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62B1 -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 Google Patents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62B1
KR830002262B1 KR1019790000291A KR790000291A KR830002262B1 KR 830002262 B1 KR830002262 B1 KR 830002262B1 KR 1019790000291 A KR1019790000291 A KR 1019790000291A KR 790000291 A KR790000291 A KR 790000291A KR 830002262 B1 KR830002262 B1 KR 83000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am member
carrier
ar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스께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고오스께 야마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스께 야마모도 filed Critical 고오스께 야마모도
Priority to KR101979000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간절단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2도는 그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일부를 절개한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선 종단측면도.
제5도는 캠부재의 이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가상선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의 VI-VI선 커터 반송대의 확대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장척(長尺)의 절단 재(材)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절단장치는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는 장척의 피절단재를 정해진 길이에 달한 시점에서 작동자(作動子)를 플런저 해머(plunger hammer) 등으로 작동시켜서 일거에 절단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절단장치는 소음이 많은 결점을 지녔고, 절단면에 버어(burr)가 나와 정확하고 미려한 절단면을 얻을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이 없는 절단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간(走間) 절단장치는 전체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대(基台)(1)는 중앙의 길이방향에 따라 직선적으로 뚫어진 절구(切溝)(2)에 의해 2등분된 기판(3)과, 그 기판(3)의 주연부에 입설된 6개의 지주(4)에 의해서 상기한 기판(3)에서 거의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지지된 상판(5)과, 기판(3)을 각부재(脚部材)(6) 및 상기한 절구(2)의 하방에 절결부(7')를 가지는 양부재(梁部材)(7)로 지지하는 저판(8) 등으로 대략 구성되고, 상기한 기판(3) 위에는 절구(2)의 양측연부(9), (10)에 따라 평행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안내부재(11), (12) 그리고 다수의 소경(小徑)의 로울러 베어링(13)에 의해 안내되는 커터반송대(Cutter 搬送台)(14)가 절구(2) 위를 활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커터 반송대(14)의 저면에는 접합부재(15)가 절구(2) 및 상기한 양부재(7)의 절결부(7') 내에 돌출되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접합부재(15)에, 기대(1)의 곁에 설치된 실린더(16)의 피스톤(17)이 연결부재((18)를 통하여 관절형태로 연결되며, 절결부(7') 내에서 피스톤(17)의 왕복동작에 의해 커터 반송대(14)가 기판(3) 위를 왕복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커터반송대(14)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커터(19)로서 커터(19)로서 피절단제(S)에 대한 절단동작을 하게 하는 카터 작동자(20)가 커터 반송대(14)에 장설되어 있으며, 이 커터 작동자(20)는 그 상단에 축지시킨 로울러(21)를 갖추고, 그 로울러(21)의 피절단제(S)의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의 압압으로 커터 작동자(20)가 이동하여 상기한 커터(19)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터 반송대(14)에는 후술하는 캠부재 이동기구를 작동하는 충접면(衝接面)(22a),(22b)(제5도참조)을 갖춘 충접자(22)가 커터 반송대(14)의 측면에 옆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판(5)의 하면에는, 로울러(21)가 대접하여 커터 작동자(20)를 수직이동시키는 캠면(23)을 가지는 캠부재(24)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캠부재(24)는 커터 반송대(14)의 이송방향에 따라 연장된 단면에 사각형의 봉상재(俸狀材)로 되어 있고, 그 하면의 상기한 캠면(23)은, 캠부재(24)의 양단부(25), (26)를 깍아내어 커터 반송대(14)의 이송방향으로 기판(3)의 상면과의 수직방향의 거리가 서시히 짧아지도록 캠면(23)의 시단(27)에서 종단(28)에 걸쳐 레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왕복동작을 하는 커터 반송대(14)가 이동하는 구간에 있어 로울러(21)가 캠면(23)에 대접되어 서서히 압압됨에 따라 제1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되고 커터(19)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울러(21)와 캠면(23)과의 대접관계는 캠면(23)의 시단(27)에서 종단(28)에 이르는 구간에서만 있게 되며 캠부재(24)의 양단부(25), (26)에 있어서는 상기한 대접관계는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캠부재(24)는 그 양단부(25), (26)에 있어서 상판(5)의 하면 양단 근방에 각각 설치된 지지틀(29), (30)에 의해 상판(5)의 하면에 밀접하도록, 그리고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캠부재(24)의 양단부(25), (26)에는 캠부재(24)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측방을 향하여 접합돌편(31a),(31b)(제5도 참조)이 각각 돌설되어 있다.
다음에는 캠부재(24)의 이동기구에 대하여 가상선 평면도로 나타내는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판(3) 및 상판(5) 사이에는 이 양판의 길이 방향의 한쪽기판(3') 및 상판(5')에 근접하고 또 상기한 캠부재(24)의 양단부(25), (26)의 각각의 측방위치에, 회동축(32a), (32b)이 기판(3)에 설치된 축받이(33a)(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부호 33b의 대칭적인 위치에 있으므로 생략됨)(33b)와 상판(5)에 설치된 축받이(34a),(34b)(제2도 참조)와의 사이에 각각 하부축통(軸筒)(35a)(제3,4도에 나타낸 35b의 대칭위치에 있으므로 생략됨)(35b) 그리고 상부축통(36a), (36b)를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수직으로 축지되어 있고, 상기한 상부축통(36a), (36b)에는 각각 아암편(腕片)(37a), (37b)의 기단(基端)이 고착되어 이 아암편(37a), (37b)는 각각 핀(38a), (38b), (39a), (39b)에 의해 연결핀(40a), (40b)를 통해 각각 캠부재(24)의 접합돌편(31a)(31b)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아암편(37a), (37b)과 연결핀(40a), (40b)를 통해 각각 추착(樞着)하는 핀(38a), (38b)는 상기 상판(5)에 설치된 호상(弧狀)의 절구(41a), (41b)(제2도 참조)를 관통하여 상판(5)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그 돌단(38'a), (38'b)(제2도 및 제3도 참조)과 상기한 축받이(34a), (34b)의 위치와 관련해서 핀(38a), (38b)과는 반대쪽으로 상판(5) 상에 각각 돌설된 걸음핀(42a), (42b) 사이에 축받이(34a), (34b) 위를 가로질러 각각 코일스프링(43a), (43b)이 교가(橋架)되어 있다.
또 하부축통(35a)(35b)에는 아암편(44a), (44b)(제3도 및 제4도 참조)의 기판이 각각 고착되어 그 아암(44a), (44b)의 선단에는 전술하는 커터 반송대(14)의 충접자(22)에 충접하는 로울러(45a), (45b)가 각각 추축(樞着)되고, 또한 상기한 양 아암편(44a), (44b) 사이에는 이 아암편(44a), (44b)으 대략 중앙부를 있는 핀(46a), (46b)으로 연결간이 연결되어 있다.
상술된 구성에 의해 충접자(22)가 로울러(45a), (45b)의 어느 한쪽에 어느 한쪽에 충접하여 아암편(44a), (44b)의 어느 한쪽을 회동하면, 상기한 회동축(32a), (32b)이 동시에 회동하고, 따라서 아암편(37a), (37b)이 회동하며, 캠부재(24)가 지지틀(29), (30)에 의해 안내되어 제5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제1의 위치 및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제2의 위치 사이를 평행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커터 반송대(14)의 구성은 제6도 및 제7도에 그 확대 단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고정칼날(48), (49) 사이에 협설된 가동칼날(50)로서 커터(19)가 설치되고, 상기한 제1의 고정칼날(48)의 중앙부에는 피절단재(S)를 자유롭게 관통시키도록 그 피절단재(S)의 단면 형성에 따른 형상의 투공(51)이 설치되며 제2의 고정칼날(49)의 외형 형상은 상기한 제1의 고정칼날(48)과 거의 동일하나 중앙부분에 절결부(52)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칼날(50)은 거의 45°방향으로 향하는 직선상을 이루는 제1, 제2, 제3, 제4의 연부(d1), (d2), (d3), (d4)를 가지며 그 평행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연부(d1) 및 (d2)가 가이브부재(53), (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한 가동칼날(50)은 제6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비스듬이 45°방향으로 접동자재 하게 양 고정칼날(48), (49)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비스듬한 아래쪽의 상기한 제3의 연부(d3)에는 코일스프링(55)에 의하여 제6도상의 후방향으로 가동칼날(50)을 비스듬히 윗쪽으로 압압하는 3각형 모양의 압압판(56)이 충접되어 있으며, 제3의 연부(d3)에 평행한 비스듬한 윗쪽의 제4의 연부(d4)에는 상기한 커터 작동자(20)의 45°방향으로 형성된 비스듬한 아래쪽의 연부(57)가 충접되어 있다.
커터 작동자(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에 로울러(21)를 축(58)으로 회동 자대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하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커터 반송대(14)에 장설되어 있다. 가동칼날(50)의 중앙부에는 피절단재(S)의 단면형상과 동일형상의 칼끝을 가진 투공(59)이 설치되어 로울러(21)에 하향 압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양투공(51), (59)는 거의 일치된 위치에 있으며, 피절단재(S)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나 로울러(21)에 하향 압압력이 가해지면 커터 작동자(20)는 아래로 접동하며 따라서 그 연부(57)가 가동칼날(50)의 비스듬한 윗쪽의 제4의 연부(d4)를 압압하고 양연부(d4)(57)은 서로 접동관계를 유지하면서 가동칼날(50)이 비스듬히 아래로 접동하며, 거기에 따라 제3의 연부(d3) 및 압압판(56)은 동일하게 서로 접동관게를 가지면서 압압판(56)이 코일스프링(55)에 항거하여 후퇴하고, 가동판(50)의 투공(59)이 제6도의 가상선의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그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양 투공(51), (59)을 관통하는 피절단재(S)는 상기 제1의 고정칼날(48)과 가동칼날(50) 사이에서 절단된다.
로울러(21)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55)의 복귀력에 의하여 가동칼날(50)이 비스듬히 윗쪽으로 복귀하는 동시에 커터 작동자(20)를 윗쪽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이 본 발명에 의한 주간절단장치의 일예이며 다음에 장치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커터 반송대(14)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고, 장척의 피절단재(S)는 도면의 우방에서 좌방으로 향하여 커터(19)를 관통 이송되어 간다.
상기한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하여 피스톤(17)이 커터반송대(14)를 도면의 우방에서 좌방으로 이송하고 커터 작동자(20)의 로울러(21)가 캠부재(24)의 캠면(23)의 시단(27)에 대접하며, 동시에 커터 반송대(14)는 피절단재(S)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진행하고 그 진행에 따라 로울러(21)가 서서히 하측으로 압압되므로 피절단재(S)는 로울러(21)가 캠면(23)의 종단(28)에 이르기까지 커터(19)에 의해 서서히 절단되며 로울러(21)가 캠면(23)과의 충접(衝接)이 해방됨과 동시에 커터 반송대(14)의 충접자(22)의 한쪽 충접면(22a)이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위치에 있는 로울러(45a)에 충접되어 아암편(44a)을 회동시킬때 연결간(47)에 의해 연결된 아암편(44b)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양 회동축(32a), (32b)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따라서 아암편(37a), (37b)도 코일 스프링(43a), (43b)를 당기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코일스프링(43a), (43b)의 사점(死點)을 지나면 이 코일 스프링(43a), (43b)의 복귀력에 의해 급속하게 회전하여 제5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제2의 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캠부재(24)가 제1의 위치에서 제2의 위치로 평행하게 이동하여 평면도에서 본 로울러(21)의 이동 궤적내에서 배제될때 피스톤(17)의 동작이 정지하고 이어서 커터 반송대(14)를 급속히 후퇴시켜서 원위치까지나, 상기한 복귀시키 바와 같이 캠부재(24)는 제2의 위치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로울러(21)에 대해서는 비 접촉상태이다. 커터 반송대(14)가 원위치 근방까지 복귀하며 그 충접자(22)의 다른쪽 충접면(22b)이 제2의 위치에 있는 로울러(45b)에 충접하여 아암편(44b) 및 아암편(44a)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전술한 것과는 반대의 동작으로 캠부재(24)는 제1의 위치로 복귀하고, 재차 피스톤(17)의동작에 의하여 커터반송대(14)가 진행되고 전술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피절단재(S)를 연속적으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1예 구성에 의하면 일정 속도로 이송되고 있는 피절단재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일정길이로 절단할 수 있으며 또 왕복동작을 하는 커터 반송대 위에 설치된 커터 작동자가 그 왕구간(往區間)에서 그 이송에 따라 캠면에 의해 서서히 피절단재 방향으로 작동되므로 피절단재의 절단면을 정확하고 미려하게 만들 수 있다.
또 전체의 구성이 간편하고, 소음이 적은 점 등의 큰 특징을 갖는다.

Claims (1)

  1. 피절단재(S)의 이송방향으로 또는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안재부재(11), (12)에 의해 안내되어 왕복동작하도록 기대(1)에 설치된 커터 반송대(14)와, 이 커터 반송대(14)에 연결되어 커터 반송대(14)를 왕복동작시키는 피스톤(17)과, 피절단재(S)를 절단하기 위해 커터 반송대(14)에 설치된 커터(19), 와 커터(19)에 의해 피절단재(S)를 절단시키기 위한 커터 반송대(14)에 설치된 커터 작동자(20)와, 상기한 커터 작동자(20)에 설치된 러울러(21)와, 제1충접면(22a) 및 제2충접면(22b)을 가지고 커터 반송대(14)에 장가된 충접자(22)와, 상기한 커터반송대(14)가 왕복동작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하는 한편 그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1 및 제2의 위치간에 이동자재로 상기한 기대에 설치된 캠부재(24)와, 이 캠부재(24)를 제1 및 제2의 위치간에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캠부재(24)는, 그 연장방향의 제1의 단부(25)와 제2의 단부(26)를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한 커터 반송대(14)가 왕(往)의 동작을 하는 동안에 상기한 로울러가 대접하는 캠면(23)을 가지고, 상기한 커터 반송대(14)에 장가해 있는 커터(19) 및 커터작동자(20)는, 커터 반송대(14)의 왕을 가지고, 상기한 커터 반송대(14)에 장가해 있는 커터(19) 및 커터작동자(20)는, 커터 반송대(14)의 왕(往) 및 복(復)의 동작의 종단구간에서 상기한 로울러(21)가 캠부재(24)의 제1 및 제2의 단부와 근접대향에 있는 위치를 유지하는 한편 커터 반송대(14)의 왕(往)의 동작의 상기 종단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로울러(21)가 캠부재(24)의 캠면(23)에 대접하도록 제3의 스프링(55)에 의해 편의되며, 상기한 이동기구는, 상기기대(1)에 캠부재(24)의 제1의 단부(2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동자재로 추착(樞着)되는 한편 일단에 커터 반송대(14)가 왕의 동작의 종단구간에 들어간 후 충접자(22)의 제1의 충접면(22a)이 충접하는 제1의 대접자(45a)를 설치하고, 타단을 캠부재의 제1단부(25)에 회동자재로 추착하고 있는 제1아암편(37a,44a)과, 상기 기대(1)에 캠부재의 제2의 단부(2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동자재로 추착되는 한편, 일단에 커터반송대(14)가 복의 동작의 종단구간에 들어간 후 상기한 충접자의 제2의 충접면(22b)이 충접하는 제2의 대접자(45b)를 설치하고 타단을 캠부재의 제2의 단부(26)에 회동자재로 추착되고 있는 제2의 아암편(37b, 44b)과, 상기한 커터 반송대가 왕의 동작의 종단구간에 들어간 후 제1의 대접자(45a)에 충접자(22)의 제1의 충접면(22a)이 충접하도록 제1의 아암편(37a, 44a)을 회동편의시켜 캠부재(24)를 제1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한편 커터반송대가 충접자의 제1의 충접면(22a)을 제1의 대접자(45a)에 충접시키면서 왕의 동작의 종단으로 향하는 것에 의해 제1의 아암편(37a, 44a)이 예정의 각도만큼 회동한 때 그 회동방향의 회동을 조성(助成)하도록 제1의 아암편(37a, 44a)을 회동편의시켜서 캠부재(24)를 제2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제1의 아암편(37a, 44a)과 기대(1)와 사이에 설치시킨 제1의 스프링(43a)과, 상기한 커터 반송대가 복의 동작의 종단구간에 들어간 후 상기한 제2의 대접자(45b)에 충접자의 제2의 충접면(22b)이 충접하도록 제2의 아암편(37b, 44b)을 회동편의시켜서 캠부재(24)를 제1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한편 커터 반송대(14)가 충접자(22)의 제2의 충접면(22b)을 제2의 대접자(45b)에 충접시키면서 복의 동작의 종단으로 향함으로써 제2의 아암편(37b, 44b)이 예정의 각도만큼 회동한때 그 회동방향의 회동을 조성하도록 상기한 제2의 아암편(37b,44b)을 회동편의시켜서 캠부재(24)를 제2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제2의 아암편(37b, 44b)과 상기기대(1)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2의 스프링(43b)과, 상기한 제1의 아암편(37a, 44a)과 제2의 아암편(37b, 44b)과의 회동을 상호전달하도록 상기한 제1의 아암편(37a, 44a)과 제2의 아암편(37b, 44b)과의 사이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간(47) 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절단장치.
KR1019790000291A 1979-02-01 1979-02-01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KR83000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291A KR830002262B1 (ko) 1979-02-01 1979-02-01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291A KR830002262B1 (ko) 1979-02-01 1979-02-01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262B1 true KR830002262B1 (ko) 1983-10-21

Family

ID=1921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291A KR830002262B1 (ko) 1979-02-01 1979-02-01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7289A (en) Round corner cutting machine for record cards
US4034689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braided openings in cuts of articles of clothing
KR830002262B1 (ko) 주간절단장치(走間切斷裝置)
US4064920A (en) Tenon cutting machine with cutting head
US7198593B2 (en) Cutting unit for cutting blanks for collars of rigid cigarette packets
US4141307A (en) Thread cut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3184158A (en) Garment cutting machine and method
US3058379A (en) Plate shearing machines
US2568961A (en) Sheet material cutting device
JP2007160422A (ja) 工作装置
US5129436A (en)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edges
US3257907A (en) Shaping apparatus of the pantographic-type
CN111940849A (zh) 一种旋切及平切同步切割机构
JPS585131B2 (ja) 走間切断装置
JPS6347565B2 (ko)
JPS6315033Y2 (ko)
RU204176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езки облоя
KR100585520B1 (ko) 목재패널의 수직모서리 커팅장치
US2495659A (en) Machine for die-cutting paper
KR200340062Y1 (ko) 목재패널의 수직모서리 커팅장치
JP4158209B2 (ja) フープ材カッター用ホッパー
SU1502302A1 (ru) Лини изготовлени короткомерной пилопродукции
JPH0212018Y2 (ko)
SU349499A1 (ru) Ножницы дл резк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513703U (ja) フインガジヨイントの切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