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88Y1 - 농업용 트랙터 - Google Patents

농업용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88Y1
KR840000888Y1 KR2019840003278U KR840003278U KR840000888Y1 KR 840000888 Y1 KR840000888 Y1 KR 840000888Y1 KR 2019840003278 U KR2019840003278 U KR 2019840003278U KR 840003278 U KR840003278 U KR 840003278U KR 840000888 Y1 KR840000888 Y1 KR 840000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gear
transmission shaft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 히로시 이다
가즈아끼 구로하라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뎃코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0979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0590A/ko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뎃코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구보다 뎃코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3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업용 트랙터
도면은 본 고안의 농업용 트랙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전체 개략 측면도.
제2도는 부분 종단축면도.
제3도는 부분 횡단평면도.
제4도는 부분 종단 정면도.
제5도는 유압회로도.
제6도는 전동계통 개략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의 부분 종단 측면도.
제8도는 종래의 전동계통 개략도.
본 고안은 유압식 무단 변속기를 가지는 농업용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가 어떤 원인으로 고장이 나거나, 그 작동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의 기체의 주행을 보상할 수 있도록 된 농업용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제8도에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엔진(01)에서 무단 변속기(02)까지의 입력축(011)의 도중과 무단변속기(02)의 출력축(012)에서 주행장치(0X)까지의 전동축(OY)의 도중 사이에, 무단 변속기(02)를 우회하는 형식으로, 상기한 출력축(012)에서 주행장치(0X)로의 동력전달을 단속(斷續)할 수 있고, 또 단절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입력축(012)도중에서 주행장치(0X)로의 동력전달을 가능케 하는 전동변환기구(OC)를 설치시킨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무단 변속기(02)가 고장 났을때, 상기한 전동 변환기구(OC)를 조작해서, 상기한 입력축(011)의 도중에서 주행장치(0X)에 동력을 전달시켜서 주행을 계속한다고 하는 응급조치를 강구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구조의 것으로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전동 변환기구(OC)가 무단변속기(02)를 우회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구조면에서 복잡하게 되고, 또한 스페이스 면에서 대형화되고, 거기다가, 무단 변속기의 출력축에서 주행장치에 이르기 까지의 전동 요소가 정상적이라도, 그것의 이용도는 낮고, 응급적인 주행 보상에도 불구하고, 트랙터 전체로서의 코스트업이 크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해서, 상기한 바와같이 무단 변속기의 고장시등에 응급조치를 강구할 수 있으면서, 그것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고도 소형화시켜서 전체적으로 값싸께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농업용 트랙터를 도시한 것으로, 엔진(1)과 클러치를 내장하고 있는 클러치 하우징(3)과 경사판 각도의 변경 조작에 따르는 작동유 배출량의 변경에 의하여 주행속도를 무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2)와, 후술하는 차바퀴 장치 전동기구(4)와 부설장치 구동용의 동력배출축(5) (이하 PTO축 이라한다)의 전동기구(6)를 내장하고 있는 미션케이스(7)가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차례로 배치되어있고, 상기한 유압식무단 변속기(2) 및 미션케이스(7)의 상부에는 조종핸들(8), 조종좌석(9), 부설장치의 승강용의 리프트 아암(1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무단 변속기구(2)는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엔진(1)으로 부터의 입력축(11)에 연동하도록 연결된 액시얼 플런저(axial plunger)형 펌프(2A)와 챠아지 펌프(2B) 및 상기한 펌프(2A)에 의하여 구동되는 액시얼 플런저형 모우터(2C)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펌프(2A)에서 윗쪽으로 뻗어나온 변속 조작레버(2D)의 요동 조작에 의해서 펌프(2A)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하므로써 상기한 모우터의 (2C) 정전(正轉) 또는 역전 방향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경한다. 바꿔말하면, 전진 또는 후진시의 주행속도를 무단계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차바퀴 장치 전동기구(4)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한 미션케이스(7)내에는 무단변속기(2)에서 케이스(7)안으로 돌출된 모우터(2C)의 출력축(12)에 장착한 기어(12a)와 결합가능한 기어(13a)를 가지는 제1전동축(13)과, 그 제1전동축(13)의 후단부에 장착한 기어부(27a) (이것을 후술하는 전동변환기구(C)의 일부를 구성한다)와 결합 가능한 기어(14a)를 가지는 제2전동축(14)과, 뒷바퀴(15)의 차동기어(16)에 결합가능한 베벨기어(17a)를 가지는 제3전동축(17)을 상기한 제1전동축(13)과 제3 전동축(17)이 동심(同芯)으로 위치하게 설치되고, 제3전동축(17)의 스플라인(spline)축 부분에는 제2전동축(14)에 장착한 대소 2개의 기어(14b), (14c)와 각가 결합 가능한 기어부(17b), (17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쉬프트(shift)기어 (17b)를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함과 함께,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전동축(17)의 후단에 장착한 기어(17c)에 결합가능한 기어(18a)를 가지는 앞바퀴 구동축(18)을 상기한 무단 변속기(2)를 관통시켜서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이 앞바퀴 구동축(18)과 앞바퀴(19)의 기어 케이스(20)에서 후방의 윗쪽으로 뻗어나온 앞바퀴 구동구 전동축(21)을 유니버셜 조인트(22)를 사이에 두고 연동하도록 연결되어져 있다.
또, 제3 전동축(17)에 장착한 쉬프트기어(17b)를 축심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시켜서, 제2 전동축(14)에 장착한 대경기어(14b)와 맞물리는 제1상태와 소경기어(14c)에 맞물리는 제2 상태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서, 주행속도를 고속상태와 저속상태로 변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앞바퀴 구동축(18)에 장착된 기어(18a)는 제3전동축(17)에 장착한 기어(17c)와 맞물리는 제1상태와 이 기어(17c)에서 이탈하는 제2 상태로 미끄럼 이동이 의한 변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 두기어(18a), (17c)로서 클러치(23)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네바퀴 구동상태와 뒷바퀴 구동상태로 변환 가능하게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젖은 발등의 무른 땅에서의 주행시에는 네바퀴 구동형식의 트렉터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대신에 상기한 앞바퀴 구동용 전동축(21)의 도중에 클러치를 설치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앞바퀴 구동축(18)을 무단 변속기(2)를 관통하는 부분과 미션케이스(7)안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분리하여, 커플링(18')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제2전동축(17)의 후단기어(17c)에서 뒷바퀴(15), 앞바퀴(19)에 이르는 전동장치를 주행장치(X)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제1전동축(13), 제2전동축(14) 및 제3전동축(17)을 합쳐서 무단변속기(2)에서 주행장치(X)까지의 전동축(Y)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상기한 각종기어, 전동축(Y)등은 출력축(12)과 주행장치(X)의 연동기구(A)라고 부르기로 한다.
상기한 PTO전동기구(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한 차바퀴 전동기구(4)의 제1전동축(13)에, 상기한 무단 변속기(2)에서 미션 케이스(7)로 관통 돌출된 입력축(11)의 연장축(11')에 장착한 기어(11a)와 결합 가능한 기어(24a)를 가지는 관형의 전동축(24)을 회전 자유롭게 설치함과 함께, 상기한 PTO 축(5)에 장착한 기어(5a)와 결합가능한 기어(25a)를 가지는 전동축(25)의 도중에는 클러치(26)를 설치하고, 또한 이 전동축(25)의 도중에는 클러치(26)를 설치하고, 또한 이 전동축(25)의 스플라인 축부에는 상기한 PTO전동축(24)에 설치한 대소 2개의 기어 (24b), (24b),에 각각 결합 가능한 기어(25b1), (25b2)를 가지는 쉬프트 기어(25b)를 그 축심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로써, 이쉬프트기어(25b)를 PTO전동축(24)의 대경기어(24b)에 맞물리는 제1상태와 소경기어(24c)에 맞물리는 제2상태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서, 축(5)의 회전수를 고저 2단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연장축(11')에서 PTO축(5)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전동축(24), 기어(25b), 전동축(25), 기어(25a), (5a) 등을 합쳐서 연동기구(B)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술한 무단 변속기(2)의 후면에 그 앞벽면이 고정되고 또한 연장축(11')이나 출력축(12) 및 양연동기구(A), (B)를 내장하고 있는 미션케이스(7)내에 있어서, 출력축(12)에서 주행장치(X)까지의 전동축(Y)의 도중에, 상세하게 말하면, 제1전동축(13)의 후단부에 전동 변환기구(C)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전동 변환기구(C)는 상기한 제2전동축(14)의 기어(14a)에 결합하는 기어부(27a)와, 또하나느이 기어부(27b)를 일체로 가지는 쉬프트 기어(2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쉬프트기어(27)는 쉬프트에 의하여, 그 후방 기어부(27a)의 내주면이 제1전동축(13)의 스플라인축부분에 결합하여서 일체 회전이 가능한 제1상태(이것에 의해서 차바퀴 전동기구(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고, 주행장치(X)가 유압에 의하여 무단변속된다)와, 전방기어부(27b)가 PTO전동축(24)의 후단에 형성한 안쪽톱니(24d)에 결합하는 제2상태로 변환된다. 부호(28)은 니이들(needle)베어링을 표시한다. 상기한 제2상태에 있어서는 쉬프트기어(27)가 제1전동축(13)의 스플라인 축 부분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제1전동축(13)과 제2전동축(14)의 연동이 끊어지고, 즉 유압구동이 끊어지고, 또한 연장축(11')의 회전력이 PTO전동축(24), 기어부(27b), 기어부(27a) 기어(14a)를 통해 제2전동축(14)으로 기계적으로 전동된다. 제2전동축(14)에서 뒷바퀴(15), 앞바퀴(19)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전동된다. 따라서, 유압식 무단 변속기(2)가 고장났을 때에는, 응급조치로서 전동변환가구(C)를 조작하여서 제2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주행을 계속할 수가 있다. 또한 부호(30)은 리프트 아암(10) 승강용의 유압실린더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종래의 제8도에 대응시켜서 개략적으로 표시하면 제6도와 같이 된다.
이 전동변환기구(C)는 제2전동축(14)에 설치하여도 좋다. 즉, 제7도와 같이 제2전동축(14)을 전방으로 뻗어내어서, 그 뻗어나온 끝을 연장축(11')의 후단에 대해서, 상대회전 상태(연동 상태가 아님)로 지지시킴과 함께, 제1전동축(1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한 기어(13b)(이것은) 상기한 예의 기어부(27b)에 해당한다)에 결합 가능한 기어부(29a) )이것은 상기한 예의 기어(14a)에 해당한다)와, PTO전동축(24)의 기어(24b)를 가지는 쉬프트 기어(29)를 제2전동축(14)에 스플라인 결합시키고, 그 쉬프트에 의하여 후방기어부(29a)가 기어(13b)에 결합하는 제1상태(이것에 의하여, 주행장치(X)가 유압으로 무단 변속된다)와, 전방기어부(29b)가 기어(24b)에 결합하고 또한 기어부(29a)가 기어 (13b)에서 이탈하는 제2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한다. 제2상태에 있어서는 유압구동을 끊기고, 주행장치(X)는 연장축(11')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트랙터의 요지는 엔진(1)에서 유압식 무단 변속기(2)에의 입력축(11)을 연장시켜서, 그 연장축(11')을 PTO축(5)에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것과 함께, 상기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2)의 출력축(12)을 주행장치(X)의 전동축(Y)에 연동하도록 연결하고 있는 농업용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한 주행장치(X)의 전동축(Y)도중에, 상기한 출력축(12)에서 주행장치(X)로의 동력전달을 단속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동력전달이 단절된 상태에서 상기한 연장축(11')에서 주행장치(X)로의 동력전달을 가능케하는 전동변환기구(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하는 점에 있고, 전동축(Y)의 도중의 한곳을 전동 변환기구(C)의 장착부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전동 변환기구를 유입식 무단 변속기를 우회하는 형식으로 설치하고 있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미션 케이스등을 포함하여 전체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소형화 시키고, 또한 트랙터 전체를 값싸게 구성할 수가 있게 되었다.

Claims (1)

  1. 엔진(1)에서 유압식 무단변속기(2)까지의 입력축(11)을 연장시켜서 그 연장축(11')을 PTO축(5)에 연동하도록 연결함과 함께, 유압식 무단변속기(2)의 출력축(12)을 주행장치(X)의 전동축(Y)에 연동하도록 연결하고 있는 농업용 트랙터에 있어서, 주행장치(X)의 전동축(Y)의 도중에 출력축(12)에서 주행장치(X)로의 동력전달을 단속(斷續)가능하게 하고 그 동력전달이 단절된 상태에서는 연장축(11')에서 주행장치(X)로의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변환기구(C)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트랙터.
KR2019840003278U 1979-03-29 1984-04-11 농업용 트랙터 KR840000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278U KR840000888Y1 (ko) 1979-03-29 1984-04-11 농업용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979A KR830000590A (ko) 1979-03-29 1979-03-29 농업용 트랙터
KR2019840003278U KR840000888Y1 (ko) 1979-03-29 1984-04-11 농업용 트랙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979A Division KR830000590A (ko) 1979-03-29 1979-03-29 농업용 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88Y1 true KR840000888Y1 (ko) 1984-05-28

Family

ID=2662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278U KR840000888Y1 (ko) 1979-03-29 1984-04-11 농업용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8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55B1 (ko) * 2008-01-23 2010-10-18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55B1 (ko) * 2008-01-23 2010-10-18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3196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having pto-shafts
US4262768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ctor
EP1302355B1 (en) Transmission for a working vehicle and vehicle
KR101383135B1 (ko) 트랜스미션
US6230830B1 (en) Integrated splitter gearbox for four wheel drive tractors
US4373597A (en) Tractor for agriculture
US6363815B1 (en) Transmission mechanism of vehicle with HST
US4824128A (en) Tractor transmission
US4063464A (en) Agricultural tractor transmission
US7074149B2 (en) Transmission for wheel type working vehicle
US6612193B2 (en) Change speed apparatus for a tractor
US6986295B2 (en) Transmission for work vehicle having PTO function
KR840000888Y1 (ko) 농업용 트랙터
US5339703A (en) Transmission for a vehicle
EP0151928A2 (en) Power Divider
CA1200405A (en) Four-wheel driving apparatus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JP3891885B2 (ja) 作業用走行車
US4631978A (en)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motive power
KR20040009365A (ko) 트랙터의 트랜스미션
JP2641656B2 (ja) 作業車の伝動構造
KR830002431Y1 (ko) 트랙터용 동력 전달장치
EP1503916A1 (en) A vehicle final drive assembly
JPH062038Y2 (ja) 農用トラクタの走行変速構造
KR940001336B1 (ko) 4륜 구동차
JPH06923Y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動力取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