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139B1 -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139B1
KR840000139B1 KR1019800000283A KR800000283A KR840000139B1 KR 840000139 B1 KR840000139 B1 KR 840000139B1 KR 1019800000283 A KR1019800000283 A KR 1019800000283A KR 800000283 A KR800000283 A KR 800000283A KR 840000139 B1 KR840000139 B1 KR 84000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er tank
immersion filter
pi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18A (ko
Inventor
다이고로오 시바야마
Original Assignee
야마도 세쓰비 고오지 가부시기 가이샤
시바야마 다이 고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도 세쓰비 고오지 가부시기 가이샤, 시바야마 다이 고로오 filed Critical 야마도 세쓰비 고오지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139B1/ko
Publication of KR83000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정화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침전분리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침지 여상조(浸漬濾床槽)의 종단면도.
일반적으로 하천, 호수, 해수등이 오염되는 원인은 공장, 가정, 식당, 집합장소등으로 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물 때문인 것이다.
오니(汚泥)중에서 생존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이러한 오염된 물을 깨끗한 물로 정화하는 정화처리장치는 종래에도 사용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오수처리장치에는 1차처리와, 2차처리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1차 처리로하여서 침전분리조를 사용하고, 무겁고 비교적 큰 오물이나 티끌, 먼지등을 침전시키고, 상부에 청정된 액을 다시 깨끗한 물로 하기 위하여 2차 처리로서 침지여상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2차 처리장치가 중요한 부분으로서, 이것의 기능우열로 처리능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2차 처리장치를 연구하여 충분히 검토하여서 다음과 같이 독특한 침지여과조에 의한 오염액의 정화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침지여과조는 여과를 구성하는 유판(流板)의 재료로써 비닐, 플라스틱 특히, 염화비닐 혹은 석면, 시멘트 등으로 만들어진 사각형판을 사용하여 어떠한 간격을 두고서 여러장을 수평으로서 평행하게 겹쳐 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구에 의하면 유판의 재질은 생물의 번식이나 작용에는 어떠한 관계도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 유판의 양쪽과 한끝이 침지여상조의 벽과 밀착하고 있어서, 다른끝은 대향하는 침지여상조의 벽과의 사이에 수 cm의 간극이 있고, 다음에 위치하는 유판과 침지여상벽과의 간극은 전기한 유판에 반대방향으로 붙여서 간극은 서로 반대쪽으로 된다. 그리하여 유판을 서로 반대로 설치함에 따라서 간극도 서로 반대 위치로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의 유판위로 부터 오염된 물을 흘려보내면 한쪽의 간극으로 부터 아래쪽의 유판위로 낙하되어서 오염된 물은 두번째의 유판위를 전기한 첫번째의 유판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며, 다른쪽의 벽과의 간극에서 부터 세번째로 유판위로 낙하된다. 차례로 이와 같이 각각의 유판위를 왔다갔다하는 상태로 흘러서 바닥부에 도달한다.
실제로는 오염된 물이 침지여상조의 안에 충만되어 있으므로 그 조내에는 에어리프트(air lift)펌프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로인하여 바닥부로부터 최상부로 오염된물을 흡수하여 끌어 올리며, 전기와 같이 유통시켜서 여러개의 유판사이를 순환시킨다. 그리고 오니중에 생존하고 있는 미생물의 작용은 전기한 장치에 있어서 에어리프트 펌프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며 공기거품의 교란에 따라 공기중의 요소가 오염된 물중에 혼입되어 뒤섞여서 녹아들어가면 공존해 있는 호기(好氣)성균이 흡수하여 증식이 촉진되어 생물이 유판에 부착하여 생물막을 만든다.
생물은 오염된 물중의 물질을 흡착섭취하여서 다시 번식하여 대단한 정화작용을 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오염된 물은 급속히 정화되어서 깨끗한물로 변한다. 상(床)을 구성하는 유판이 판모양으로 된것은 표면을 크게하여서 가급적 많은 생물막을 발생시켜서 처리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침여상조안의 유판을 수평으로 또 평행으로 설치한 이유는 생물막을 안정하게 하여서 성장시킴과 동시에 난류(亂流)로 되어오는 오염된 물이 판위의 생물막과 여러번 접촉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 위에서부터 밑으로 또 밑에서 위로 순환되는 사이에 끊임없이 접촉된다. 또한 흐르는 사이에 중력으로 인한 침전작용도 이용하여 생물막의 흡착을 왕성하게 하여서 처리효과를 높인다. 이와 같은 결과로서 S. S(부유물질량)나 오염된 액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S. O. 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C. O. D(화학적 산소 요구량)두가지가 극히 적은 대단히 우수한 처리능력을 발휘한다.
오니(汚泥)가 적은 것은 유판위에 부착된 생물막중의 특수한 균이 생물막을 섭취물로 하여 생활하여 생물막의 증식에 균형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고, S. S가 적은 것은 생물막의 흡착성이 좋으며 미생물의 S. S를 잘 포식하기 때문이다. 현미경으로 생물막을 경사할 것 같으면 호기성균의 대표적인 버티셀라(Vorticella)나 오페트크라리아(opercularia)가 다량으로 번식해 있는 것을 잘 알수 있다. 또 생물막(균)을 먹는 대표적인 균으로서 피리디나(philodina)이나 포드프리아(podophrya)로 공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미로서 생물의 능력이 높으므로 유판의 면적을 넓히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처리 능력을 올릴수 있고 방류수의 B. O. D를 10PPM이하로 하는 것도 용이하다. 대규모의 처리에는 이 장치를 확대할 것 같으면 어떤 것도 응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정화장치의 평면도로써, 오염된 물은 도관(1)에서 침전분리조(2)로 유입되고, 그 분리조(2)안의 상부액은 이류관(移流管) (3)에서 침지여상조(5)로 흘러서 그 침지여상조(5)안에서 정화되며 정화액은 배수관(6)에서 소독조(7)를 거쳐서 배수관(8)으로 방류된다. 제2도는 침전분리조(2)의 종단면도로서 오염된물(a)은 도관(1)에서 침전분리조(2)안에 설치된 낙하관(9)의 아래쪽구멍(10)으로 부터 밑변(12)을 벽면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한 차단판(11)에 의해서 침전분리조(2)안으로 조용히 유입되어 저류되도록 한다.
이렇게 저류할시에 예를들면 좀더, 주방에 쓰레기와 같은 부스러기 등의 비교적 무겁고 큰 것은 바닥에 침전되어 침전물(b)로 된다. 침전물(b)의 바닥부에는 산소의 공급이 없으므로 염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따라 조금씩 분해되어 오니화된다.
낙하관(9)의 아래쪽구멍(10)과 차단판(11)은 유입된 물에 의해서 침전분리조(2)의 바닥부에 침전된 침전물(b)의 순회되지 않고 조용히 유입될 수 있도록 조립하였고, 그 침전분리조(2)에 지류된 오염된 물은 상부의 이류관(3)의 높이까지 충만된다. 도관(1)으로 부터 오염된 물이 유입되면 전기한 무거운 물질등이 침전 분리되어서 오염된물(c)는 침전분리조(2)안의 상부에 설치된 구획판(13)(14)의 사이에서 이류관(3)을 통하여 인접 설치된 침지 여상조(5)로 유입된다.
전기한 침전분리조(2)의 윗덮개(18)에는 절결구(15)(16) 및 배기구(17)가 설치되어, 가끔 점검구(15)(16)에서 오염된 물을 펌프등으로 빼내어서 소제한다. 전기한 구획판(13)(14)은 방지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즉 침전물(b)이 분해 도중에 발생하는 개스와 뒤섞여서 가벼워져서 부상하여 이류관(3)을 통하여 다음의 침지여상조(5)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부의 오염된 물(c)와 같이 흘러온 물체로서 무거운 물체를 다시 침전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서 분리의 역활을 하는 것이다. 침전물(b)이 분해중에 발생하는 개스와 같이 가벼워져서 부상된 물체는 수면에 부유물로 되어서 떠 있는다.
부유물을 표면에 떠서 층을 이룰때도 있지만, 점검구(15)(16)에 봉을 넣어서 파괴시키면 침전된다. 배기구(17)는 윗덮개(18)와 침전분리조와의 간격으로 들어가는 공기나 냄새를 외부로 배출한다. 전기한 침전분리조(2)에서 이류관(3)을 통과하는 오염된 물(c)는 제3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직접 입구(21)에서 침지여상조(5)의 상부로 유입된다.
침지여상조(5)의 하부에는 배출구(24)를 설치하여 외부 배수관(6)을 통해서 방류한다. 또 침지여상조(5)의 측부에는 하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흡양(吸楊) 관(22)을 설치하고 이 관내에 압착공기관(23)을 삽입해서 에어리프트 펌프를 작동하여 침지여상조(5)안의 하부의 오염액(d)을 상부로 반송한다.
전기한 바와 같은 침지여상조(5)안에는 두께 약 3mm의 4각형 유관(25)(25)을 어느정도의 간격(e)을 두고 서로 어긋나게 부착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미리 2개의 침지여상조(5)의 벽판(27)(28)에 수평상태로 병렬한 여러개의 유판(25)(25)을 직각으로 고정하고, 그 벽판(27)(28)을 전기한 유판(25)(25)이 서로 개임하도록 평행으로 대향시키며 각 벽판(27)(28)의 둘레가장자리에 피복판(33)을 둘러싸서 고정하여 밀폐된 상자형태의 침지여상조(5)로 한다.
전기한 것과 같이 유판(25)(25)은 서로 조립되어 그 간격(e)은 조안에 가득찬 오염액이 흐르기 쉽게 3-10cm로 하며 또한 각 유판의 한끝은 상대하는 조벽판과의 사이에서 유통부(f)의 간격 4-8cm가 있다.
여기서 이류관(3)의 입구(21)에서 침지여상조(5)안에 오염된 물(c)가 유입되면 유판(25)면에 분해 낙하되어 평면위로 확산되어 흐르며 공기와 접촉한다. 유통부(f)를 지나서 그다음 유판면으로 흘러떨어지고 차례로 유판(25')(25)…하단까지의 간격(e)을 지그재그 모양으로 흐르면서 낙하된다.
바닥부(31)에 흘러떨어진 오염액(d)은 흡양관(22)을 통해서 에어리프트 펌프의 작용에 의해 상부로 압상되어 그 오염액(d)은 최상부의 유판(25)위로 흘러떨어지는 전기한 오염된물(c)와 합류된다. 합류된 오염액은 전기한 바와 같이 유판(25)(25')의 간격(e)을 계속하여 흘러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바닥부(31)로 통하는 배출구(24)로 접속하는 외부배수관(6)의 높이를 유판(25)보다 약간 높게 해 놓으면 침지여상조(5)안에 충만해 있는 수위(水位)는 그 유판 보다도 높은 위치로 보존되면서 순환한다.
따라서 배수관(6)의 높이를 최상부의 유판(25')의 높이보다 높게하며 이류관(3)의 위치보다 조금 낮춰 놓으면 순환작용이 순조롭니다. 이류관(3)에서 침지여상조(5)로 유입되는 양 만큼의 오염액(d)은 정화된 액으로되어 배출구(24), 배수구(6)을 통하여 외부로 방류된다. 즉, 침지여상조중에 오염액(d)이 가득차서 상하로 순환되면서 흐를때 그 유판(25)(25')에 정착된 생물막의 작용으로 오염된 물의 유기물은 분해되어 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와 같이 하여 실시하지만, 계절, 요일, 시간등에 따라 주방등의 오염된물, 잡배수(雜排水) 수세식 변소의 오염된 물등의 량은 변화되며, 그리고 병합처리되는 것이므로 여러가지의 오수가 혼합된 혼액의 질도 다를 경우가 있음을 려고하여 유량조정 장치를 설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기한 제1도의 침전분리조(2)와 침지여상조(5)를 연결하는 이류관(3)에 유량계를 가진 유량조절조(4)를 부착설치하여서 언제나 평균유량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침전분리조(2)와 침지여상조(5)를 별개로하여 조합되어 있지만 하나의 조를 내벽에서 2실로 분할하여 1실을 분리조로하고 다른실을 여상조로 하여서 연통시키는 구성장치 혹은 전기한 침지여상조의 상부에서 침지분리조를 재치하고 양조가 통하도록한 구성장치의 설계도 가능하며 오염된 물을 걸트는 구성장치는 설치장소가 좋아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서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는 것으로서 실시예 대한 실질적인 이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표면적이 큰 유판, 판상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처리장치가 소형화되고 설치장소가 작은 범위이다.
2) 유판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생물막이 안정되고 활발하게 번식하여서 탈락함이 없다.
3) S. S가 적어서 오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종래의 처리 시설로서는 다량으로 발생하는 오니의 처분이 곤란하여 처리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4) 외기 혹은 수온의 변화에 영향이 미치는 것이 거의 없다.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외기가 0℃수온이 4-5℃의 등 한기에서도 처리능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았다.
5) 유리관리면에서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경비도 적게할 수 있으며 펀닝코스트도 다른 처리방법보다 비교적 적다.
6) 처리능력이 종래의 것에 비해서 우수하다.
7) 가정, 소집회장에서 사용하는 소규모의 오염된물의 처리에도 적합하다.

Claims (1)

  1. 생활계 잡배수(雜排水)와 오줌과 같은 배설물을 혼합한 합병 오염액의 도관(1)을 침전분리조(2)의 상부에 설치하고, 그 침전분리조 내에는 전기한 도관에 직각으로 낙하관(9)을 부착하며, 그 낙하관의 아래쪽구멍(10)에는 차단판(11)을 간격을 두고서 피복하고, 상부에는 전기한 분리조내에 고정한 구획판(13)(14)에 의해서 출구가 둘러 쌓여진 이류관(3)을 설치하며, 그 이류관은 유량조절조(4)에 연통하고, 그 유량조절조로 부터 별도로 이루어진 이류관을 인접한 침지여상조(5)의 상부로 도입하며, 그 침지여상조내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벽판(27)(28)에 다수개의 유판(25)(25')을 수평상으로 병렬로 배치하여, 그 유판이 상. 하로 간격(e)을 보유하도록 하며, 대향되는 벽판(27)(28)의 내측면에 대하여서 서로 어긋나게 유통부(f)를 형성하도록 설치하고, 전기한 침지여상조(5)의 측부에는 그 조(槽)내의 저부와 하부를 연통하며, 내쪽에는 압착공기관(23)을 삽입한 흡양관(22)을 설치하며, 전기한 침지여상조의 저부내의 하부에는 배수관(6)을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KR1019800000283A 1980-01-26 1980-01-26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KR84000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283A KR840000139B1 (ko) 1980-01-26 1980-01-26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283A KR840000139B1 (ko) 1980-01-26 1980-01-26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18A KR830001818A (ko) 1983-05-19
KR840000139B1 true KR840000139B1 (ko) 1984-02-20

Family

ID=1921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283A KR840000139B1 (ko) 1980-01-26 1980-01-26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1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18A (ko) 198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523A (en) Miscellaneous drain water purifying method and miscellaneous drain water pruifying device
US4303528A (en) Purification treatment of a liquid waste
RU213925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ысоко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KR20130019164A (ko)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KR840000139B1 (ko) 오염액의 합병처리 정화장치
RU236762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аморегулирующийся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0185279A (ja) 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GB2073165A (en) Submerged Filter Bed for Treating Liquid Waste
RU92657U1 (ru) Блок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H05285485A (ja) 汚水処理装置
RU178554U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ков
JP4454825B2 (ja) 汚水浄化槽及び汚水浄化方法
RU2133227C1 (ru) Компактная установка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осадка
KR20000072403A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RU2304083C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RU2057085C1 (ru) Компакт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SU13700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392893B1 (ko) 하천 수질 정화 장치
KR100435116B1 (ko) 이동식 생활하수의 정화장치
KR950011768B1 (ko) 혐기, 호기접촉순환법에 의한 오수정화시설 및 그 처리방법
SU94708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UA122185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очищення стічних вод
RU20511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жидкости
KR200301825Y1 (ko) 하천정화장치
JPS588399Y2 (ja) 汚水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