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813B1 - 장식 재료 - Google Patents

장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813B1
KR830002813B1 KR1019800000189A KR800000189A KR830002813B1 KR 830002813 B1 KR830002813 B1 KR 830002813B1 KR 1019800000189 A KR1019800000189 A KR 1019800000189A KR 800000189 A KR800000189 A KR 800000189A KR 830002813 B1 KR830002813 B1 KR 83000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backing material
mesh
adhesive
b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774A (ko
Inventor
풸 마틴
Original Assignee
데. 슈바로브스키 운트 콤파니
다니엘 슈바로브스키, 로버트프레이
로버트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슈바로브스키 운트 콤파니, 다니엘 슈바로브스키, 로버트프레이, 로버트프레이 filed Critical 데. 슈바로브스키 운트 콤파니
Priority to KR101980000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813B1/ko
Publication of KR83000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 재료
제1도는 장식재료의 평면도.
제2도는 장식 재료의 측면도.
제3도는 장식 재료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제4도는 장식재료의 부착 가공 공정을 도시한 도해도.
본 발명은 장식재료에 관한 것이다. 장식재료는 복수개의 분리된 장식요소가 지지부재 또는 이면부재상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장식재료는 옷 가방, 벨트 및 신등을 장식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많은 장식재료의 경우에는 그 사용 및 제조에 있어서 많은 단점이 있었다.
오스트리아 연방공화국 특허 공보 제260,591호에는, 인조다이어몬드류용 설치부(mountings)를 형성한 조형적인 열가소성 플라스틱 몸체와, 플라스틱 몸체를 그위에 지지하기 위한 한핀의 직물로 구성되는 장식재료가 도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몸체는 플라스틱 웨브(web)에 의하여 상호연결되고 뒤쪽으로 돌출부를 갖고 있어서 직물을 관통한 후에 뛰에서 리베트와 유사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장식요소의 제조는 값이 비싸고 사용시에 설치부와 플라스틱 웨브는 전체 형상을 해치게 된다.
독일 연방공화국 특허 제2,452,250호에서는 보석류를 점점이 박은 요소들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석류가 점점이 박힌 요소들은 용융 접착성 박막이 간격을 두고 배치될 경우 각 보석류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직물에 사용하기 어렵고 직물의 좋은 미관을 해치게 된다.
끝으로 독일공개 특허 공보 제2,451,633호에는 평면 구조의 장식물의 복수층상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각 장식 요소는 한 측면에 용융 접착성 피막을 갖고 다른 측면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이면재료에 접착에 의해 부착시키도록 되어있다. 각 장식 요소를 활성 용융 접착제에 의하여 필요한 기저부층에 부착한 후에 이면재료를 제거한다.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은 이면재료로서 사용되고 접착제가 활성화될 온도에서 열적으로 안정되어야만 할 접착성 플라스틱박막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은 수를 놓은 직물에 사용할 때 이면재료를 제거하므로써 자수에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제품에 장식하기에 적합하고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갖는 동시에 비싼 이면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 및 사용이 손쉬운 장식재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일정한 형태로 평면의 이면 재료 상에 배열되고 용융 접착제 피막을 마련하고 있는 장식요소로 구성되는 장식 재료에 있어서 상기이면 재료가 이면 재료 쪽에 면한 융융 접착제 피막에 의해 장식요소가 배열되어 있는 얇고 그물눈이 넓은 그물로 구성되고 융융 접착제 피막이 이면 재료의 그물눈을 통하여 관통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일정한 형태로 평면의 이면재료에 배열된 장식요소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식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장식 요소가 융해 접착성 피막을 갖도록 마련하고 상기 장식요소를 보조 이면재료상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한 후에 얇고 그물눈이 넓은 그물로 구성된 이면 재료를 융융 접착제가 활성화되는 온도에서 보조 이면재료에 배열된 장식요소와 접촉시키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식요소의 특징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비싼 이면재료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다. 그 제조는 매우 쉽고 경제적이다. 또한 장식 재료는 매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장식재료는 부착된 제품상에 놓인 연후에 열을 공급하므로써 용융 접착성 피막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의해 결합된다. 이면재료로서 사용되는 그물눈이 넓은 망사는 또한 장식재료를 한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배열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부착하기 전에 적은 스틱으로써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망사와 같은 이면재료를 사용하므로써 직물에 장식요소를 재봉할 수 있으며, 이는 후에 제거하기 손쉬워진다. 특히 이면재료의 박막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어떠한 자수 같은 것에 손상을 입히는 일이 없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재료용 요소는 모조보석으로 불리우는 매우 적은 유리조각일 수 있으며, 디스크 및 리베트 그리고 금속 및 플라스틱의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장식 요소와 이를 부착하는 제품 사이의 사이의 좋은 접착력을 갖는 공지의 용융 착체는 용융접착성 피막으로써 적당하다. 이러한 접착제의 예를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아세트,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이소사이어네트, 아미노플라스트 등이 있다.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계 용융접착제가 특히 양호하다.
이면재료는 얇고 그물눈이 넓은 망사로 구성된다. 이러한 망사는 직조직물이나 편직직물과 같은 것이다. 특히 명주망사나 캔버스(canvas)같은 구조가 적당하다. 이면재료는 직물,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망사는 특히 좋다. 망사의 구물눈은 각 장식 요소가 망사를 통과되지 않도록 장식요소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한편 가능하다면 용융 접착제가 쉽게 통화할 수 있고 적어도 적절히 갈라진 상을 갖는 그물눈이 넓은 망사가 유리하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면 재료가 눈에 띄지 않도록 장식재료 사용할 제품의 색과 이면재료의 색이 조화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면재료로써 사용될 재료는 용융접착제의 사용 온도를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고강도 재료가 양호하다. 신축성이 없는 망사재료가 가장좋다. 그러나, 신축성 재료도 어떠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망사는 용융접착성 피막의 두께가 가능한 한 적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미관상의 이유로 가능한한 가능 사로 구성된다.
장식요소가 단지 한 열로만 배열되는 장식재료의 경우에는 망사같은 이면재료는 단지 하나 또는 두개의 평한실로 구성된다.
장식재료는 한필의 피륙의 형태로써 제조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각 요소의 군과 장식구로서 한필의 피륙형태의 장식재료를 절단하고 그렇게 사용할 수 있다.
장식재료를 제조할때에는, 각 장식요소는 먼저 용융접착성 피막을 사용하는 통상적 방법으로 가지면에 마련한다. 장식요소를 이면 재료상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하기 위해서, 보조 이면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장식요소는 디스크, 틀 또는 한필의 천의 형태로 설계된 형판상에 필요한 배열로써 위치시킨다. 장식요소는 용융접착성 피막이 마련된 장식 요소의 측면이 형판상에 놓이도록 하는 방법에 의해, 양호하게는 진동에 의해 형판안의 구멍안으로 삽입시킨다. 장식요소의 가시면은 접착성 플라스틱 박막으로 구성된 보조 이면 재료와 접촉하게 된다. 거기에 접착된 장식요소를 갖고 있는 보조 이면 재료는 형판에서 들어올려지고 양호하게는 압력하에서 그리고 용융접착제가 활성화되는 온도에서 그물눈이 넓은 망사의 형태인 이면재료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장식요소는 이면재료상에 예비 고정 되고 용융 융접착제는 망사의 그물눈을 통해 전부가 또는 일부분이 통과된다. 최종적인 고정은 부착될 제품상에 장식요소를 위치시키므로써 이루어지며,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는 접착제의 온도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온도이어야만 한다. 최종적인 고정동안에 용융접착제는 망사의 그물눈을 통해 완전히 관통하게 된다.
접착성플라스틱 박막의 형태인 보조이면재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사용되는 보조이면 재료는 측면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장식 요소를 이에 이송하는 전환판으로 알려진 구멍을 갖는 제2형판일수도 있다. 또한 진공 장치는 보조이면 재료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의해 장식 요소는 형판에서 들어 올려지는 이면재료로 공급된다.
형판안에 장식요소로 용융 접착제로 피복된 면이 형판에 놓이지 않도록 한다면, 장식요소는 직접 이면재료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는 장식 재료를 연소적인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장식요소가 보조 이면재료와 접접착제의 피막을 마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장식재료(2)는 얇고 넓은 그물눈을 갖는 그물 형태의 이면재료(1)에 일정한 형태로 적은 인조다이어몬드의 형태로써 배열되어 있고 이는 용융 접착성 피막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용융 접착성 피막(3)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면재료(1)의 그물눈을 통해 부분적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이면재료(1)가 용융 접착성 피막에 의해 장식재료(2)를 부착하는 단지 두 개의 평행한 실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는, 이러한 장식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양호한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장식 재료(2)는 웨브의 형태를 가지며 접착제로써 피복되어 있고 로울러(5)를 따라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보조 이면재료(4)상에 일정한 형태로써 배열되어 있다. 이면재료(1)는 로울러(5,6)사이의 닙(nip)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로울러는 고무등의 탄성재료로 만들어지고 용융 접착제의 활성온도에서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온도와 마찬가지로 로울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보조 이면재료상에 공급되는 장식 요소를 이면재료(1)에 고정한다. 연속적인 작업으로 제조되는 웨브 형태의 장식재료는 웨브의 형태로나 별개의 장식품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이면재료(4)는 폐쇄 시스템으로써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장식재료는 많은 곳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히 모직이나 의류제품의 장식용으로 적합하다.

Claims (1)

  1. 평면의 이면 재료상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고 용융 접착제 피막을 마련하고 있는 장식요소로 구성되는 장식재료에 있어서, 상기 이면 재료(1)가 이면재료 쪽에 면한 융융 접착제 피막(3)에 의해 장식요소가 배열되어 있는 얇고 그물눈이 넓은 그물로 구성되고, 상기 융융 접착제 피막(3)이 이면 재료(3)의 그물눈을 통하여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료.
KR1019800000189A 1980-01-19 1980-01-19 장식 재료 KR83000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189A KR830002813B1 (ko) 1980-01-19 1980-01-19 장식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189A KR830002813B1 (ko) 1980-01-19 1980-01-19 장식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774A KR830001774A (ko) 1983-05-19
KR830002813B1 true KR830002813B1 (ko) 1983-12-26

Family

ID=1921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189A KR830002813B1 (ko) 1980-01-19 1980-01-19 장식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8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774A (ko) 198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3611A (en) Decorative material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304813A (en) Pressure sensitive tape with a warp knit and weft insertion fabric
CA2010076C (en) Flock applique and transf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364782B2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US4092451A (en) Embroidery transfer
ES441096A1 (es) Mejoras en un metodo relativo a disposiciones de decoracion.
KR20080063845A (ko) 천공된 역반사 트림을 제조하는 방법
US2453441A (en) Ornamental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0385611A3 (en) Dye impermeable, distortion resistant textile identification products
CS44092A3 (en) Decorative article with a plurality of precious stones and process forproducing thereof
KR830002813B1 (ko) 장식 재료
US5258210A (en) Lightweight decorative plastic articles
US5878681A (en) Embroiderer transfer
GB2210326A (en) Composite fabrics arranged therein with natural materials
GB2205533A (en) Hologram decorated fabric structures
US20020055317A1 (en) Flexible, transparent and elastic band with decorative light-reflecting pattern, applicable to the textile industry
GB2255895A (en) A decorative fashion accessory
JPH0516168Y2 (ko)
CS268989B1 (cs) Nažehlovací vzory a způsob jejich výroby
KR10189169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EP0291160A2 (en) Decorative structure
AU721191B1 (en) Embroiderer
KR940018521A (ko) 스팡글부착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KR100701415B1 (ko) 플라스틱 비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피복천에플라스틱 비즈를 부착하는 방법
US20200270776A1 (en) Sew free interior woven label and automa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