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550Y1 -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550Y1
KR830002550Y1 KR2019830005667U KR830005667U KR830002550Y1 KR 830002550 Y1 KR830002550 Y1 KR 830002550Y1 KR 2019830005667 U KR2019830005667 U KR 2019830005667U KR 830005667 U KR830005667 U KR 830005667U KR 830002550 Y1 KR830002550 Y1 KR 830002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front wheel
leaf springs
whe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927U (ko
Inventor
아기도 에노기모도
도시오 쓰찌야
다쓰오 마스다
스와지 다가노
Original Assignee
혼다기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3640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069A/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9820000534U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2450Y1/ko
Application filed by 혼다기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가와시마 기요시 filed Critical 혼다기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5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550Y1/ko
Publication of KR830000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차량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차량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차량의 프레임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차량의 전방 부분을 표시하는 확대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확대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차량의 지지장치를 표시하는 확대 횡단면도.
본 고안은 차량의 전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좌우 2개의 전륜(앞바퀴)을 가진 차량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횡으로 설치한 2장의 판스프링을 배설하여 이 판스프링의 양단부와 전륜 지지 멤버를 탄성재를 개재하여 연결하는등, 간단 용이하게 최소의 부품으로 장치하여 전륜에 대한 완충현가를 꾀하도록한 전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의 소배기량의 원동기를 장비한 간이한 2륜차가 제안되 었으며 자전거와 유사한 형태의 것, 또는 스쿠우터와 유사한 형태의 것등이 실용화되어 있으나 어떤 종류의 간이한 차륜은 어느것이나 2륜차이다. 그러므로 자전거를 타지 못하는 사람은 운전할 수 없다. 한편 가벼운 차량으로서 원동기를 장미한 3륜차가 제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나 차륜 2개를 장비하는쪽의 후부가 폭이넓고 또한 크며, 차륜 1개를 장비한 전부와는 로우링 할 수 있도록 조인트 되어 있다.
그와 같은 3륜차는 전체적으로 2륜차나 스쿠우터등에 비하여 크며, 또한 전후의 로울링 조인트등 구조도 복잡하고 중량도 크며 원동기의 배기량도 이에 상용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어 소형이고 간이한 탈것의 범주를 넘어선 상기한 문제 해결로서는 타개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2륜차를 윤전하지 못하는 사람에 있어서도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4륜등의 탈것을 제안하려는 것으로서 이것을 소형, 경량, 간이하다고 하는 조건에서 실용화하고, 상기한 2륜차와 별차없는 생산원가로 제공하려고 하였을 경우, 전체적인 구조 이외에도, 전류늬 지지에 대하여도 현가의 확실성, 완충, 방진, 캠버(Camber)의 유지, 구조의 간단화 부품의 감소화를 꾀하며, 또한 조향기구와의 관계등해결하지 않으면 않되는 여러가지 문제 가있다.
본 고안자등은 상기한 제문제를 해결하여 소형, 경량, 간이한 4륜등의 주행차륜을 얻도록 특히 전륜 지지의 간이화와 기능확보를 해결하도록 본 고안을 성취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좌, 우 2륜의 전륜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2장의 횡으로 설치한 판스프링을 배설하고 이 판스프링의 양단부와 전륜 지지멤버를 고무와 같은 탄성재를 개재하여 연결하며, 전륜 현가 멤버와 완충멤버와를 하나의 멤버로서 겨용하고, 또한 탄성재가 있음으로 해서 전륜을 효과적으로 완충장치의 효과를 지니게 하여서 지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간이한 구조 및 최소의 부품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차량의 전륜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하나의 목적은 전기한 판스프링을 지지하는 차체프레임을 단면이 상자형이 되도록하고 프레임의 양측부에서 상하로 휘어진 판스프링의 스토퍼를 겸하도록한 차량의 전륜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나아가서 또,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륜의 조향기구를 전기한 상, 하 판스프링의 뒤쪽에 배설하고 앞쪽의 판스프링으로 조향기구를 보호하도록한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가장 적당한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1)의 구조배치에 대한 개략을 설명하면(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으로서 프레임(2)의 전부 좌우로 조향륜이 있는 전륜(3)(3)을 후부에는 구동륜인 후륜(4)(4)을 각각 설치하였다. 프레임(2)의 중간부 내지 후부에는 승무원의 좌석용 시이트(5)가 설치되어 있어 시이트(5)의 폭과 프레임(2)의 폭과는 대략 같다.
그리고, 전부에는 축(Steeing Shaft)(6)이 비스듬히 상방 뒤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축(6)은 프레임 전단부 상의 좌우로 하단을 고정한 역 V형의 보강재(Stay)(7) 상단에 지지구(8)로 지지되었으며, 축(6) 상단에는 스티어링바아 (9)가 조향조작부를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2)의전체구조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판소제의 프레스 성형품으로 되었고, 수평한 전부(2a)에서 중간부(2b)까지 사이의 경사부(2c)를 포함하여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싱자형으로 성형되었으며, 내부에 크로스멤버(2e)…가 여러개 설치되었는데, 이것은 강성 및 강도상승을 도모하고 있으며, 대체로 중간부분에 시이트(5)의 폭과 같은 폭의 바닥(2d)을 형성하여서 승무원의 발휴식처가 되게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프레임(2)의 전단부가 개방(2f) 되어 있다. 제3도 및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전부(2a)는 중간부(2b)에 대하여 한단 더높게 형성되었으며 전부(2a)의 단면의 형상은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2g)는 양측부(2h)(2h)가 하방으로 약간 만곡되었고 중앙부가 가장 높게 또한 평탄하게 형성되었는데 하부(2i)는 중앙부가 가장 낮게 평탄하여 양측부(2j)(2j)는가 상방으로 경사졌고 만곡부(2h)와 경사부(2j)는 측벽(2k)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 전부(2a) 위에는 이미 설명한 스티어링측(6)과 보강재(7)와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판스프링(12)을 설치하며 또 전부(2a) 아래에는 이와 평행하도록 판스프링(13)을 설치하며 상하로 평행하는 판스프링(12)(13)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2)의 전부를 협지 하도록 배설하고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12)(13)의 양단부(12a)(13a)는 프레임(2)의 좌, 우 바깥쪽으로 눌러낸다.
판스프링(12)(13)은 전부(2a) 상하 중앙부(2g)(2i)에 각각 외측으로 부터 호울더(14)를 끼워서 볼트, 너트(15)로 결합한다. 판스프링(12)(13)의 양단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도록 장치부(12b)(13b)에는 칼라(Collar)(16)를 감장하며 그 상하 칼라(16)(16)에 킹핑(King Pin)(17)을 삽통하며 킹핑(17)의 상, 하단부(17 a)(17a)의 각각과 칼라(16) 사이에 테이퍼상의 마운트고무(mount rub ber)(18)(18)를 각각 대칭적으로 2개가 1조를 이루도록 장착하고 와서(19)를 고무(18)의 바깥쪽에 맞대고, 너트(20)를 킹핑(17)의 상, 하단부에 나사 맞춤하여 고무를 죄어부쳐서 킹핑(17)과 상하의 판스프링(12)(13)의 양단장치부(12b)(13b)를 연결한다.
킹핑(17)의 각각에는 부시(bush)(21)가 감장 되었으며, 부시(21)에는 너클 (22)이 각각 연결되었고 너클(22)에는 차측(23)이 고정 설치 되었는데 차측 (23)에서 베어링(24)을 개재하여 좌우의 전륜(3)(3) 각각의 허브(3a)를 지지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륜(3)(3)은 프레임 전부(2a) 상하에 횡으로 설치된 상사 판스프링(12)(13)의 양단부에 지지되었으며 더구나 고무(18)와 같은 탄성재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있다. 판스프링(12)(13)은 좌, 우 전륜(3)(3)의 현가 멤버를 겸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작용으로 완충장치로도 작용한다.
따라서 전륜(3)(3)의 노면으로 부터의 반력에 대하여는 상하 판스프링 (12)(13)의 프레임(2) 좌, 우로부터 연장되는 양단부(12a)(13a)의 한쪽 그렇지 않으면 양쪽의 평행하여 탄성적으로 상하로 움직여 전륜(3)(3)의 운동에 추종하면서 완충을 한다. 아래쪽의 판스프링(13)이 위쪽으로 휘어지는 것은 사면(2j)에 규제를 받게되며 위쪽의 판스프링(12)의 아래쪽으로 휘어지는 것은 만곡면(2h)에서 규제를 받는다.
즉, 판스프링(12)(13)이 상하로의 완충요곡동(緩衝堯曲動)은 프레임 전부 (2a)의 양쪽에서 규제되어 판스프링의 무리한 변형을 방지하며 양쪽(2j)(2q)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킹핑(17)은 탄성재인 고무(18)를 개재하여, 판스프링(12)(1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륜(3)의 노면으로부터의 요돌(凹突)에 기인하는 이 진동은 탄성재인 고무(18)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쇠하고 프레임(2)에서의 미진동의 전달을 억제하여 승차하였을 때의 기분을 향상 시켜준다.
또 전륜(3)(3)의 캠버는 킹핑(17)이 상하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간직되고 캠버가 변화하여도 고무(18)의 탄성작용으로 이것을 정상적인 각도로 되돌아 오도록 작용하며 또 탄성체인 고무(18)로 흡수되고 캠버를 정상적으로 간직한다. 프레임 전부(2a)의 상하부분(2g)(2i)의 이미 설명한 판스프링(12)(13)의 뒤쪽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2q)(2r)를 설치하고 한쪽 개구에 면하는 크로스멤버(2e)에는 비스듬이 앞, 뒤쪽으로 브래킷(25)을 장치하고 이 브래킷(25)으로 스티어링측(6)의 하단부(6a)를 칼라(26)를 개재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한다.
축의 하단부(6a)의 아래쪽 돌출부에는 아암(27)을 연결하며 이 아암(27)은 프레임전부(2a) 안을 종통(縱通)하여 아래쪽 개구(2f)로 부터 하단부가 돌출한다. 이 하단부에 조인트(28)를 개재하여 좌우의 연결봉(29)(29)의 일단을 결합하며 연결봉(29)(29)의 각 타단은 조인트(30)(30)를 개재하여 이미 설명한 너클(22)에 연결한다. 상기한 조인트(28)(30)의 각각은 자유롭도록 조인트하고 전륜(3)(3)에 기인하는 판스프링(12)(13)의 단부의 운동에 추종하는 너클(22)의 상하등으로 연결봉 (29)이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27)은 그 태반이 프레임(2)의 전부(2a) 내에 위치하며 연결봉 (29)이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27)은 그 태반이 프레임(2)의 전부(2a) 내에 위치하며 연결봉(29) 조인트(30)는 판스프링(13)의 뒤쪽에 있다.
그래서 조향기구는 앞쪽으로 판스프링등이 있으므로 전방에 대하여 보호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한 프레임(2)의 후부(2ℓ)는 비스듬이 뒤쪽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었으며 또한 아래쪽을 개방(2m)하고 후부에는 보강재(10)를 개재하여 시이트(5)와 연료탱크(11)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도시예에서는 2개의 전륜, 2개의 후륜으로된 4륜차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후륜은 한개라도 좋다는 것은 두말할 것 없다.
이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륜을 현가멤버 완충멤버를 겸한 판스프링으로 지지 하였기 때문에 최소의 부품으로 간단한 구조로 전륜의 조향이 자유롭도록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재를 개장한 만큼 피 진동등도 흡수하며, 총괄적으로 말하여 간단한 지지 장치로서 현가의 확실성과 뛰어난 완충 성능을 얻을수 있다.
그리고, 캠버 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승차 하였을 때의 기분, 조향의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에 따라 판스프링의 보호와 조안성 및 안전성에 기여함과 함께 조향기구도 앞쪽에 있는 판스프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등 간이하고 소형인 경량의 2개의 전륜을 갖는 차량을 실용화 함에 있어 이바지 하는바 매우크다할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좌, 우 2개의 전륜(3)(3)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2)의 선단부 상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횡으로장치한 2장의 판스프링(12)(13)을 설치하고, 이 판스프링(12)(13)의 양단(12a)(13a)과 전륜(3)(3)의 지지부를 연결하여서 된 차량의 전륜지지장치.
KR2019830005667U 1979-10-20 1983-06-27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KR830002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667U KR830002550Y1 (ko) 1979-10-20 1983-06-27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640A KR830001069A (ko) 1979-10-20 1979-10-20 차량의 전차륜 현가장치
KR2019820000534U KR830002450Y1 (ko) 1982-01-23 1982-01-23 자광(트리륨)을 이용한 안내등
KR2019830005667U KR830002550Y1 (ko) 1979-10-20 1983-06-27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640A Division KR830001069A (ko) 1979-10-20 1979-10-20 차량의 전차륜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27U KR830000927U (ko) 1983-09-22
KR830002550Y1 true KR830002550Y1 (ko) 1983-12-06

Family

ID=7016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667U KR830002550Y1 (ko) 1979-10-20 1983-06-27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5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27U (ko) 198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8096A (en) Front wheel suspension mechanism for vehicle
US4076271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device
US4360224A (en) Tricycle with two fore wheels
CA1163567A (en) Rear-wheel suspension device for a tricycle vehicle
US7198126B2 (en) Front suspension for recreational vehicle
US4463964A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3907332A (en) Suspension system
JP2924306B2 (ja) 車輪独立懸架装置
US4408674A (en) Motorcycle drive wheel suspension system
EP1457413A2 (en) Motorcycle
US4405027A (en) Motor vehicle
US5813683A (en) Bicycle incorporating bifurcated frame
US4451065A (en) Torsion suspension system for motorcycles
JPH09109974A (ja) 自転車用フレーム
JPS602230B2 (ja) 自動2輪車のアンチノ−ズダイブ装置
KR830002550Y1 (ko) 차량의 전륜(前輪) 지지장치
JPH0115436B2 (ko)
EP0669247A1 (en) Rear suspension frame for two-wheeled vehicles
US3674104A (en) Cushioned support means
JPH01190515A (ja) 自動車の懸架装置
JPH0223400B2 (ko)
KR102651830B1 (ko)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
JPH06107264A (ja) 自転車の後輪懸架装置
JPS61178281A (ja) 自動三輪車の後輪緩衝装置
JP6962891B2 (ja) 鞍乗型車両の前輪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