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15Y1 -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15Y1
KR830002215Y1 KR2019820004889U KR820004889U KR830002215Y1 KR 830002215 Y1 KR830002215 Y1 KR 830002215Y1 KR 2019820004889 U KR2019820004889 U KR 2019820004889U KR 820004889 U KR820004889 U KR 820004889U KR 830002215 Y1 KR830002215 Y1 KR 830002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eed
cam
feed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산다
이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산다, 이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산다
Priority to KR2019820004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B23Q5/323Feeding working-spindles cam-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6Feeding working 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주요 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주축 전후진 관계도.
제6도는 종래 자동반의 주축 이송 개략도.
본 고안은 자동선반의 베드에 이송레바 장치를 부착해서 주축대 이송거리를 캠 상승량(혹은 하강량)의 1/3까지 줄여 주축대 이송거리 오차를 최소한으로 작게 함으로서 부품의 길이방향 정도를 3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선반은(이하 제6도 참조)로울러 C(37)가 거리만큼 캠 상승(혹은 하강)하면 중심축(38)을 지정으로 하여 로울러 D(42)가 L만큼 전진(혹은 후퇴)함과 동시에 주축대(41)도 같은 거리만큼 전진(혹은 후퇴)하게 된다.
그러므로 캠의 제작오차가 0.01L일 경우 주축대 이동량에서도 캠(40)의 상승(혹은 하강오차)와 같은 0.01L이 발생하게 되어 캠의 제작 정도 이상으로 제품의 길이방향 정도를 기대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는 첨부도면 제1-3도 참조)
붓슈 A, B(30,31)가 억지끼움된 이송레바(2)는 이송브라켓(1)에 조립되어 레바축(5)을 중심으로 R방향(혹은 Q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브라켓(1) 더브레일면상에는 면깍기(4)가 삽입되어 이송슬라이드(3)가 전후로 슬라이딩하고 이송브라켓(1) 상단 중앙에 위치한 스프링걸이(9)에 걸린 인장스프링(21)은 캠축(33)에 채워진 캠(34)의 상승시 P방향으로 밀려난 이송슬라이드(3)가 캠 하강시 원위치(0방향)로 되돌아 오도록 당겨준다.
이송레바(2)상단은 로울러핀(10)에 로울러 A(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고, 이송레바(2) 우측에는 로울러축(12)과 로울러 칼라(13)에 로울러 B(14)가 회전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로울러 B(14)는 이송볼트(17)와 핀맞춤으로 놉브 A(16)를 돌려 눈금판(15)에 표시된 위치 1에서 3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이송슬라이드(3) 상에는 캠(34)과 접촉하고 있는 종동자(20)가 고착되어 있고, 로울러 A(11)와 접촉하는 접촉면(18)이 고정핀(19)에 의해 이송슬라이드(3)상에 고정되어 있다.
T형 씨트(6)에 볼트 체결된 접촉판(7)이 주축대(35) 후미에 육각볼트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플레이트, (22) 스토파 접촉면, (23) 스토파볼트. (24) 놉브 B, (25) 칼라, (26) 조정나사, (27) 스프링훅크, (28) 베드, (29)브래킷 고정핀, (32) 면깍기 고정핀, (36) 주축스프링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캠축(33)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축(33)에 고정된 캠(34)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종동자(20)가 캠(34)의 상승부를 탈 경우 이송슬라이드(3)는 P방향으로 후진한다.
이 후진력은 이송레바(2)의 로울러 A(11)를 밀어주고, 이 로울러(11)는 레바축(5)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Q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송레바(2)홈에 삽입된 로울러 B(14)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주축대(35) 후미에 고착된 접촉판(7)을 밀어 주축대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종동자(20)가 캠(34)의 하강부를 탈 경우 이송슬라이드(3)는 인장스프링(21)의 힘에 의해 캠축(33)쪽(0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며 주축대(35)는 주축대 후미에 달린 스프링(36)의 힘에 의해 후퇴한다.
이와 동시에 접촉판(7)과 접촉하고 있는 로울러 B(14), 접촉면(18)과 접촉하고 있는 로울러 A(11)는 레바축(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회전방향 R)으로 회전한다.
추축대(35)의 전후진 과정을 제5도에서 부가하여 다시 간단히 설명하면, 캠축(33)과 동회전하는 캠(34)이 회전하여 종동자(20)가 캠(34)의 상승부를 탈 경우는 이송슬라이드(3)는 P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량은 접촉면(18)과 접촉하여 있는 로울러 A(11)에 전달되어 레바축(5)을 중심으로 하여 이송레바(2)를 Q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송레바 상단에 끼워진 로울러 B(14)가 S방향으로 전진하여 이 전진량이 T형씨트(6) 및 접촉판(70을 거쳐 주축대(35)를 S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축대(35)는 전진한다.
이와 반대로 종동자(20)가 캠(34) 하강부를 탈 경우 이송슬라이드(3) 아래에 장치된 스프링힘에 의해 0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접촉면(18)이 로울러 A(11)를 강제로 미는 힘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주축대(35) 후미의 인장스프링(36)이 주축대를 U방향으로 당겨 주축대(35)는 후진하게 되고, 이 후진력이 T형씨트(6) 및 접촉판(7)을 거쳐 로울러 B(14)에 전해지면 레바축(5)을 중심으로 이송레바(2)가 R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 접속편(18)에 로울러(11)는 접촉한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이송레바(2)상의 로울러 A, B(11, 14)의 관계는 도면 제4도와 같이 캠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이 X만큼 상승하면 종동자(20)의 점 A가 X만큼 이동하여 A'에 위치하고, 이송슬라이드(3)상의 접촉면(18) 선단점 B도 X만큼 이동하여 B'에 위치함과 동시에, 로울러 A(11)는 중심축센타 H를 중심으로 절 C가 회전하여 C'에 위치하며 로울러 B(14)는 눈금판(15)상의 위치에 따라 G, F, E, D에서 G', F', E', D'로 이동하게 된다.
로울러 B(14)가 눈금판(15)상의 1위치에 오게 하면 점 D는 거리 X만큼 이동하여 D'에 위치하고 (CASE-Ⅰ), 1.5위치에 오게 하면 점 E는 1/1.5X만큼 이동하여 E'에 위치하고(CASE-Ⅱ) 3위치에 오게 하면 점 G는 1/3X만큼 이동하여 G'에 위치한다(CASE-Ⅲ).
이송레바(2)상의 로울러 B(14)의 이동위치 D→D',E→E', G→G', F→F'는 각각 이송레바비에 따라 결정되는 주축대(35) 이동거리이다.
즉, 상기 CASE, Ⅰ,Ⅱ,Ⅲ의 경우와 같이 캠(34)의 상승(혹은 하강)거리 X는 이송레바를 거쳐 X-1/3X로 감소되어 주축대를 전진 혹은 후퇴시킨다.
제품 길이방향 오차에 가장 큰 영향인자인 캠제작 오차량 0.01X라고 하면 이 오차량을 1/3(0.01X)까지 감소시켜 추축대를 전진 혹은 후퇴시키므로 제품길이 오차를 1/3까지 줄여 제품길이 정도를 최대 3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이송레바(2) 상단의 로울러핀(10)을 중심으로 로울러 A(11)가 조립되어 로울러축(12), 로울러칼라(13)에 의해 지지된 로울러 B(14)가 이송레바(2)의 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송볼트(17)의 핀 맞춤된 놉브(16)의 회전으로 로울러 B(14)의 위치를 이동시켜 레바축(5)에서 로울러 B(14)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서 캠제작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여 주축이동량오차를 작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KR2019820004889U 1982-06-22 1982-06-22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KR830002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889U KR830002215Y1 (ko) 1982-06-22 1982-06-22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889U KR830002215Y1 (ko) 1982-06-22 1982-06-22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215Y1 true KR830002215Y1 (ko) 1983-10-19

Family

ID=1922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889U KR830002215Y1 (ko) 1982-06-22 1982-06-22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667A (en) Endless conveyor with gripping elements
US4524860A (en) Automatic board transfer apparatus
US4353678A (en) Mechanism for transferring cut-to-length wires out of a loose bundle of wires into a single layer of parallel wires
ES465275A1 (es) Un mecanismo actuador de ajuste automatico para un sistema de transmision articulada de embrague.
US3977161A (en) Closure cap feed chute with automatic cap stop
KR830002215Y1 (ko)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바장치
US3022745A (en) Mechanical monorail drop switch
US4713831A (en) Counting method and device
GB95994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ndless conveyor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carriers for work-pieces at pre-selectable delivery points
US4744460A (en) Device for translating parts undergoing machining on ultraprecise high speed machines
US2406847A (en) Registering sheets
CN1261580A (zh) 无叼纸自动快速续纸系统
KR900008004Y1 (ko) 자동선반 주축대 이송레버 장치
US1783912A (en) Carton-feeding magazine
US2014765A (en) Cutting mechanism for wrapping machines
US4069777A (en) Button guide assembly
KR890006889A (ko) 경사 이송장치
US2643402A (en) Machine for forming and threading bolts, screws, and the like
SU423275A3 (ko)
KR920702260A (ko) 트랜스퍼 피이더
US3059923A (en) Orientating device
US2579406A (en) Front edge detector mechanism for use in sheet feeding apparatus
SU10700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изделий
JPS6145950Y2 (ko)
US2430093A (en) Sheet feed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