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197B1 -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97B1
KR830002197B1 KR1019800000752A KR800000752A KR830002197B1 KR 830002197 B1 KR830002197 B1 KR 830002197B1 KR 1019800000752 A KR1019800000752 A KR 1019800000752A KR 800000752 A KR800000752 A KR 800000752A KR 830002197 B1 KR830002197 B1 KR 83000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lass
forming
temper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23A (ko
Inventor
모리스 네델레
끄라우드 쁘레스뜨
프랑소아 비뚜
Original Assignee
생-고뱅 인다스뜨리에
귀 부띠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인다스뜨리에, 귀 부띠에 filed Critical 생-고뱅 인다스뜨리에
Priority to KR101980000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97B1/ko
Publication of KR83000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제1도는 이중 커어빙을 수행하는 커어빙(curving) 및 템퍼링(Tempering)용 기계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송풍용 장치와 상호 작동하는 커어빙-템퍼링용 제1도의 기계의 일부를 도시한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의 커어빙 부분의 상면도.
제4도는 제1도 기계의 성형 로드(Rod)의 다른 배열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구부러진선이 구부러진 바(Bar)로 이루어진 커어브/템퍼링용 기계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커어브/템퍼링용 기계의 성형로드 높이를 변화시키는 캠(Cam)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연화온도(softening temperature)에 달한 유리시트와 같은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설명은 유리 시트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재료로된 시트에 적용될 수도 있다.
두 단부를 통하여 지나가는 축 주위에 각각 있는 다수의 구부러진 로드를 구부리기 위해서 다이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프랑스 특히 제1,476,785호에 기술되어 있다. 유리시트가 구부러진 형태가 되도록 하는 성형베드를 만들기 위해서, 프랑스 특허원 제2,312,463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동일면에 놓여진 이 로드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이 면 외측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단일 방향으로 유리를 구부릴 필요가 있을때는 만족한 결과를 갖게되지만, 특히 자동차용의 이중 곡률을 갖고 있는 유리시트를 제조할때는 곤란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3,409,422호에 이중곡률을 갖고 있는 가스성쿠숀을 사용한 성형장치가 이미 기술되어 있지만 곡률반경이 다른 유리시트를 갖기 위해서 제조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수정이 오래 걸리고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넓은 범위의 곡률을 가진 시트를 만들 수 있는 커어빙이나 및 템퍼링을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곡률의 방향이나 곡률반경이 간단하게 변경되고 신속하게 조정된다. 연화온도에 달한 유리시트와 같은 플라스틱 시트를 커어빙이나 커어빙 및 템퍼링하기 위한 장치는 베어링에 회전되도록 장착된 다수의 로드에 의해 형성된 성형베드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들 로드상을 유리시트가 통과하는 동안 성형이 이루어진다.
본 장치는 상류 직전의 시트용 지지장치의 표면에 접하는 종방향 곡선 측면을 가진 성형표면을 가지므로 시트가 부서지지 않고 길게 연장된다. 즉, 끊어지거나 예리한 각도를 갖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각도가 불연속하게 되는 플라스틱 상태의 유리시트 앞 가장자리에 영향을 주는 결점을 장지하거나 최소화 하기 위해서 재가열 지역에서 커어빙 및 템퍼링을 한다. 이때 모든 유리지지체, 재가열로 내의 지지체, 커어빙 상태의 성형베드 및 템퍼링 지지체가, 자중하에 자연적으로 취해지는 유리시트의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은 측면의 곡률반경이 연속적으로 전개됨으로 일정한 연속탄도 즉 부서지지 않은 유리시트가 만들어진다.
성형베드의 곡선측면을 얻기 위해서 성형로드를 받치는 베어링은 종방향 곡선측면을 가지는 지지체상에 고착된다. 한 실시예에서 로드의 베어링의 지지체는 종으로 배열된 스프링판을 가지고 있다. 이판은 휴지상태에 있을 때, 즉 구부러지지 않았을때 커어빙의 상류시트를 이송하는 장치의 면내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견인부재의 작용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시트의 넓은 범위의 커어빙 형상을 가지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은 분리해서 구부러질 수 있고 이들의 요부(凹부)는 위쪽으로나 아래쪽으로 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 로드의 베어링용 지지체는 종으로 배열된 구부러진 바이고, 성형 베드의 종방향 곡선측면을 수정하기 위해서 베어링에 피보트하여 경사질 수 있게끔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어빙 지역용 시트의 통로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배열된다. 즉, 부서지지 않게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는 곡률반경을 갖는 측면을 유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점으로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어빙 로드는 시트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카운터 로드에 연관되고, 상기 카운터 로드는 이 성형 로드로부터 순방향이나 역방향으로 떨어져있다.
성형 지역 뒤에서 이 시트들은 템퍼링 지역을 지나는데 이때 시트는 커어빙 지역의 최종 로드와 형상과 방향이 동일한 로드상에 오게된다. 템퍼링 지역의 상기 로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노즐과 같은 송풍장치 및 성형로드의 베어링과 같이 곡률의 동일선상에 배열된 베어링에 장착된다.
이 성형 로드들은 단일 곡률을 얻을 경우에 직선으로 되고 이중곡률, 즉 횡곡룰과 종곡률을 가질 경우에는 구부러지게 된다.
한편 유리시트의 과열을 방지하여 이것의 광학 특성을 개선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또 보다 나은 템퍼링을 달성하기 위해 유리의 온도를 균일화 하기 위해서, 커어빙 지역은 가열된 덮개안에 배열할수 있다. 이 덮개는 유리를 재 가열하기 위해서 로와는 별도의 가열된 보올트(vault)로 될 수 있고 유리를 재가열하기 위한 로 자체 또는 부분적으로로나 독립가열 보올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커어빙용 가열된 덮개와 유리용 재가열로는 인접해 있으므로 제어되지 않은 온도에서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바람직한 온도에서 유리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시트가 템퍼링 초기의 온도와 최소한 같거나 상기 온도보다 약간 큰 온도, 즉 약 12℃이상 재가열되고, 이 고온에서 시트는 연장되고, 커어빙 고온에서 이 시간동안 수행되며, 이 시트들이 커어빙한 후에 즉시 일정한 송풍을 받는 템퍼링에 이송되는 유리시트와 같은 커어빙 및 템퍼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처리 방법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얻어진 유리면의 좋은 광학질을 손상하는 고온 가열을 방지하며, 템퍼링하기 전에 유리온도를 균일하게 한다. 일정한 송풍에 관련된 이 균일성은 유리의 템퍼링 상태를 좋게 얻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시트가 깨어졌을때 너무 큰 길이의 조각, 즉 사용이 금지된 6cm이상의 조각을 갖지 않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1도는 유리시트의 커어빙 및 템퍼링용 기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 기계에는 비직선형 지지체에 의해 이송되는 베어링을 가진 성형로드가 있다. 이 성형로드라 하는것은 구부러진 로드나, 프랑스 특허 제1,476,785호와 이것의 연속 특허 제92,064호에 기술된 바와같은 회전덮개로 덮인 구부러진 로드나, 유리시트를 이동하는 로울러 혹은 다른 형태의 로드 또는 내화 재료의 피복으로 덮이거나 동시에 구부러질 수 있는 회전 직선 로울러를 포함한다.
제1도에서, 연화 온도에 달한 유리시트를 제공하는 로의 하부 구조는 도시되지 않았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기계는 유리시트가 연속적으로 지나가는 4개 지역으로 이루어진다. 즉, 유리가열용지역 A, 상기에 언급한 프랑스 특허출원 제2,312,363호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같은 유리시트의 전진횡방향 성형용 지역 B, 종방향 성형용 지역 E 및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템퍼링용 지역 G로 되어 있다. 지역 A에서, 골조(2)에 의해 지지되고 실리카로된 공지형태의 로울러(1) 위를 유리가 지나간다. 지역 B는 두개의 1/2 지역, 즉 1/2 지역 C와 1/2지역 D로 구성된다. 지역 C에서 유리는 더욱 경사진 구부러진 성형 로드(3) 위를 지나는 동안 횡곡률을 취하고, 제1로드(3a)는 로의 로울러(1)의 상부모선을 가지는 면에 위치하고, 3i와 같은 다음 로드는 프랑스 특허출원 제2,312,463호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같이 화살표 F나 F' 중의 하나에 따라 각 α만큼 경사질 수 있는 비임(4)에 의해 아암들중의 하나가 제어되도록 크랭크(도시되어 있지 않음) 작용에 의해 전진함에 따라 이면 외측으로 더욱 더 변위된다. 이런 경사진 로드는 상기면에서 그 장점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구부러진 횡방향 성형로드(3)는 유리용 자체 재가열로나 독립적으로 가열된 보올트일수 있는 가열된 덮개내에 있다. 이때 로의 전면 벽은 위치 5에 있게 되고 로드들은 프랑스 특허출원 제7811165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구성될수 있다. 즉, 속이비고 스텐레스강철이며 환원성이나 중성 가스에 의해 청소되거나 기름, 용해염 또는 물과 같은 냉각액체에 의해 청소된다.
지역 D에서 3n으로 표시된 로드들은 모두 비임(4)의 레벨에 의해 결정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2,312,463호에 기술된 것과 동일방향을 갖고 있다.
이 도면에서 이것들은 최대 곡률로 주어지는 수직위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보다 작은 경사를 가지기도 한다. 이것들은 최대 횡곡률이 로드(3n)의 첫째로드에 의해 주어지도록 1/2지역 C내의 로드(3)의 최종로드와 동일 경사를 갖거나 약간 큰 경사를 갖게 되고, 이때 여기에는 지역 C의 모든 로드와 지역 D의 로드(3n)의 첫째 로드의 전진경사가 있다. 이 1/2지역 D에서 유리시트의 횡방향 커어빙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이 1/2지역 D는 유리를 가열하기 위한 로나 별도로 가열된 보올트일 수 있는 상기와 같은 가열된 덮개내에 있다. 이때 로의 전면벽은 위치 5'에 있게 되고 로드(3n)는 1/2지역 C에서와 같이 환원성 가스나 냉각유체에 의해 청소된다.
다음 지역 E에서, 3P와 같은 성형로드들은 1/2 지역 D내의 로드의 경사를 유지하고, 성형로드들을 경사지게 장착하는 베어링들은 두 개의 곡선 지지체(6) 상에 배열된다. 상기 지지체는 유리시트의 통로의 각각의 측면상에 배열된 스프링판을 구성한다. 이 스프링들은 1/2 지역 D의 하방 단부에 관련해서 고착되는 정박점(7)에서 1/2 지역 D의 하방 단부의 측면상에 고정된다. 상방위치에 관련해서 고정된 이 지점(7)은 판(6)이 휴지상태에 있을때, 즉 구부러지지 않았을때의 레벨에 있게되고, 성형로드(3P)에 의해 형성된 성형 베드는 부서지지 않고, 즉 접합부에서 각도의 불연속이 없이 상류직전에 놓여지는 유리용 지지체 장치를 연장한다. 판(6)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판의 곡률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10)를 고정시키고 견인작용을 하는 정박장치(8,9)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판(6)의 하방 단부는 곡률 수정시 상기판의 단부들이 변위하도록 높이 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는 지지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지지된다. 카운터로드(11)는 성형 로드에 관련해서 전후방향으로 약간 변위된 성형로드(3P) 위에 갖추어진다. 이것은 거의 동일한 횡방향 측면을 갖고있고, 성형로드와 카운터 로드 사이로 유리시트가 충분히 통과하도록 성형 로드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 된다. 이 카운터 로드들은 평면 부분을 형성하지 않으므로서, 유리시트의 앞뒤 가장자리의 성형을 좋게하고, 로드(3P)와 같은 형태의 구부러진 로드로 될 수 있으며, 역시 경사질 수 있고, 유리시트를 약간 죄기 위한 방법으로 로드(3P)의 베어링쪽으로 탄성적으로 돌아오는 슬라이딩 베어링내에 장착된다.
이 카운터 로드들은 유리와 접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를 이송하거나 그 자체가 유리시트와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운터 로드나 로울러를 이송하는 카운터 로드는 유리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별도의 로울러로 교체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유리를 가열하기위한 지역이나 로는 지역 E의 단부에 연장되고, 커어빙하는 동안 열 손실을 방지하고, 보다 좋은 템퍼링을 주기 위해서 유리온도를 균일하게 하고, 유리의 광학질을 개량시켜주는 종방향 성형용 지역 E를 덮기 위해서 전면벽은 위치 5"로 이동된다. 제1도에서 로드(3P)의 베아링용 판스프링 지지체(6)는 하향으로 되고, 로드(3P)의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배열하며 덮개로 덮여있다. 그러나 같은 방법으로 상향으로 향할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횡방향의 구부러진 로드는 하향 요부지만 상향 요부일수도 있다. 그러므로, 두 방향으로 곡률 반경을 변화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곡률방향도 선택할 수가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가열로내의 로울러(1) 위나 커어빙 지역내의 로드들(3a, 3i, 3n, 3p) 위를 유리시트가 지나감으로, 템퍼링 지역 G에서는 지역 E와 G내의 1m에 가까운 값으로 재가열 로내에서 무한하게 연속되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변하는 반경으로서 각도의 불연속이 없이 즉 부서지지 않고서 일정한 측면을 가지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지역 G내에 도시되지 않은 템퍼링 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지역 G에서 로드(3p, 3n)와 같고 동일경사를 가진 로드(3X)는 판스프링(6)에 의해 형성된 곡선 측면의 후부분에 배열된다. 지역 E의 카운터 로드(11)나, 로울러, 로울러를 이송하는 카운터 로드와 형상이 같은 카운터로드(11X)는 상기의 지역 E에서와 같이 장착되고 로드(3X)에 면하고 있다. 즉 로드(3X)에 대해서 떨어져 있지 않다. 이로드들과 이 커운터 로드들 사이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노즐(12)과 같은 송풍장치로서 군데군데 배치한다.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가요성 호스에 의해 직접 공급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송풍박스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상류직전의 종방향 성형용 지역 E를 냉각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지역 G에 내부방향으로 송풍단부가 구부러진 두개의 제1노즐(13a, 13b)를 제외하고는, 이 노즐들은 로드상을 통과하는 유리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 노즐(12)은, 로드(3X)가 회전되는 베어링에 의해 이송되는 부재위에 설치하거나 판 스프링(6) 위에 직접 설치한다. 그러므로, 상기판(6)의 곡률에 관계없이 이것들은 유리시트에 수직인 송풍방향을 유지하고 이 송풍단부는 항상 유리로부터 동일거리로 떨어져 있게 된다. 즉 이것은 정확하게 제어된 균일 송풍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로드(3X)가 구부러질 때 송풍노즐은 프랑스 특허공보 제2,144,523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여러 개의 분리된 부품내에 배열되고, 분리 레벨에서 이질적인 송풍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접 부분은 중첩된다.
로드(3)용 각각의 베어링, 특히 로드(3X)용 베어링과, 외부골조에 접속된 나사형 로드상에 별개로 고착된 각각의 노즐 지지체를 갖는 것이 가능하므로, 노즐용 각각의 베어링과 각각의 지지체를 별도로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는 연속적인 횡방향 커버링과 종방향 커어빙을 갖추었다. 그러나 구부러진 판(6)상에 휴지된 베어링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로드(3P)의 다른 피보팅축에 의해서 결정된 곡선표면으로부터 더욱 구부러진 종방향 성형지역(E)의 로드(3P)를 제공하므로써, 제1도에 도시한 두 개의 1/2지역(C, D)를 동시에 피하고 두 방향으로 두개의 커어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역 B에 갖추어진 횡방향 커어빙은 삭제될 수 있다. 이때 구부러진 로드(3P)는 이미 정해진 곡선표면내에 끼이게 되어 휴지상태로 되고 두개의 판(6)에 의해 정해진 표면에 평행하게 된다. 횡방향 커어빙이 삭제되면 구부러진 로드(3P)는 직선형 로울러로 대체될수 있다. 그러므로 종방향으로 한 곡률만을 갖고 있는 유리시트를 만들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견인부재와 같은 당김작용에 의해 조정되는 장치(10)에 의해 구부러지고 구조로드(3X)를 이송하는 판스프링(6) 장치는 약 0.90m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있는 유리 곡률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것은 직격을 무한대로까지 크게할 수도 있다.
제1도의 경우에 1/2지역 D의 단부에 관련해서 고정점(7)에 이 판(6)을 정박시키기 때문에, 또는 지역 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유리용 재가열지역의 단부와 같은 상류직전 상태의 단부에 관련해서 더욱 고정되기 때문에, 유리시트는 횡방향 측면이 일정한 지지체상에서 이동하고 또 부서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변한다. 그러므로 양호한 균일 커어빙이 얻어지고 가열된 덮개내에 놓임으로 개선되어지고, 이때 템퍼링의 초기온도보다 약간 큰 비교적 낮은 온도, 즉 약 12℃보다 약간 큰 온도를 갖게된다.
제3도는 구부러질 유리시트(V)를 가진 커어빙장치의 상면도이다. 유리시트(V)의 쇄선 표시는 취해질 모든 가능한 형태를 나타낸다. 로드(3)는 상방향으로 있는 경우에 낮아진다. 판스프링(6)은 낮아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종방향 곡률은 하향으로 된 요부를 갖는다. 역으로 이것들이 상방향으로 구부러지면, 종방향의 유리 요부는 상방향으로 된다. 또한 각각의 핀(6)은 다르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이중곡률을 갖는 비대칭형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4도는 커어빙 지역의 다른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커어빙 및 템퍼링 장치의 출구에서 유리시트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상기 모든 장치는 상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수송용 상방향 장치와 같은 레벨에 가까운 수평 수송기상에서 구부러지고 템퍼된 유리시트를 회수할 수 있다. 이것들이 각도의 불연속에 부닥칠때 유리시트의 앞가장자리에 영향을 끼치는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방향 수송기의 측면은 성형표면에 접하는 지점 I에 도달하기 위해서 약간의 경사를 줌으로서 수정된다.
재 가열로내의 수송기의 측면 수정은 초기 단계에서 시작됨으로 플라스틱 상태에 있을때 유리통로에는 각도의 불연속이 없게된다. 적당한 측면을 얻기 위해서 재가열로를 길게 할수도 있고, 유리통로의 측면을 수정하도록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가열된 덮개를 로의 출구에 추가시킬수 있다. 또한 로의 출구에서의 보충 가열덮개나 긴 재가열로는 유리를 더 오랫동안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템퍼링하기에 좋은 온도를 균일하게 해준다.
개량된 질의 유리곡률을 얻기 위한 모든 이 수단들은 유리의 템퍼링 상태를 개량하도록 해준다. 자동차 창 유리가 부서졌을때 파편조각이 6cm보다 작게되어야만 되는 것을 대부분의 유효기준으로 삼는다. 이것은 상술한 개량된 커어빙 장치로 얻어질 수 있따. 유리 가열시간의 증가는 유리온도를 균일화시키고 일정한 템퍼링에 관련된 이 균일성은 만족한 결과를 얻게해준다.
성형 로드의 베어링용 지지체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지만 이것들은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하에 기술된 장치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이 장치들은 유리 통로의 각각의 측면상에 구부러지고 종으로 배열된 바(14)를 구성한다. 이 바들의 각각의 두 단부들은 서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들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단부들을 통하여 지나가는 축에서 베어링(15)에 피보팅되고 경사지도록 되어있다. 이 각각의 바(14)들은 성형로드(3)의 단부에 장착된 슬라이딩 베어링(16)을 이송한다.
그러므로, 성형로드의 베드의 종방향 곡률을 수정할시에 구부러진 바(14)의 기울기는 변하게 된다.
이 종방향 곡률은 이 바들이 동일면내에 놓여있을때 0으로 된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놓여진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울때 바(14)의 곡률과같이 최대로 된다. 그러므로 판 스프링(6)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서, 평평한 유리로부터 다른 곡률반경을 가진 하나나 두개의 곡률을 갖고 있는 유리로 통과할 수 있다. 최대곡률은 구부러진 로드(3)의 횡방향으로 있게되고, 상기 로드들은 바(14)에 의해 종방향으로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바들은 수직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판스프링(6)을 사용한 것과 같은 방법에서 두개의 바(14)는 다르게 기울어지므로, 비대칭 종곡률로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 단일 곡률만이 필요할때, 즉 단일 방향이 필요할때, 유리가 종방향 곡선 측면을 따라 배열된 직선 로드에 의해 형성된 통로상을 지나가게 함으로써 이 곡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종방향 곡률의 측면을 수정하는 다른 장치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성형 로드(3)의 베어링은 슬라이더(17)상에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베어링은 로(18)위에 있다.
캠(18)을 회전시키므로서, 로드(3)의 베어링을 태워서 상기 로드의 높이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슬라이더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공통축(19)으로부터 이들 캠을 모두 제어하거나 별개로 이것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모든 캠(18)은 재생되기에 바람직한 곡률범위 기능으로 결정된 다른 측면을 가져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일 방향으로 있는 유리의 단일 곡률이 필요하다면 성형 로드로서 직선 로울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판스프링이나 제2실시예의 구부러진 바를 슬라이더(17)와 캠(18)으로된 장치를 조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캠과 슬라이더로서, 구부러진 상기 바나 상기 스프링의 조정을 하지 ㅇ낳고도 구부러진 바나 스프링에 의해 주어진 성형 베드의 곡률측면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최대로 경사진 구부러진 바로된 것보다 더욱 명확한 종방향 곡률을 얻을 수가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성형로드의 안장모양으로 배열한 경우에, 커어빙 및 템퍼링 장치의 출구에서의 유리시트의 회수는 상방향 수송기와 같은 레벨에서의 수평 수송기상에서 수행되는 것처럼 매우 쉽다. 이장치의 길이는 정확하지 않고 템퍼링용 지역 G가 뒤에 있다. 이 지역에서는 유리표면과 코어 사이의 온도가 달라야 하고 유리가 더 이상 변형되지 않도록 단단해야 한다. 응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온도 차이가 유지되어야 하는 템퍼링 상태를 적합하게 하는 냉각지역을 곡선측면의 연장부상에 배열할 수 있다.
종방향 커어빙의 안장모양과 같은 이 배열은, 커어빙 배드에 유리시트를 접하게 할 상방향 수송기의 수정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곡귤반경이 더클때 더욱 유리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경우에, 종방햐의 곡률반경이 바뀔때 길이나 높이가 너무 크게 변위되지 않도로 하기 위해서, 가능한한 작은 소자가 수정 가능한 곡선 측면상에 배열된다. 즉 유리 표면과 코어상이의 온도 차이를 확립하고 유리가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성형 장치 및 템퍼링 장치가 배열된다. 필요한 보충냉각은 하방향에 있는 장치에서 수행되고 판 스프링상에 장착되지 않는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형태의 커어빙 및 템퍼링 기계의 경우에, 템퍼링의 출구에서 유리시트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는 예를들어 기름이나 용해염과 같이 열교환계수가 좋은 유체로 가득찬 통일 수 있다. 이 통속에서 구부러진 유리는, 로드(3X)와 카운터 로드(12)의 최종 쌍으로부터 자유롭게 떨어지는 유리시트를 입수할 수 있고 유리가 완전한 반원을 횡단할때가지 판스프링의 연장부나 공지된 형태의 두 송풍박스 사이로 수송할 수 있는 가요성 표면을 갖고 있는 수평 콘베이어나 경사진 콘베어의 표면상에 도착하도록 자유롭게 떨어진다. 이 판스프링의 연장부는 방향 결정성 홈 램프(Ramp)를 갖고 있는 수평 콘베어상에 유리시트를 분배하고 송풍박스를 통하여 유리시트를 수송하기 위해서 로드와 카운터로드를 갖추고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성형로드가 달린 성형베드를 구성하고 연화 온도에 달한 유리시트와 같은 플라스틱 상태의 재료시트를 예정된 곡선으로 굽히며 템퍼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은 시트 이동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하향된 만곡부를 가지며 성형베드를 안내하는 상방향 수송기상의 시트표면에 접하고, 성형로드가 곧을때 곡면전체는 상방향 수송상의 시트표면에 접하고, 성형로드가 원호형일때 시트가 움직이는 방향의 한 선만이 상방향 수송기상의 시트와 접하며, 상기 곡면이 아래로 만곡될 때 상기선은 곡면 상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하는 장치.
KR1019800000752A 1980-02-23 1980-02-23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KR83000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52A KR830002197B1 (ko) 1980-02-23 1980-02-23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52A KR830002197B1 (ko) 1980-02-23 1980-02-23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23A KR830001823A (ko) 1983-05-19
KR830002197B1 true KR830002197B1 (ko) 1983-10-19

Family

ID=1921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52A KR830002197B1 (ko) 1980-02-23 1980-02-23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23A (ko) 198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6165B (fi) Anordning foer kroekning av glasskivor
US4773925A (en) Adjustable roll forming arrangement
US42266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rving glass sheets
US3484226A (en) Outline mold for supporting glass sheets
KR950006188B1 (ko) 유리판을 벤딩하여 템퍼링하는 방법 및 장치
CA11916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moving glass sheets by sagging followed by roll pressing
US6983624B2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panels
US201802978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or forming heated glass sheets
US3801298A (en) Supporting and tempering bent glass plates
US4119428A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218232A (en) Method of shaping moving sheets on roll forming apparatus
US40544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rving sheets in the plastic state
US4575389A (en) Device for bending glass plates
KR830002197B1 (ko) 플라스틱 상태의 시트를 커어빙 및 템퍼링 하는 장치
US4378988A (en) Elements for bending plates made of a material in the plastic state, use of such elements for bending and hardening plates and a device equipped with such elements
US4043783A (en) Press shaping glass sheets
US3457060A (en) Glass bending furnace with partitions defining separate longitudinally disposed heating areas
US8925352B2 (en) Method of shaping glass sheets
JPS5929530B2 (ja) 可塑状態の板状物の湾曲方法および装置
US3485616A (en) Glass sheet conveying and treating apparatus
US3834885A (en) Method of conveying glass sheets through a furnace
US4212662A (en) Method of heating glass sheets for conveying
US4043786A (en) Glass sheet conveyor rolls and process for conveying thereon
ES2243315T3 (es) Metodo y aparato para curvar vidrio.
JP2016196401A (ja) ガラスシートの成形方法