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90B1 - 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90B1
KR840000690B1 KR7903984A KR790003984A KR840000690B1 KR 840000690 B1 KR840000690 B1 KR 840000690B1 KR 7903984 A KR7903984 A KR 7903984A KR 790003984 A KR790003984 A KR 790003984A KR 840000690 B1 KR840000690 B1 KR 84000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sette
separation
main body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하찌 우찌다
히로시 오야마다
기요지 도미모리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to KR790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지 장치
제1도는 종래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실시예 요부의 사시도.
제4도는 실시예의 인출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실시예의 요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용지 (1) : 급지 카셋트
(3) : 카셋트 본체 (3a) : 저판
(3b) : 제1의 측벽 (3c) : 제2의 측벽
(3d) : 앞벽 (4) : 분리갈고리
(4a), (4b) : 모서리부 (4c), (4d) : 분리면
(5) : 인출면 (17) : 경사 안내면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자복사기에 사용되는 급지(給紙)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 종류의 급지장치는 복사기 본체 등에 대하여 장치되어 다수매의 용지를 일괄하여 수납한 급지카셋트를 가지고, 이 급지카세트에서 용지를 차례로 1매씩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지를 일괄하여서 수용하는 카세트 본체(a)의 용지인출 방향 단부에 마련된 용지인출용 절결부(b)의 양단부는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 본체(a)에서 2중인출을 방지하게끔 측단부가 만곡된 상태로 인출된 용지 P의 측단면이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모서리부(c)에 걸린 채로 있게 되어, 측단부가 분리갈고리(d) 위에 신속하게 올려지는 정상상태(2점점선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고, 다음 공정인 반송 로울러부 등에서 용지가 접치거나 기울어지거나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의거하여 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른, 극히 간단한 구성이면서 카세트 본체에서 인출된 용지가 신속하게 정상 인출상태로 되돌아와서,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급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2도-제5도에 도시한 1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1)은 도시하지 않은 복사기 본체에 장치되어, 다수매의 용지 P.....를 일괄하여 수납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이고, (2)....는 급지카세트 (1)안의 최상단의 용지 P에 회전 접촉하여서 차례로 1매씩 인출하는 인출로울러이다. 상기 급지카세트(1)는 사용하는 최대 사이즈의 용지 P의 폭에 맞추어서 폭치수를 설정한 카세트 본체(3)를 가지고 있다.
이 카세트 본체(3)는 저판(3a), 제1의 측벽(3b), 앞벽(3d) 및 후벽(3e)로 되는 상자상체이다. 또한 카세트 본체(3)에는 제1의 측벽(3b) 및 제2의 측벽(3c)의 각각과 앞벽(3d)와의 교차점에서 모서리부(4a)(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모서리부(4a), (4b)에는 3각판 모양의 분리면(4c), (4d)을 가지고, 또 이 분리면(4c), (4d)에 의하여 모서리부(4a), (4b)를 덮도록 고정적으로 분리갈고리(4), (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벽(3d)의 상단면에는 용지 P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면(4c), (4d)보다도 저판(3a)측에 향하여 절결이 설치되어서, 인출면(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카세트 본체(3)안에는 용지 P....를 재치하여 분리갈고리(4)측을 향해서 부세(付勢)라는 중판(6), 용지 P...의 후단위치를 구제하는 후단위치 결정판(7) 및 용지 P...의 측단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동측판(8)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앞벽(3a)에는 좌우방향, 즉 용지 P의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분리 갈고리(9)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중판(6)은 카세트 본체(3)안의 앞벽측에 있어서 카세트 본체(3)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중판(6)은 탄성을 가지고 밀어올리는 부재로서의 코일 용수철에 의하여 항상 위쪽으로 밀어올려져 있어서, 지지하는 용지 P...가 적당한 압력으로 분리갈고리(4), (4), (9)와 접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후단위치 결정판(7)은 카세트 본체(3)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릿(slit)(10)을 안내하여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멈춤나사(11)를 개재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동측판(8)은 카세트 본체(3)의 바닥판 (3a)의 앞부분에 형성된 슬릿을 안내로 하여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되어 있어서, 카세트 본체(3)의 제1의 측벽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위치결정 기준면(12)과의 간격을 용지 P의 사이즈에 맞최어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멈춤 나사를 개제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가동측판(8)의 중판(6)의 하면측에 뻗어 있는 지지 아암부의 상면에는 상기 중판(6)에 형성된 안내돌 출용 창으로서의 슬릿 (13)을 사이에 두고 상단부를 상면측으로 돌출시킨 안내돌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분리갈고리(9)는 카세트 본체(3)의 앞벽(3d)의 외면에 장지된 안내레일(15)의 슬릿부에 나사부를 삽통시킨 멈춤나사(16), (16)를 개재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인출면(5)의 양단부에는 분리갈고리(4)와 사이에 연속하여 용지 P의 측 단면을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경사 안내면(1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취급순서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지 P...를 카세트 본체(3)의 앞벽(3d)의 내면 및 제1의 측벽(3b)의 내면으로서 된 위치결정 기준면(14)을 기준으로 수납한다. 다음에 후단위치 결정판(7) 및 가동측판(8)을 적당한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요지 P...의 전후죄우의 요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이동식 분리갈고리(9)를 가동측판(8)에 맞추어서 이동시킨다.
이어서 추상단의 용지 P의 앞부분 양귀가 분리갈고리(4), (9)의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세트한다.
이때, 용지 P...의 앞부를 지지하고 있는 중판(6)은 도시하지 않은 코일용수철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밀어 올려져서, 용지 P...는 분리갈고리(4), (9)와의 사이에 협지(狹持)된다.
한편, 추대사이즈의 용지 P...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동식 분리갈고리(9) 및 가동측판(8)을 떼어냄과 동시에 용지 P의 양귀를 고정적으로 마련한 분리갈고리(4), (4)로 누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로 용지 P...를 수납한 급지카세트(1)를 복사기본체 등에 장치하면 제4도에 표시하는 것과 급지카세트(1)의 앞부분 상면에 인출로울러(2)...가 회전접촉하고, 인출로울러(2)...의 회전에 따라서 추상단의 용지 P에서 차례로 1매씩 인출되게 된다. 또 이때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2중 인출방지를 위하여 인출시에 만곡된 양측단부가 경사안내면부(17)에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되어서 신속하게 정상 인출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상 기술한 본원발명의 효과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1) 분리갈고리의 분리면이 카세트 본체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의 면 방향에 따라가고 있기 때문에 용지에 대한 분리면의 압압작용이 커지고 확실한 용지의 분리를기대할 수 있다.
(2) 분리갈고리가 모서리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지의 인출측 측단부에 대한 압압작용이 항상 일정하게 되므로 인출시에 용지가 기울어진다든가 하는 일이 없다.
(3) 분리갈고리에 의하여 분리된 용지는 경사안내면부에 의하여 다시 그 측단부가 만곡되므로 분리가 한층 확실히 행해진다.
(4) 경사안내면부는 용지에 대한 분리작용과 함께 용지의 측단부를 안내하는 작용도 하므로 인출되는 용지가 이 부분에 걸리는 일은 없다.
(5) 카세트 본체의 앞벽에는 절결되어서 인출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출되는 용지의 전단(인출측)의 중앙부가 카세트 본체에 걸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인출면의 양단에 경사 안내면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카셋트 본체에서 겹친 인출을 방지하게끔, 측단부가 만곡한 상태에서 인출된 용지의 측단부가 모서리 각부에 걸린 채로 되지 않고 그 위에 카세트, 본체의 모서리부에 고정 설정된 분리갈고리와의 작용에 의하여 빨리 정상 인출한 상태로 할 수 있고 확실하게 급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1)

  1. 많은 장수의 용지를 수납하고 저판(3a), 제1의 측벽(3b), 제2의 측변(3c) 및 전벽(3d)을 갖는 카세트 본체(3)와 이 카세트 본체(3)의 전벽(3d)과 제1 및 제2의 측벽(3b), (3c)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모서리부(4a), (4b)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카세트 본체(3)안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의 먼 방향에 따른 분리면(4c), (4d)를 가지고 이 분리면이 모서리부에 덮는 것처럼 형성된 분리갈고리(4), (4)와 이 분리갈고리(4), (4)와 카세트 본체의 저판(3a)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많은 장수의 용지를 재치하면서 분리갈고리(4), (4)에 향하여 부세하는 중판(6)과를 구비한 급지 장치에 있어서 , 전벽(3d)에는 분리갈고리(4), (4)의 분리면 (4c), (4d)에서 카세트 본체(3)의 저판(3a)측 방향을 향해서 절결된 인출면(5)이 형성되고, 또 이 인출면의 양모서리부와 분리갈고리(4), (4)와의 사이에 연속하여 경사 가이드 면부(17), (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KR7903984A 1979-11-14 1979-11-14 급지 장치 KR840000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984A KR840000690B1 (ko) 1979-11-14 1979-11-14 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984A KR840000690B1 (ko) 1979-11-14 1979-11-14 급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90B1 true KR840000690B1 (ko) 1984-05-18

Family

ID=1921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984A KR840000690B1 (ko) 1979-11-14 1979-11-14 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9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9064A (en) Paper feed arrangement
KR19980029961A (ko) 사무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용지급지대의 절환장치
KR840000690B1 (ko) 급지 장치
JPS6122647B2 (ko)
JPS6216895B2 (ko)
JPH0123820Y2 (ko)
JPS6141812B2 (ko)
US5503385A (en) Paper feeding cassette
JP2586719Y2 (ja) 給紙装置
JPS63262355A (ja) シート給送装置
JPS59159651U (ja) 自動給紙装置
JPH0464531A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
JPH04135526U (ja) 給紙カセツト
JP2537139Y2 (ja) 給紙カセットケース
JP3340858B2 (ja) 給紙装置
JPH0356338A (ja) 重送防止構造
JPH05238572A (ja) 自動給紙装置
JPH0120355Y2 (ko)
KR100452554B1 (ko) 핑거 분리 급지 방식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적재장치
JPH023457Y2 (ko)
JPH0544348Y2 (ko)
JPH0464544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061458A (ja) シート供給装置
JPH0986707A (ja) 給紙カセット
JPS63295325A (ja) 給紙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