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793B1 -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 Google Patents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793B1
KR830002793B1 KR1019790004262A KR790004262A KR830002793B1 KR 830002793 B1 KR830002793 B1 KR 830002793B1 KR 1019790004262 A KR1019790004262 A KR 1019790004262A KR 790004262 A KR790004262 A KR 790004262A KR 830002793 B1 KR830002793 B1 KR 83000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ignal
display
scroll amount
type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1055A (en
Inventor
고오이찌로오 호소다
요시노부 가와와다
Original Assignee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가이샤 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가이샤 겐 filed Critical 이시이 유우꼬
Priority to KR1019790004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793B1/en
Publication of KR83000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27/00Control, indicating, or safety devices or systems for composing machines of various kinds or types

Landscapes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사진 식자기용 모니터 장치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제1도 및 제2도는 인자상태와 표시상태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1 and 2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ting state and the display state.

제3도 및 제10도는 가지런하게한 조판의 실예를 표시한 도면.3 and 10 show examples of neat typesetting.

제4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장치를 조립한 사진식자기의 1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c magnet incorporating a moni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모니터장치(27)(제4도 표시)의 일예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monitor device 27 (shown in FIG. 4).

제6도 및 제7도는 라인 신호발생회로의 동작과 표시상태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도면.6 and 7 schematical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the display state.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초기조건에서의 표시한 설명도.8 and 9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n in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진식자기용 모니터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행머리와 행미를 가지런하게한 조판을 모니터할때, 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참조선(參照線)의 표시기능을 구비한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device for photographic magnetic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device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a reference line which can simplify this when monitoring a typesetting with a leading and trailing edge.

사진식자기용 모니터장치로서는, 감권재상에 인자가 끝난문자나공(空)인자가 끝난문자(이하에서는 모두 공인자로 설명한다), 또는 지금부터 공인자하고저하는 문자를실제의 인자상태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게 한 것이 이미 제안되고 있다.As a photographic device monitor device, a printed character or a blank factored character (hereinafter, all of them are described as an authorized person), or characters that are not authorized by the authorized person ar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printing status on a book-based material. What has been made possible is already proposed.

여기에서 우선 본 발명의 배경설명으로서 이들 문자상(參)의 확인용 모니터장치에서의 표시상태의 일예를 제1도,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First, as a backgrou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display state in the monitor apparatus for confirming these character imag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제1도 및 제2도는 감광재(1)상에서의 인자상태와 모니터 표시부(2)상에서의 표시상태의 상대적 관계가 공인자 동작진행에 따라서 변화하는 모양을 표시한 도면으로, 그 도면중 백발(白拔)문자(흰문자)는 이미 공인자를 끝냈으나 표시부상에는 표시되지 않는 문자이고, 흑색문자는 공인자를 끝내고 표시부상에 표시되고 있는 문자이며, 사선으로 표시된 문자는 다음에 공인자를 하고저 그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레이아우트중에 있게한 표시문자를 각기 표시하고 있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how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ting state on the photosensitive material 1 and the display state on the monitor display unit 2 changes with the progress of the official's operation. The white character (white character) is the character that has already completed the authorized person but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black character is the character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fter finishing the certified person. Each character is displayed by moving the position freely and placing it in the layout.

또 점선(3)으로 표시한 감광재(1)의 기준위치와의 차(S1) 및 (S2)는 감광재(1)의 어떠한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이 표시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스크로울(scroll)량으로, 예를들면, 제1도의 상대에서의 문자“X”의 공인자가 끝난 후, (ΔS)만큼 스크로울량을 증가함에 의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다음문자“へ”의 레이아우트에 대처하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S 1 and S 2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hotosensitive material 1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3 is a scroll indicating which part of the photosensitive material 1 corresponds to which position is displayed. As the scroll amount, for example, after the character of the letter “X” in the opponent of FIG. 1 is finished, the scroll amount is increased by (ΔS), so that the next letter “へ” is indicated in FIG. It is supposed to cope with the layout of ”.

그런데, 상기한 제1도-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모너터표시는 확실하게 인접되는 문자의 상호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있는 것이 가능하고, 소위 채우기문자등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발취하는 것이지만, 감광재(1) 그 자체에 대한 각 문자형상의 절대적인 위치관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By the way, the monitor display as shown in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adjacent characters with certainty, and it is a remarkable effect in so-called fill characters.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absolut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character shape with respect to the photosensitive material 1 itself.

따라서, 예를들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위치(P)와 (Q)사이에 바라는 문자가 균형있게 인자되는 것과 같은 가지런한 조판요청에 대해 상기한 문자확인용 모니터장치는 충분히 응할 수 없었다.Thu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confirmation monitor apparatus is sufficiently responsive to a neat typesetting request such that desired characters are balancedly printed between the predetermined positions P and Q. As shown in FIG. Could not.

본 발명은 사직식자기용 모니터장치에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많은 사진이자 특유의 조판처리에 도움이 되고져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in a four-type self-monitoring device, and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s being helpful for more photographic and unique typesetting processing.

제4도는 본 발명이 되는 모니터장치를 조립한 사진식자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로서, 광원(5)와 문자판(6) 및 주 렌즈(7), 변형렌즈(8), 콜리메이터(collimator)렌즈(9), 반사경(10), 셔터(11), 이동광학계(12), 감광재드럼(13), 인자위치 제어회로(14), 가로 이송 및 세로 이송을 하는 각 구동회로(15) 및 (16)등의 사진식자기의 구성은 종래 주지되고 있는 것이다. 또 부호(17)은 모니터문자 촬상용 광학계이고, (18)은 촬상관이며, (19)는 문자표시제어부, (20)은 음극선 표시관등으로 된 모니터표시부, (21)은 편향제어회로, (22)는 라인표시제어부, (23)은 조판조건 설정부, (24)는 편향위치 동기신호, (25)는 스크로울량 변화신호, (26)은 스크로울량 신호인데, 본 발명의 모니터장치는 도면중 부호(27)로 표시한 부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부호(5-17)로 표시된 각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예를 표시한 것이며, 기타의 여러가지 구성을 가진 사직식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hotographic magnet in which a moni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includes a light source 5, a dial 6, a main lens 7, a modified lens 8, and a collimator. Lens 9, reflector 10, shutter 11, moving optical system 12, photosensitive drum 13, printing position control circuit 14, each driving circuit 15 for horizontal and vertical feeding And (16) is well known in the art.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n optical system for capturing monitor characters, 18 denotes an image pickup tube, 19 denotes a character display control unit, 20 denotes a monitor display unit formed of a cathode ray tube, etc., 21 denotes a deflection control circuit, and 22 Is a line display control unit, 23 is a typesetting condition setting unit, 24 is a deflection position synchronizing signal, 25 is a scroll amount change signal, and 26 is a scroll amount signal. It is related with the part shown with the code | symbol 27 in the figure. Each configuration indicated by the above-mentioned code (5-17) is an example to the last,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reversible magnetic device having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제5도는 상기한 모니터장치(27)의 일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한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monitor apparatus 27. As shown in FIG.

그 제5도에 있어서 상기한 라인표시 제어부(22)는 라인신호 발생회로(28)와 라인위치 어드레스 지령회로(29) 및 스크로울량 신호발생회로(30)을 구비하고, 상기한 조판조건 설정부(23)는 행머리 위치설정 레지스터(31)와 행미위치 설정레지스터(32) 및 조판방향 선택스위치와 조판체제 선택스위치(34)를 구비하고 있다.In FIG. 5, the line display control section 22 includes a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a line position address command circuit 29, and a scroll amount signal generation circuit 30. The unit 23 is provided with a row head positioning register 31, a row tail positioning register 32, a typesetting direction selection switch and a typesetting system selection switch 34.

여기에서 다음에, 상기한 라인신호 발생회로(28)의 구체적인 동작과 모니터표시부(20)상에서의 표시상태간의 관계를 제6도에 의하여 모식적으로 설명하여보면, 부호(35) 및 (36)는 상기한 편향위치 동기신호(24)를 수신함에 의하여 모니터 표시부(20)상에서의 편향위치에 추종하는 신호를 줄력하는 수평 및 수직의 편향위치 카운터이고, 부호(37)및 (38)은 외부에서 지령된 어드레스 에데이터를 고정하는 수평 및 수직의 각 라인표시 레지스터이다. 또 그 레지스터(37) 및 (38)에서의 데이터 고정상태가 사선으로 도시되고 있다.Here,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and the display state on the monitor display unit 20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with reference to FIG. Denotes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position counters that output a signal following the deflection position on the monitor display unit 20 by receiving the deflection position synchronization signal 24 described above, and reference numerals 37 and 38 denote externally. These ar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 display registers that hold data at the specified address. In addition, the data fixation state in the registers 37 and 38 is shown by the diagonal lines.

그리고 상기한 각 편향위치 카운터(35) 및 (36)의 내용을 판독하고 어드레스로서 상기한 각 라인표시 레지스터(37),(38)에서 판독된 신호가 셋트·리세트 타이프의 FF(39)및 (40)으로 각각 줄력된다.Then, the contents of the deflection position counters 35 and 36 described above are read out, and the signals read out from the above-described line display registers 37 and 38 as addresses are set to the FF 39 and the set reset type. Each is pulled by 40.

따라서 그 FF(29)및 (40)은 도면중의 폭(ΔW) 및 (V1)-(V2)의 구간에 각기 대응하는 신호를 줄력하고, 이들 양 신호의 논리의 적(積)이 앤드회로(41)를 통하여 표시부(20)으로 전달되는 결과, 그 표시부(20)에는 부호(42)로 표시한 세로의 라인표시가 얻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FFs 29 and 40 exer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ΔW and (V 1 )-(V 2 ) in the figure, respectively, and the product of the logic of both signals is reduced. As a result of the transfer to the display unit 20 through the AND circuit 41, vertical display of the lin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2 is obtained on the display unit 20. FIG.

즉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표시하고 싶은 라인의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신호를 라인신호 발생회로(28)로 지령함에 의하여 표시부(20)상에 바라는 라인표시를 얻을 수 있게 되어있다. 이상은 세로의 라인표시의 경우인데, 상기한 레지스터(37)및 (38)에 대한 데이터 써넣기용 어드레스 지령을 적절히 변경함에 의하여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가로의 라인표시를 얻을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ired lin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20 can be obtained by instructing the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of the addr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ne to be displayed. The above is the case of the vertical line display, an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horizontal line display as shown in FIG. 7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address for writing data to the registers 37 and 38 described above. Do.

그리고, 제6도, 제7도의 예는 각기 한쌍의 라인표 시레지스터(37),(38)를 설치한 경우를 표시하고 있는데, 다른 실시예로서 2쌍의 라인표시 레지스터를 설치하여, 일방의 1쌍은 가로의 라인표시용으로 하고, 타방의 1쌍을 세로의 라인표시 용으로하면, 가로·세로의 라인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6 and 7 show a case where a pair of line table registers 37 and 38 are provided, respectively. In another embodiment, two pairs of line display registers are provided. When one pair is used for horizontal line display and the other pair is used for vertical line display,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simultaneously.

다음에, 제5도에서의 라인위치 어드레스 지령회로(29)는 상기한 라인신호 발생회로(28)에 대한 어드레스 지령신호를 줄력하는 회로인데, 부호(43)및 (44)는 제6도 및 제7도에서의 위치(V1),(V2)및 (h1),(h2)에 상당하는 값이 미리 설정되고 있는 레지스터이고, (45)는 연산절환회로이다. 그 연산 절환회로(45)는 후술하는 것과같이 구하여진 스크로울량 신호(S)및 상기한 설정 레지스터(31),(32)에서 보내어오는 행머리신호(α1)와 행미 위치신호(α2)를 입력하고,

Figure kpo00001
인 4종류의 신호(β)를 순차로 줄력하게 되어있다.Next, the line position address command circuit 29 in FIG. 5 is a circuit for supplying the address command signal to the above-described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and reference numerals 43 and 44 are shown in FIG. Values corresponding to positions V 1 , V 2 and (h 1 ) and (h 2 ) in FIG. 7 are preset registers, and 45 is an operation switching circuit. The operation switching circuit 45 has a scroll amount signal S obtained as described later, and a row head signal α 1 and a tail position signal α 2 sent from the above-described setting registers 31 and 32. ),
Figure kpo00001
Four kinds of signals β are sequentially depressed.

따라서 상기한 조판방향 선택스위치(33)가 가로 측으로 선택되고 있는 경우는, 앤드회로(46)를 통하여 상기한 4종류의 신호(β)가 어드레스신호로서 상기한 수평라인표시 레지스터(37)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한 레지스터(43)에 설정되고 있는 “V1”및 “V2”의 값이 앤드회로(47)를 통하여 수직라인표시 레지스터(38)에 지령된다. 그와같이하여, 조판방향 선택스위치(33)가 “세로”측으로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4종류의 신호(β)가 수직라인표시 레지스터(38)에 공급됨과 아울러, “h1”및 “h2”의 값이 수평라인표시 레지스터(37)에 지령되게 된다. 더욱 특수한 경우로서 가변설정 레지스터(48)에서의 신호(α3)가 상기한 연산절환회로(45)로 입력되고 있는 경우는, “α3-S”및

Figure kpo00002
또는
Figure kpo00003
의 신호가 줄력신호(β)가 된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typesetting direction selector switch 33 is selected horizontally, the four types of signals β are supplied to the horizontal line display register 37 as address signals through the AND circuit 46. In addition, the values of "V 1 " and "V 2 " set in the above-described register 43 are commanded to the vertical line display register 38 through the AND circuit 47. In this way, when the typesetting direction selector switch 33 is selected to the " portrait " side, the four kinds of signals β described above are supplied to the vertical line display register 38, and " h 1 " The value of "h 2 " is commanded to the horizontal line display register 37. As a more special case, when the signal? 3 from the variable setting register 48 is input to the arithmetic switching circuit 45 described above, "? 3 -S "
Figure kpo00002
or
Figure kpo00003
Becomes the joule force signal β.

다음에 제5도에서의 스크로울량 신호발생회로(30)에 대하여 설명하여보면, 부호(49)는 크로울량신호(S)를 줄력하는 카운터로서 우선입력신호(γ)를 초기의 값으로서 설정하고, 그후, 문자표시 제어부(19)에서 보내져 오는 스크로울량 변화신호(25)의 값(δ)에 추종진보하여 S=γ+δ인 신호를 줄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50)및 (51)은 설정카운터이고, 여기에 미리 설정되고 있는 값(a) 및 (b)의 뜻에 대하여는 제8도, 제9도에 관련하여 후술하는 설명으로 명백하여질 것이다.Next, the scroll amount signal generation circuit 30 in FIG. 5 will be described. A reference numeral 49 is a counter for outputting the crawl amount signal S and sets the priority input signal γ as an initial value. Subsequently, the signal of S = γ + δ is pushed forward following the value δ of the scroll amount change signal 25 sent from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unit 19. Reference numerals 50 and 51 are set counters, and the meanings of values (a) and (b) set here will be appar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그런데, 제5도에 표시한 스크로울량 신호발생회로(30)의 구체적 구성예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조판조건 설정부(23)에서의 여러가지 설정조건과 상기한 신호(γ)와의 관계는 하기한 표와같이 되고있다.By the way, as is apparent from the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croll amount signal generation circuit 30 shown in FIG.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setting conditions in the typesetting condition setting unit 23 and the above-described signal? It's like a ticket.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따라서, 연산절환회로(45)에서 줄력되는 상기한 4종류의 신호(β)와, 조판조건간의 관계는 하기하는 바와같이 된다.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four kinds of signals β exerted by the arithmetic switching circuit 45 and the typesetting conditions is as follows.

그리고, 하기한 표 이하에서는 가로 방향조판의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겠는데, 세로방향 조판의 경우도 그와같이 동작하는 것은 물론이다.In the following table, only the case of the transverse typesetting will be described. Of course, the case of the longitudinal typesetting also operates the same.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5

그리고, 그 4종류의 신호(β)에 기본을 두고, 상기한 바와같이 라인위치 어드레스 지령회로(29)에서 소정된 어드레스 라인신호 발생회로(28)에 출력하게된다.Based on the four types of signals β, the line position address command circuit 29 outputs the predetermined address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as described above.

제8도 및 제9도는 δ=0 즉 초기조건에서의 상기한 수평 및 수직 라인표시 레지스터(37),(38)의 데이터 고정상태와 모니터 표시부(20)상에서의 표시상태간의 관계를 제6도의 예에 준하열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제8도는 정송(正送) 체제인 경우를 표시한 것이고, 제9도는 역송(送逆) 체제탈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8 and 9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fixation stat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 display registers 37 and 38 at the initial condition and the display state on the monitor display unit 20 in FIG. Fig. 8 schematically shows the case of the subordinate sequence, and Fig. 8 shows the case of the forward feeding system, and Fig. 9 shows the case of the reverse feeding system.

제8도-제9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표시한 라탈표시(42)는 초기조건시에 표시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데, |α21|의 값의 여하에 따라서는 2줄의 라인이 동시에 표시될 때도 있다.In Figs. 8 to 9, the hatched display 42 indicated by the diagonal lines is not displayed at the initial condition. Depending on the value of | α 21 |, two lines are simultaneously used. Sometimes it is displayed.

또, 상기한 스크로울량 변화신호(25)의 값(δ)은 정송체제의 경우는 정방향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공인자동작의 진행에 수반하여 문자 표시제어부(19)에서 순차 스크로울량의 변화신호(25)가 보내져오면, 제8도의 라인표시는 순차로 좌측방향(도면상에서)으로 이동하고, 제9도의 라인표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사선으로 표시한 라인표시(42)가 모니터표시부(20)상에 표시되게된다.The value δ of the scroll amount change signal 25 decrease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forwarding system. Accordingly, when the change signal 25 of the scroll amount is sequentially sent from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unit 19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authorized person's operation, the line display of FIG. 8 is sequentially moved to the left side (on the drawing), and the ninth The line display of the figure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Finally, the line display 42 indicated by diagonal lines is displayed on the monitor display unit 20.

그리고 제8도 및 제9도에서는 문자상의 표시가 생략되고 있으나, 문자표시 제어부의 동작에 의하여 적당한 문자상이 중복 표시될 수 있게된 것은 물론이다. 또, 스크로울 할 때 이들의 라인표시 및 문자표시가 서로의 위치관계를 허트리지 않고 이동하게 됨은 물론이다.In FIG. 8 and FIG. 9, the character display is omitted,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proper character image can be repeatedly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unit. Moreover, of course, these line displays and text displays move without los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when scrolling.

본 발명은 이들 제8도 및 제9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조판체제가 정방향의 경우에는 적어도 행머리에 상당하는 라인표시가 표시부(20)의 좌측 방에 나타나고, 또 역방향체제의 경우는 적어도 행미에 상당하는 라인표시가 표시부(20)의 우측방에 나타나게되어 있으며, 또, 공인자 작업진행중의 적당한 시점에서, 정방향체제의 경우는 행미에 상당하는 라인표시를, 또 역방향의 경우는 행머리에 상당하는 라인표시를 각기 얻을 수 있게 되어있다.As is evident in FIGS. 8 and 9,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at least the lin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line head appears in the left chamber of the display section 20 when the typesetting system i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t least in the case of the reverse system. The lin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beauty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0. Also, at the appropriate point in time during the work of the authorized person, the lin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tail is display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t the heading in the reverse direction. Equivalent line markings can be obtained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한 스크로울량 신호(δ)를 문자표시제어부(19)에 공급함에 의하여, 라인표시 및 문자표시와 동일한 위치관계를 표시하도록 관련되게 하면, 그 라인표시를 보기좋게 하여 문자위치의 레이아우트를 자유로 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by supplying the scroll amount signal δ to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unit 19 so as to display the same positional relationship as the line display and the character display, the line display is made beautiful and the layout of the character position is displayed. It becomes possible to be able to perform an outer freely.

또, 상기한 설정카운터(50)에 미리 설정된 값(a)은 제8도, 제9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초기조건, 즉, δ=0일때, 정방향 체제시의 행머리 라인표시(제8도)와 역방향체정시의 행미라인표시(제9도)의 차를 설정하기 위한 값이다.In addition, as apparent in Figs. 8 and 9, the value (a) set in advance in the setting counter 50 is displayed in the line head line at the time of forward setup when the initial condition, i.e.,? Is a value for se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of the tail line and the display of the tail line (Fig. 9) during the reverse fixation.

다음에, 상기한 가변설정 레지스터(48)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그 가변설정 레지스터(48)는 즉시 몇개의 문자가 표시되고 있는 모니터 표시부(20)상의 자유위치에 라인표시를 행할때에 사용되는 것이고, 그 설정치를 변경함에 의하여 라인표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Next, the above-described variable setting register 48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variable setting register 48 is used when performing line display at the free position on the monitor display unit 20 in which several characters are displayed immediately, and the line display position can be moved by changing the setting value.

따라서, 적당한 라인표시를 이동시켜, 바라는 위치에 왔을때의 설정치를 상기한 행머리 또는 행미 위치설정 레지스터(31),(32)에 고정되게하면, 제10도와 같은 조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roper line display is moved and the set value when the desired position is reached is fixed to the above-described line head or tail end positioning registers 31 and 32, typesetting as shown in FIG. 10 can be easily processed. .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행머리와 행미의 표시와 상기한 가변설정 레지스터(48)에 의한 임의위치 라인표시를 동시에 표시함에 의하여, 하기와같은 이용도 가능하다. 즉, 적당히 위치를 결정하면서 공인자를 행하였을 때 최후부의 문자상과 행미라인표시 사이에 간극이 생긴경우, 환언하면, 소위 저스티피케이션(justification)이 바라는대로 되지않고 있는 경우, 상기한 최후부의 문자상의 행미측에 상기한 임의 위치라인 표시를 합치시킬 수 있게하고, 그때의 가변 설정 레지스터(38)의 값과 행미위치(α2)의 차를 구하면, 저스티피케이션 동작에 필요한 행길이와 잔여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display can be also performed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display of the line head and line and the arbitrary position line display by the variable setting register 48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ast character and the end line mark when the qualified person is performed while properly positioning, in other words, when the so-called justification is not as desired, the last character described above. on the value and haengmi ask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α 2), Justify blood line length and the remaining portion required for the indications operation of possible to combine arbitrary position line displayed by the on-line trailing side, and then the variable setting register 38 You will be able to figure out exactly.

본 발명이 되는 모니터장치는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같이, 행머리위치(α1)와 행미위치(α2)및 조판방향의 구별과 조판체제의 구별이 설정되는 조판조건 설정부(23)와 그 설정부에서의 신호에 기본을 두어 구해진 스크로울량의 초기값을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크로울량 변화신호에 응하여 증감시켜서 얻은 스크로울량신호(S)를 출력하는 스크로울량신호 발생회로(30)와, 상기한 스크로울량신호(S)및 행머리위치(α1)와 행미위치(α2)의 값에 기본을 두어 행머리라인 및 행미라인의 표시위치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지령하는 라인위치 어드레스 지령회로(29)와, 상기한 어드레스 신호로 지령된 위치와 표시부상에서의 편향위치의 일치 신호에 기본을 두어 라인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신호 발생회로(28)와, 그 라인표시신호를 변조신호로 하여 바라는 행머리라인 및 행미라인을 표시하는 모니터 표시부(20)를 구비하면된 것이고, 그와같이 함에 의하여 본 발명은 감광재 자체에 대한 각 문자형상의 절대적인 위치관계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하고, 여러가지의 가지런한 조판처리를 하는데 현저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oni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ypesetting condition setting unit 23 in which a distinction between a row heading position α 1 and a tailing position α 2 , and a typesetting direction and a typesetting system is set; A scroll amount signal generating circuit 30 outputting a scroll amount signal S obtain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nitial value of the scroll amount obtained based on the signal in the setting unit in response to a scroll amount change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 And an addr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line head line and the line end lin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croll amount signal S and the values of the line head position α 1 and the line tail position α 2 . A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for outputting a line display signal based on the line position address command circuit 29, the coincidence signal between the position commanded by the above-described address signal and the deflection position 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line display As a modulated signal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the monitor display part 20 which displays the desired line head line and tail line line, and by doing so, this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absolut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character shape with respect to the photosensitive material itself. It is to provide a remarkable effect in performing various types of typesetting.

Claims (1)

행머리위치(α1)와 행미위치(α2) 및 조판방향의 구별과 조판체제의 구별이 설정되는 조판조건 설정부(23)와, 그 설정부(23)에서의 신호에 기본을 두어 구하여진 스크로울량의 초기값을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크로울량 변화신호에 응하여 증감시켜서 얻은 스크로울량 신호(S)를 출력하는 스크로울량신호 발생회로(30)와, 상기한 스크로울량 신호(S)와 행머리위치(α1)및 행미위치(α2)의 값에 기본을 두어 행머리라인 및 행미라인의 표시위치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지령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지령하는 라인위치 어드레스 지령회로(29)와, 상기한 어드레스 신호로 지령된 위치와 표시부상에서의 편향위치의 일치신호에 기본을 두어 라인표 시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신호 발생회로(28)와, 그 라인표시신호를 변조신호로하여 바라는 행머리라인 및 행미란을 표시하는 모니터 표시부(20)를 구비하여서 사진식자기용 모니터장치.Forming condition setting section 23,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ow heading position α 1 and the tail end position α 2 and the typesetting direction and the typesetting system is set, and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setting unit 23, A scroll amount signal generating circuit 30 for outputting a scroll amount signal S obtained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initial value of the true scroll amount in response to a scroll amount change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scroll amount signal ( Line position address command circuit which instructs an address signal which commands an addr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line head line and the line tail line based on the values of S) and the line head position α 1 and the line tail position α 2 . (29) and a line signal generation circuit 28 for outputting a line display signal based on the coincidence signal between the position commanded by the address signal and the deflection position 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line display signal is modulated by the line display signal. Hangul Line and Hang Miran Hayeoseo a monitor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photocomposition appointed monitoring device.
KR1019790004262A 1979-12-04 1979-12-04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KR8300027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262A KR830002793B1 (en) 1979-12-04 1979-12-04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262A KR830002793B1 (en) 1979-12-04 1979-12-04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55A KR830001055A (en) 1983-04-29
KR830002793B1 true KR830002793B1 (en) 1983-12-16

Family

ID=1921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262A KR830002793B1 (en) 1979-12-04 1979-12-04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79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55A (en)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4184A (en) Display system for localizing regions in a mixed text & picture display
JPS58149584A (en) Automatic graph formulation device
KR830002793B1 (en) Photographic device for monitor
JPS5923555B2 (en) Monitor device for phototypesetting machine
JPS63144393A (en) Output device
JPS602923Y2 (en) phototypesetting machine
KR830002790B1 (en) The methode of display in a photograph typesetting machine
KR840002059B1 (en) The device of monitor desplay in photo type serting machine
JPS59220365A (en) Display apparatus of photocomposing machine
JPS5615354A (en) Indicator for photo composing machine
JPH0242446Y2 (en)
KR830000445B1 (en) Photo typewriter
KR810000147B1 (en) Type photo-composing machine
KR870000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uled line in photocomposing machine
JP4409918B2 (en) Graphic draw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KR830002789B1 (en) The photograph typesetting machine
US3680075A (en) System for composition of symbols
JPH0123809Y2 (en)
KR870000430B1 (en) Display system of monitoring in pototype setter
JP2628049B2 (en) Tool movement trajectory display device in numerical controller
KR8700004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composing
JPS6215674A (en) Catalog editing system
KR870000435B1 (en) Dislpay system of photo-composing machine
JPS6189042A (en) Indication apparatus of phototypesetter with crt
JPS59174360A (en) Photocomposing system with composition monitoring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