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47Y1 - 나사 가공용 심은날 - Google Patents

나사 가공용 심은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47Y1
KR840000547Y1 KR2019830005290U KR830005290U KR840000547Y1 KR 840000547 Y1 KR840000547 Y1 KR 840000547Y1 KR 2019830005290 U KR2019830005290 U KR 2019830005290U KR 830005290 U KR830005290 U KR 830005290U KR 840000547 Y1 KR840000547 Y1 KR 840000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alls
planting
planted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908U (ko
Inventor
에이치. 웨버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케나메탈 아이엔씨
제이 떠블유. 르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나메탈 아이엔씨, 제이 떠블유. 르위스 filed Critical 케나메탈 아이엔씨
Priority to KR2019830005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47Y1/ko
Publication of KR830000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사 가공용 심은날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 지지구와 심은날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심은날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심은날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각선 노치를 지닌 심은날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각선 노치를 지닌 심은날의 평면도.
제6도는 중앙부분에 변형된 절삭용 심은날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심은날과 공구 지지구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공구 지지구와 심은날의 평면도.
본 고안은 금속 가공에 사용하기 위한 인덱스 가능한(indexable)나사 가공용 심은날(inser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의 경사각 지지구에 설치되면서도 심은날의 절삭인선이 작업물에 0 또는 정의 경사각으로 향해지는 인덱스(치차 이빨 절삭의 경우와 같이 특정한 작동이 일정한 공간의 간격을 두고 반복되도록 공구나 작업물을 움직임)가능한 나사 가공용 심은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여 구체화되는 특수한 나가사공용 심은 날에서는 특수한 칩 절단홈이 나사 가공용 심은날과 함께 사용된다. 인덱스 가능한 나사가공 및 홈성형 심은날은 공지되어 있으며 금속가공업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나가사공 및 홈성형 심은날과 이러한 심은날을 수용하는 공구 지지구는 어떤 작업을 하고 있을때 심은날이 공구 지지구에 정확히 설치되고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심은날은 작고 폭이 좁아야 하며 나사를 가공하기 위하여 공구 지지구위에 걸리는 부분을 가져야만 한다. 이와같은 조건하에서 이러한 심은날 및 공구 지지구에 대한 이상적인 장치가 끊임없이 추구되고 있다. 여러가지 형태의 나사가공 및 홈 성형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심은날 및 공구 지지구에 대한 한가지 성공적인 장치가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3, 754, 309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인덱스 가능한 심은날은 수년간 시판되어왔고 또 시판에 성공적이었으며, 금속 가공업, 특히 나사가공 및 홈성형 분야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주지되어졌다. 심은날의 절삭인선은 나사가공 작업용으로 여러가지 복잡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한편, 홈성형 작업용으로 간단한 형태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나사가공 및 홈성형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선삭, 보링 및 성형작업으로 통상 사용되는 시판중인 다른 형태의 인덱스 가능한 심은날의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3, 399, 442호에 기술되어있다. 이들 특허에는 부경사각공구 지지구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물에 정경사각 절삭인선을 향하게 할 수 있는 심은날이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에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은 몇가지 예에서는 정경사각 절삭조건이 부경사각 절삭조건보다 좋다.
인덱스 가능한 심은날은 그 본래의 성질상 가능한한 심은날 몸체에 많은 절삭인선을 가져야만 한다. 상술한 나사가공 및 홈성형 심은날은 심은날의 몸체에 두개의 절삭부분만을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은 상술한 나사가공 및 홈성형 심은날과 유사하면서도 이전에 가능했던 단지 두개만의 절삭 부분 대신에 4개의 절삭부분을 가진 나사가공용 심은날을 제공한다. 4개의 절삭부분을 가짐으로써 종래의 2개의 절삭부분을 가진 심은날보다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나사가공용 심은날 및 공구지지구에 평행한 측벽과 그 측벽에 수직한 상부벽 및 저부벽을 가진 심은날이 제공된다. 심은날은 측벽에 수직한 주위로 역전 가능하며 또한 하나의 단부부분이 노출되게 지지구의 포케트에 설치하게 되어진 절삭용 단부벽부분을 갖는다.
단부벽 부분은 심은날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서로을 향하여 만나는 최소한 두 개의 단부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상부 및 저부벽중의 최소한 하나에 요부(홈)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는 상술한 상부 또는 저부벽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뻗어있는 외부부분을 가지고 있고, 절삭인선은 서로 만나는 단부벽들과 상술한 외부 부분과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또한 요부는 외부부분의 최저 부분으로부터 상술한 상부 및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까지 상방으로 이르는 가파르게 솟아오른 형태의 내부부분을 포함하며, 절삭인선은 상부 또는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과 예각의 사잇각을 이루는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외부부분과 가파르게 솟아오른 내부부분에 의하여 성형된 요부(홈로 인하여 작업물 칩이 쉽게 절단되며, 절삭인선이 상부 또는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과 예각의 사잇각을 이룸으로써 후술하는 바와같이 심은날이 비록부(負)의 경사각인 공구 지지구에 놓이더라도 절삭인선은 사실상 0의 경사각 혹은 정(正)경사각 작업조건을 갖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심은날의 상부 및 저부벽중의 하나 또는 양자에 클램프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는 심은날의 평행한 측부들 사이에 뻗어있는 대각선 홈인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노치는 상부 또는 저부벽중의 어느 하나의 중앙부분 부근에서 원형 요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심은날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 지지구의 심은날 수용 포케트에 수용된다. 클램프 노치는, 포켓에 심은날이 수용될때 클램프와 결속되므로써 심은날을 공구 지지구에 정확히 설치하여 단단히 고정시킨다. 심은날 수용 포케트는 단부벽부분, 측벽 및 저부벽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3개의 측부는 개방되어 있다. 포케트의 단부벽 부분은 포케트의 젖부벽에 사실상 직각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마주하는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개의 마주하는 벽의 서로를 향하여 만나게되며 바람직하게는 심은날의 측벽과 마주하는 벽이 측벽의 평면을 향하여 만난다.
공구 지지구위의 상부 클램프 부재는 포케트내에 심은날을 수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는 심은날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각이 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은날의 노치에 결속될때 공구 지지구 포케트의 후방벽, 저부벽 및 반대편벽에 대하여 함께 심은날을 끌어당긴다. 심은날 내의 노치가 원형 요부와 유사한 경우, 클램프 부재는 심은날의 종방향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또는 심은날을 사용할 필요성이 배제된다.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공구 지지구(10)는 그 전단부에 심은날 수용 포케트(12)를 가지고 있다. 심은날 수용포케트(12)는 측벽(14), 저부벽(16) 및 단부벽 부분(18)을 가지고있으며 나머지 다른 3개의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단부벽부분(18)은 마주하는 벽(20 및 22)을 가지고 있으며, 이 벽(20 및 22)은 공구 지지구의 전단부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서로 만난다.
측벽(14)과 마주하는 대향벽(20)은 측벽(14)의 평면을 향하여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용 심은날(24)은 공구 지지구(10)의 포케트(12)에 수용되도록 되어있다.
클램프부재(26)는 공구 지지구(10)의 상부에 형성된 홈(30)에 수납되도록 되어진 다리부(28)를 가지고 있다. 클램프 부재(26)는 심은날(24)의 상부를 결속하는 둥근 돌출부분(32)을 가지고 있다. 클램프 나사(34)는 클램프부재(26)의 구멍을 통하여 공구 지지구(10)의 상부에 설처된 나사구멍(36)속으로 들어간다. 심은날(24)은 단부 벽부분(38)(제1도) 및 평행한 측벽(40)(제2도)을 가지고 있다.
심은날은 또한 측벽(40)에 수직인 평행한 상부 및 저부벽(42)(제3도)를 가지고 있으며, 심은날은 측벽(40)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역전될 수 있다. 심은날(24)은 포케트(12)에 안치되여 작업물에 나사를 깎도록 노출된 하나의 단부부분을 가지고 있고, 클램프 부재는 측벽(14), 저부벽(16) 및 벽(20)에 대향되게 심은날을 고정시킨다.
절삭용 심은날(24)의 단부부분(38)은 최소한 두개의 단부벽(44 및 4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부벽(44 및 46)은 심은날의 중앙부분(48)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서로 만난다. 요부(50)가 상부벽이나 또는 저부벽중의 최수한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요부(50)는 상부 또는 저부벽의 외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외부부분(52)를 지니며, 절삭인선(54)은 만나는 단부벽(44 및 46)과 외부부분(52)과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또한 요부(50)는 외부부분(52)의 최저부로부터 상부 또는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에까지 상방으로 이르는 가파른 용기 형태의 내부부분(56)을 지니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절삭인선은(54)은 절삭용 심은날(24)의 양단부(38)에 도시되어 있다. 양단부벽(44및 46)에 있는 절삭인선(54)은 상응하는 상부 또는 저부벽의 평면에 대하여 예각의 사잇각을 이루는 평면을 형성한다. 그 예각은 작은것이 바람직하며, 심은날을 수용할 지지구(10)의 형태에 따라서 제5도-제7도의 어떤 각도가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한 심은날(24)은 둥근 중앙부분(48), 즉 클램프 부재(26)의 돌출부(32)를 수용하는 원형요부(60)를 가지고 있으며 제3도에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도도 절삭용 심은날(24)의 단부부분(38)의 절삭인선(54)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절삭인선(54)은 제3도의 인선을 약간 변형한 것이다. 이 절삭인선(54)은 만곡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선(54)도 상응하는 상부 또는 저부벽(42)의 평면과 예각의 사잇각을 이루는 평면을 형성한다.
상부 또는 저부벽(42)위의 한측벽으로부터 맞은편 측벽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대각선 노치(62)이며,이 노치(62)도 또한 클램프부재(26)의 둥근부분(32)을 수용할 수 있다. 노치(62)는 포케트(12)내에 심은날(24)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클램프부재는 심은날을 3개의 벽에 대하여 밀어붙이게 포케트(12)를 향하여 각이져 있어야 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요부(60)가 사용되는 경우, 홈(30)은 포케트(12)의 단부벽부분(20)뒤에 놓이도록 클램프부재(26)를 배열시킬수 있는데, 그렇게 하면 심은날은 포케트의 4개의 벽, 즉 측벽(14), 저부벽(16) 및 마주하는 벽(20및 22)을 누르며 고정된다. 이와같이 되면, 심은날은 나사 성형작업을 위하여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공구 지지구에 사용될 수 있다.
제5도에는 또하나의 심은날(2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심은날(24)은 상부 또는 하부벽에 각각 두 개의 대각선홈(62 및 6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은날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공구 지지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심은날(24)에서는 중앙요부(66)가 원형이 아니고 각이진 측벽(68 및 70)을 지닌 평행사변형으로서 클램프부재(26)의 돌출부분(32)이 요부를 결속하여 공구 지지구(10)내에 심은날(24)을 고정하도록 된다.
제8도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심은날을 가진 공구 지지구(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심은날은 클램프부재(26)의 돌출부분(32)을 수용하기 위하여 중앙요부(60)를 이용한다. 따라서 심은날(24)은 상술한 4개의 벽에 의하여 공구 지지구에 고정된다.
제7도에서, 작업물(72)은 본 고안에 따른 절삭용 심은날(24)에 의하여 나사가 가동된다. 단부부분(38)은 심은날(24)의 주위표면의 일부이며, 절삭가공되는 작업물의 표면으로부터 각도(A)를 이루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A)는 특수한 재료, 절삭깊이 및 기타 요인에 따라서 제5도-제10도로 된다.
심은날은 상부 또는 저부벽의 외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상부면에 요부(50)를 가지고 있으며, 절삭인선(54)은 단부부분의 벽과 요부의 접합부에 형성되어 있다.
절삭인선(54)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은 상부 또는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으며, 작은 내부 예각을 이루고 있다. 이와같이 설치함으로서 비록 심은날은 부의 경사각공구 지지구에 안치되어 질지라도 절삭인선은 사실상 0의 경사각 혹은 정경사각으로 작업물을 향한다.

Claims (1)

  1. 단부벽부분(38), 평행한 측면들(40) 및 그 측면들에 수직인 평행한 상부 및 저부벽(42)을 지니며, 상기측면들에 수직한 축 주위로 역전가능하고 한 단부가 노출되게 지지구(10)의 포켓(12)에 지지되도록 되어지며, 포켓내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상부 및 저부벽의 하나 또는 양면에 클램프 노치(62)가 형성되는 나사 가공용 심은날(24)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 부분은 심은날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서로를 향하여 모이는 최소한 2개의 단부벽들(44, 46)로 구성되어 그 모이는 단부벽들의 교차선이 상기 상부 및 저부벽에 수직하고, 요부(50)가 상기 상부 및 저부벽중의 하나의 외부 모서리를 따라 상기 측면과 교차하는 지점까지 뻗어있는 외부부분(52)을 포함하며, 절삭인선(54)은 상기 외부부분(52)과 상기 모이는 단부벽들(44, 46)의 접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요부(50)는 또한 상기 외부부분(52)의 최저부로부터 상기 상부 및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까지 상방으로 가파르게 솟아오르며, 위에서 볼때 상기 모이는 단부벽들(44, 46)에 사실상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측벽들과 교차하는 지점까지 뻗어 있는 내부부분(56)을 포함하며, 상기 절삭인선(54)은 상기 상부 및 저부벽중의 하나의 평면과 예각의 사잇각을 이루는 평면을 형성하고 그 절삭인선 평면이 심은날의 중심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나사 가공용 심은날.
KR2019830005290U 1979-06-07 1983-06-16 나사 가공용 심은날 KR840000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290U KR840000547Y1 (ko) 1979-06-07 1983-06-16 나사 가공용 심은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850 1979-06-07
KR2019830005290U KR840000547Y1 (ko) 1979-06-07 1983-06-16 나사 가공용 심은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850 Division 1979-06-07 1979-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08U KR830000908U (ko) 1983-09-22
KR840000547Y1 true KR840000547Y1 (ko) 1984-04-04

Family

ID=7016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290U KR840000547Y1 (ko) 1979-06-07 1983-06-16 나사 가공용 심은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5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08U (ko) 198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07920C (ru) Режуща вставка
RU1777572C (ru) Пластина многогранной формы дл резани по металлу
KR101089525B1 (ko) 절삭 인서트와 홀더 사이에서 돌출부와 홈이 상호 작용하는밀링 공구
JP4104661B2 (ja) 切削用差込み工具
US5505569A (en) Cutting insert for grooving operations
US5580194A (en) Cutting tool
US4360297A (en) Cutting insert
JPS58223513A (ja) フライス
JP2909104B2 (ja) 精密加工用カッタ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62323A (ja) 金属切削差込工具を保持する工具ホルダ
US4202650A (en) Shim lock toolholder
EP0416901A3 (en) A cutting insert
KR20040071119A (ko) 선삭용 인덱서블 인서트
JPH0358843B2 (ko)
KR20100103540A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위한 절삭 공구
KR101083621B1 (ko) 상이한 반경을 지닌 코너부를 가지는 인덱서블 인서트
US4509886A (en) Cutting tool with cutting inserts having positioning keyways
EP0112806A1 (en) Cutting insert
US4063841A (en) Indexable insert for grooving tools
US4834591A (en) Indexable cutter insert
EP0179033B1 (en) Cutting tool
JPH04502582A (ja) チップコントロール付き切削挿入体
FI79960B (fi) Insatsdel och haollare foer skaerverktyg.
KR840000547Y1 (ko) 나사 가공용 심은날
KR920007960B1 (ko) 정밀 가공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4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