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171B1 - 폐기물 캡슐화 개량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캡슐화 개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171B1
KR840000171B1 KR1019810002396A KR810002396A KR840000171B1 KR 840000171 B1 KR840000171 B1 KR 840000171B1 KR 1019810002396 A KR1019810002396 A KR 1019810002396A KR 810002396 A KR810002396 A KR 810002396A KR 840000171 B1 KR840000171 B1 KR 84000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esin
water
added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913A (ko
Inventor
로버슨 케이트
에드워드 필터 해롤드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 챠드 고든 위터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 챠드 고든 위터멘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7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polymeric matrix, e.g. resins, ta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6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167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polymeric matrix, e.g. resins, ta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기물 캡슐화 개량방법
각종 산업폐기물의 처리방안이 환경보존의 주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산업폐기물로서는 핵반응 후에 야기되는 방사선 폐기물질이 포함되는데, 특히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수용성 증류물에 존재하는 저양의 폐기물, 사용된 이온교환수지 및 점토나 목탄과 같은 여과용 물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미분된 형태, 건조한 고체 또는 수용성 용액, 분산액 또는 슬러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밖에도 문제의 폐기물은 도금 용액과 같은 여러가지 화학 반응에서 수반되는 부산물, 살충제의 제조 과정에서 야기되는 부산물에서 얻어지는 폐기물들이다.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이 폐기물을 세멘트 또는 요소 포름 알데히드 수지와 같은 물질에 혼입시키고 그 혼합물을 고형화시켜 생성된 괴상 물질을 승인된 매립 장소에 매립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미합중국 특허 제 4,077,901호는 상기 방법의 단접을 지적하고 만족할만한 하나의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즉 비닐에스테르 수지나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된 수지에 폐기물을 캡슐화하는 것이다. 또한 영국 특허 제 1,418,277호에는 모노머와 공중합시킨 수지에 방사성 폐기물을 혼입시켜 고형의 블록을 만드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폐기물의 처리 문제는 상당히 심각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서는 폐기물을 혼입시키는 비용의 상승, 매립지를 확보하는데 따르는 난접 및 방사성 폐기물의 캡슐화를 균일하게 하여 이러한 캡슐화 폐기물의 수송비와 매립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서의 한계점등이다.
본 발명은 비닐에스테르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캡슐화시키는 방법(이때 폐기물은 수지에 분산된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인 다수의 카복실기 또는 이의 유도체를 갖는 탄소쇄를 함유하는 수용성 중합물질물 폐기물-수지 분산액에 혼입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수용성 중합 물질을 첨가하는 목적은 주어진 양의 수지내에 폐기물이 캡슐화되는 양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은 수용성, 액체 또는 미분된 분말 형태이거나 건조한 고체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같은 캡슐화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077,901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액체 열경화성 수지에 폐기물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다. 수용성 중합 물질은 폐기물-수지 분산액이 형성되기전에 폐기물 또는 액체 열경화성 수지에 첨가하거나 또는 폐기물-수지 분산액이 형성되는 동안 또는 후에 여기에 첨가할 수도 있다. 수용성 중합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액체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될수있는 폐기물의 양은 증가되며, 따라서 분산액이 겔화 및 경화될 경우 그러한 수지에 캡슐화되는 폐기물의 양은 증가 된다.
본 발명은 미합중국 특허 제 4,077,901호에 기술된 방법을 개량한 방법이다. 상기 특허에는 고체형 및 수용성 액체 폐기물을 수지와 혼합 분쇄시켜 폐기물-수지 분산물을 만드는 방법이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사용된 수지는 액체 열경화성 수지인데 여기에는 비닐 에스테르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사용할 수 있는 캡슐화 조성물은 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액체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이 수지 조성물은
(1) 불포화 모노카복실산과 폴리에폭사이드 수지를 대략 동량비율로 반응시켜 수득한 비닐 에스테르 수지(이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다음과 같은 결합기 및 이 결합기의 에스테르 말단에 부착된 말단 비닐리덴기
Figure kpo00001
를 함유하고 있다.) 또는 (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또는 (3)이들의 혼합물과 전술한 수지를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촉매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성 폐기물이 포함될때에는, 조성물은 경화시에 발생되는 열이 캡슐화 물질 자체가 파괴되는 온도(예 : 100℃)를 초과하지 않는 열 및 촉매 조건하에 경화시킨다. 비닐에스테르 수지는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3,367,922호 : 3,066,112호 : 3,179,623호 : 3,301,743호 및 3,256,226호 기술되어 있다.
열경화성 수지상은 비닐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내지 70 중량 % 및 공중합성 모노머 60내지 30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모노머는 물에 전혀 불용성일 필요는 없으며 유화된 물에 모노머가 소량 용해되는 것은 유해하지는 않으나, 수지상에서 예에멀죤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불용성이어야 한다.
저합한 모노머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디비닐벤젠과 같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 :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옥틸과 같은 포화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럴산의 에스테르 ; 비닐아세테이트 ; 디알릴말레에이트 ; 디메틸알릴푸마레이트 ; 이들의 혼합물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와 공중합 할 수 있고 물에 불용성인 기타 모든 모노머들이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그룹의 비닐에스테르수지로는 디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변형한 수지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미합중국 특허 제 4,077,901호의 3난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을 분자량 약 2,000이하의 알킬렌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과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비닐 에스테르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077,901호에 기술된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유리라디칼 생성 촉매를 수지와 혼합하고, 폐기물을 균일한 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하에 수지에 분산시킨다. 폐기물이 고체인 경우는, 미세하게 분쇄시켜야 한다.
폐기물이 수용액인 경우는, 수지중의 액체 폐기물에멀죤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에멀죤을 형성할 수 있는 전단 조건하에 액체 폐기물을 액체인 비경화 수지에 가한다. 전단 조건은 넓은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용성 액체 폐기물은 충분히 전단시켜 소형액적크기의 비교적 균일한 에멀죤을 생성시킨다. 분산상이 액체 또는 고체 어느 형태이던지 최소한 수지의 초기 경화에서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저장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비닐 에스테르 수지, 특히 전술한 수지로 만든 분산액은 일반적으로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적당한 안정성을 갖는다. 불포화 폴스리에테르수지로 만든 에멀죤은 때로는 유화제의 첨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유화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의 간단한 실험으로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경화 또는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촉매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t-부틸퍼벤조에이트 또는 과황산 칼륨 등과 같은 퍼옥사이드 및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촉매가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촉매량은 수지상 기준으로 0.1내지 약 5 중량 %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떠한 폐기물에서는 촉매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도 있다.
에멀죤의 경화는 납 또는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디메틸아닐린 또는 N, N-디메틸-p-톨루이딘과 같은 촉진제를 통상 0.1내지 5.0중량 %의 농도로 가하여 실온에서 경화를 개시할 수 있으며, 촉진제를 첨가한 에멀죤은 온도, 촉매량 및 촉진제량에 따라서 3 내지 15분 내에 쉽게 겔화되고 약 1 시간내에 굳은 고체로 경화된다.
수용성 액체 폐기물이 포함될때에는 촉매의 선택, 촉매량, 촉진제의 선택 및 농도의 조건을 캡슐화 물질 자체가 파괴될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발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캡슐화 공정중에 특정의 수용성 중합물질(이하, "첨가제"라 칭함)을 가하면 주어진 양의 수지에 캡슐화 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이 실제적으로 증가하는 사실에 착안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다수의 카복실기 또는 그 유도체를 갖는 탄소쇄를 함유하는 수용성 중합물질이 광범위하게 포함된다. 이들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3,190,868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낮은 산도를 갖는 음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래스트 방법(Rast Method)에 의하여 측정되는 이들 폴리머의 분자량은 500내지 10,000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800내지 ,000의 저분 자량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결과는 탄소수 4 내지 16의 1-올레핀과 다음 일반식을 갖는 화합물과의 수용성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얻어진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각 R은 독립하여 수소, 메틸 또는 에틸기이며, 각 X는 독립하여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암모늄 또는 알카리 금속염이다.
바람직한 1-올레핀은 탄소수 6 내지 10을 함유하는 것이며, 디이소부틸렌이 특히 유효한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에 기술한 무수물의 일반식을 갖는 카복실-함유 화합물 특히, 말레산 무수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의 제조에 바람직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 3,190,868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이소부틸렌과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 합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 2,378,629호에도 또한 기술되어 있다. 대략 같은 비율의 디이소부틸렌과 말레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로서 분자량이 약1,500인 첨가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때 특히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물질은 나트륨염의 형태로서 "TAMOL-731"이라는 상품명 (Rohm and Haas Company제품)으로 시판되고 있고, 암모늄 염의 형태로는 "TAMOL-165"라는 상품명으로 시판중이나, 이는 "TAMOL-731"보다 약간 분자량이 크다. 시판중인 상품명 "DAXAD-31" (W.R. Grace 제품)은 상기 것과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본 발명의 개량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폐기물-수지 분산액을 형성시키기 전에 수용성 중합체 물질 또는 첨가제를 폐기물 또는 수지에 혼입할 수 있다. 실험한 대부분의 폐기물질에서는 수지상에 첨가제를 가할 경우 더 균일한 분산액이 만들어지며 더 우수한 캡슐화가 진행된다. 첨가제는 통상 수지상에 불용 이므로, 수지에 첨가제를 첨가할때 수지중에서의 첨가제의 균일한 분산액이 얻어지도록 충분히 교반해야 한다. 폐기물-수지분산액에 첨가제를 혼입할 때에는 분산액의 두상을 혼합하는 도중 어느 때나 첨가하 거나 또는 한번에 첨가할 수도 있다. 통상으로, 첨가제는 계중에서 완전한 분산액을 이룰 수 있도록 수용액으로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의 최적량과 수지에 대한 수용성 액체 폐기물의 적합한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확인 또는 실험을 하기 위하여는 다음에 설명하는 물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첨가제를 소량씩 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수용성 액체 폐기물과 수지로 이루어진 분산액은 보통 크림상이며, 가하는 폐기물의 양이 분산액에 폐기물을 혼입하는데 있어서 수지의 능력이상으로 초과하면 물분리가 일어나 교반기에 의해 발생된 소용돌이를 따라 소용돌이 치게 된다. 이러한 분리는 나머지 분산액에서와 일치하지 않으며, 때때로 다른 색깔을 나타낸다. 이러한 물분리가 최초로 나타나는 시졈에서 수용성 중합물질을 분산액에 가할 경우 더 교반하면 분리는 없어지며, 폐기물을 분산액에 더 혼입할 수도 있다. 물 분리가 다시 나타나면, 분리가 없어질때까지 첨가제를 더 가한다.
이러한 단계적 공정은 주어진 수지량에 최대량의 폐기물이 캡슐화 될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물 분리를 하는 폐기물 및 수지의 분산액은 통상 표면에 유리된 물이 있는 경화된 캡슐화 생성물을 만들기 때문에 이 물 분리 종말점은 상당히 중요하다. 이러한 생성물은 그대로 매립할 수 없다.
수지상에 미분된 건조 고체를 혼입할 경우, 미분된 고체를 혼합하기 전에 수지에 먼저 참가제를 가하여야 한다. 고체 폐기물로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종말점은 수지중의 고체 분산액이 더 교반하여도 분산액을 더 이룰 수 없는 정도로 교반기를 따라서 이동하는 점이다.
폐기물-수지분산액에 수용성 중합물질의 첨가가 수지를 효과적으로 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촉매 또는 촉직제 의양에 역효과를 미치거나 또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쉽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정도를 넘은 경화중에 생성된 발열온도에 역효과를 주지 않아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수용성 폐기물의 캡슐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의 양은 건조중량 기준으로, 수지중량에 대하여 0.06내지 8.0중량 %의 범위이며, 0.2-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고체폐폐기물은 일반적으로 보다 다소 적은 양의 첨가제를 필요로 하는데, 수지중량 기준으로 0.06내지 1.5중량 %, 바람직하기는 0.1내지 0.8중량 %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 실시예와 함께 비교 실시예로 대조하여 설명하였으며, 여기에서 모든 부와 %는 별다른 지시가 없는 한 중량이고, 여기에서 :
(1) 수지 A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32.6부를 비스페놀 A 8.7부와 반응시키고, 다음에 말레산 무수물 1.2부를 메타아크릴산 7.5부와 반응시켜서 얻어진 수지를 스틸렌 50부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유체 열경화성 수지이다.
(2) 수지 B는 상품명 "Selectron SR-3704" (PPG Ind. Inc.,제품)인 유체 열경화성 수지이다.
(3) 촉매는 상품명 "Cadox 40E" (Noury Chemical Corp.의 제품)인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에 유화시킨 40%벤조일퍼옥사이드이다.
(4) 촉진제는 N, N-디메텁-p-톨루이딘이다.
(5) 첨가제는 상품명 "Tamol-731)R("의 25% 수용액이다.
[비교실시예 A 및 B]
다음 비율의 고체를 물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의 폐기물 슬러리를 제조한다.
Figure kpo00003
다음 조성분을 사용하여 고화하였으며, 비교 실시예 A와 B에서는 첨가한 폐기물 슬러리의 양만을 달리하였다.
Figure kpo00004
비교실시예A에서는 수지A에 촉매를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교반한 다음 이어서 슬러리를 급속히 교반하면서 혼합물에 가하여 교반된 혼합물의 중앙에 소용돌이를 유지시킨다. 슬러리를 처음에 가하면 백색의 유-중-수 에멀죤이 생성되는데, 이것은 슬러리를 가함에 따라 점도가 증가한다. 슬러리 69.5g을 가한 후, 에멀죤에 액체(물)분리가 관찰되었다. 슬러리의 첨가를 중단하고 촉진제를 가한다.
촉진제를 가함에 따라서, 약 6.5분내에 에멀죤이 겔화하고 약 1 시간 이내에 90℃의 최고 온도에 도달되면 백색의 굳은 블록이 생성된다. 블록을 용기에서 꺼낸 결과 약 5㎖의 유리 액체가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B에서는, 에멀죤에 물분리가 관찰된 후에도 슬러리를 계속 가하면, 결국은 에멀죤 반전이 일어나 물과 같이 점도가 아주 낮아지는데, 이때에 촉진제를 가한다. 비교실시예B는 현저하게 두상으로 분리된다. 즉 하부는 오일 또는 수지층이고 상부는 물층이다. 약 24분 후에 수지상은 겔화가되며 더운 촉감이 느껴지고, 고체 블록은 얻어지지 않는다. 24시간후 상부에서 유리수가 관찰되었으며 하부층은 약간 겔상태이었다.
[실시예 1,2 및 3]
비교실시예 A 및 B의 모의 폐기물 슬러리를 사용하여 다음 첨가제를 혼입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1 은 물분리가 형성될때까지 폐기물을 가한후, 에멀죤에 2.0㎖씩 첨가제를 가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첨가제의 첨가는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61,84 및 122g을 가한 후에 행한다. 슬러리를 완전히 가한후, 촉진제를 가하고 에멀죤을 1내지 1.5분동안 교반한다. 에멀죤은 3.25분 이내에 겔화하고, 1시간 이내에 최고 온도에 도달한다. 육안으로 보아 유리 액체가 없는 백색의 굳은 고체블록이 수득된다.
실시예2에서는, 첨가제를 한번에 수지A/ 촉매 혼합물에 가하는데, 이 실험조건만이 실시예 1과 다르다. 폐기물 슬러리를 가하면 실시예에서와 같은 점조성 에멀죤이 얻어진다. 연이어서 촉진제를 가하고, 에멀죤을 1내지 1.5분간 교반한다. 에멀죤은 4.5분 이내에 겔화하고, 1시간 이내에 61.5℃의 최고온도에 도달한다. 육안으로 관찰할 때, 유리 액체가 없는 백색의 굳은 고체가 수득된다.
실시예 3에서는, 폐기물 슬러리에 총 10.0㎖의 첨가제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지 A/촉매 혼합물에 가하면,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은 백색의 점조성 에멀죤이 수득된다. 연이어서 촉진제를 가하고 1 내지 1.5분동안 에멀죤을 교반한다. 에멀죤은 4.0분 이내에 겔화하고 1시간이내에 63℃의 최고 온도에 도달한다. 육안으로 관찰할 때, 유리액체가 없는 백색의 굳은 고체가 수득된다.
[비교실시예 C 및 실시예 4]
나트륨 설페이트 및 회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모의건조 고체 폐기물(Aerijet Energy Conversion Co.제품)을 이들 실험에서 사용한다. 비교실시에(첨가제 없음)와 실시예 4 (첨가제 있음)에서는 다음의 조성분을 사용한다.
Figure kpo00006
상기물질을 상기에 기술한 순서로 혼합하는데 혼합은 공기 교반기를 이용한 고속으로 수행한다.
비교실시예 C는 대단히 점조성이 높은 혼합물을 형성하여, 잔여 폐기물 30내지 35g 및 촉진제를 가하기가 어려웠다. 혼합물은 6.5이내에 겔화하고, 1시간이내에 바위같이 단단해졌다. 그러나, 용기로부터 꺼내었을때 공극 또는 구멍이 존재한 바, 이것은 에멀죤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적절한 유동성을 가질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는 비교실시예C를 반복하는데, 단 지시된대로 수지 A/촉매 혼합물에 첨가제를 가한다. 접도는 비교적 높으나, 혼합하기 위해 폐기물이나 또는 촉진제를 가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이 따르지는 않는다. 얻어진 혼합물은 5분 이내에 겔화하고, 1시간 이내에 바위와 같이 단단해진다. 용기로부터 제거할때 폐기물은 블록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이 나타났으며 육안으로 관찰할때 공극 형성이 없다. 첨가제를 가함으로써 혼합물에 첨가할 건조 고체의 양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고화된 생성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비교실시예 D 및 실시예 5]
이들 실험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사용한다. 사용된 폐기물은 분말화 음이온/양이온 이온 교환수지 슬러리의 1.0/1.0 혼합물(중량)이다. 슬러리는 분말화 이온교환수지 약 30(중량)%이고 나머지는 물을 함유한다. 다음 조성분을 사용한다.
Figure kpo00007
첨가제 없이 제조한 비교실시예 D에서는 처음에 부드러운 갈색의 에밀죤이 생성된다. 그러나, 폐기물 슬러리를 가하면 에멀죤에 물분리가 나타난다.
실시예 5에서는 물분리가 나타난 후의 비교 실시예 D의 에멀죤에 추가분의 폐기물 슬러리를 가하고 첨가제를 도입한다. 부드러운 담갈색의 에멀죤이 수득되는데, 이것은 이용 불가능한 비교 실시예 D의 생성물에 대한 첨가제의 유익한 효과를 입증한 것이다.
[비교실시예 E 및 실시예 6]
이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는 비교실시예 D 및 실시예 5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분말 이온교환수지 슬러리와 다음 조성분을 사용한다.
Figure kpo00008
비교실시예 E는 첨가제 없이 제조한 것인데, 최초 폐기물을 가할때 부드러운 갈색에멀죤이 얻어지는데, 그러나 혼합물에 폐기물50g을 전부 가하면 물분리가 나타난다.
실시예 6은 비교실시예 E의 만족스럽지 못한 에멀죤에 첨가제 1.0㎖와 추가분의 폐기물 슬러리를 가하여 제조한다. 첨가제를 가함으로써 물분리가 소실되며, 부드러운 갈색의 에멀죤이 생성되는데, 이것은 폐기물 슬러리를 더 가함에 따라 접도가 증가한다.
[비교실시예 F 및 실시예 7]
이 실험에서 캡슐화한 폐기물은 다음 혼합성분으로 이루어진 모의 방사성 폐기물이다.
Figure kpo00009
사용된 조성분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0
첨가제 없이 제조한 비교실시예F 에서는 처음에 부드러운 백색의 에멀죤이 생성되는데, 조성물에 폐기물 35㎖을 가하면 물분리가 나타난다.
실시예7 은 물분리가 나타난 후의 비교실시예F의 에멀죤에 첨가제 5.0㎖와 추가분의 폐기물 슬러리를 가하여 제조한다. 부드러운 백색의 에멀죤이 생성되며 이것은 에멀죤에 폐기물 전량을 가하면 접도가 증가한다. 최종 생성물에서 물분리는 나타나지 않는다.
[실시예 8]
실제 방사성 폐기물을 사용한 이 실험은 실시예5의 모의 폐기물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방사성 폐기물은 다음 조성분을 사용하여 캡슐화한다.
Figure kpo00011
폐기물을 상기 순서로 물질을 혼합하여 캡슐화시킨다. 우수한 백색에멀죤이 얻어지는데, 이것은 10분이내에 겔화되고 1시간이내에 굳은 백색 블록을 형성한다. 최종생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할때 유리수가 나타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증된 바와 같이 주어진 수지량에 혼입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실제로 보다 적은량의 수지만이 필요하므로 캡슐화, 공정의 비용이 절감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요인인 매립 면적의 양을 감소시킨다. 폐기물질의 캡슐화의 균일성은 방사성 핫 스포츠(radioactive hot spots : 방사성이 평균치보다 높은 부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생성물의 운송과 매립경비가 절감되며(운송과 매립비용은 생성물의 어느 부위에서의 최대 방사성에 의해 상승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생성물은 승인된 매립지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도 더욱 안전하다.

Claims (1)

  1. 탄소수 4 내지 16의 1-올레핀과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인 수용성 중합 물질을, 주어진 양의 수지에 캡슐화되는 폐기물의 양이 증가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폐기물-수지 분산액에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비닐 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의 혼합물에 폐기물을 캡슐화(여기에서 폐기물은 수지에 분산됨)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상기 일반식에서
    각 R은 독립하여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각 X는 독립하여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암모늄 또는 알카리 금속염이다.
KR1019810002396A 1980-06-30 1981-07-01 폐기물 캡슐화 개량방법 KR840000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424 1980-06-30
US06/164,424 US4400313A (en) 1980-06-30 1980-06-30 Process for waste encaps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913A KR830005913A (ko) 1983-09-14
KR840000171B1 true KR840000171B1 (ko) 1984-02-27

Family

ID=2259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96A KR840000171B1 (ko) 1980-06-30 1981-07-01 폐기물 캡슐화 개량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00313A (ko)
EP (1) EP0044960B1 (ko)
JP (1) JPS5742900A (ko)
KR (1) KR840000171B1 (ko)
CA (1) CA1165918A (ko)
DE (1) DE3170394D1 (ko)
ES (1) ES503494A0 (ko)
IN (1) IN156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211A (en) * 1982-05-10 1984-07-1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waste encapsulation
US4459212A (en) * 1982-05-10 1984-07-1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waste encapsulation
JPH066177B2 (ja) * 1987-01-13 1994-01-26 大豊産業株式会社 産業廃棄物を利用した液状有機ハロゲン化物の固定化処理剤、同固定化処理方法及び同燃焼処理方法
US5747615A (en) * 1988-04-29 1998-05-05 Cytec Technology Corp. Slurry-mixed heat-curable resin systems having superior tack and drape
US4975224A (en) * 1989-03-13 1990-12-04 Pringle Thomas G Process for encapsulation of oily liquid waste materials
US4931192A (en) * 1989-03-22 1990-06-05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Method for the disposal of hazardous non-polar organic wastes
US5434334A (en) * 1992-11-27 1995-07-18 Monolith Technology Incorporated Process for treating an aqueous waste solution
US5666878A (en) * 1994-08-26 1997-09-16 Dover Corporation Waste disposal system which includes a vessel with an outer cooling jacket
US5569811A (en) * 1994-10-06 1996-10-29 Dean; Miles W. Method for isolating, immobilizing and rendering waste non-leachable
US20050230267A1 (en) * 2003-07-10 2005-10-20 Veatch Bradley D Electro-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surfaces
US8067660B2 (en) * 2007-06-08 2011-1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restraining a chemical dischar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8629A (en) * 1941-09-10 1945-06-19 Du Pont Copolymers of maleic anhydride
DE1072810B (de) * 1955-12-05 1960-01-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ilmington, Del. (V. St. A.) Verfahren zur Polymerisation oder Mischpolymerisation von perfluorierten olefinisch ungesättigten Verbindungen, besonders von Tetrafluoräthylen
US3179623A (en) * 1959-01-30 1965-04-20 Rafael L Bowen Method of preparing a monomer having phenoxy and methacrylate groups linked by hydroxy glyceryl groups
US3190868A (en) * 1960-03-31 1965-06-22 Phillips Petroleum Co Recovery of polymer from solution
US3301743A (en) * 1963-06-12 1967-01-31 Robertson Co H H Polyhydroxy polyacrylate esters of epoxidized phenol-formaldehyde novolac resins and laminates therefrom
US3367992A (en) * 1964-06-05 1968-02-06 Dow Chemical Co 2-hydroxyalkyl acrylate and methacrylate dicarboxylic acid partial esters and the oxyalkylated derivatives thereof
US3256226A (en) * 1965-03-01 1966-06-14 Robertson Co H H Hydroxy polyether polyesters having terminal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s
GB1109656A (en) * 1965-06-28 1968-04-10 Du Pont Water based enamel formulations and their preparation
US3723338A (en) * 1971-04-28 1973-03-27 Atomic Energy Commission Method of reducing the release of mobile contaminants from granular solids
BE814594R (fr) 1973-05-17 1974-09-02 Procede de conditionnement de dechets radioactifs
US4131563A (en) * 1973-12-20 1978-12-26 Steag Kernenergie G.M.B.H. Process of preparing substantially solid waste containing radioactive or toxic substances for safe, non-pollutive handling, transportation and permanent storage
US4077901A (en) * 1975-10-03 1978-03-07 Arnold John L Encapsulation of nuclear wastes
US4097449A (en) * 1977-03-04 1978-06-27 Gulf Oil Corporation Handleable, thermosettable epoxide-polyanhydrid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65918A (en) 1984-04-17
EP0044960A1 (en) 1982-02-03
DE3170394D1 (en) 1985-06-13
IN156103B (ko) 1985-05-11
KR830005913A (ko) 1983-09-14
ES8303798A1 (es) 1983-02-01
JPS5742900A (en) 1982-03-10
ES503494A0 (es) 1983-02-01
EP0044960B1 (en) 1985-05-08
US4400313A (en) 198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1446A (en) Encapsulation of nuclear wastes
KR840000171B1 (ko) 폐기물 캡슐화 개량방법
DE1495329C3 (de) Mit Wasser härtbare Zement/Harz-Masse
EP0094008B1 (en) A process of encapsulating aqueous liquid wastes in liquid thermosettable resins
US4382026A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radioactive organic liquids in a resin
ES343455A1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nuevos materiales es- pumados con propiedades mejoradas.
US4405512A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radioactive organic liquids in a resin
WO1980000047A1 (en) Encapsulating wastes
EP0094009B1 (en) A process of encapsulating aqueous liquid wastes in liquid thermosettable resins
US4530783A (en) Composition of matter suitable for solidifying radioactive wastes, products based on said composition wherein radioactive wastes are solidified and process for obtaining said products
US5362771A (en) Process for inclusion in (meth)acrylic resins of substances of liquid to solid consistency
GB2101797A (en)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ion-exchange resins
EP0223592A3 (en) Polymer containing concrete and concrete-like compositions
DE1669751A1 (de) Mit Wasser abbindbare Praeparate
JPH0631842B2 (ja) 放射性廃液の乾燥処理方法
US3799903A (en) Process for making macrospherical thermoset resin particles and product thereof
JPH02102201A (ja) α,β―エチレン性不飽和モノマー用開始剤系
AT277039B (de) Mit Wasser abbindende Misch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EP0356253B1 (en) Polymerization process for methyl methacrylate with improved activator system
GB2054541A (en) Coated limestone filler for resin systems
US4451594A (en) Film former emulsification
KR870000465B1 (ko) 저노동의 방사성 액상 수-불용성 유기 폐기물을 경화성 액체 수지내에 캡슐화시키는 방법
CA1205993A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radioactive organic liquids in a resin
EP0123705A1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low level radioactive liquid waterinsoluble organic wastes in a curable liquid resin
DE196239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 enthaltenden haertbaren Zubereit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