 제2연결바(43) 또는 (53′)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조인트(37) 또는 (37′)에 의하여 서로 강제 결합된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33),(34) 또는 (33′),(34′)에 대하여 제3클램핑조우(35) 또는 (35′)를 개별적인 강제결합으로, 제3클램핑조우와 제1 및 제2연결바(42)(43) 또는 (42′)(43′)에 대한 돌기부로 작용하는 제3의 연결바(46) 또는 (46′)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 사이를 강제결합시키기 위하여 각 클램핑장치(30) 또는 (30′)의 제3클램프조우에 작용하는 각각의 익스팬더(35) 또는 (35′) 그를 위한 돌기부로 작용하는 각각의 제3연결바(46) 또는 (46′)에 대하여 샤프트(22)의 축(21)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의 제1익스팬더림(53) 또는 (53′)의 자유단부(55) 또는 (55′)로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서는 조정장치로 작동하는 나사식 조정장치(58)는 익스팬더의 두 개 림의 접합부에 있는 각각의 익스팬더(35) 및 (35′)상에서 작동하며, 상기 볼트를 조이므로 각 익스팬더에 대한 두 개 림이 해당관상형부(28) 또는 (29)를 샤프트(22)상에 클램프하도록 팽창되게 한다. 클램프장치(30) 및 (31)의 두 개 익스팬더(35) 및 (35′)를 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샤프트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한 단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 볼트(58)는 회전드럼(17)내에 형성한 보어(bore)(59)내로 삽입되고 이 보어내에서 슬리이브(60)에 의하여 둘러쌓여지며, 이 볼트의 자유단부에 대향하여서는 두 개 클램핑 장치(30) 및 (31)의 제3의 연결바(46) 및 (46′)가 압압되게 한다. 이로써 샤프트의 축상으로 측정된 두 개 클램핑장치 사이에 거리를 한정한다. 볼트(58)는 두 개의 익스팬더(35) 및 (35′)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익스팬더(35)내에 형성한 슬롯(61) 및 (61′)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볼트(58)의 슬롯모양의 헤드(62)는 정지드럼(16)에 면하여 있는 익스팬더(35′)를 압압하고 있는 볼트상의 너트(63)는 샤프트(22)의 자유단부(23)에 인접하여 위치된 익스팬더(35)상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식으로 볼트(58)는 서로에 대하여 두 개의 익스팬더(35) 및 (35′)를 팽팽하게 한다. 너트(63)가 고정된 자유단부에서 볼트(58)는 나사 드라이버 또는 그와 유사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게 한 슬롯(63)이 형성되어, 이 볼트(58)의 슬롯모양헤드(62)와 너트(63)가 샤프트의 자유단부 근처에서 작동하도록 쉽게 삽입될 수 있다.
크램핑장치(30)과 (31)의 익스팬더(35)와 (35′)를 조정할 때 볼트(58)를 조임으로서 샤프트(22)상에 관상형부(28)과 (29)를 클램프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각 클램핑 레버(33),(34) 또는 (33′),(34′)와 각각의 익스팬더(35) 또는 (35′)는 각각의 클램핑력(P1),(P2),(P3) 또는 (P1′),(P2′)(P3′)를 각각의 관상형부 (28) 또는 (29)상에 인가하며, 이들 힘은 각각의 클램핑 표면(40),(41),(55) 또는 (40′),(41′),(55′)이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결합하게 한 각 접선평면(38),(39),(56) 또는 (38′),(39′),(56′)에 대해 수직으로 직접 가해진다.
제1클램핑 레버(33) 또는 (33′)에 의해 관상형부(28) 또는 (29)상에 인가되는 클램핑력(P1) 또는 (P1′)은 제1조인트(37) 또는 (37′)의 축을 교차시키고 두 개의 접선 평면(38),(39) 또는 (38′),(39′)에 대해 각각의 대칭평면(49) 또는 (49′)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 제1힘성분(N1) 또는 (N1′)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클램핑 레버(34) 또는 (34′)에 의해 관상형부(28) 또는 (29)상에 인가되는 클램핑력(P2) 또는 (P1)은 제1조인트(37) 또는 (37′)의 축을 교차하며 두 접선평면(38),(39)와 (38′),(39′)에 대해 대칭평면(49) 또는 (49′)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 제1힘성분(N2) 또는 (N2′)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클램핑 작동 후, 대칭평면(49) 또는 (49′)에 수직으로 연장되게 한 힘만이 제1조인트상에 인가하여 제1조인트가 그의 예정된 위치로 유지된다.
결국, 관상형부(28) 또는 (29)에 대해 제1클램핑 레버(33) 또는 (33′)와 제2클램핑레버(34) 또는 (34′)의 위치는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클램핑 표면(40),(41) 또는 (40′),(41′)이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개별적으로 결합되게 한 두 개의 접선평면(38),(39) 또는 (38′),(39′)간의 각도 60°를 계속하여 확실히 지지되게 한다. 이것은 클램핑력(P1),(P2),(P3) 또는 (P1′),(P2′),(P3′)이 서로간에 12도로 있는 상기 부분의 주변부 둘레로 균일하게 분포된 위치에서 관상형부(28) 또는 (29)상에 확실하게 작동된게 한다. 따라서, 관상형부 (28)과 (29)는 완전한 대칭 방식으로 샤프트(22)상에 클램프된다.
더우기, 각 제1클램핑 레버(33) 또는 (33′)에 의해 관상형부(28) 또는 (29)상에 개별적으로 가해지는 클램핑력(P1) 또는 (P1′)은 제1연결평면(50) 또는 (50′)에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제2조인트(44) 또는 (44′)의 축과 또한 또다른 제1조인트(47) 또는 (47′)의 축을 교차하게 한 방향을 갖는 제2의 힘성분(Z1) 또는 (Z1′)를 개별적으로 갖는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클램핑 레버(34) 또는 (34′)에 의해 관상형부(28) 또는 (29)상에 가해지는 클램핑력(P2) 또는 (P2′)은 제2연결평면(51) 또는 (51′)에서 연장되고 제3조인트(45) 또는 (45′)의 축과 또한 또 다른 제2조인트(48) 또는 (48′)에 축을 교차하는 방향을 갖는 제2힘성분(Z2)와 (Z2′)을 갖는다. 클램핑력(P3) 또는 (P3′)은 각각의 익스팬더(35) 또는 (35′)의 각각의 제1익스팬더림(53) 또는 (53′)에 의하여 각각의 관상형부(28) 또는 (29)상에 가해지는데, 이 힘은 제1조인트(37) 또는 (37′)의 축과 교차하며, 두 개의 접선평면(38),(36) 또는 (38′),(39′)에 대해 대칭평면(49) 또는 (49′)내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익스팬더의 각각의 제2림(54) 또는 (54′)에 의하여 제3연결바(46) 또는 (46′)상에 작용되는 반작용력(R1) 또는 (R1′)을 발생시키는데 여기서 림은 각각의 제3연결바(46) 또는 (46′)상에 각진 러그(57) 또는 (57′)에 대향하여 그의 자유단부에 의하여 압압된다. 그 반작용력(R1) 또는 (R1′)은 클램핑력(P3) 또는 (P3′)과 동일한 크기이며, 또한 대칭평면(49) 또는 (49′)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반작용력(R1) 또는 (R1′)은 그의 힘성분의 방향이 제1연결평면(50) 또는 (50′)에서 연장되며 또 다른 제1의 조인트(47) 또는 (47′)에 의하여 제1연결바(42) 또는 (42′)상에서 작용하는 제1의 힘성분(K1) 또는 (K1′)과 힘성분의 방향이 제2연결평면(51) 또는 (51′)에서 연장되며 또 다른 제2조인트(48) 또는 (48′)를 통하여 제2연결바(43) 또는 (43′)상에서 작용하는 제2힘성분(K2) 또는 (K2′)으로 구성된다. 클램핑력(P1) 또는 (P1′)과 각각의 반작용력(R1) 또는 (R1′)에 대한 개별적인 두 가지의 힘성분(Z1) 및 (K1) 또는 (Z1′) 및 (K1′) 즉, 제1연결평면(50) 또는 (50′)내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된 방향을 가진 힘성분과, 각각의 클램핑력(P2) 또는 (P2′) 및 각각의 반작용력(R1) 또는 (R1′)에 대한 힘성분, 즉 (Z2) 및 (Z2) 또는 (Z2′) 및 (Z2′)의 힘성분들은 힘 균등으로 서로 동일하다. 더우기, 각각의 대칭평면(49) 또는 (49′)에 대해 두 개의 각 클램핑장치(30) 및 (31)를 대칭되게 구성시켰기 때문에 각각의 반작용력(R1) 또는 (R1′)의 두 가지 힘성분(K1),(K2) 또는 (K1′),(K2′)는 또한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개의 클램핑력(P1),(P2) 또는 (P1′),(P2′) 및 각각의 반작용력(R1) 및 (R1′)과 그 결과로 일어나는 제3클램핑력(P3) 또는 (P3′)은 모두 동일하다. 이것은 각각의 관상형부(28) 및 (29)의 주변부 둘레로 균일하게 분포된 클램핑 작용에 대해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샤프트상의 균일한 부하를 갖게 하므로 샤프트가 회전드럼(17)을 정위치로 클램프할 때에 변형되지 않게 한다.
샤프트(22)에 회전드럼(17)을 고정시키기 위해 두 개의 클램핑장치들(30) 및 (31)의 각 클램핑 플레이트(52) 및 (52′)는 무엇보다 먼저 관상형부(28) 및 (29)상에 위치되며, 그 후 두 익스팬더(35) 및 (35′)와 볼트(58)는 볼트가 익스팬더를 팽창시키도록 익스팬더에 작동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두 개의 클램핑장치(30)과 (31)과 함께 회전드럼(37)은 샤프트(22)상에서 간단히 미끄럼 이동되는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 조립체가 샤프트내에 미끄럼 삽입된 후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지부재와 같은 위치설정장치에 의해 축방향의로 회전드럼을 정확히 위치시키며, 두 개의 클램핑장치들은 볼트(58)를 간단히 조임으로서 동시에 작동되며, 회전드럼은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서로 격리된 두 개의 클램핑 지역에서의 샤프트상의 정위치에서 클램프된다. 볼트(58)는 그 내부로 형성시킨 슬롯(64)내에 나사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하여 조여지며, 너트는 연장에 의해 또는 손으로 지지된다. 회전드럼(17)을 제거하기 위하여 볼트(58)는 두 개의 클램핑장치(30)와 (31)의 클램핑 작용을 없이 하도록 풀려지며 그 다음 회전드럼 위에 장치된 클램핑장치와 함께 샤프트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두 클램핑장치들은 각각의 관상형부상에 작용하는 3개의 클램핑력이 동일하며 샤프트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서로간에 정확히 120도의 각 거리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완전히 대칭적이면서 정지된 상태로 샤프트상에 두 개의 관상형부를 클램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관상형부에 의한 샤프트상의 두 클램핑장치의 작용 때문에 샤프트의 어떠한 변형이라도 방지된다. 클램핑 장치들이 각각 3개의 위치에서만 샤프트에 대하여 관상형부를 클램프시키기 때문에 클램프 작동에서는 작은 작동력만이 요구되는데, 왜냐하면 각 관상형부가 오직 3개의 클램핑 영역내에서 조여지고 그의 전체 주변부에 대하여 조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클램핑을 하는 데에는 단일 볼트에 의하여 간단히 작동될 수 있는 각 클램핑장치의 클램핑 조우중 하나를 조이면 된다. 또한, 두 클램핑 장치를 조이기 위하여서는 단지 아주 작은 작동력이 볼트에 의해 인가되면 된다. 왜냐하면 익스팬더가 매우 높은 힘전달비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동력을 인가하여도 샤프트 베어링을 변형시키거나 샤프트 베어링에 대한 손상을 주지 않는다. 볼트가 샤프트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볼트를 조임이 샤프트의 자유단부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이것은 또한 클램핑 장치를 간단하고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써 회전드럼은 그의 위에 설치된 자기헤드가 지나치게 마모되고 손상된 경우 아주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각각의 두 클램핑 장치의 간단한 구성은 제1 및 제2클램핑 레버와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와 같은 3개의 연결바들로 구성되므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드럼이 아주 간단하며 쉽고 신속하게 구동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고 샤프트 베어링을 손상 또는 변형시키지 않고도 상기 샤프트를 신뢰성있게 정확히 지지되게 하는 장치가 축조될 수 있다. 이것은 회전드럼이 불평형되지 않게 확실히 회전되게 하여 항상 비데오 정보에 대한 최적의 정확한 기록 재생작용이 회전드럼상에 설치된 자기헤드들에 의해 수행된도록 한다. 중요한 것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물론 두 개의 클램핑장치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특히, 익스팬더의 구조에 대하여 중요한 것은 두 개의 축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격리된 클램핑 영역들에서 상이한 클램핑력을 얻기 위해 서로간에 상이한 익스팬더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두 개 클램핑 영역에서 상이한 온도 조건에 대한 보상을 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중요한 것이며 장점이 된다. 두 클램핑 영역내에서 상이한 크기의 클램핑력은 두 클램핑장치들의 클램핑 플레이트에 대하여 예를들면 강철 또는 놋쇠와 같은 상이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작동볼트상의 너트가 볼트 회전시 너트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케이지(cage)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지는 예를들면 회전드럼의 자유단부를 덮고 있고 그에 고정되는 커버플레이트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의 필요성은 단지 볼트내의 슬롯을 형성시킬 수 있는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중요한 것은 회전드럼이 전술한 구성의 단일클램핑장치에 의해 샤프트상에 클램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5 및 6도에 도시된 신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두 클램핑장치(30) 및 (31)의 제3클램핑 조우는 L자형 브래키트(65) 또는 (65′)로 개별적으로 축조된다. 브래키트(65) 또는 (65′)는 클램핑 플레이트(52) 또는 (52′)의 평면의 외부에서 약간 굽혀진 설편(55) 또는 (66)을 포함하며 이 설편상에서 브래키트(65) 또는 (65′)가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편(66) 또는 (66′)의 자유단부는 브래키트(65) 또는 (65′)에 대한 회동축으로 구성되며, 이 축은 두 접선평면(38), (39) 또는 (38′),(39′)에 대해 대칭평면(49) 또는 (49′)에 대해 수직이다. 따라서, 각각의 제3조우(65) 또는 (65′)와 제1조인트(37) 또는 (37′)에 교대로 강제 결합되는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33),(34) 또는 (33′),(34′)의 사이에 강제결합은 제3의 클램핑조우와 제1 및 제2연결바(42),(43) 또는 (42′),(43′)에 대한 돌기부로서 작용하는 제3연결바(46) 또는 (46′)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브래키트는 샤프트(22)의 축(21)에 대해 실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림(67) 또는 (67′)과 샤프트의 축에 대해 실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림(68) 또는 (68′)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키트(65) 또는 (65′)가 대칭평면(49) 또는 (49′)에 수직인 접선평면(56) 또는 (56′)내의 관상형부(28) 또는 (29)와 결합된 클램핑 표면은 관상형부(28) 또는 (29)와 면하는 브래키트(65) 또는 (65′)의 제1림(67) 또는 (67′)의 림표면(69) 또는 (6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관상형부(28) 또는 (29)를 샤프트(22)상에 클램프시키기 위하여 두 브래키트에 공통인 볼트(58)는 각각의 개별적인 브래키트(65) 또는 (65′)의 제2의 림(68) 또는 (68′)과 결합되며, 이 볼트는 두 개의 제2림을 통하여 연장되고 그들을 서로에 대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볼트는 회전드럼(17)내에 구멍(70)내로 삽입되며, 여기서 구멍은 그의 각 단부로 부터연장되어 있는 두 개 부분의 증가된 직경을 가져 볼트(55)로 둘러쌓고 있는 두 개의 스페이서 슬리이브(71) 및 (72)를 수용하며, 이 슬리이브는 구멍의 반대단부로부터 구멍의 각 부분내의 삽입된다. 각 클램핑장치(30)과 (31)의 제3 연결바 (46)과 (46′)은 스페이서 슬리이브의 자유단부에 자유단부에 대향하여 압압되어 있어 두 클램핑장치들이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서로간에 특정한 거리에 위치되게 한다. 슬롯(73)을 형성시킨 볼트(58)의 헤드(62)는 브래키트가 샤프트(22)의 자유단부 근처에 위치되어 있는 클램핑장치(30)의 브래키트(65)와 협동하는 한편 너트(63)는 클램핑장치(31)의 브래키트(65′)와 결합된다. 회전되지 않게 너트(63)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너트는 회전드럼(17)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키트(75)의 그와 일치하는 모양으로 분기된 단부(74)내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클램핑장치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클램핑력(P1) 또는 (P1′)와 같은 반작용력(R1) 또는 (R1′)은 각 브래키트(65) 또는 (65′)의 제1림(67) 또는 (67′)으로부터 제3연결바(46) 또는 (49′)의 각 설편(66) 또는 (66′)으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더우기, 클램핑장치들의 장점중 하나는 설계에 의해 간단한 L자형 브래키트와 같은 제3의 클래핑조우가 아주 견고하게 신뢰성있게 축조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또한 할 수 있는 것은 클램핑장치가 완전히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두 클램핑장치의 브래키트들은 상이한 기장의 제1림을 가질 수 있어 상이한 클램핑력이 축상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클램핑영역에서 발생되어 클램핑 영역의 위치에서의 상이한 온도조건을 보상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 가능한 것은 샤프트에 회전드럼을 고정시키도록 단 하나의 클램핑 장치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제7 및 8도는 회전드럼(17)이 허브(20)상에 설치한 단 하나의 관상형부(28)로 구성되어 있어, 그가 단 하나의 클램핑장치(30)에 의해 샤프트(22)상에 클램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클램핑장치(30)는 제1클램핑레버(33)과 제2클램핑 레버(34) 뿐만 아니라 제1연결바(42)와 제2연결바(43)로 구성되는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52)로 구성되며, 또한 두 연결바들(42) 및 (43)는 단일의 다른 회동조인트(76)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제3클램핑 조우에 대하여 이 실시예는 두 개의 접선평면(38)과 (39)에 대하여 대칭인 평면(49)에 수직인 선을 따라 V자형으로 굽혀진 제1림(78)과 제2림(79)으로 구성된 탄성 클램핑 브래키트(77)를 사용한다. 두 개 림(78)과 (79)은 클램핑 플레이트(52)의 평면에 대해 서로간에 밀러대칭으로 배치된다. 두 개의 림(78)과 (79)을 상호 연결하는 굴곡부(80)는 대칭평면(49)에 수직인 또 다른 접선평면(56) 내에서 관상형부(28)와 결합되는 제3클램핑 조우의 클램핑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램핑 플레이트(52)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단부들이 굴곡된 두 개 림들(78) 및 (79)의 자유단부들을 관통한 볼트(58)는 조정장치로서 작동한다. 볼트의 헤드(62)는 림(79)의 자유단부와 협동하며, 볼트상의 너트(63)는 림(78)의 자유단부와 협동하여 클램핑 브래키트(77)의 두 개 림(78)과 (79)가 서로간에 압압되게 한다. 그의 중심에서, 볼트(58)는 다른 조인트(76)에 대향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조인트(76)는 제3클램핑 조우로서 작용하는 클램핑 브래키트(77)가 볼트(58)에 의하여 작용하는 돌기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클램핑력(P3)과 일치하는 반작용력(R1)은 볼트(58)에 의해 또 다른 조인트(76)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제1조인트(37)에 의하여 서로간에 교대로 강제 결합되는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33) 및 (34)에 제3클램핑 조우(77)의 강제결합은 제3클램핑 조우에 대한 돌기부로서 작용하는 또다른 조인트(76)와 제1 및 제2연결바(42) 및 (43)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들의 자유단부에서 클램핑 브래키트(77)의 림(78)과 (79)은 클램핑 브래키트(77)가 제1연결바(42)와 제2연결바(43)에 고정되게 하는 한쌍의 좁은 스트립형 고정부들(81)과 (82)에 의해 연장 형성된다. 고정부들은 클램핑플레이트(52)에 대하여 대칭위치에서 그에 관련된 볼트(53)에 의하여 클램핑 브래키트(77)을 지지하기 클램핑장치의 클램핑 작동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클램핑 브래키트는 그에 관련된 클램핑 볼트와 함께 고정부에 의하여 클램핑 플레이트판에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품들은 취급이 편한 조립체로 구성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 조립체는 클램핑 브래키트가 관상형부의 클램핑 작동을 하지 않게 하고도 샤프트상에 장치하고자 한 회전드럼의 관상형부상에 간단히 위치된다. 그후, 관상형부상의 클램핑 장치와 함께 회전드럼은 샤프트상에 미끄럼 이동되면서 적당히 위치된다. 이후 클램핑장치는 조정장치로서 작용하는 클램핑 볼트에 의해 간단히 작동된다. 즉, 클램핑 브래키트의 림들의 자유단부는 서로를 향해 움직이며, 따라서 브래키트의 클램핑 표면은 관상형부에 대해 압압되게 하므로 관상형부가 샤프트상에 클램프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드럼은 샤프트에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는 또한 샤프트상에 회전드럼을 정확하고 신뢰성있으며 균일하게 클램핑되게 하며, 클램핑장치의 클램핑 작용은 샤프트의 변형에 원인이 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에는 아주 작은 작동력만이 클랭핑 장치를 조이기 위해 소요된다. 왜냐하면, 클램핑장치는 3개의 클램핑 영역에서 관상형부상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더우기, 작은 작동력에 대해 유리한 것은 클램핑 브래키트가 또한 높은 힘전달비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본 클램핑 장치의 다른 유리한 장점은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우기, 유리한 것은 모든 클램핑 장치가 관상형부상에서 상기 장치를 간단히 장치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제9도는 회전드럼(17)이 클램핑장치(30)에 의해서 샤프트(20)상에 클램프되게 하는 허브상의 관상형부(28)로 구성시킨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클램핑장치(30)는 그에 단단히 연결되는 제1림(84)과 제2림(85)으로 구성되는 실제의 V자형의 판형 클램핑 부재(83)으로 구성된다. 제1림(84)은 제1클램핑 조우로 구성되며 제2림(85)은 클램핑 장치(30)의 클램핑 조우로 구성되는데, 이 조우는 서로 강제 결합되며, 또한 이 경우에 성형결합된다. 클램핑부재(83)의 두 림(84) 및 (85)의 각 림 위에는 그에 접선방향으로 있는 평면(38) 또는 (39)내의 림(84)와 (85)의 평면의 연부면들로 구성된 클램핑 표면(86) 또는 (87)이 형성되어 있다. 제1클램핑 조우(84)와 제2클램핑 조우(85)의 클램핑 표면(86)과 (87) 관상형부와 결합되는 접선 평면(38)과 (39)은 서로 60°의 각으로 둘러싸여 있다.
판형의 제1 및 제2연결바(90) 및 (91)은 제각기 서로 회동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회동조인트(88)과 (89)에 의하여 판형의 클램핑 부재(83)의 두 개 림들(84)와 (85)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판형의 제3연결바(92)는 회동조인트(93)에 의하여 제1연결바(90)에 연결되고 회동조인트(94)에 의하여 제2연결바(91)에 연결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및 제2연결바들은 두 개 접선평면(38)과 (39)에 대하여 대칭인 평면(49)에 대하여 서로 밀러대칭으로 배열되며, 이 대칭평면은 샤프트의 축(31)을 포함한다. 또는 제3연결바(92)는 상기 대칭평면(49)에 대해 밀러대칭으로 배열된다. 클램핑부재(83)과 3개의 연결바들(90),(91) 및 (92)은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95)로서 형성되며, 조인트(88),(89),(93) 및 (94)들은 클램핑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힌지로 구성되며 이 힌지들은 샤프트(22)의 축에 대하여 실제로 수직인 평면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제3연결바(92)는 대치평면(49)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V자형으로 굽혀진 간단한 판스프링으로 구성시킨 익스팬더로써 제3클램핑 조우(96)에 대한 돌기부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익스팬더는 제3 및 4도를 참고로 기술된 실시예의 익스팬더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익스팬더(96)은 제1익스팬더림(97)과 제2익스팬더림(98)으로 구성된다. 제3연결바(92)상에 그의 단부가 지지하는 제1익스팬더림(97)의 자유단부(99)는 제2클램핑 초우(85)와 제1클램핑 조우(84)의 클램핑 표면(86) 및 (87)이 관상형부(28)와 결합되게 한 두 개의 접선평면(38)과 (39)에 대해 대칭인 평면(49)에 수직으로 연장시킨 다음 접선 평면(56) 내에서 관상형부(28)와 결합되는 제3클램핑 조우(96)의 클램핑 표면으로 구성된다. 제2익스팬더림(68)의 자유단부는 또한 제3연결바(92)상에 위치되며 제3연결바로부터 위로 있는 러그(100)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에 대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로간에 강제 결합되게 한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84)와 (85)진 대한 제3클램핑 조우(96)의 강제결합은 제3클램핑 조우(96)에 대한 돌기부로 작용하는 제3연결바(92)와 제1 및 제2연결바(90) 및 (91)에 의하여 수행된다.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간의 강제 결합시키도록 제3클래핑 조우(96)을 형성하는 익스팬더는 샤프트(22)의 축(21)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익스팬더 림(97)의 자유단부로 구성시킨 클램핑 표면(99)을 이동시키도록 조정장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정장치는 나사(101)로 구성되며, 나사의 헤드(102)는 두 개 림들의 접합점에서 익스팬더(96) 상에서 지지되며 익스팬더에 형성한 슬롯(103)을 관통하면서 회전드럼(17)내에 삽입된다(도시안됨). 나사(101)를 조임으로서, 익스팬더(96)는 제3연결바(92)에 대향하여 압압되며 그에 의하여 그들의 자유단부에서 제3연결바상에 지지되는 익스팬더 림(66) 및 (98)은 팽창된다. 제1익스팬더 림(97)의 자유단부로 구성되는 클램핑 표면(99)은 샤프트(22)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3클램핑 조우에 의해 이동되며, 관상형부(28)는 서로간에 강제 결합되는 제3클램핑 조우에 의해 샤프트(22)상에 클램핑된다.
제9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표면들(86),(87) 및 (99)과 함께 서로간에 경쟁결합되는 3개의 클램핑 조우들(84),(85) 및 (96)은 샤프트 축에 수직인 한 평면내에서 서로 120도의 각 거리로 샤프트(22)에 대하여 일정하게 격리된 위치에서 관상형부(28)와 결합된다. 제9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클램핑력(P1),(P2) 및 (P3)도 또한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클램핑장치는 회전드럼이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샤프트상에 클램프되게 하며, 또한 클램핑장치는 오직 3군데의 클램핑 영역에서만 샤프트상에 관상형부를 고정시켜 소정의 클램핑작용이 작은 작동력에 의해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클램핑 작동을 하기 위하여는 용이하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나사에 의해 높은 힘전달비를 제공하는 익스팬더를 조정하므로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핑장치의 간직한 작동때문에, 회전드럼은 그 내부에 자기헤드를 교체하개나 세척하기 위해 용이하고 재제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여러번 장치될 수도 있고 제거될 수도 있다. 클램핑 부재에 조정 클램핑 조우의 대칭적인 회동 연결은 간단히 균일한 작동력을 발생시되게 한 더우기, 유리한 것은 클램핑부재와 연결바들이 일체식의 플레이트도 형성되어 있어 클램핑장치를 간단히 축조할 수 있게 하며, 이 클램핑장치는 아주 경제적인 방식으로 대량생산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황하고 신뢰성 있으며 간단한 클램핑장치가 제조되며, 그의 클램핑 작용 또는 작동 샤프트의 변형이나 샤프트 베어링에 손상을 주지 않게 하면서 그에 의하여 회전드럼이 불균형상태로 회전되지 않게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만족스러우며 방해없는 기록 재생 작동을 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클램핑장치(30)는 서로간에 강제 결합되며 형태 결합되는 제1림(84)과 제2림(85)을 갖는 V자 판형의 클램핑부재(83)를 포함한다. 두 개 림(84)와 (85)은 클램핑장치의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그에 접선인 평면(38) 또는 (39)내에 있는 관상형부(28)와 결합되게 한 클램핑 표면(86) 또는 (87)을 포함하고 있다. 제3클램핑 조우(96)는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익스팬더(96)와 동일한 익스팬더(96)로 형성되며, 제1익스팬더 림(97)의 자유단부(99)는 제3클램핑 조우의 클램핑 표면으로 구성되고 이 표면은 두 개의 접선평면(38)과 (39)에 대하여 대칭평면(49)에 수직으로 연장된 또 다른 접선평면(56)내에 있는 관상형부(28)와 결합된다.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간의 강제 결합을 시키기 위해 제3클램핑 조우(96)는 샤프트(22)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클램핑 조우(96)의 클램핑 표면(99)을 이동시키도록 조정장치로서 작용하는 나사(101)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클램핑 조우(96)에 대한 돌기부는 두 개의 접선방향의 평면(38)과 (39)에 대한 대칭인 평면(49)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며, 클램핑부재(83)의 두 개 림(84)와 (85)에 견고히 연결되는 판형의 연결바(104)에 의해 구성된다. 클램핑부재(83)와 연결바(104)는 함께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105)로 구성된다. 익스팬더는 익스팬더(96)에 대한 돌기부로서 작용하는 연결바(104)상에 지지되고 있는 두개의 익스팬더 림(97)과 (98)의 자유단부에 의하여 적소에 위치 설정되며, 제2익스팬더림(98)의 자유단부는 연결바(104)로부터 위로 굽혀진 러그(106)에 대향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들 자체가 서로간에 강제 결합 및 형태 결합되는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84) 및 (85)와 제3클램핑 조우(96)간의 강제 결합은 제3클램핑 조우(96)에 대한 돌기부로서 작용하고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에 의해 일체식의 클램핑 플레이트(105)에 의해 강조 결합되고 형태 결합되는 연결바(104)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강제 결합되는 클램핑 조우들은 또한 샤프트에 수직인 한 평면내에서 샤프트에 주변 둘레로 서로간에 120도의 각 거리로 일정한 거리만큼 격리되는 3개의 위치에서 동일힘으로 관상형부와 맞물리게 되어 정황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정하게 이루어지는 클램핑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장치는 아주 간단한 구성이며, 이로써 클램핑장치의 견고하고 신뢰성에 대한 장점을 가진다.
제11도는 V자형 클램핑 부재(107)로 이루어진 클램핑장치(30)를 나타내며,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로써 작동하는 클램핑장치의 두 개 림(108) 및 (109)에는 샤프트(22)의 축(21)방향으로 그로부터 돌출한 돌기부 형태의 클램핑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10)과 (111)는 그에 대한 접선평면(38)과 (39)에서 관상형부(28)와 맞물리며, 두 개의 접선평면들은 서로 60도의 각도로 둘러싸여져 있다. 이 클램핑 장치의 제3클램핑 조우(112)는 기본적으로 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3클램핑조우(112)는 그 두께가 점점 가늘어지고 클램핑부재(107)의 제1림(108)의 자유단부내의 요홈(114)내에서 결합되며 회동조인트(115)에 의하여 제1림(108)에 직접 연결되는 각진 단부(113)를 가진다. 타측단부에서 제3클램핑 조우(112)는 조정장치로서 작동하고 샤프트(22)의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시킨 나사(117)에 의하여 클램핑부재(107)의 다른 림(108)에 연결되어 회전드럼(107)과 축(22) 사이를 강제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나사의 나선시스템(118)은 클램핑조우 단부(116)내에 형성된 구멍(119)을 관통하여 클램핑부재(107)의 림(109)내의 나사공(120)내에 삽입되며, 헤드(121)는 클램핑조우 바단부(116)에 대향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3클램핑 조우(112)는 조인트(115)에 의하여 제1클램핑 조우(108)에 강제 결합되고 나사(117)에 의하여 제2클램핑 조우(109)에 강제 결합되고, 제1 및 제2클램핑 조우들 자체는 일체식의 클램핑 부재(107)에 강제 결합 및 형태 결합된다.
클램핑 조우(112)의 클램핑표면은 샤프트축의 축의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122)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돌리부는 그들이 관상형부(28)와 결합되게한 두 개의 접선평면(38) 및 (39)에 대하여 대칭인 평면(49)에 수직으로 연장한 관상형부와 결합되며, 이 대칭평면은 샤프트(22)의 축(21)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간에 강제 결합을 시키도록 제3클램핑 조우로서 작동하는 샤프트(22)의 축(21)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3클램핑 조우의 클램핑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돌기부(122)를 이동시키도록 나사(117)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샤프트(22)상에 관상형부(28)를 클램프시키기 위해서는 나사(117)을 조인다. 그다음, 3개의 돌기부, 즉 클램핑조우(110),(111) 및 (112)는 샤프트 축에 수직인 한 평면에서 샤프트의 주변부 둘레로 서로 120도의 각 거리만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격리된 3개의 위치들에서 동일한 힘(P1),(P2) 및 (P3)에 의하여 교상형부(28)와 결합된다. 또한 이 클램핑장치는 작은 작동력만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클램핑장치는 서로간에 균일하게 격리된 3개의 클램핑 영역들에서만 작용하며 관상형부의 전체 주변부 둘레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 클램핑 장치는 또한 아주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나사(117)가 삽입되기 전에 클램핑부재(107)에 대해 90도이상 제3클램핑조우(112)를 회전시킴으로서 개방될 수 있어 클램핑장치가 방사상 방향으로 관상형부(28)상에 위치되게 한다.
제12도 민 13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간에 강제 결합시키기 위하여 모든 3개의 클램핑 조우들이 샤프트(22)의 축(2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그들의 클램핑표면을 이동시키도록 조정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클램핑장치(30)를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30)의 제1클램핑 조우(123), 제2클램핑 조우(124)와 제3클램핑조우(125)는 샤프트(22)와 등축상에 있는 링(126)으로부터 샤프트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해있는 설편들로 구성되며, 이 설편들은 샤프트(22)와 링(126)의 평면에 대해 경사져있다. 설편들에 의해 축조된 3개의 클램핑 조우들(123),(124) 민 (125)은 링(126)을 통하여 서로간에 강제 결합된다. 3개의 설편들은 샤프트의 주변 상호간에 120도의 각 거리로 일정하게 격리되어 있으며 링(126)으로부터 회전드럼(17)을 향해 결사져 있다. 단부들이 반원인 설편(123),(124)와 (125)의 자유단부(127),(128) 민 (129)는 클램핑 조우의 표면들에 구성되며, 상기 부분에 접선인 각 평면(38),(39) 민 (56)내의 관상형부(28)와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관상형부(28)는 설편들이 그들의 자유단부에서 지지되게한 지탱하고 있는 계단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3개의 클램핑 조우들이 샤프트축에 수직인 한 평면내의 관상형부와 황실히 결합되게 한다.
링(126)상에 장치된 압축 링(131)은 샤프트(22)의 축(21)과 동축인 회전드럼(17)의 중공(中空)의 원통형 부분(135)의 내부 표면과 협동하는 3개의 방사상 돌기부(132),(133) 민 (134)에 의해 샤프트의 축과 동축상에 있으며 결국 링(126)과 동축상에 있는 위치에서 지지된다. 압축링(131)은 샤프트(22)를 축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장치로 작동하고 회전드럼(17)의 원통형부분(135)의 내부 표면상에 관통나사와 협동하는 나사링(136)에 대향하여 압압한나. 나사링(136)은 그를 조정하기 위한 적당한 도구가 삽입되게 한 3개의 개구(137),(138) 민 (139)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드럼(17)과 샤프트(22)간의 강제결합을 시키도록 링(126)이 관상형부(28)상에 재치되고 압축링(131)이 삽입되었을 때 조정장치로서 작용하는 나사링(136)은 회전드럼(17)을 향하여 원통형 부분(135)내에서 조여진다. 나사링(136)을 조정 이동시키면 그 힘은 압축링(131)에 의해 링(126)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링(126)이 샤프트(22)의 축(21)의 방향으로 고정드럼을 향하여 이동되게 한다. 계단부(130)상에 원래 느슨하게 놓여 있는 설편(123),(124) 민 (125)의 자유단부(127),(128) 민 (129)는 그들이 관상형부(28)의 원통표면과 결합되면서 원통형부를 샤프트에 클램프시킬 때까지 샤프트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샤프트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용이한 클램핑작동을 하는 간단한 클램핑 장치가 축조되게 한다. 클램핑장치가 단지 3개의 클램핑 영역에서 관상형부(28)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단지 작은 작동력만이 요구된다. 소정의 작동력은 링(126)의 평면에 대해 설편들(123),(124) 민 (125)의 경사각을 적당히 선택하므로 아주 작게 할 수 있다. 즉 선편들이 예를들어 3 내지 5° 아주 작은 경사각만 가질 경우, 나사링(136)에 의해 인가되는 작동력과 설편에 의해 인입되는 클램핑력 사이에는 매우 높은 힘전달비가 얻어지며, 링(126)과 설편들은 탄성재료로 축조되므로 클램핑 장치가 나사링을 회전시킴으로서 해체될 때, 그 설편들이 관상형부(28)로부터 자동적으로 반발되면서 그 위에 더 이상의 클램핑 작동력을 인가하지 않는다. 또한 설편들의 자유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계단부가 관상형부(28)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다른 방법으로 관상형부가 계단식으로 형성되지 않게 하면서 설편들의 자유단부들이 클램핑 작동중 추가의 연장에 의해 샤프트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지지되게 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평면에서 자유단부는 클램핑 표면과 관상형부간의 마찰에 의하여 클램핑된 후 유지된다. 조정장치로서 나사링(136) 대신에 설편들에 인접한 링(126)을 통하여 연장되며 회전드럼내로 나사식으로 삽입되는 예를들면 3개의 나사들을 갖일 수 있다.
클램핑 장치들의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예를들면, 샤프트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제3의 연결바상에 슬라이드로 축조되는데 3클램핑 조우에 대한 클램핑장치의 조정은 그와 협동하는 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클램핑 조우들과 연결바들은 판형으로 할 필요가 없으나,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우기, 두 클램핑장치들이 샤프트상에 회전드럼을 장치하기 위해 사용될 때 두 개의 분리된 조정장치들 예를들면, 나사형태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기헤드 또는 헤드에 대한 지지체는 테이프 안내장치로써 작동하는 회전드럼일 필요없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장치들은 두 개의 정지테이프 안내드럼들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형 자기헤드 지지체와 접속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자기헤드들은 두 개의 고정드럼들 사이에 형성된 갭에 의하여 테이프와 협동한다. 자기헤드 지지체가 원형상 대칭일 필요는 없다. 예를들면, 암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테이프가 테이프 안내드럼 둘레를 통과함에 따라 자기헤드들은 테이프의 세로방향의 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그의 세로방향내에 연장되는 트랙 또는 테이프의 세로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연 장되는 정보트랙들을 주사할 수도 있다.

Claims (1)

  1. 헬리컬 주사자기 기록 재생장치용 헤드드럼(17)에 있어서, 돌출관상형부(28)를 샤프트에 클램프시키는 클램프장치(30)에 의하여 드럼이 샤프트(22)상에 클램프되게 하고, 클램핑 장치를 제1, 제2 민 제3 클램핑 조우(33,34,35)들로 구성되게 하고, 이들 조우들은 서로 연결시키면서 서로 120도의 각 거리로 샤프트의 주변부 둘레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격리되게 한 위치에 있는 관형상부와 결합시키며, 조정장치(58,63)가 샤프트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클램핑 조우를 이동시키도록 착설되게한 기록재생장치.
KR1019800004620A 1980-12-04 1980-12-04 기록 재생장치 KR84000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620A KR840000902B1 (ko) 1980-12-04 1980-12-04 기록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620A KR840000902B1 (ko) 1980-12-04 1980-12-04 기록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02B1 true KR840000902B1 (ko) 1984-06-26

Family

ID=1921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620A KR840000902B1 (ko) 1980-12-04 1980-12-04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9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752A (en) Arrangement comprising a shaft, a hub mounted on the shaft by means of an elastically expansible clamping member, and an expansion device for expanding the clamping member
JPH0216415Y2 (ko)
KR840000902B1 (ko) 기록 재생장치
KR850001020B1 (ko) 비데오 녹화-재생 장치용 스핀들 고정장치
US4464690A (en) Helical scan recorder with three-point head mounting
US4003092A (en) Reading or writing head positioning device
JPS6248296B2 (ko)
KR910002999Y1 (ko) 디스크의 클램프 장치
US7499244B2 (en) Disk holder for off-line servo-track writer
US4761696A (en) Helical scan type apparatus with readily aligned scanning unit
US4594623A (en) Rotary scanning tape recorder with improved head drum clamping
JPS6017055Y2 (ja) 磁気式信号記録読取装置
JPS63212496A (ja) 運物する材料ストリツプから切片を断裁するための切断装置
US2742536A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US3422230A (en) Mounting structure for rotating magnetic heads
JPS5931125B2 (ja) 磁気的記録および読取装置
US3443039A (en) Tape transport system with stationary heads mounted within a rotating structure
US5388018A (en) Scanning device for a magnetic-tape apparatus having a radially expandable clamping hub
KR930006207Y1 (ko) 녹음 및 재생 장치
JPS5931126B2 (ja) 記録および/又は再生装置
KR840002522Y1 (ko) 광대역 신호의 자기 기록 및 판독장치
US5163593A (en) Clamper of paper feed tractor
KR840002521Y1 (ko) 광대역 신호의 자기 기록 및 판독장치
JPS6251016A (ja) ドラム心出し治具
US5295033A (en) Rotary drum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