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00B1 -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 Google Patents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00B1
KR830002400B1 KR1019800001949A KR800001949A KR830002400B1 KR 830002400 B1 KR830002400 B1 KR 830002400B1 KR 1019800001949 A KR1019800001949 A KR 1019800001949A KR 800001949 A KR800001949 A KR 800001949A KR 830002400 B1 KR830002400 B1 KR 83000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diameter
nozzles
nozzle
cok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865A (ko
Inventor
헤인즈 스트루크 칼
쉬움 아흐너 랄프
Original Assignee
독토르 쎄 오토 운트 콤프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뢴크터 하프퉁
플카르트 바흐너바르트
파울 게른하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토르 쎄 오토 운트 콤프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뢴크터 하프퉁, 플카르트 바흐너바르트, 파울 게른하르트 filed Critical 독토르 쎄 오토 운트 콤프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뢴크터 하프퉁
Priority to KR101980000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00B1/ko
Publication of KR83000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제1도는 본관(本管)을 승수관에 연결시키며 그곳에 고정된 복수 오리피스 노즐을 지닌 곡관을 도시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의 노즐의 기저 두께가 달라서 기저부의 오리피스의 길이가 변화하는 2개의 노즐의 축을 통한 수직 단면도.
제3a도는 붙인입측면과 물배출측면위의 오리피스 단부를 도시하는 노즐의 개략 평면도.
제3b도는 7개의 오리피스가 있는 노즐을 통한 수직축 단면도.
제4도는 다르게 설계된 2개의 노즐의 다수개의 오리피스원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나를 실시예인 기져부의 하부 평면도.
본 발명은 구멍 뚫린 기저부를 지닌 도가니 형태이며 코우크스로의 본관에 승수관을 연결시키는 곡관속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액체 작동되는 복수 오리피스 노즐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노실을 본관에 연결시키는 곡관이 수 바아의 압력에서 암모니아를 지니는 액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노의 작업에서 사용될뿐 아니라, 곡관 속에 고정된 노즐을 위해 상부 가스 수집실과 승수관을 통해 본관으로 배출되는 동안 배출되는 가스를 고압을 이용하여 빼내는 노의 작업중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기 매우 간단한 노즐을 제공하고 곡관속에 이러한 노즐을 고정시켜서 가스의 상당량이 단위시간 동안 공급되고 추진제로서 작용하는 액체의 예정된 양과 예정된 고압을 사용하여 배출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한 실험에 의해서, 이러한 복수오리피스 노즐의 최적구조가 노즐 오리피스가 액체가 그들을 통과하고 노즐과 펌프에 의해서 발생되는 흐름의 지류가 본관으로의 전이부에 도달하면 굽혀진 횡단면을 완전히 채우는 방향으로 특수한 방법으로 절두체 형태를 넓히며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액체의 분출흐름이 그대로 유지되는 시린던형 오리피스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두체형 오리피스의 경우에는, 액체 흐름이 노즐을 떠난후 분쇄하여 액체가 매우 많은 양의 가스를 싣는다.
펌프에 의해서 발생된 흐름의 지류가 본관속으로 들어가는 그 하단부에서만 곡관의 총횡단면에서 채워지도록 넓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한 것은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승수관 10, 본관 11 및 곡관 12가 도시된다. 복수 오리피스노즐 13이 곡관 12의 상부벽에 위치된다. 액체는 원추부 14와 함께 노즐 13으로부터 분출한다. 오리피스는 물인입측면의 직경 dE와 물 배출측면의 직경 dA를 지닌다.
물인입측면위의 오리피스는 직경 d1의 원의 원주위에 놓이고, 즉 원이 직경 dE의 인입 오리피스에 의해서 형성된 원에 외부로 접해 있다. 물배출 측면의 원, 즉 오리피스 배출단부를 표시하는 직경 dA의 원에 외부로 접해 있는 원이 직경 d2를 지닌다.
오리피스가 원추 구멍각 γ로서 절두체 형태를 넓힌다.
상세한 실험이 하기의 값이 최대가스 이동, 즉 승수관에서 본관으로의 이동을 제공하도록 노즐에 대한 주어진 액체 인입압력이 최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물인입측면의 오리피스 직경 dE대 물배출 측면의 오리피스 직경 dA의 비율의 제곱, 즉
Figure kpo00001
이 0.4와 0.85 사이에, 특히 0.65와 0.70 사이에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비율은 오리피스의 확장을 측정하는 것이다. 오리피스의 길이에 따라, 즉 기저부의 두께에 따라 확장이 다소 가파르게 될 수 있다. 확장에 대한 측정이 넓어진 오리피스를 자른 원추의 구멍 경사각이다. 이러한 원추 구멍 경사각의 최적치는 2°와 10°사이, 특히 3°와 7°사이이다.
만약 오리피스가 원위에 배치되면, 인입측면의 오리피스의 원의 직경 d1대 배출측면의 원의 직경 d2의 비율, 즉
Figure kpo00002
가 0.5와 0.95 사이, 특히 0.8과 0.9 사이에 있다.
노즐은 다른 압력조건 또는 다른 작동조건에 적합하도록 곡관 내부에 수직 조절을 구비하기 위해 적합하다.
중심부 근처의 3개 내지 4개의 오리피스 군 또는 중심 오리피스에 부가해서, 오리피스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원에 배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의 숫자가 분사가 요구되는 액체의 양, 사용하는데 요구되는 압력 및 다른 작동변수에 따른다.
사용된 특수한 요소부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오리피스의 어떤 원의 각각의 오리피스 사이의 거리가 오리피스 직경에 대한 최적치를 지녀야 한다. 원속의 인접한 오리피스의 중심거리 a1대 액체 배출 측면의 직경 dA의 비율이 1.8 내지 2.8, 특히 2.4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제3a도와 제3b도에서 도시된 노즐의 경우와 같은 오리피스원의 숫자가 있을때 링의 오리피스 중심을 통과하는 원의 방사상 간격 a2대 액체 배출 측면의 오리피스 직경 dA의 비율, 즉
Figure kpo00003
의 비율이 1.5와 2.6 사이, 특히 2.1이다.
만약 복수 오리피스 노즐의 오리피스의 크기와 배치를 위한 지금까지의 값을 살펴보면, 단위시간당 최대 가스 배출값, 특수한 압력과 특수한 단위시간당 양으로 노즐로 인입되는 액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원통형 측면과 바닥벽을 갖는 정형요소로 구성되어 코우크스로와 상승관을 연결하는 엘보우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벽에는 인입단으로부터 배출단 쪽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확대되게끔 원추대형으로 된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어서 된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의해 발생되는 액체의 흐름이 코우크스로에 대한 엘보우의 이음부에 도달했을때 엘보우의 단면 전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게 하도록 배출단에서의 오리피스의 직경 dA에 대한 인입단에서의 오리피스의 직경 dE의 제곱비
    Figure kpo00004
    를 0.4 내지 0.85로 하고 오리피스의 확대각(γ)을 2° 내지 1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KR1019800001949A 1980-05-17 1980-05-17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KR83000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49A KR830002400B1 (ko) 1980-05-17 1980-05-17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49A KR830002400B1 (ko) 1980-05-17 1980-05-17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865A KR830002865A (ko) 1983-05-31
KR830002400B1 true KR830002400B1 (ko) 1983-10-25

Family

ID=1921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949A KR830002400B1 (ko) 1980-05-17 1980-05-17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705B2 (en) 2014-05-30 2021-08-03 Sealy Technology, Llc Spring core with integrated cushioning layer
EP3389450B1 (en) 2015-12-17 2024-03-06 Sealy Technology, LLC Coil-in-coil spring with variable loading response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EP3405073B1 (en) 2016-01-21 2021-03-10 Sealy Technology, LLC Coil-in-coil springs with non-linear loading response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865A (ko) 198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45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hammer in high pressure steam injection water heaters
EP0729561A4 (en) BALL TRAP
US4880451A (en) Gas/liquid contacting apparatus
KR830002400B1 (ko) 코우크스로의 복수 오리피스 노즐
US3106526A (en) Sand and gas deflector for oil well pumps
EP0068316A3 (en) Filter distribution nozzle
US4299356A (en) Spray nozzle for coke oven gas-collecting system
DK159380B (da) Aerosolgenerator
CA1170609A (en) Multi-orifice static pump for coke ovens
KR830008094A (ko) 증기라인 등의 응축수 제거장치
DE722041C (de) Rohrartige Vorrichtung zum Ausscheiden von Fluessigkeiten aus Gasen oder Gasgemischen durch Fliehkraft
WO2015057109A1 (en) A multicomponent mixture separation device and a nozzle channel for the same
DE7823070U1 (de) Duese zum ausstossen von fluessigkeit
KR840000650B1 (ko) 코우크스로용 복수오리피스 노즐
US4671741A (en) Pipe for elevating liquids through successively arranged accumulating and communicating portions, and device provided therewith
US1029236A (en) Carbonator.
US3061993A (en) Gas purifying apparatus
US1849798A (en) Barometric condenser
SU1678424A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GB1415661A (en) Dis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form a container
US2136304A (en) Steam jet
RU20154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воздуха
JPS5745313A (en) Vertical prescreen
AT77080B (de) Düse zur Umsetzung von Geschwindigkeit in Druck.
DE651094C (de) Fliehkraftstaubabsche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