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783Y1 -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 Google Patents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783Y1
KR840000783Y1 KR2019830003468U KR830003468U KR840000783Y1 KR 840000783 Y1 KR840000783 Y1 KR 840000783Y1 KR 2019830003468 U KR2019830003468 U KR 2019830003468U KR 830003468 U KR830003468 U KR 830003468U KR 840000783 Y1 KR840000783 Y1 KR 840000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electrode
electrodes
periphera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오오니시
시게미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전기주식회사
진도사다가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0418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0779A/ko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전기주식회사, 진도사다가쓰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3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2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 F02P7/021Mechanical distributors
    • F02P7/022Details of the distributor rotor or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배전캡(10)의 평면도.
제3도는 배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 실시예의 배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전캡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 실시예의 배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고안은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특히 그 배전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배기가스 제거대책 혹은 기관출력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관의 동일기통내에 2개의 점화플러그를 배치하여 점화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2개의 점화플러그에 점화용 고전압을 배전시키는 2중점화용 배전장치를 여하히하여 점화손실을 적게하고 간단히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가에 있다.
그 수단의 하나로서 일본국에서 공고된 실공소 41-15205호가 고안되어있으나, 이는 2개의 점화플러그내의 하나의 배전은 카본브러시와 이 브러시에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로우터전극에 의해 시행되고 있으므로 기관의 고회전에 따라 로우터전극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카본브러시의 마모가 현저하게 되고, 이 마모분이 배전모우터의 주변에 부착되어 절연 내력을 저하시키므로 점화손실이 큰 것이었다. 더구나, 2개의 점화플러그에 전용되는 2개의 모우터전극은 축방향으로 겹쳐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모우터전극의 축방향거리, 즉 절연거리를 충분히 멀리 취할수 없게 됨으로써 절연내력이 약하게 된다.
그 대책으로서 2개의 로우터전극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멀리하면 될 것이지만, 이렇게하면 2개의 로우터 전극간의 성형수지부(成形樹脂部)에 기포등이 형성되어 절연내력이 향상될 수 없음과 동시에 배전기 본체의외 형즉, 축 방향이 길게되거나 취부공간(取付空間)이 불리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 다기통기관의 경우 2개의 로우터 전극은 주점화플러그와 부점화플러그에 전용으로 배전동작시키기 위해 배전캡에 고착된 주주위전극(主周圍電極)과 부주위전극은 원주상에 교호로 배치됨으로써 주, 부주위 전극에서 각 주, 주점 화플러그에 접속되는 고압코오드는 서로 교차되어 번잡하게 되므로, 보수 점검후에 있어서 재조립하는데 대단히 귀찮았던 것이었다. 또, 2개의 로우터전극을 축방향으로 겹친상태로 배전호우터를 성형해야하므로 이때문에 성형금형이 복잡하고 고가로되며, 결과적으로 배전기본체가 고가로되는등 많은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각 결점을 제거하여 점화손실이 적게됨과 동시에 간단하고 염가인 기관점화용 배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도면에 있어서, (1)은 배전기 하우징, (2)는 하우징(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회전축(3)은 회전축(2)에 유설된 통체(筒體), (4)는 하우징(1)내에 내장된 점화신호 발생기, (5)는 회전축(2)과 통체(3)에 취부된 원신진각(遠心進角) 장치, (6)은 원심진각장치 (5)의 거버너플레이트 (7)에 나사에 의해 고정된 배전로우터, (8)은 링부(ring 部)(8a)와 돌기부(8b)로 된 제1의 로우터전극인 L자상 전극, (9)는 L자상전극(8)의 링부(8a)와 동일원주상에 배치된 링부(9a)와 돌기부(9b)로 구성된 제2의 로우터전극인 T자상 전극이며, 이 T자상전극(9)과 L자상전극(8)은 대략 180도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배전로우터(6)의 성형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페놀등에 의해 배전로우터(6)에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또, L자상 및 T자상전극(8)(9)의 링부(8a)(9a) 돌기부(8b)(8b)의 내주단면(內周端面) 및 외주단면은 배전로우터(6)에서 노출되어 있다. (6a)는 배전로우터(6)의 상부에 중신전극과 위치되도록 성형된 링상의 절연턱, (10)은 하우징(1)에 고정된 배전캡, (11)(12)는 제1, 제2의 중심전극이며, 이 중심전극(11)(12)의 하부에는 L자상 및 T자상전극(8)(9)의 각 링부(8a)(9a)의 내주단면에 좁은갭을 통하여 대향하고 있는 제1, 제2의 중심전극편(13)(14)이 고착되어 있다. (15)(16)(17)(18)과 (19)(20)(21)(22)는 등간격으로 동일원주상에 링상으로 배치된 주위전극이며, 이들의 주위전극(15)-(20)의 하부에는 L자상 및 역 T자상전극(8)(9)의 각돌기부(8b)(9b) 외주단면에 매우 좁은갭을 통하여 대향하고 있는 주위전극편(23)(24)(25)(26)(27)(28)(29)(30)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의 중심전극, 중심전극편(11)-(14) 및 여러개의 주위전극, 주위전극편(15)-(30)은 배전캡(10)에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또 주위전극(23)(25)(27)(29)은 동일 주위상에 배치되며, 다른 주위전극(24)(26)(28)(30)은 위의 원주상보다는 큰 직경인 동일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위전극편(13)-(18), (23)-(26)을 주주위전극 및 주주위전극편이라하고, 주위전극 및 주위전극편(19)-(22), (27)-(30)을 부주위전극 및 부주위전극편이라 칭한다. (31)은 4통기관이며, (32)는 제1기통, (33)은 제2기통, (34)는 제3기통, (35)는 제4기통이다. (36) 및 (37)은 각각 제1기통(32)에 장착된 주 및 부점화플러그, (38) 및 (39)는 각각 제2기통(33)에 장착된 주 및 부점화플러그, (40) 및 (41)은 각각 제3기통(34)에 장착된 주 및 부점화플러그, (42) 및 (43)은 제4기통(35)에 장착된 주 및 부점화플러그로서 각 주, 부점화플러그 (36)-(43)는 각 주, 부부위전극 (15)-(22)에 고압코오드를 통하여 제3도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44)(45)는 2개의 점화코일로서, 한쪽의 점화코일(44)의 2차측은 제1의 중심전극(11)에, 다른쪽 점화코일(45)의 2차측은 제2의 중심전극(12)에 각각 고압코오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46)(47)은 한쪽과 다른쪽의 점화코일(44)(45)의 각 1차측 통전전류를 독립시켜 단속(斷續)시키는 2개의 단속수단으로서 동일시기에 개폐하거나 어떤 위상차를 갖고 개폐되는 것이다. (48)은 배터리이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기관이 회전되어 점화신호발생기(4)에서 발생되는 점화신호에 의해 2개의 단속수단(46)(47)이 개폐되어 한쪽 및 다른쪽의 점화코일(44)(45)의 1차측 통전전류를 단속시키면 2차측에는 점화용 고전압이 유기되는데, 점화용고전압의 배전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제1기통(32)이 점화할때에 한쪽의 점화코일(44)의 점화용 고전압은 제1의 중심전극(11) 제1의 중심전극편(13)→좁은갭→T자상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주주위전극편(25)→주주위전극(17)→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6)로 배전된다.
이것과 동시에 다른쪽 점화코일(45)의 점화용 고전압은 제2의 중심전극(12)→제2의 중심전극편(14)→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부주위전극(30)→부주위전극(22)→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37)로 배전되어 점화가 된다.
다음으로 제3기통(33)이 점화할 때에는 배전로우터(6)가 제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각도π/2(rad)만큼 회전되어 그 동작에 따라 다른쪽 점화코일(45)에 유기되는 점화용 고전압은 제2의 중심전극(12)→제2의 중심전극편(14)→좁은갭→L자상 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주주위전극편(24)→주주위전극(16)→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40)로 배전된다.
이것과 동시에 한쪽 점화코일(44)의 점화용 고압전압은 제1의 중심전극(11)제1의 중심전극편(13)→좁은갭→T자상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부주위전극(27)→부주위전극(19)→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41)로 배전된다.
다음에 제4기통(35)이 점화할때에는 배전로우터(6)가 화살표방향으로 다시π/2(rad)만큼 회전하면 다른 점화코일(44)에 유기된 점화용 고전압은 제1의 중심전극(11)→제1의 중심전극편(13)→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주주위전극편(26)→주주위전극→(18)→고압코오드→점화플러그(43)로 배전된다.
이것과 동시에 다른쪽 점화코일(45)의 유기된 점화용 고압전압은 제2의 중심전극(12)→제2의 중심전극편(14)→좁은갭→T자상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부주위전극(29)→부주위전극(21)→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43)로 배전된다.
다음으로 제2기통 (33)이 점화할때에는 배전로우터(6)가 화살표방향으로 다시π/2(rad) 즉 1회전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른쪽 점화코일(45)에 유기되는 점화용 고전압은 제2의 중심전극(12)→제2의 중심전극편(14)→좁은갭→T자상 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주주위전극편(23)→주주위전극(15)→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38)로 배전되며, 동시에 한쪽 점화코일(44)의 점화용고전압은 제1의 중심전극(11)→제1의 중심전극편(13)→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부주위전극편(28)→부주위전극→(20)→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39)로 배전된다.
이상과 같이 배전로우터(6)가 π/2(rad)회전 할때만다 한쪽 및 다른쪽 점화코일(44)(45)의 각점화용 고전압은 T자상 전극(9)에서 주주위전극편(23)(25) 및 부주위전극편(27)(29)에 배전되며, 또 L자상전극(8)에서 부주위전극편(28)(30) 및 주전위전극편(24)(26)에 배전됨으로써 기관의 각기통(32)-(35)의 점화가 연속해서 진행된다.
본 고안 실시예는 위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종래 캡중심전극과 배전로우터전극은 카본브러시등의 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으므로 도전성의 마모분이 비산되어 각전극간의 절연내력이 열화되고, 고전압의 누전에 의한 오배전등의 불합리한점이 발생되고. 있었으나, 본 고안은 첫째로, 점화용 고전압의 배전경로에 있어 카본브러시등의 접동부재(摺動部材)를 없앨 수 있게 때문에 카본마모분의 비산에 의한 사고를 해소할 수 있어 절연내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둘째로, L자상 전극(8)과 T자상전극(9)이 배전로우터(6)에 대하여 180도로 대칭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배전로우터(6)의 성형금형에 대한 L자상 및 T자상전극(8)(9)의 위치유지를 용이하게 할수 있고 따라서 성형금형이 간단하며 염가로 구성될 수 있어 결국 배전기본체가 염가로 된다.
셋째로, L자상전극(8)과 T자상전극(9)을 180도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제2의 중심전극(11)(12) 및 중심전극편(13)(14)도 180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때문에 중심전극(11)과 (12), 중심전극편(13)과 (14) 및 제1의 중심전극편(13)과 L자상전극(8) 또는 T자상전극(9) 및 제2의 중심전극편(14)와 T자상전극(9) 또는 L자상전극(8)의 절연거리를 최대한으로 연장할 수 있어 오배전(誤配電)이 방지될 수 있다. 더구나, L자상전극(8)과 T자상전극(9)을 동일면상에 배치함으로써 겹친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배 전로우터(6)의 축방향칫수(두께)가 대단히 단축되어 성형수지가 절약이 되고 배전로우터(6)가 염가로 성형될 수 있다.
넷째로, 주부(主副)의 점화플러그(36)-(43)에 대해서 각각 전용로우터전극을 설치할 필요없이 L자상 및 T자상전극(8)(9)은 주부의 점화플러그(36)-(43)에 교호로 배전하는 겸용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주위전극(15)-(18)과 부주위전극(19)-(22)이 선 X-Y를 대칭선으로 하여 대칭되게배치할 수 있고, 따라서 주점화플러그(36)(38)(40)(42)와 부점화플러그(37)(39)(41)(43)의 고압코오드를 들로 나누어 접속할 수 있고, 배전캡(10)의 상면에 있어서 각주위전극(15)-(22)의 고압코오드의 접속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되어 자동차메이커의 조립작업자는 물론 일반사용자도 취급상 대단히 편리하다. 또 제4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에는 로우터전극의 형상을 동일한 T자상전극(8)(9)(23)-(30)을 동일원주상에 배치한 것이다. 또, 제6도와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11)은 제1주중심전극, (12)는 제2부중심전극편이며, 주부 중심전극(11)(12)의 하부에는 L자상 및 T자상전극(8)(9)의 각 링부(8a)(9a) 내주단면에 좁은캡을 통하여 대향되어 있는 주부중심전극편(13)(14)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주주위전극(15)-(18), 주주위전극편(24)-(26)과 부주위전극(19)-(22), 부주위전극편(27)-(30)은 제2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대칭선 X-Y를 기준으로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있다.
각 주점화플러그(36)(38)(40)(42)는 고압코오드를 통하여 각 주주위전극(23)-(26)에 접속되고, 각 부점화플러그(37)(39)(41)(43)은 고압코오드를 통하여 각 주주위전극(27)-(30)에 접속되어 있다. (44)(45)는 주점화플러그(36)(38)(40)(42) 전용의 주점화코일과, 부점화코일(37)(39)(41)(43) 전용의 부점화코일로써, 주점화코일(44)의 2차측은 주중심전극(11)에, 그리고 부점화코일(45)의 2차측은 부중심전극(12)에 각각 고압코오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49)는 기관의 드로틀(throttle) 개방도(開放度)에 따라 개폐되는 드로틀센서스위치(throttle sensor switch), (50)은 기관회전수에 따라 개폐되는 회전센서스위치, (51)은 기관온도에 딸 개폐되는 온동센서스위치로서, 각 스위치(49)(50)(51)은 부점화코일(45)의 1차측 통전전류의 통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실시예의 동작을 상술하면, 기관을 회전시킴으로써 점화신호발생기(4)에서 발생하는 점화신호에 의해 2개의 단속수단(46)(47)이 개폐되어 주부점화코일(44)(45)의 1차측 통전전류를 단속시키면 그 2차측에는 점화용 고전압이 유기되나 이들의 점화용 고전압의 배전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제1기통(32)이 점화할 때에 주점화코일(44)의 점화용 고전압은 주중심전극(11) 주중심전극편(13)→좁은갭→T자상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주주위전극편(23)→주주위전극(15)→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36)로 배전된다.
이것과 동시에 부점화코일(45)의 점화용 고전압은 주중심전극(12)→부중심전극편(14)→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부주위전극(28)→부주위전극편(20)→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37)로 배전되어 점화가 된다.
다음으로 제3기통(33)이 점화할 때에는 배전로우터(6)가 제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각도π/2(rad)만큼 회전되고, 그 동작에 따라 주점화코일(44)에 유기되는 점화용 소전압은 주중심전극(11)→주중심전극편(13)→좁은갭→T자상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주주위전극편(25)→주주위전극(17)→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40)로 배전된다.
이것과 동시에 부점화코일(44)의 점화용 고압전압은 부중심전극(12)→부중심전극편(14)→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부주위전극편(30)→부주위전극(22)→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41)로 배전된다.
다음에 제4기통(35)이 점화할 때에는 배전로우터(6)가 화살표방향으로 다시π/2(rad)만큼 회전되면 주점화코일(44)에 유기되는 점화용 고전압은 주중심전극(11)→주중심전극편(13)→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주주위전극편(24)→주주위전극→(16)→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42)로 배전되며, 동시에 부점화코일(45)의 점화용고압전압은 부중심전극(12)→부중심전극편(14)→좁은갭→T자상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부주위전극편(27)→부주위전극(19)→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43)로 배전된다.
다음에 제2기통 (33)이 점화할 때에는 배전로우터(6)가 화살표방향으로 다시π/2(rad) 즉 1회전되고, 이렇게 됨으로써 주점화코일(44)에 유기되는 점화용 고전압은 주중심전극(11)→주중심전극편(13)→좁은갭→L자상전극(8)의 링부(8a)→돌기부(8b)→좁은갭→주주위전극편(26)→주주위전극(18)→고압코오드→주점화플러그(39)로 배전되고,동시에 부점화코일(45)의 점화용 고전압은 부중심전극(12)→부중심전극편(14)→좁은갭→T자상 전극(9)의 링부(9a)→돌기부(9b)→좁은갭→부주위전극편(29)→부주위전극(21)→고압코오드→부점화플러그(38)로 배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배전로우터(6)가 π/2(rad)회전할때마다 주점화코일(44)의 점화용 고전압은 L자상 또는 T자상 전극(8)(9)를 통하여 주점화플러그(36)(38)(40)(42)에만 배전되고, 한쪽 부점화 코일(45)의 점화용고전압은 L자상 또는 T자상전극(8)(9)을 통하여 부점화플러그(37)(39)(41)(43)에만 배전되므로 기관은 효율좋게 연소되어 구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므로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주점화플러그(36)(38)(40)(42)로의 배전(配電)은 주중심전극(11) 및 주중심전극편(13)에 급전되는 주점화코일(44)의 점화용 고전압을 전용으로 하게되고 한쪽 부점화플러그(37)(38)(41)(42)로의 배전은 부중심전극(12) 및 부중심전극편(14)에 급전되는 부점화코일(45)의 점화용 고전압을 전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결과, 기관의 동일기통내에 장착된 주부점화플로그의 점화시기를 다르게하는 것, 즉 부점화플러그의 점화시기를 주점화플로그보다 지연되게하여 기관의 연소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주부점화코일(44)(45)의 단속시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또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점화코일(45)의 1차측 통전전류의 통전전류상태를 드로패센서스위치(49), 회전센서스위치(50), 온도센서스위치(51) 등에 의해제어할 수 있게되고, 따라서 배기가스제거대책때문에 기관의 연소상태를 적절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이상의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의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배전로우터(6)의 형상은 암(Arm) 형상이 아닌 일반적형으로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있으며, L자상 또는 T자상전극(8)(9)의 형상은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고, 또 중심 및 주위전극편(13)(14)(23)-(30)의 배치위치도 임의로 변결할 수 있다. 또 주부중심전극편(13)(14)에서 L자상 또는 T자상전극(8)(9)로의 점화용 고전압의 배전중 어느한쪽은 갭방전(gap 放電)이 아니고, 카본브러시등에 의한 배전으로 할수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동일기통내에 장착된 주부전화플러그에 배전하는 것 이외에 거의 동시점화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T자상전극(9)과 L자상전극(8)을 동일평면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하면 배전부(배전로우터)의 축방향칫수를 단축할 수 있고 배전기의 소형화가 이루어진다. 또 주, 부주위전극(23)-(30)은 동일원주상에 배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2중배전방식에 있어서 주주위전극과 부주위전극을 대칭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때문에 이들주, 부위전극에서 주부점화플러그에 이르는 고압코오드가 정연하게 배열할 수 있게되고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 2개의 로우터전극이 중텀됨이 없어 배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내력이 우수하여 비교적 간단한 배전장치가 구성될 수 있는 실용상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2중배전되는 기관점화용 배전장치에 있어서, 여러개의 주주위전극(15)(16)(17)(18)과 부주위전극(19)(20)(21)(22)을 같은 수로 배전캡(10)에 링상으로 등간격으로써 대칭되게 배치하여서된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KR2019830003468U 1979-02-12 1983-04-19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KR840000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468U KR840000783Y1 (ko) 1979-02-12 1983-04-19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418A KR830000779A (ko) 1979-02-12 1979-02-12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KR2019830003468U KR840000783Y1 (ko) 1979-02-12 1983-04-19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418A Division KR830000779A (ko) 1979-02-12 1979-02-12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83Y1 true KR840000783Y1 (ko) 1984-05-15

Family

ID=2662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468U KR840000783Y1 (ko) 1979-02-12 1983-04-19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7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72655A (en)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678913A (en) Current generator and electronic ignition circuit
US4446842A (en) Ignition system
JPS6436981A (en) Ignitor for engine
US3219877A (en) Controlled rectifier ignition system
US3831562A (en) Surface gap spark plug and rotary engine combination
KR840000783Y1 (ko) 기관점화용 배전장치
US4244337A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906917A (en) Ignition adjustment device
US3987758A (en) Radial piston engine
US3217216A (en) Rotary capacitor apparatus
US3206565A (en) Ignition breaker and distributor for multi-cylinder engines
US3739753A (en) Rotary combustion engine ignition
US3139081A (en) Distributor advance mechanism
US4064858A (en) Ignition system with multiplex distributor for engines
US3998196A (en) Ignition distributor
US4045625A (en) Distributor
KR810000943B1 (ko) 배 전 기
FI63994B (fi) Anordning i foerbraenningsmotorns taendningssystem
US2412690A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US2972024A (en) Distributor
US3890947A (en) Distributor for engine ignition system
KR900007266Y1 (ko) 가솔린 기관의 4기통 및 8기통 겸용 디스트리 뷰터
JPS5946371A (ja) 内燃機関用配電器
JPS5614861A (en) Distributo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