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325Y1 - 모 심 는 장 치 - Google Patents

모 심 는 장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325Y1
KR840000325Y1 KR2019800003715U KR800003715U KR840000325Y1 KR 840000325 Y1 KR840000325 Y1 KR 840000325Y1 KR 2019800003715 U KR2019800003715 U KR 2019800003715U KR 800003715 U KR800003715 U KR 800003715U KR 840000325 Y1 KR840000325 Y1 KR 840000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cam
jaws
push ro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72U (ko
Inventor
요오이찌로오 니시
Original Assignee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filed Critical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3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325Y1/ko
Publication of KR830000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325Y1/ko

Links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 심 는 장 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 2 도는 그 제 1의 실시예 중요부분의 일부 종단 정면도.
제 3 도는 그 제 1의 실시예의 중요 부분의 부재의 평면도.
제 4 도는 그 제 1의 실시예의 다른 중요 부분의 부재생 평면도.
제 5 도는 그 제 1의 실시예의 작용을 표시하는 모식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 2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 7 도는 그 제 2의 실시예 중요 부분의 일부 횡단 평면도.
제 8 도는 그 제 2의 실시예 중요 부분의 부재의 평면도.
제 9 도는 그 제 2의 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일부의 부재를 제거하여 도면에 표시함.
본 고안은 물이 가득 차 있는 논 속에 있어서 모심는 것을 실시하는 이앙기의 모심는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의 모심는 조(爪)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모심을 때가 모가 담긴 매트를 밀어내는 모의 압출구를 설치하고 있는 모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심는 장치는 좌우 1쌍의 모심는 조가 그 사이에서 모의 블럭을 협지하여 하부로 회동시켜지는 동안 좌우의 모심는조의 사이를 닫아서, 진동 등에 의한 모 블럭의 낙하, 빠진 포기의 발생을 방지시키고, 또 모심을 때에는 좌우 1쌍의 모심는 조 사이를 열면서 이와 함께 모의 압압구에 의하여 모 블럭을 밀어내게 하여서, 떠 있는 모등이 생기는 일이 없는 확실한 모심는 작업을 행하게하며, 또한 상기한 좌우 1쌍의 모시는 조의 사이의열림으로서서 그 좌우 1쌍의 모심는 조 사이에 젖은 흙이 끼여서 모심는 조가 윗쪽으로 회동할 때에 그 젖은 흙이 그대로 들어올려지므로 모가 심겨진 매트로부터 모 포기를 절단 체취할 때 등에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시킨다고 하는 가능성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와 같은 모심는 장치이며 모심는 조의 개폐기구와 모 포기의 밀어내는 압출기구와의 2종류의 기구를 부가한 것이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화되며, 또 경량으로 구성되어서 고속도로서의 모심기 작업구등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의 모심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에 관한 모심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1도-제 4도에 표시하는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 (1)은 이앙기의 식재부(P)에 설치된 식재아암이며,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그 식재아암(1)은 식재구동축(2)에 의하여 크랭크기구(3)을 개재하에 크랭크 운동이 되도록 한다.
식재아압(1)의 한쪽인 바깥면에는 고정구(4)에 의하여 고정용 모심는 조(5A)를 그 조(5A)의 기단부(基端部)에서 고정하고 있으며, 또 식재아암(1)내에서 그 식재아암(1)윗면방향으로 돌출시켜놓은 조축(爪軸)(6)의 윗쪽 끝부분에는 가동 모심는 조(5B)을 구 조(5B)의 포오크 형상의 그단부에서 조축(6)을 협지시켜서 체착연결구(7)로서 조여서 고정하여 부착시켜 놓았다.
고정용 모심는 조(5A)와 가동 모심는 조(5B)와는 제 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양쪽 모심는 조(5A)(5B)의 중간에서 서로 약간의 사이를 두고 병렬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축(6)을 식재아암(1)에 회전 변위 가능하도록 지지시키고, 제 3도에 화살표(S)로서 표시한 것과 같이 그 조축(6)을 왕복동작하도록 회전변위시키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제 3도에 쇄선으로서 표시한 것과 같이 가동 모심는 조(5B)를 고정용 모심는 조(5A)에 대하여 거리 조정시켜서 좌우의 모심는 조(5A)(5B)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하고 있다.
좌우의 모심는 조(5A)(5B)는 식재아암(1)의 크랭크 운동에 수반하여 조(5A)(5B)의 앞쪽 끝부분이 제 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닫혀진 궤적(C)에 따라서 변위시켜지도록 상하 회동 시켜진다.
이와 같은 상하 회동되는 사이에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는 상한점을 약간 통과한 곳에서 식재부(P)의 모의 재치대(8)로 돌입하여, 그 모의 재치대(8)위의 모자리에서 한 군데에 심을 모포기 덩어리를 절단 채취하여 그 모의 포기 덩어리를 협지하면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하한점 근처에서 그 모의 블럭을 논 바닥에 심는다.
다른 한편,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의 앞쪽 끝부분 사이에 면하는 기립상태의 압출구(9a)를 갖춘 모의 압출구 아암(9)이 식재아압(1)에 진퇴자재하게 지지되어 그 식재아암(1)의 바깥으로 앞쪽 끝부분을 돌출시키고 있는 푸쉬로드(10)의 그 앞쪽 끝부분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푸쉬로드(10)를 진퇴시키기 위하여서는 식재아암(1)내에 캠축(11)을 설치하고 모심는 조(5A)(5B)가 1싸이클의 상하회동을 행하는 사이에 전기한 식재 구동축(2)에 의하여 1회전 시키지는 그 캠축(11)위에 압출구 작동캠(12)을 키(Key)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 식재아암(1)내에는 그 식재아암(1)에 지지시킨 지점축(13) 둘레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아암(14)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요동아암(14)은 식재아암(1) 내벽면과 그 요동아암(14)에 양쪽 끝부분을 맞닿게하여 식재아암(1)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5)에 의하여 기단(14a)이 압출 작동캠(12)에 맞닿는 방향으로 요동되게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다.
요동아암(14)의 앞쪽 끝부분(14b)은 푸쉬로드(10)의 기단에 그 로드(10)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변위가 불가능하게 계합시키고 있으며, 상기한 압축스프링(15)은 요동아암(14)을 개재하여 푸쉬로드(10)를 식재아암(1)으로부터의 돌출방향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푸쉬로드(10)는 요동아암(14)의 기단(14a)이 압출작동캠(12)의 낮은 부분으로 떨어져 들어갔을 때에 압축스프링(15)의 힘으로서 돌출 작동시켜지며, 반대로 요동아암(14)의 기단(14a)이 압출작동캠(12)의 높은 부분으로 올라가게 되면 그것에 의한 요동아암(14)의 요동으로 후퇴시켜진다.
압출작동캠(12)의 형상은 상기와 같은 푸쉬로드(10)의 진퇴로서 모의 압출아암(9)이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진퇴작동시켜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기한 조축(6)을 제 3도의 화살표(S)와 같이 회전 변위시키기 위하여 특히 푸쉬로드(10)에 그 기단부 1측면에서 제 4도에 표시하는 조 개폐 작동캠(1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축(6)에는 식재아암(1) 내에 있어서, 제 1도, 제 2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푸쉬로드(10) 방향으로 만곡 수하시킨 끝부분(17a)을 보유하는 작동편(17)을 핀(18)으로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으며, 이 작동편(17)은 식재아암(1)의 내벽면과 그 작동편(17)에 양쪽 끝부분을 당접하여 식재아암(1) 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9)에 의하여 상기한 끝부분(17a)이 푸쉬로드(10)위의 조 개폐작동캠(16)에 맞닿는 방향으로 변위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푸쉬로드(10)의 진퇴에 따라서 작동편(17)의 끝부분(17a)이 조 개폐작동캠(16)의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으로 압축스프링(19)의 작용으로서 떨어져 들어갔을 때에는 작동편(17)의 1방향의 회동 변위, 따라서 조축(6)의 1방향에의 회전 변위가 얻어지며, 반대로 작동편(17)의 끝부분(17a)이 조 개폐작동캠(16)의 낮은 부분에서 높은 부분으로 타고 올라가서 압축스프링(19)의 힘에 저하하여 작동편(17)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동 변위시켜지면 조축(6)의 다른쪽 방향에의 회전변위가 얻어진다. 그리고 조축(6)이 상기한 바와같이 1방향 및 다른쪽 방향에 회전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서는, 전기한 바와같이 가동 모심는 조(5B)가 그 조축(6) 둘레에서 고정용 모심는 조(5A)에 대하여 거리 조정하도록 회동 변위시켜서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개폐를 할 수 있게 된다.
전기한 압출작동캠(12)의 형상과, 상기한 조 개폐작동캠(16)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제 5도는 식재아암(1) 및 모심는 조(5A)(5B) 가 1싸이클의 회동을 행하는 사이의 푸쉬로드(10)의 진퇴작동과, 가동모심는 조(5B)와의 개폐작동을 도표로서 표시한 것으로서 횡축에는 1싸이클 사이의 경과시간(T)이, 또 종축에는 적당한 기준점으로 부터의 푸쉬로드(10)의 진퇴량(DP)과,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사이의 간격으로서 표시된 가동 모심는 조(5B)의 기폐작동량(Dn)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경과시간(T)에 있어서 모심는 조(5A)(5B)의 앞쪽 끝부분의 회동궤적(C)의 상부 한계점(Ch)(제 1도)에 도달한 시점은 (Th), 모심는 조(5A)(5B)가 모의 재치대(8)위의 모자리에서 모 포기 덩어리를 절단 재취한 시점(Ta), 모심는 조(5A)(5B)의 왼쪽 끝부분이 회동궤적(C)의 하부 한계점(Cl)(제 1 도)에 도달한 시점은 (T1)이다. 압출작동캠(12)의 형상은 제 5도에 표시와 같이 1싸이클의 사이에 푸쉬로드(10)가 모심는 조(5A)(5B)의 상승 회동중에 가장 돌출된 위치(Dp max)에서 중간 후퇴위치(Dp mid)로 예컨대, 약 13mm만큼 후퇴시켜지며, 상부 한계점의 시점(Th) 및 모를 잡은 시점(Ta)까지는 그대로의 위치로 보전되고, 모를 잡는 시점(Ta)의 직후에 또다시 약간 예컨대, 약 2mm만큼 후퇴시켜서 가장 후퇴한 위치(Dp min)로 도달되어서 그대로 모심는 조(5A)(5B)가 하강 회동을 계속하여 대략 하부 한계점 시점(T1)에 이르면, 어는 시간폭(t1)으로써 먼저의 2회의 후퇴할 때와 총계 후퇴량만큼 돌출 작동하여, 가장 돌출된 위치(Dp max)로 재차 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푸쉬로도(10) 위의 조 개폐작동캠(16)은 상기한 바와 같은 푸쉬로드(10)의 진뢰작동에 의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지만 그 조 개폐작동캠(16)은 제 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 모심는 조(5B)를 제 3 도의 실선표시 도면 위치에 놓고,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간겨을 제 5도에 표시하는 도면의 중간간격(Dn mid) (예컨대 약 14mm)로 하는 재 1캠면(16a)과, 가동 모심는 조(5B)를 제 3도의 쇄선 표시 도면위치(5B)(2)에 놓고, 양쪽 모심는 조(5A)(5B)사이의 간격을 제 5도에 도면 표시한 폐쇠간격(Dn min) (예컨대 8mm)로 하는 제 2 캠면(16b)과 가동 모심는조(5B)를 제 3도의 쇄선으로 도면표시한 위치(5B)(3)에 놓고,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간격을 제 5도에 표시한 개방간격(Dn max)(예컨대 약 20mm 혹은 23mm)로 하는 제 3 캠면(16c)를 푸쉬로드(10)의 근기부 끝부분에서 제 3 캠면(16c), 제 1 캠면(16a), 제 2 캠면(16b)의 순서로서 직렬시키며, 또한 인접되는 2개의 캠면(16c)(16a) 사이 및 (16a) (16b) 사이에 적당한 구배의 캠의 사면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폐작동캠(16)은 제 5 도에 표시하는 것같이 중간간겨(Dn mid)으로써 상승회동 하여오는 모심는 조(5A)(5B)가 상부 한계점 시점(Th)을 경과하여 모를 잡는 시점(Ta)의 직후에 전기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0)가 중간 후퇴위치(Dp mid)에서 가장 후퇴한 위치(Dp max)까지 후퇴되게 하는것으로서, 작동편(17)의 끝부분(17a)가 제 1캠면(16a)에 당접하고 있던 상태에서 그 작동편(17)의 끝부분(17a)에 제 2 캠면(16b)이 당접하는 위치로 변위시켜지며, 이것에 의한 가동 모심는조(5B)의 닫는 회동으로서 제 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간격이 폐쇄간격(Dn min) 으로 되어 모심는 조(5A)(5B) 가 닫혀지도록 제1, 2 캠면(16a)(16b)위치를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 채취된 모 포기가 양쪽 모심는 조(5A)(5B)에 의하여 협지된다.
그리고 모심는 조(5A)(5B) 의 그 후의 하강 회동중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0) 가장 후퇴된 위치(Dp min)에 있어서 움직이지 않으므로 양쪽 모심는 조(5A)(5B)는 닫혀진 상태로 보전되어서, 모포기가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없다.
조 개폐작동캠(16)의 제1, 2 캠면(16a)(16b)는 또다시 전기한 바와 같이 모심는 조(5A)(5B)의 하부한계점에 도달시점(T1)부근에서 푸쉬로드(10)가 돌출작동을 개시하여도 가동 모심는 조(5B)의 개방하는 작동이 당장에는 일어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즉, 모를 잡은 바로 후의 푸쉬로드(10)의 후퇴로서 작동편 끝부분(17a)은 제 4도에 쇄선으로 도면에 표시한 것같은 위치 즉, 제 2 캠면(16b)위에서 제 1캠면(16a) 반대방향으로 거리(S)만큼 간격을 둔 위치에서, 제 2 캠면(16b)에 맞닿게 이르고 있으며, 하부 한계점 부근에서의 푸쉬로드(10)의 돌출 작동할때에 상기한 거리(S)가 메꾸어진 시점(T2)에서, 즉 전기한 시간간격(t1)의 도중에서 가동 모심는 조(5B)의 개방작동이 일어나도록 캠면(16a)(16b)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2 캠면(16a)(16b) 위치는 전기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0)가 가장 돌출된 위치(Dp max)까지돌출 작동할 사이에 캠(16)의 제 3 캠면(16c)이 작동편(17) 끝부분(17a)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변위시켜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간격이 개방간격(Dn max)로 될때까지 가동 모심는 조(5B)가 개방 작동시켜져서 양쪽 모심는 조(5A)(5B)사이가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양쪽 모심는 조(5A)(5B)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 푸쉬로드(10)를 돌출작동시켜서 모의 압출구(9)에 압출작동시키고, 푸쉬로드(10)의 돌출작동의 대략 후반부에 있어서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를 개방하도록 설정하고 있는 것에 따라서는, 하부 한계점(C1) 부근에서 행하여지는 모심는 때에 있어서, 모 포기가 폐쇄되어 있는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에서 안내되어 가면서 압출되어서, 그모 포기의 자세가 흔들리지 않게 되어,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개방에 의하여 논바닥에 모가 심어진 상태로서 잔류되는 모의 자세 즉, 모의 심은 자세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조개폐작동캠(16)의 캠면(16a)(16b)의 위치는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이 모심는 조(5A)(5B) 상승회동의 도중에서 푸쉬로드(10)가 가장 돌출된 위치(Dp max)에서 중간 후퇴위치(Dp min)로 후퇴시킬때에 작동편(17)끝부분(17a)가 제 3 캠면(16c)에서 제 1캠면(16a)으로 캠(16)에의 당접위치를 바꾸도록 그 캠(16)이 변위시켜져서 제 5도에서 표시하는 것같이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간격이 개방간격(Dn max)에서 중간간격(Dn mid)으로 되도록 가동 모심는 조(5B)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도-제4도의 도면에 표시한 제 1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를 잡은 직후의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폐쇄에 의하여 절단 채취된 모 포기가 꽉 잡혀져서 모심는 조(5A)(5B)의 하강 회동중에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없으며, 또 모를 심을 때에는 모에 압출구(9)가 모심는 조(5A)(5B) 의 폐쇄된 상태에서 모의 압출작동하고, 그 압출 작동의 대략 후반부에서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개방이 행하여질때 강제적인 모의 압출로서 확실한 모심기가 행하여지는 것은 물론이며, 폐쇄된 모심는 조(5A)(5B) 가 모의 압출작동에 있어서 모 포기의 안내를 하여 흔들리지 않는 모심는 자세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모심은 후에 크게 개방되는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에는 젖은 흙이 끼여 있는 일이 없으며, 그러면서도 모를 잡기 전에 양쪽 모심는 조(5A)(5B) 사이의 간격이 중간간격( Dn mid)으로 되므로 모자리에서의 모 포기를 절단 채취할 때에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조의 개폐작동캠(16)이 모의 압출구(9)를 진퇴시키는 푸쉬로드(10)에 설치되어 있어서 그 기능의 캠을 별개로 설치하지 않으므로, 제 1의 실시예에 관한 모심는 장치는 구조가 간단화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어 구동 회전수를 올려서 고속도로서 모심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 6도-제9도에 도면 표시한 제 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7, 제 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식재아암(1)내에서 윗쪽으로 돌출시켜서 전기한 바와 같은 조축(6)이외에 고정용 모심는 조(5A)로 사용하는 다른 조축(30)을 설치하고 식재아암(1)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그 다른 조축(30)에 고정용 모심는 조(5A)를 그 모심는 조(5A)의 기단의 포오크부로서 조축(30)을 협지시켜 체착고정구(31)로 조여서 고정하여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제6, 제 7 도의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 모심는 조(5B)를 담당 지지하는 조축(6)에 식제아암(1) 내에서 고정하고, 그 조축(6)과 일체로 회동하는 작동아암(32)을 설치함과 아울러 식재아암(1)의 내벽면과 그 작동아암(32) 에 양쪽 끝부분을 맞닿게 한 압축스프링(33)을 식재아암(1)내에 설치하여 푸쉬로드(10) 도중에 설치된 전기한 것과 동일한 조의 개폐작동캠(16)에 작동아암(32)끝부분이 맞닿는 방향으로 그 작동아암(32)과 조축(6)을 일체적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제 6 도 내지 제 9도에 도면 표시된 제 2 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전기한 제 1의 실시예에 상당하는 부분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서 동일한 참조 숫자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출작동캠(12)의 형상과 조 개폐작동캠(16)의 형상도 제 1 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전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모심는 장치도 모를 심는 때에 있어서 제 1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유리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이 제2의 실시예에 관한 모심는 장치도 조의 개폐작동캠(16)이 푸쉬로드(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간단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경량으로 구성되어서 고속도로서의 식재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모심는 장치는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모심을 때에 모 포기 덩어리를 밀어내는 모의 압출구(9)를 설치하고 있는 모심는 장치에 있어서, 좌우 1 쌍의 모심는 조(5A)(5B)를 개폐시키기 위한 캠(16)을 전기한 모의 압출구(9)를 진퇴시키는 푸쉬로드(1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최초에 설명한 것같은 유리한 가능성을 주는 모심는 장치에 대하여 모심는 조의 개폐기구와 모 포기의 압출기구와의 2종류의 기구를 부가한 것이면서도 모심는 조 개폐용의 캠을 별개로 설치하는 것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며 또 경량으로 구성되어서 고속도로서의 식재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모심는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Claims (1)

  1.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모심을 때에 모의 블럭을 밀어내는 모 압출구(9)를 설치하고 있는 모심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좌우 1쌍의 모심는 조(5A)(5B)를 개폐시키기 위한 캠(16)을, 전기한 모의 압출구(9)를 진퇴시키는 푸쉬로드(1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는 장치.
KR2019800003715U 1980-06-10 1980-06-10 모 심 는 장 치 KR840000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15U KR840000325Y1 (ko) 1980-06-10 1980-06-10 모 심 는 장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15U KR840000325Y1 (ko) 1980-06-10 1980-06-10 모 심 는 장 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72U KR830000372U (ko) 1983-06-17
KR840000325Y1 true KR840000325Y1 (ko) 1984-02-29

Family

ID=1921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715U KR840000325Y1 (ko) 1980-06-10 1980-06-10 모 심 는 장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3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72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8506147L (sv) Planteringsredskap
KR840000325Y1 (ko) 모 심 는 장 치
PL92528B1 (ko)
CN205305392U (zh) 移植机
JPS5933222Y2 (ja) 苗植付け装置
JPS606169Y2 (ja) 苗植付け装置
CN109168428B (zh) 一种园林花苗种植挖坑设备
CN112616397A (zh) 一种农业机械用移栽机构
JPS5938098Y2 (ja) 苗植付け装置
JP4753857B2 (ja) 移植機の苗取り出し装置
JPS5935052Y2 (ja) 田植機の植付装置
JPS6219145Y2 (ko)
JP2575320B2 (ja) 挿苗機における挿苗爪駆動装置
JPH0538305A (ja) ブラシの製造方法
JPS5921610Y2 (ja) 田植機の植付装置
JPS5930661Y2 (ja) 田植機の強制植付装置
JPS5915857Y2 (ja) 田植機用苗押出し具
JPH0748009Y2 (ja) 移植機における苗押込装置
FR2391787A1 (fr) Dispositif de butee pour tablier de machine a decouper les feuillards
JPS59213318A (ja) 植付杆駆動装置
JPH0232009Y2 (ko)
SU1445596A1 (ru) Посадочный аппарат
JPH04271712A (ja) 苗植付け装置
JPH01160417A (ja) 歩行型農作業機
JPH013312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