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13B1 -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13B1
KR830002413B1 KR1019800001913A KR800001913A KR830002413B1 KR 830002413 B1 KR830002413 B1 KR 830002413B1 KR 1019800001913 A KR1019800001913 A KR 1019800001913A KR 800001913 A KR800001913 A KR 800001913A KR 830002413 B1 KR830002413 B1 KR 83000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b
subassembly
stubs
subassemblies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106A (ko
Inventor
나드 뽈컨
꼬매우 아랭
Original Assignee
프라마톰
챨스 브루넨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마톰, 챨스 브루넨고 filed Critical 프라마톰
Priority to KR101980000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13B1/ko
Publication of KR83000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제1도는 최종 조립후 가압수 원자로에 쓰이는 용기의 수직평면의 반쪽단면도.
제2도는 2개의 부조립체를 함께 가져온후, 용접하기 전에 2개의 부조립체 사이의 최종 접합레벨에서의 용기의 평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는 제2도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본 발명은 원자로 용기의 내부 기구를 위치시키기 위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립되고 기계절삭되는 회전대칭을 각각 가지고 있는 2개의 부조립체에 의해 구성되는 원자로 용기의 최종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 용기의 건축에 있어서, 특히 가압수로의 용기에 있어서, 링, 프랜지, 혹은 구형 엔드 캡과 같은 요소들이 부 조립체의 형성에서의 첫 단계중에 조립되며, 일단 용기의 조립이 완성되면 용기내에 배치될 부재를 위치하고 유지하는 구조물이 위치되고 가공될 것이다.
가압수로의 경우에, 특히 원통형이고 구형엔드캡으로 밀폐된 용기는, 최종 조립전에 2개의 부 조립체 즉, 상측부조립체와 하측 부조립체 즉, 상측부조립체와 하측 부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상당히 많은 각개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다.
상측 부조립체는 특히 덮개를 하기 위한 용기 프랜지와 파이프 연결을하는 관 지지체를 가지고 있다.
하측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중심관 요소와 하부관 요소와 구형 앤드캡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 조립체의 제조중, 용기내의 내부 기기를 지지하고, 안내하여, 배치하는 많은 기구가 각 부조립내에 정렬되고, 그들의 최종 크기로 가공된다. 따라서, 용기의 최종 조립시에, 조립중에 있는 용기의 작 부조립체에 서로 대응하는 요소 사이에 가장 적합한 정렬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용기 플랜지의 키홈의 축과 내부 기기의 지지축 사이에 매우 적합한 정렬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완전한 정렬을 하기 위해, 용기의 축에 관해 회전대칭을 가진 두 부조립체의 축의 배치와, 서로 접합하는 표면을 따라 서로에 관해서 부조립체들이 완벽한 중심을 맞춰야하며, 용기의 축에 대해, 다른 하나에 관련된 하나의 부조립체의 방위를 고려하여 완전한 위치를 확실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용기의 수직축에 관해 회전대칭을 가진 두개의 부조립체는 그들의 접합양단에, 두부조립체의 조립이 그 표면을 따라 만들어지는 환상 접합면을 가지고 있다. 최종적인 용접 이음을 형성하기전에 2개의 조립체를 압력하에 결합시킬때 서로 접촉시키는 리지들을, 조립 하기전에, 2부조립체의 최종적인 기계절삭시에 상기 접합면에 형성한다. 이런 리지중의 하나는 환상형 표면의 중심부에 용기의 전주위를 걸쳐 연장되어, 각 접합면상에서 기계절삭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한 리지는 접합면의 내부 주위를 따라 용기의 전 주위에 걸쳐 연장되고 기계절삭에 의해 형성된다.
부 조립체를 부착하는 순간에, 하나의 부 조립체의 리지 각각을 다른 부조립체의 나머지 리지와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두개의 중앙 리지를 일치시키는데 있어서, 두 조립체의 접합면 사이에 2개의 공간이 발생되고, 2개의 중앙 리지에 의해 형성된 벽으로 분리되었다. 접합면관 중앙리지에 의해 제한된 외부 환상형 공간은 용기의 외부로 열려있고, 2개의 부 조립체의 정렬이 정밀하게 완성되면, 환상형 공간의 한 부분에 금속충진재를 배치하므로 1차 용접통로가 만들어지게 한다. 2개의 부 조립체가 이런 부분 용접에 의해서 부착되면, 이것이 굳어진 후, 내부와 중앙리지 및 금속충진제의 부분을 기계 절삭에서 제거할 수 있다.
용기의 마지막 조립은 양쪽의 두환상형 공간의 전체에 금속충진재를 배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작업방법은 용기의전 주위를 걸쳐 연장하는 큰 환상형 리지의 빈틈없는 공차로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두 부조립체가 함께 가져올때, 동시에, 용기축과 두 부조립체축의 배치, 서로 서로에 과한 지지대의 중심설정, 서로 서로에 관한 두 부 조립체의 정밀한 배향을 완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회전 대칭인 두 부조립체로부터 구성되고, 원자로 용기의 위치결정요소를 부여하도록 조립및 기계가공 되어있어 회전 대칭축과 직각인 2평면 내에 환상접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면 전 주위에 걸쳐 연장하는 조립체 리지가 있는, 회전 대칭성을 가진 2개의 부 조립체로 구성된 원자로 용기의 최종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방법은 부조립체의 축과 수평으로, 거기에 대향하는 접합면으로 상기 부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과 접촉리지로 형성된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공간의 하나가 용기의 내부로 열려 있으며, 나머지 한 공간이 용기의 전 주위를 걸쳐 외부로 열려 있는 2개의 환상형 공간을 접합면 사이에 경계로 상기 리지를 접촉시키고 일치시키는 것관, 초기에 상기 공간의 하나에 금속충진재의 부착으로 상기 부조립체를 용접하는 것과, 리지와 부착된 금속의 부분을 가공해서 제거하는 것과, 마지막으로 접합면 사이에 있는 환상형 공간에 금속충진재의 부착으로 부조립체를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은 또한 부조립체 하나의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3개의 암 센터링스텁을 환상형 공간 하나의 수준에 제공하는것, 즉 용기의 주변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암 스텁의 각개가 스텁의 외부 표면에 대해 오목한 관련 시이트(seat)를 가지고, 다른 부조립체의 접합면에 적어도 3개의 수 센터링스텁과, 암스텁의 시이트의 모형, 크기 및 위치에 일치하는 모형, 크기 및 위치와, 용기의 내부시설용 기구 위치에 대해 정밀한 방법으로 결합된 위치에 있는 수 임암스텁과, 방사적으로 향한 키홈을 제공하는 수 및 암스텁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과, 상호 관련된 부조립체의 센터링, 축방향 배치 및 방위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상기 리지를 접촉할때 암스텁의 시이트에 상기 스텁을 삽입하는 것과, 부 조립체의 상호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부 조립체를 부착하고 방위 측정해서 얻어진 스텁의 쌍에 의해 제공된 홈속으로 키를 삽입시키는 것과, 환상형 공간에 금속 충진재를 채우기전에 점용접에 의해 스텁을 서로 부착시키는 것관, 점 용접후, 리지를 제거할때와 상기 환상형 공간을 금속충진재로 완전히 채우기 전에 기계절삭에 의해 수 및 암스텁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측부 조립체와 하측부 조립체로 형성된 가압수로 용기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방법의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도에서 용기는 2개의 부조립체(1), (8)사이의 최종 접합이 행해진후, 완성된 상태하에서도 시되었다. 상측 부 조립체(1)는 여러 원형부분으로 형성되고, 용기 축(16)에 수직인 접합면을 따라 함께 용접되었다. 상측 부 조립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용기 프랜지(2)와 1차 유체를 위한 유출 파이프의 파이프 연결부(4)를 가진 관 지지체(3)이다. 과 지지체(3)의 하단은 하측 부 조립체(8)에 용접해서 조립하게 하는 접합면(6)을 제공하기 위해 기계절삭되고, 그리고 그것은 상단에 접합면(10)이 제공된 중심관 요소(9)와 하측과요소(11) 및 구형 단부캡(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부조립체(1)에 행한 기계절삭 작업중, 키홈(13)은, 용기(2)내에 삽압될 용기의 내부 기기체 안내하기 우해 용기 프랜지(2)에 형성된다.
하측 부 조립체(8)는 하부 관요소(11)의 하단의 내부에 상기 내부기기를 인도하기 위해(14)와 같은 지지체를 구성하고 있다. 구형 단부캡(12)은 과통형 장치통로(15)로 관통되는데, 그로인해 용기가 조립될때나 조립작업후에 수직방향으로 정밀한 위치 및 방위가 보장된다.
제1도에 보여진 것과 같이, 용기가 조립될때, 지지체(14)의 축은용기 프랜지에 형성한 키홈(13)의 축관 완전치 일치된다. 용기가 수리중일때, 수직인 용기축(16)은 2개의 부조립체(1)과 (8)에 공통인 대칭축이다. 부조립체(1)과 (8)의 조립에 영향을 주기 위해, 마지막 조인트(17)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서나 종전 방법에 따라서 2개의 접합면(6)과 (10)사이에 배치된 환상형 요홈부에 금속 충진재를 배치해서 제조되는데, 용기의 축(16)은 이런 작업중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2도에서, 중심과요소(9)의 상단에 장치된 하부 접합면(10)은 환상형 리지(20)이 제공되며, 이 리지는 하측 부 조립체(8)을 기계절삭 할때에, 용기의 전주위걸쳐 형성된다.
제2도와 제3도를 동시에 고려해보면, 상측 부 조립체(1)는 접합면(6)에서 종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위에 리지(20)과 일치하는 환상형 리지(21)가 기계절삭되어 형성되어 있다. 리지(21)는 2개의 부조립체가 함께 있을때, 환상형 공간(24)와 (25)사이의 연속적인 벽을 형성하기 위해, 리지(20)와 부착하는데, 그 공간의 내부는 금속충진재가 조립중에 배치될 것이다.
제2도와 제3도는 또한 상측 부조립체(1)가 용기축(16)에 과해 용기의 회전을 고려해서, 용기의 0도 270도, 180도 및 90도의 위치에 각각 위치되는 (제2도의 단면에 보여진 것과 같이)적어도 3개, 더 적합하게는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암 돌출부 혹은 스텁(26), (27), (28), (29)를 접합면(6)상에 구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3도에 도시된 스텁(28)은 접합면상에서 연장하는 돌출부(30)와 리지(20)과 (21)사이의 접합면의 수준에서 리베이트나 시이트(31)을 포함하고 있다.
방사형으로된 키홈(32)은 암스텁(28)에 형성되나, 암스텁(26), (27) 및 (29)는 그런 키홈이 없다. 하측부 조립체(8)는 또한 상단에, 즉 중심관 요소(9)의 상단에, 중심조정의 센터링 스텁(36), (37), (38) 및 (39)를 구성한다.
제3도에 보여진 것과 같이 수 센터링 스텁(38)은 키홈을 가지나 센터링 스텁(36), (37), (39)에는 그런 키홈이 없다.
수나 암스텁의 각각은 용기 주위의 짧은 길이로 연장되고, 밀러리이머에 장치해서 형성된다. 이런 스텁은 원통형이고, 용기의 내부기기를 위치하도록 구조물에 관해 집중되었는데, 즉 용기 플랜지(2)의 내부기기용의 키홈(13)의 축선 또는 하부관 요소(11)의 내부 기기용의 지지체(14)의 축선에 대하여 중심 설정되어있다. 더우기, 수 스텁의 모형관 크기는 암스텁을 대응하는데 있어서 시이트나 리베이트의 모형과 크기에 대응한다. 이런 방법으로, 부 조립체를 함께 가져올때. 수 스텁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암스텁의 시이트에 위치한다. 접합면, 리지, 센터링 스텁들의 기계절삭이 일단 이뤄지면, 각각의 부조립체(1), (8)를 서로 다른것의 연장 선상에 위치시킨 회전대상의 소정위치에 장착하고, 수평으로된 대칭축선의 주위로 상기 회전대에 의해 회전시킨다. 하측 부 조립체(8)은 회전대상에 위치되고, 그의 대칭축에 관해 회전시키고, 수 스텁(38)에 형성된 키홈(40)축선이 부조립체의 하부에 수직이 되도록한다.
하측 부조립체의 수센터링 스텁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그의 암 센터링스텁을 위치하도록 앞서 예비된 상측부 조립체에 주의가 요한다. 그것은 수스텁을 암스텁의 시이트와 맞물리게 해서 2개의 부 조립체를 함께 가져오게하는 위치 크레인을 사용해서, 암센터링 스텁의 위치가 실제로 하측 부조립체의 수 센터링 스텁 위치와 대응하도록 앞서 배치된다.
2개의 부 조립체를 조립하기전에, 상측 부 조립체(1)의 플랜지(2)하방의 소정위치에 로울러가 위치되도록 상측 조립체(1)지지용의 회전대를 조절해 놓는다.
다음에 조립하는 각요소가 타원형을 이루는 일이 있는 점을 고려하여 하부 조립체(8)지지용의 회전대를 조정한다.
스텁을 함께 가져오는 동안, 수스텁(36)은 암스텁(26)에 위치하고, 수스텁(37)은 암스텁(27)과 위치, 수스텁(38)은 암스텁(28)과 수스텁(39)는 암스텁(29)과 위치한다.
관측관이 용기의 내부 기기의 내부 지지체(14)에 의해 정의된 축과 용기의 상측 부조립체(1)의 레벨에 형성된 키홈의 축 사이의 일치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2개의 부조립체의 위치가 축의 정렬과, 2개의 부조립체의 센터링 및 그들의 배향에 관하여 동시에 점검되게한다.
암스텁내에서 수스텁의 결합및 2개의 부조립체의 위치설정후, 스텁(28)과 (38)에 배치된 2개의 키홈은 키이(32)와 (40)에 의해 형성된 홈속에 키(45)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될 것이다. 이러한 부조립체들축의 배향에 관한한, 키(45)는 적소에 2개의 부 조립체를 유지한다. 식별표가 그때 용기의 3점에 위치하는데, 하나는 용기의 하부에, 다른 하나는 마지막 죠인트의 지대에, 나머지 하나는 용기 플랜지에 위치한다.
관측관의 도움으로, 용기에 영향을 주는 어떤 가능한 정렬 결함을 찾아내서, 상응하는 수와 암스텁의 표면 사이에서 완전한 접촉을 할 수 있게하는 잭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부조립체(1, 8)를 이동시켜 이런정렬 결점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로에 관한 부조립체의 완전한 위치설정이 달성되는데, 즉 정렬과 센터링과 용기의 축에 관한 방위에 관하여 달성되며, 이것은 용기내에 배치된 위치 설정부품과 센터링에 관해서 정확하게 한정되는 위치에서 기계절삭에 의해 형성한 센터링 스텁에 의해서이다.
다음에 점용접에 의해 수 스텁(36-39)와 암스텁(26-29)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고, 관측관을 사용하면, 두개의 부조립체의 정렬이 훨씬 낫다는 것을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것과같이, 외부 환상형 공간(24)내에 금속충진재의 배치를 할 수 있다. 리지(20)과 (21)에 접한 환상형 공간(24)의 하부에 금속충진재(46)의 부분적인 배치는 두개의 부조립체가 서로에 관하여 최종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수및 암 센터 링 스텁이 다음에 기계절삭과 용기 내부의 작업으로 인해서 제거된다. 같은 기계절삭중, 리지(20), (21)및 안치된 금속(46)의 일부분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과적으로 제거되고, 거기에서 제거된 스텁은 안치된 금속(46)과 같은 가로로 그어진 단면적으로 나타난다. 두개의 부 조립체의 조립은 그때금속충진재(47)로 그들을 완전히 채우기 위해 환상형 공간(24)과 (25)내에 금속충진재을 안치하므로 완성된다. 접합지대는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든 용접 작업중 미리 가열한다.
공간(24)를 채우는데 관하여, 용접작업이 용기의 외부에서 행해지고, 환상형 공간(25)을 채우는데 대해서는 용기의 내부에서 용접작업이 행해진다. 조립작업은 스테인레스 스틸의 피복물(50)을 용기의 내부에 용접을 해서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에 설명된 방법의 이득의 하나는 중심 조정요의 수스텁(36-39) 및 암스텁(26-29)에 의해 대체로 1회의 작업으로서 용기를 형성하는 2개의 부 조립체의 완전한 배치인 사실상 단순한 작업으로 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용기의 전 주의에 근소한 부분만을 점유하는 스텁들의 기계가공에 의해 조립이 이뤄지므로 기계가공이 더 쉽게하는 것외에 두 부조립체의 결합단들의 어떤 다른 기계가공도 요구되지 않는다.
스텁(26-29), (36-39)의 기계절삭은 부조립체(1, 8)의 내부 기계절삭시에 실시되고 용기의 내부 기기의 안내, 지지 요소의 축선상에 극히 쉽게 스텁(26-29, 36-39)을 맞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암과 수 센터링 스텁을, 즉 2개의 부 조립체를 동시에 단단히 일시적으로 부착시키는 키에 의해 용기축에 관한 2개의 부조립체의 상호 배양에 관한한, 배향에 대한 위치결정의 결함이 방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여러가지 변형을 허용한다.
예를들면 두 부조립체의 접합면에 스텁을 제공하므로 부조립체의 가공과 다른 작업에서 센터링 스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부조립체의 배치와, 센터링과, 다른 부조립체에 대한 방위에 관하여 극히 정밀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부조립체를 위치하기 위해 수스텁이 암스텁과 맞물릴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스텁을 고려하는 것은 좋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가압수로 용기의 제조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원자로 용기의 제조에도 같이 적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제조는 용기축에 대한 회전 대칭을 가진 두 부조립체의 예비조립을 요한다.

Claims (1)

  1. 회전축을 가진 2개의 부 조립체로 구성된 원자로 용기의 최종 조립방법에 있어서, 대면하는 접합면(6)으로 부조립체(1, 8)를 배치하여 접촉리지(20, 21)로 형성된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공간의 하나(25)가 용기의 내부로 열려 있으며, 나머지 한 공간(24)이 상기의 전 주위를 걸쳐 외부로 열려있는 2개의 환상형 공간을 상기접합면 사이의 경계로 리지를 접촉하고 일치시키는 것과, 초기에 공간의 하나에 금속 충진재의 부착으로 부조립체를 용접하는 것과, 리지와 상기 부착된 금속의 부분을 기계절삭해서 제거하는 것과, 마지막으로 접합면 사이에 있는 환상형 공간에 금속 충진재의 부착으로 부조립체를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부조립체 하나의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3개의 암센터링 스텁을 환상형 공간하나의 수준에 제공하는것, 즉 상기 용기의 주변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암스텁의 각개가 상기 스텁의 외부표면에 대해 오목한 관련시이트를 가지고, 다른 부조립체의 접합면에 적어도 3개의 수 센터링 스텁과, 암텁의 시이트의 모형, 크기 및 위치에 일치하는 모형, 크기 및 위치와, 용기의 내부 기기 위치에 대해 정밀한 방법으로 고착된 위치에 있는 상기수 및 암스텁과, 방사적으로 향한 키홈을 제공하는 적어도 수 및 암스텁의 하나를 제공하는 것과
    상호 관련된 상기 부조립체의 센터링, 축방향 정렬및 배향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상기 리지를 접촉할때 상기 암스텁의 시이트에 상기 스텁을 삽입하는 것과, 부조립체의 상호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부조립체를 부착하고 방위측정해서 얻어진, 스텁의 상기 쌍에 의해 제공된 상기 홈속으로 키를 삽입시키는 것과, 리지(20, 21) 및 금속 충진재에 대한 기계절삭 작업 사이에 수스텁 및 암스텁을 기계절삭에 의해 제거시킨 후에 금속 충진재에 의해 양 환상형공간(24, 25)을 완전히 채우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원자로 용기의 최종 조립방법.
KR1019800001913A 1980-05-15 1980-05-15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KR830002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13A KR830002413B1 (ko) 1980-05-15 1980-05-15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13A KR830002413B1 (ko) 1980-05-15 1980-05-15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06A KR830003106A (ko) 1983-05-31
KR830002413B1 true KR830002413B1 (ko) 1983-10-26

Family

ID=1921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913A KR830002413B1 (ko) 1980-05-15 1980-05-15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06A (ko) 198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06361B (zh) 卡爪式液压驱动海底管道连接装置
US4847038A (en) Procedure for complete replacement of a steam generator of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US4178966A (en) Tube plug
US2758367A (en) Sheet metal fluid pressure storage vess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4878352A (en) Cryostat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830002413B1 (ko) 원자로 용기의 최종조립 방법
JPS5989896A (ja) チユ−ブ結合部の密封装置とその遠隔設置方法
JPH06344186A (ja) 二つの環状部品の電子ビーム突合せ溶接のための内部装置及び該内部装置の使用
US4948938A (en) Process for fastening a pipe by welding to a thick wall member such as a pipe-carrying shell of a nuclear reactor vessel
US4294662A (en) Process for the final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vessel
US3678556A (en) Method of making welded ball valve
KR970004418B1 (ko) 경수 원자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경수 원자로 용기
US5748689A (en) Sealing device for an instrumentation column penetrating the head of the vessel of a nuclear reactor inside an adapter
US5516999A (en) Process and device for fixing in a fluidtight manner a through tube in a dome-shaped wall of a component of a nuclear reactor
US5491316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electron beam welding of two parts of a component of large size and in particular of a steam generator of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JPH0563760B2 (ko)
CN106238860B (zh) 高温气冷堆中下堆芯壳底座中的内筒与底板焊接方法
US3891249A (en) Double plate welded outlet fitting and method of obtaining the same
JPS59192994A (ja) 制御棒駆動機構ハウジングの取替作業用水シ−ル装置
AU630602B2 (en) Tank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1039074A (ja) 原子炉圧力容器の底部ヘッド・ドーム・アセンブリ
JPH0329785A (ja) タンク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39882A (ja) 炉心スプレーシステムの取付け組立体
EP0367346B1 (en) Distributor casing for heat exchangers with corrosion-proof lining
JPS6345593A (ja) 中性子束モニタハウジ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